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0504U - Carrier Feeder - Google Patents

Carrier Fee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0504U
KR20000010504U KR2019980022826U KR19980022826U KR20000010504U KR 20000010504 U KR20000010504 U KR 20000010504U KR 2019980022826 U KR2019980022826 U KR 2019980022826U KR 19980022826 U KR19980022826 U KR 19980022826U KR 20000010504 U KR20000010504 U KR 200000105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gripper
body portion
arm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282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심종섭
지형근
Original Assignee
김규현
아남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현, 아남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규현
Priority to KR20199800228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0504U/en
Publication of KR200000105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504U/en

Links

Landscapes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캐리어 이송장치의 그리퍼에 관한 것으로, 웨이퍼를 수납한 캐리어를 파지하기 위한 그리퍼 및 그리퍼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그리퍼 이송아암을 구비한 캐리어 이송장치에 있어서, 그리퍼(36)는 그리퍼 이송 아암(34)과 연결되는 연결 플레이트(42), 연결 플레이트(42) 아래에 설치되는 그리퍼 몸체부(43), 그리퍼 몸체부(43)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캐리어(22)의 상단을 직접 파지하기 위한 한 쌍의 파지부(37), 몸체부(43)의 하면에 설치되어 캐리어(22)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것에 의해 파지부(37)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센서(38) 및 그리퍼 이송 아암(34)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연결 플레이트(42)와 함께 그리퍼 몸체부(43)가 이동될 수 있도록, 연결 플레이트(42)와 그리퍼 몸체부(43)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며, 탄성수단은 캐리어(22)가 기설정된 위치와 어긋나게 위치되더라도 한 쌍의 센서(38)를 모두 캐리어(22)의 상단과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에 의해, 캐리어(22)의 위치가 기설정된 위치와 어긋나더라도 캐리어(22)를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어 생산 라인의 중단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ipper of a carrier conveying apparatus. In the carrier conveying apparatus having a gripper for holding a carrier containing a wafer and a gripper conveying arm for slidingly moving the gripper, the gripper 36 is a gripper conveying arm ( 34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late 42, the gripper body portion 43 is installed below the connecting plate 4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gripper body portion 43 for holding the upper end of the carrier 22 directly A pair of gripping portions 37 and a pair of sensors 38 and grippers for selectively operating the gripping portion 37 by selectively contacting the carrier 22 by being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43 An elastic means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ng plate 42 and the gripper body portion 43 so that the gripper body portion 43 can be moved together with the connecting plate 42 by the sliding movement of the transfer arm 34. Elastic means The position of the carrier 22 is shifted from the preset position by being configured such that both the pair of sensors 38 can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carrier 22 even if the carrier 22 is positioned to deviate from the preset position. Even if the carrier 22 can be grasped and moved stab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terruption of the production line.

Description

캐리어 이송장치Carrier Feeder

본 고안은 캐리어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캐리어 이송장치의 그리퍼(Gripper)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rier transfe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ipper of the carrier transfer device.

일반적으로 반도체 공정에 있어서, 각 슬롯에 웨이퍼를 저장한 캐리어를 소망하는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캐리어 이송장치가 채용되고 있다.In general, in the semiconductor process, a carrier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a carrier having a wafer stored in each slot to a desired position is employed.

도 1에는 종래의 캐리어 이송장치중 하나가 도시되어 있다.1 shows one of the conventional carrier transfer devices.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캐리어 이송장치(10)는 한 쌍의 포스트(12), 포스트(12)에 의해 지지되는 포트 어댑터(port adapt. 14), 포트 어댑터(14) 상에 위치하는 포트 플레이트(port plate, 16) 및 포스트(12)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아암 조립체를 포함한다.As shown, the conventional carrier transporter 10 has a pair of posts 12, a port adapter 14 supported by the posts 12, and a port plate located on the port adapter 14. and an arm assembly slidably mounted to the port plate 16 and the post 12.

