KR20000010748U - 세탁기의 이물질 채집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이물질 채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0748U
KR20000010748U KR2019980023140U KR19980023140U KR20000010748U KR 20000010748 U KR20000010748 U KR 20000010748U KR 2019980023140 U KR2019980023140 U KR 2019980023140U KR 19980023140 U KR19980023140 U KR 19980023140U KR 20000010748 U KR20000010748 U KR 200000107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tub
washing water
washing
rotatin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31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88763Y1 (ko
Inventor
정규범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231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763Y1/ko
Publication of KR200000107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7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7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763Y1/ko

Links

Landscapes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조가 회전될 때 세탁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채집하는 이물질 채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이물질 채집장치는 회전조의 벽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세탁수 유입구가 마련되고, 세탁수 유입구가 형성된 회전조의 외면벽에는 회전조가 회전될 때 상기 유입구로 세탁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안내턱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와 인접되는 회전조의 내면벽에는 회전조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도록 거름망이 설치된 구성으로, 거름망을 통과하여 순환되는 세탁수의 양이 많아져 이물질의 채집효과가 향상되고, 회전조의 내측으로 분출되는 세탁수에 의해 세탁효과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이물질 채집장치
본 고안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조가 회전될 때 세탁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채집하는 이물질 채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모터의 구동력을 통해 회전조 및 펄세이터를 회전시켜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 등을 수행하는 것으로, 회전조의 내부에 세탁수와 세탁물을 함께 투입한 후 이들을 교반시킴으로써 세탁물과 세탁수 및 회전조의 마찰을 이용하여 세탁을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세탁기는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수조와 회전조가 설치되어 있고, 회전조의 내부에는 세탁수를 교반시키는 펄세이터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수조의 하측에는 회전조와 펄세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수조의 저부 중앙에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조 및 펄세이터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동력전달을 제어하는 클러치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세탁기 회전조의 내측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펄세이터(2)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수류를 회전조(1)의 상부로 안내하는 상승안내덕트(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상승안내덕트(3)는 펄세이터(2)와 인접되는 하측에 입구부(3a)가 형성되고, 회전조(1)의 상부 쪽에 출구부(3b)가 형성되어, 입구부(3a)로 유입된 세탁수가 내측 안내유로를 따라 상단 출구부(3b)로 분출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상승안내덕트(3)의 출구부에는 세탁수에 함유된 이물질이나 찌꺼기 등이 걸러질 수 있도록 이물질 거름망(4)이 설치되어 있다. 즉, 종래의 세탁기는 상승안내덕트(3)를 통해 세탁수가 순환되는 동안, 거름망(4)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지게 됨으로써 낙차에 의한 세탁효과 향상뿐만 아니라, 세탁수를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세탁기의 이물질 채집구조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거름망(4)이 상승안내덕트(3)의 출구부(3b)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승안내덕트(3)를 통해 분출되는 세탁수에 한하여 이물질이 걸러지게 되므로, 이물질의 채집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회전조가 회전될 때 회전조 외측의 세탁수가 회전조의 내측으로 유입되게 하고, 이때 회전조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세탁수를 걸러줌으로써, 이물질의 채집효과와 세탁효과를 높여주는 세탁기의 이물질 채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세탁기의 회전조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물질 채집장치가 설치된 세탁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물질 채집장치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물질 채집장치가 장착된 회전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조의 외면에 형성된 세탁수 유입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이물질 거름망의 설치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케이스, 11: 수조,
12: 회전조, 13: 펄세이터,
14: 구동모터, 20: 이물질 채집장치,
21: 세탁수 유입구, 22: 유입안내턱,
23: 유입안내턱의 개구부, 24: 거름망,
25: 지지판, 26: 지지턱.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세탁수가 저장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조와, 상기 회전조의 바닥에 설치되어 세탁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를 구비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가 회전될 때 상기 회전조 외측의 세탁수가 상기 회전조 내측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조의 벽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세탁수 유입구와, 상기 세탁수 유입구로 상기 회전조 외측의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세탁수 유입구가 형성된 상기 회전조의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조가 회전되는 방향에 개구부가 형성된 유입안내턱과, 상기 세탁수 유입구를 통해 상기 회전조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도록 상기 세탁수 유입구와 인접되는 상기 회전조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거름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물질 채집장치가 설치된 세탁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물질 채집장치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물질 채집장치가 장착된 회전조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조의 외면에 형성된 세탁수 유입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이물질 거름망의 설치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는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세탁수가 채워질 수 있도록 상측면이 개구된 원통상의 수조(11)가 설치된다. 수조(11)의 내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세워져 설치되며, 벽면에 다수의 탈수공이 천공된 마련된 회전조(12)가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조(12)의 저부에는 정·역회전하여 세탁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13)가 마련된다.