포트 플레이트(16)는 후술하는 포트 도어(18)의 상승시 포트 도어(18)를 둘러싸는 부분이고, 포트 어댑터(14)는 포트 플레이트(16)를 지지하고 소망하는 정위치에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일종의 프레임이며, 아암 조립체는 후술하는 파드 도어(20) 상으로 이송되어 온 캐리어(22, 도 3 참조)를 소망하는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조립체이다.The port plate 16 is a portion surrounding the port door 18 when the port door 18 is rais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port adapter 14 supports the port plate 16 and keeps it in a desired position. It is a kind of frame, and the arm assembly is an assembly for transferring the carrier 22 (refer to FIG. 3) conveyed on the pod door 20 mentioned later to a desired position.

아암 조립체는 포스트(12)에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 즉, 상,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가능하도록 장착된 제 1 및 제 2의 아암(32, 39, 도 3 참조)을 포함한다. 제 1 아암(32)의 한쪽 끝단에는 제 1 아암(32)의 슬라이딩 운동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그리퍼 이송 아암(34)이 장착되며, 그리퍼 이송 아암(34)의 한쪽 끝단에는 캐리어(22)를 파지하기 위한 그리퍼(36)가 설치되며, 제 2 아암(39)은 도 3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 도어(18)와 포트 도어(18) 상에 배치된 파드 도어(20)를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 외부와 실링을 유지하면서 그의 내부에 위치한 웨이퍼를 수납한 캐리어(22)를 이송시키기 위한 용기의 일종인 파드(1)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파드 도어(20)라 하였으며, 캐리어(22)를 갖는 파드 도어(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트 도어(18)라 명명하였다.The arm assembly comprises first and second arms 32, 39 (see FIG. 3) mounted on the post 12 so as to be slidable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that i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One end of the first arm 32 is mounted with a gripper transfer arm 34 to be slid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movement direction of the first arm 32, and one end of the gripper transfer arm 34 is provided with a carrier 22. Grippers 36 are provided for holding the second door 39, and the second arm 39 is disposed on the port door 18 and the port door 18, as clearly shown in FIG. It is for transporting. Here, the base plate of the pod 1, which is a kind of container for transporting the carrier 22 containing the wafer located therein while maintaining the exterior and sealing, is called the pod door 20, and the carrier 22 The base plate, which serves to support the pod door 20 having, is named the port door 18.

한편,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리퍼(36)는 그의 양측에 캐리어(22)의 상단을 직접 파지하기 위한 한 쌍의 파지부(37) 및 그의 하면에 캐리어(22)와 접촉, 비접촉되는 것에 의해 파지부(37)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센서(38)가 마련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 the gripper 36 is in contact with and non-contact with the carrier 22 on a pair of holding portions 37 and its lower surface for directly holding the upper end of the carrier 22 on both sides thereof. A pair of sensors 38 are provided for selectively operating the gripping portion 37.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캐리어의 이송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ransfer process of the carri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우선, 파드(1) 내에 수납된 웨이퍼가 정렬된 캐리어(22)가 파드 도어(20) 상에 안착되면, 제 2 아암(39)은 포트 도어(18)와 함께 파드 도어(20)를 아래로 이송시킨다. 그후, 파드 도어(20)가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제 1 아암(32)의 수직운동에 의해 그리퍼(36)의 높이가 조절된 후 그리퍼 이송 아암(34)의 수평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그리퍼(36)가 캐리어(22)의 상부에 위치된다. 그후, 도 8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퍼(36)는 제 1 아암(32)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점차 하강하게 되어, 한 쌍의 센서(38)가 모두 캐리어(22)의 상단 부분과 접촉하여 캐리어(22)에 의해 눌려지면 그리퍼(36)의 파지부(37)가 그의 내측으로 작동하여 캐리어(22)의 상단 양측을 파지한 후, 다음 공정을 위한 소정의 위치로 이송하게 된다.First, when the carrier 22 in which the wafers accommodated in the pod 1 are aligned is seated on the pod door 20, the second arm 39 moves down the pod door 20 together with the port door 18. Transfer. Then, when the pod door 20 reaches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height of the gripper 36 is adjusted by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irst arm 32, and then the gripper 36 is moved by the horizontal sliding movement of the gripper conveying arm 34. Is positioned on top of the carrier 22. Thereafter, as clearly shown in FIG. 8, the gripper 36 is gradually lowered by the sliding movement of the first arm 32 such that both of the pair of sensors 38 are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carrier 22. When contacted and pressed by the carrier 22, the gripper 37 of the gripper 36 is operated inwardly to grip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carrier 22, and then transferr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for the next process.

그러나,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는 캐리어의 위치 또는 자세가 기설정된 위치 또는 자세에서 조금이라도 어긋나게 되어, 그리퍼의 하면에 설치된 한 쌍의 센서중 어느 하나의 센서가 우선하여 캐리어의 상단과 접촉하게 되면, 나머지 하나의 센서는 캐리어와 비접촉 상태에 있게 되므로 그리퍼의 파지부가 작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생산 라인이 일시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f the position or posture of the carrier is slightly shifted from the preset position or posture, and any one of the pair of sensor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gripper firs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carrier, One sensor is in contact with the carrier, so the gripper's gripper will not work.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duction line is suspended.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리퍼에 마련된 한 쌍의 센서중 하나의 센서가 우선하여 캐리어와 접촉하더라도 나머지 하나가 캐리어에 손상을 주는 일 없이 캐리어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한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그리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even if one sensor of the pair of sensors provided in the gripper preferentially contacts the carrier, the other one is elastic so that the other can contact the carrier without damaging the carri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ipper including a means.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웨이퍼를 수납한 캐리어를 파지하기 위한 그리퍼 및 그리퍼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그리퍼 이송아암을 구비한 캐리어 이송장치에 있어서, 그리퍼는 그리퍼 이송 아암과 연결되는 연결 플레이트, 연결 플레이트 아래에 설치되는 그리퍼 몸체부, 그리퍼 몸체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캐리어의 상단을 직접 파지하기 위한 한 쌍의 파지부, 몸체부의 하면에 설치되어 캐리어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것에 의해 파지부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센서 및 그리퍼 이송 아암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연결 플레이트와 함께 그리퍼 몸체부가 이동될 수 있도록, 연결 플레이트와 그리퍼 몸체부 사이에 마련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스프링은 캐리어가 기설정된 위치와 어긋나게 위치되더라도 한 쌍의 센서를 모두 캐리어의 상단과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a carrier transfer apparatus having a gripper for holding a carrier containing a wafer and a gripper transfer arm for slidingly moving the gripper, the gripper is connected to the gripper transfer arm, A gripper body portion which is installed under the connecting plate, a pair of grip port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gripper body portion for holding the upper end of the carrier directly, and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o selectively contact the carrier And a spring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ng plate and the gripper body portion so that the gripper body portion can be moved together with the connecting plate by sliding movement of the pair of sensors and the gripper transfer arm to operate the spring. A pair of sensations even if they are positioned out of position All it characterized by being adapted to be in contact with the top of the carrier.

본 고안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하는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object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종래 캐리어 이송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carrier transport apparatus,

도 2는 종래 캐리어 이송장치의 그리퍼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gripper of the conventional carrier transfer device,

도 3은 종래 캐리어 이송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carrier transfer device,

도 4는 종래 그리퍼가 캐리어를 파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4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holding a carrier by a conventional gripper,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 이송장치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rier trans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 이송장치의 그리퍼의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ipper of the carrier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 이송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carrier trans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리퍼가 캐리어를 파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8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the gripper holding the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리퍼에 장착된 탄성수단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ole of the elastic means mounted to the gri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0 : 캐리어 이송장치 12 : 포스트 22 : 캐리어10 carrier carrier 12 post 22 carrier