또한, 수조(11)의 하측에는 회전조(12)와 펄세이터(13)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마련된다. 이 구동부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4)와, 구동모터(14)의 회전력에 의해 펄세이터(13)와 회전조(12)를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클러치(15)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구동모터(14)와 클러치(15)사이에는 동력전달을 매개하는 벨트(16)가 설치된다.
또한, 수조(11)의 하부에는 수조내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밸브(17)가 설치되고, 이 배수밸브(17)에는 본체케이스(1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수관(18)이 연결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는 상기 회전조(12)의 측면 벽에 세탁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도록 이물질 채집장치(20)가 설치된다.
이 이물질 채집장치(20)는 세탁행정시 회전조(12)에 동력전달이 되지 않더라도, 회전조(12)가 펄세이터(13)의 회전을 따라 소정의 각도 만큼 회전되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즉, 회전조(12)가 회전될 때 회전조(12) 외측의 세탁수를 회전조(12)의 내측으로 강제 유입시키고, 유입되는 세탁수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구조이다.(일반적인 세탁기의 회전조는 펄세이터가 회전되는 관성에 의해 펄세이터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180°정도 회전이 되게 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이물질 채집장치(20)는 회전조(12)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회전조(12)의 벽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세탁수 유입구(21)가 형성되고, 세탁수 유입구(21)가 형성된 회전조(12)의 외면 벽에는 회전조(12)가 회전될 때 회전조(12) 외측의 세탁수가 상기 유입구(21)로 안내될 수 있도록 유입안내턱(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21)와 인접되는 회전조(12)의 내면벽에는 유입구(21)를 통해 내측으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도록 거름망(24)이 설치된다.
상기 세탁수 유입구(21)는 회전조(12)의 측면벽 상부에서 하부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유입안내턱(2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탁수 유입구(21)를 덮도록 회전조(12)의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회전조(12)의 회전방향과 일치되는 일측면에 세탁수가 유입되는 개구부(23)가 형성된다.
이때, 유입안내턱의 개구부(23)는 상기 유입구(21)로 유입되는 세탁수가 강한 유입수류를 형성하여 세탁효과를 높여줄 수 있도록 유입구(21)의 단면적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고, 개구부(23)의 방향은 회전조(12)가 회전되는 접선방향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회전조(12)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거름망(2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름망(24)에 이물질이 채워졌을 때 거름망(24)을 분리시켜 이물질을 비워줄 수 있도록 회전조(12)의 내면에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위해, 거름망(24)은 상기 세탁수 유입구(21)와 대응되는 형상의 입구부(25a)가 형성된 길이가 긴 지지판(25)에 일체가 되도록 고정이 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세탁수 유입구(21)가 형성된 회전조(12)의 내측면에는 상기 지지판(25)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유입구(21)의 양측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지지턱(26)이 형성되는데, 이 지지턱(26)에는 지지판(25)의 양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하로 길게 홈(26a)이 형성된다.
따라서, 거름망(24)이 고정된 지지판(24)은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지거나, 위쪽으로 잡아당겨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지판(25)의 상단부에는 사용자가 지지판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손잡이부(25b)가 마련된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세탁기를 가동시키게 되면, 세탁기는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일련의 행정은 프로그램화되어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어된다.
세탁행정은 회전조(12) 내에 세탁물이 투입된 상태에서 수조(11)와 회전조(12) 내에 세탁수가 채워지고,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펄세이터(13)의 정회전과 역회전이 반복되면서 세탁을 수행한다. 이때 세제가 투입된 세탁수는 모든 세탁물이 잠길 수 있도록 소정높이의 수위선까지 채워지고, 세탁물은 펄세이터(13)의 정·역 회전운동에 의해 세탁물과 함께 휘저어져서 세탁이 진행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조(12)는 구동부의 동력전달이 끊어진 상태이지만, 펄세이터(13)가 회전되는 관성에 의해 펄세이터(13)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만큼(180°내외) 회전을 하게 된다.
회전조(12)가 회전을 하게 되면, 회전조(12)의 외면에 형성된 유입안내턱(22)의 개구부(23)로는 회전조(12)와 수조(11) 사이의 세탁수가 밀려 들어오게 되고, 유입안내턱(22)에 의해 안내된 세탁수는 세탁수 유입구(21)와 거름망(24)을 거쳐 회전조(12)의 내측으로 분출되게 된다.