31 : 제 1 아암 34 : 그리퍼 이송 아암31: First Arm 34: Gripper Transfer Arm

37 : 그리퍼 파지부 38 : 센서 39 : 제 2 아암37 gripper gripping portion 38 sensor 39 second arm

40 : 그리퍼 42 : 연결 플레이트 43 : 그리퍼 몸체부40: gripper 42: connection plate 43: gripper body

44 : 스프링44: spr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 이송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 종래와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arrier trans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bout the same component as the conventional descrip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이송장치(10)는 한 쌍의 포스트(12), 포스트(12)에 의해 지지되는 포트 어댑터(port adapt. 14), 포트 어댑터(14) 상에 위치하는 포트 플레이트(port plate, 16) 및 포스트(12)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아암 조립체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the carrier transporter 10 includes a pair of posts 12, a port adapter 14 supported by the posts 12, and a port located on the port adapter 14. An arm assembly slidably mounted to a port plate 16 and a post 12.

포트 플레이트(16)는 포트 도어(18)의 상승시 포트 도어(18)를 둘러싸는 부분이고, 포트 어댑터(14)는 포트 플레이트(16)를 지지하고 소망하는 정위치에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일종의 프레임이며, 아암 조립체는 파드 도어(20) 상으로 이송되어 온 캐리어(22)를 소망하는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조립체이다.The port plate 16 is a portion surrounding the port door 18 when the port door 18 is raised, and the port adapter 14 supports a port plate 16 and keeps it in a desired position. It is a frame, and the arm assembly is an assembly for transferring the carrier 22 which has been conveyed onto the pod door 20 to a desired position.

아암 조립체는 포스트(12)에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 즉, 상,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제 1 및 제 2의 아암(32, 39, 도 7 참조)을 포함한다. 제 1 아암(32)의 한쪽 끝단에는 제 1 아암(32)의 슬라이딩 운동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그리퍼 이송 아암(34)이 장착되며, 그리퍼 이송 아암(34)의 한쪽 끝단에는 캐리어(22)를 파지하기 위한 그리퍼(40)가 설치되며, 제 2 아암(39)은 도 7에 명학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 도어(18)와 포트 도어(18) 상에 배치된 파드 도어(20)를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arm assembly comprises first and second arms 32, 39 (see FIG. 7) mounted on the post 12 so as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that i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One end of the first arm 32 is mounted with a gripper transfer arm 34 to be slid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movement direction of the first arm 32, and one end of the gripper transfer arm 34 is provided with a carrier 22. A gripper 40 is provided for gripping the second arm 39, and the second arm 39 is disposed on the port door 18 and the port door 18, as clearly shown in FIG. 7. It is to transfer.

한편, 도 6 및 도8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리퍼(40)는 그리퍼 이송 아암(34)과 연결되는 연결 플레이트(42), 연결 플레이트(42) 아래에 설치되는 그리퍼 몸체부(43), 그리퍼 몸체부(43)의 양 측면에 마련되어 캐리어(22)의 상단을 직접 파지하기 위한 한 쌍의 파지부(37) 및 몸체부(43)의 하면에 설치되어 캐리어(22)와 접촉, 비접촉되는 것에 의해 파지부(37)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센서(38)를 포함한다. 한편, 그리퍼 이송 아암(34)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연결 플레이트(42)와 함께 그리퍼 몸체부(43)가 이동될 수 있도록, 연결 플레이트(42)와 그리퍼 몸체부(43) 사이에 스프링(44)과 같은 탄성수단이 마련된다. 이러한 탄성수단은 캐리어(22)가 기설정된 위치와 어긋나게 위치되더라도 한 쌍의 센서(38)를 모두 캐리어(22)의 상단과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6 and 8, the gripper 40 includes a connecting plate 42 connected to the gripper transfer arm 34 and a gripper body 43 installed below the connecting plate 42.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gripper body portion 43 to be in contact with the carrier 22 by being installed on the pair of gripping portions 37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43 for gripping the upper end of the carrier 22 directly, It comprises a pair of sensors 38 for selectively actuating the gripping portion 37 by being in contact. On the other hand, the spring 44 between the connecting plate 42 and the gripper body portion 43 so that the gripper body portion 43 can be moved together with the connecting plate 42 by the sliding movement of the gripper transfer arm 34. Elastic means such as is provided. The elastic means serves to allow the pair of sensors 38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carrier 22 even when the carrier 22 is positioned out of a predetermined position.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캐리어의 이송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ransfer process of the carri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우선, 파드(1) 내에 수납된 웨이퍼가 정렬된 캐리어(22)가 파드 도어(20) 상에 안착되면, 제 2 아암(39)은 포트 도어(18)와 함께 파드 도어(20)를 아래로 이송시킨다. 그후, 파드 도어(20)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제 1 아암(32)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그리퍼(40)의 높이가 조절된 후 그리퍼 이송 아암(34)의 수평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그리퍼(40)가 캐리어(22)의 상부에 위치된다. 그후, 도 8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아암(32)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연결 플레이트(42)와 몸체부(43)가 점차 하강하게 되어, 한 쌍의 센서(38)가 모두 캐리어(22)의 상단 부분과 접촉하여 캐리어(22)에 의해 눌려지면 그리퍼(40)의 파지부(37)가 그의 내측으로 작동하여 캐리어(22)의 상단 양측을 파지한 후, 다음 공정을 위한 소정의 위치로 이송하게 된다.First, when the carrier 22 in which the wafers accommodated in the pod 1 are aligned is seated on the pod door 20, the second arm 39 moves down the pod door 20 together with the port door 18. Transfer. Then, when the pod door 20 reaches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height of the gripper 40 is adjusted by the sliding motion of the first arm 32, and then the gripper (by the horizontal sliding motion of the gripper conveying arm 34). 40 is located on top of the carrier 22. Then, as clearly shown in FIG. 8, the connecting plate 42 and the body portion 43 are gradually lowered by the sliding movement of the first arm 32, so that the pair of sensors 38 are both carriers. When pressed by the carrier 22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22, the gripper 37 of the gripper 40 operates inwardly to grip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carrier 22, and then the predetermined To the position of.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22)의 위치 또는 자세가 기설정된 위치 또는 자세와 어긋나게 배치된 경우에는 그리퍼(40)의 하면에 설치된 한 쌍의 센서(38)중 어느 하나의 센서가 우선하여 캐리어(22)의 상단과 접촉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연결 플레이트(42)와 몸체부(43) 사이에 마련된 스프링(44)의 압축거리에 의해 캐리어(22)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그리퍼(40)의 몸체부(43)는 계속해서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그리퍼(40)의 하강운동에 의해, 비접촉된 센서가 캐리어(22)와 접촉하게 되어 그리퍼(36)의 파지부(37)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캐리어(22)를 소정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9, when the position or posture of the carrier 22 is disposed to deviate from the predetermined position or posture, any one of the pair of sensors 38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gripper 40 Firs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op of the carrier 22.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body portion 43 of the gripper 40 continues without damaging the carrier 22 by the compression distance of the spring 44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ng plate 42 and the body portion 43. You can descend. Due to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gripper 40, the non-contacted senso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arrier 22 so that the carrier 22 can be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by operating the grip portion 37 of the gripper 36. do.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바람직한 예를 중심으로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실시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xample, but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그리퍼에 탄성수단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캐리어의 위치가 기설정된 위치와 어긋나더라도 캐리어를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어 생산 라인의 중단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by providing the elastic means in the gripper, even if the position of the carrier is shifted from the preset position, the carrier can be grasped and moved stably to prevent interruption of the production line.