따라서, 회전조(12)의 내측으로 분출되는 세탁수는 거름망(24)을 거치게 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게 되는데, 본 고안에 따른 이물질 채집장치(20)는 회전조(12)의 측면 유입구(21)를 통해 세탁수가 유입되게 되므로, 종래의 구성에 비하여 거름망(24)을 통과하는 세탁수의 양이 훨씬 많아지게 되어 이물질 채집효과가 크게 향상되게 된다.
또한, 회전조(12)의 내측으로 분출되는 세탁수는 회전조(12) 내부의 세탁물을 때려주게 되어 세탁효과를 더욱 높여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세탁기를 장시간 사용을 하여 거름망(24)의 내측에 이물질이 많이 쌓이게 되면, 사용자가 거름망(24)이 고정된 지지판(25)을 분리시킴으로써 이물질을 용이하게 비워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이물질 채집장치는 회전조의 벽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세탁수 유입구가 마련되고, 세탁수 유입구가 형성된 회전조의 외면 벽에는 회전조가 회전될 때 상기 유입구로 세탁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안내턱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와 인접되는 회전조의 내면벽에는 회전조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도록 거름망이 설치되었다. 따라서, 거름망을 통과하여 순환되는 세탁수의 양이 크게 증가하게 되어 이물질의 채집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거름망을 거쳐 회전조의 내측으로 분출되는 세탁수가 세탁물을 때려주게 되어 세탁효과 또한 크게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세탁수가 저장되는 수조(11)와, 상기 수조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조(12)와, 상기 회전조의 바닥에 설치되어 세탁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13)를 구비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가 회전될 때 상기 회전조 외측의 세탁수가 상기 회전조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조(12)의 벽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세탁수 유입구(21)와, 상기 세탁수 유입구로 상기 회전조 외측의 세탁수가 안내되도록 상기 세탁수 유입구가 형성된 상기 회전조의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조가 회전되는 방향에 개구부(23)가 형성된 유입안내턱(22)과, 상기 세탁수 유입구를 통해 상기 회전조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도록 상기 세탁수 유입구와 인접되는 상기 회전조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거름망(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이물질 채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24)이 상기 회전조(12)의 내측면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거름망은 상기 세탁수 유입구(21)와 대응되는 입구부(25a)가 형성된 길이가 긴 지지판(25)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조(12)의 내측면에는 상기 지지판(25)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세탁수 유입구(21)의 양측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지지턱(26)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이물질 채집장치.
KR2019980023140U 1998-11-25 1998-11-25 세탁기의 이물질 채집장치 KR2002887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140U KR200288763Y1 (ko) 1998-11-25 1998-11-25 세탁기의 이물질 채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140U KR200288763Y1 (ko) 1998-11-25 1998-11-25 세탁기의 이물질 채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748U true KR20000010748U (ko) 2000-06-26
KR200288763Y1 KR200288763Y1 (ko) 2002-11-18

Family

ID=69509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3140U KR200288763Y1 (ko) 1998-11-25 1998-11-25 세탁기의 이물질 채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76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763Y1 (ko) 200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95120B2 (ja) 洗濯機
KR100223413B1 (ko) 세탁기용 이물걸름장치의 커버 결합구조
KR200288763Y1 (ko) 세탁기의 이물질 채집장치
KR100352474B1 (ko) 세탁기의 이물질 배출장치
KR200153697Y1 (ko) 세탁기의 이물질 거름장치
KR100774511B1 (ko)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장치
KR200159028Y1 (ko)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
KR100220745B1 (ko)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
KR100220744B1 (ko)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
KR100220743B1 (ko)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
KR200157114Y1 (ko)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
KR100775117B1 (ko)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장치
KR100220747B1 (ko)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
KR100244322B1 (ko)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
KR100220746B1 (ko)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
KR100263564B1 (ko) 세탁기의 이물 걸름장치
KR100200885B1 (ko) 세탁기
KR0126120Y1 (ko) 세탁기
KR100223414B1 (ko) 세탁기용 이물걸름장치의 록킹구조
JPH0525597Y2 (ko)
KR100352473B1 (ko) 세탁기의 측면수류 분출장치_
KR20030044460A (ko) 세탁기
JPS5934471Y2 (ja) 洗濯機のリント捕獲装置
KR100315815B1 (ko) 세탁기의 실밥 채집장치
KR100242576B1 (ko) 세탁기의 상승유도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