Claims (2)

웨이퍼를 수납한 캐리어를 파지하기 위한 그리퍼 및 상기 그리퍼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그리퍼 이송아암을 구비한 캐리어 이송장치에 있어서,A carrier transport apparatus having a gripper for holding a carrier containing a wafer and a gripper transport arm for slidingly moving the gripper, 상기 그리퍼(40)는 상기 그리퍼 이송 아암(34)과 연결되는 연결 플레이트(42), 상기 연결 플레이트(42) 아래에 설치되는 그리퍼 몸체부(43), 상기 그리퍼 몸체부(43)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캐리어(22)의 상단을 직접 파지하기 위한 한 쌍의 파지부(37), 상기 몸체부(43)의 하면에 설치되어 캐리어(22)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것에 의해 상기 파지부(37)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센서(38) 및 상기 그리퍼 이송 아암(34)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연결 플레이트(42)와 함께 그리퍼 몸체부(43)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플레이트(42)와 상기 그리퍼 몸체부(43)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며,The gripper 40 is connect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gripper body portion 43 and the gripper body portion 43 installed below the connecting plate 42 and the gripper transfer arm 34. A pair of gripping portions 37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43 to selectively hold the upper end of the carrier 22, and being selectively contacted with the carrier 22 to hold the upper portion of the carrier 22. The connecting plate 42 so that the gripper body 43 can be moved together with the connecting plate 42 by the sliding movement of the pair of sensors 38 and the gripper conveying arm 34 for selectively operating. ) And elastic means provided between the gripper body portion 43, 상기 탄성수단은 캐리어(22)가 기설정된 위치와 어긋나게 위치되더라도 한 쌍의 센서(38)를 모두 캐리어(22)의 상단과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이송장치.The elastic means is a carrier transpor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ir of sensors (38) are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carrier (22) even if the carrier (22) is located off the predetermined 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스프링(4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이송장치.2. A carrier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elastic means is a spring (44).
KR2019980022826U 1998-11-23 1998-11-23 Carrier Feeder KR20000010504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826U KR20000010504U (en) 1998-11-23 1998-11-23 Carrier Fee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826U KR20000010504U (en) 1998-11-23 1998-11-23 Carrier Fee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504U true KR20000010504U (en) 2000-06-15

Family

ID=69508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2826U KR20000010504U (en) 1998-11-23 1998-11-23 Carrier Fee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0504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7026A (en) Programmable substrate support for a substrate positioning system
US628013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ed cassette handling
JP5750327B2 (en) Plating apparatus, plating processing method, and attitude changing method of substrate holder for plating apparatus
US20190148210A1 (en) Substrate transfer hand and robot
EP1365442A3 (en) Gripper and orienter arm for wafer
KR940018908A (en) APPARATUS FOR VERTICAL TYPE PROCESSING
JP2016163001A (en) Gripper device, transfer device, and transfer method
WO2005081611A1 (en) Support pin holding device and substrate supporting device
KR920005399A (en) Carrier stalker
JP3900229B2 (en) Board transfer hand
JPH11116046A (en) Robot hand for wafer carrying robot
KR20000010504U (en) Carrier Feeder
US6343905B1 (en) Edge gripped substrate lift mechanism
KR100285582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cassette
JPH0249720Y2 (en)
KR100309698B1 (en) Gripper of standard mechanical interface systems
JP2002141395A (en) Substrate presence/absence confirmation method and equipment for holding substrate
CN209737629U (en) Carrier and clamping mechanism for linkage centering thereof
CN219017616U (en) Wafer transfer device
KR20070068892A (en) Smif head and controle method that can detect cassette attachig status
KR20050045153A (en) The wafer cassette transporting system
CN219457568U (en) Clamping wafer finger
KR100322620B1 (en) Cassette carrier moving device of standard mechanical interface
KR0124713Y1 (en) Silicon boat mount
JP3654114B2 (en) Work receiving devi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