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9573U - Drain hose jam detector of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Drain hose jam detector of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9573U
KR20000009573U KR2019980021583U KR19980021583U KR20000009573U KR 20000009573 U KR20000009573 U KR 20000009573U KR 2019980021583 U KR2019980021583 U KR 2019980021583U KR 19980021583 U KR19980021583 U KR 19980021583U KR 20000009573 U KR20000009573 U KR 200000095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hose
washing machine
washing
hose
ha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158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기현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215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9573U/en
Publication of KR200000095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573U/en

Links

Landscapes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기의 배수호스가 수직으로 세워져 걸려 있는지를 감지하는 세탁기의 배수호스 걸림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세탁기의 배수호스는 사용자(소비자)가 배수호스(7)를 내려놓지 않고 세탁하면 배수밸브(6)를 작동시켜 열어도 배수호스(7)의 끝단이 세탁기 외상(1) 상부의 배수호스 걸이구멍(9)에 걸려 있는 배수호스(7)의 끝단높이가 저수조(2) 내부의 세탁수 수위보다 높기 때문에 세탁수는 배수되지 않아 세탁기의 배수행정이 이뤄지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헹굼이나 탈수행정을 진행할 수 없어 세탁을 완료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 hose jam detection device of the washing machine for detecting whether the drain hose of the washing machine is vertically hung, the drain hose of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when the user (consumer) washes the drain hose 7 without laying down Even if the valve 6 is operated and opened, the end height of the drain hose 7 which hangs on the drain hose hook hole 9 of the upper part of the washer outer shell 1 even when the valve 6 is opened is washed inside the reservoir 2. Washing water is not drained because the water level is higher than the water level, so the drainage stroke of the washing machine is not achieved,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washing cannot be completed because rinsing or dehydration cannot be performed.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배수호스(7)의 끝단에 형성된 배수호스 연결고리(8)를 걸 수 있는 스위치 레버(21)가 마련되고 상기 배수호스(7)가 배수호스 연결고리(8)에 걸렸을 때 그 자체중량에 의하여 배수호스(7)가 걸려 있음을 감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22)로 이루어진 걸림검출부(20); 상기 걸림검출부(20)의 마이크로 스위치(22)에서 감지된 신호를 회로기판(23) 상에 마련되는 마이콤을 통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경보신호로 표시하는 신호발생부(24)가 구비되어 배수호스가 걸려있는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배수호스를 정상적으로 위치시키도록 하고 이에 따라서 정상적 배수과정을 실현하여 원활한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세탁기의 배수호스 걸림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witch lever 21 for hanging the drain hose connecting ring 8 formed at the end of the drain hose 7, and the drain hose 7 is connected to the drain hose connecting ring 8. Hanging detection unit 20 consisting of a micro switch 22 for detecting that the drain hose 7 is caught by its own weight when caught; The signal generator 24 is provided to display a signal detected by the micro switch 22 of the jam detection unit 20 as an alarm signal so that a user can recognize it through a microcomputer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23. It is to provide a drainage hose jam detection device of the washing machine to be able to perform a smooth washing by placing the drain hose normally by telling the user whether the hose is hanging, thereby realizing a normal drainage process.

Description

세탁기의 배수호스 걸림 감지장치Drain hose jam detector of washing machine

본 고안은 세탁기의 배수호스 걸림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기의 배수호스 걸림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마련하여 헹굼 및 탈수할 때 원활한 배수가 실현되도록 세탁기의 배수호스 걸림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 hose jam detection device of the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the drain hose jam state of the washing machine in the drain hose jam detection device of the washing machine to realize smooth drainage when rinsing and dehydrating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의류를 중심으로 한 섬유 등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일정량의 물로 희석된 세제를 매개로 하여 침투작용, 유화작용, 분산작용을 통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기계적인 상대운동으로 행하여지는 기계장치를 말하며, 섬유와 물의 상대운동의 부여방식에 따라서 와권식, 교반식, 드럼식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한국에서 보편화되어 있는 와권식으로써 급수, 세탁, 배수, 헹굼, 탈수과정이 하나의 세탁조에서 수행되는 1조식 세탁기를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In general, a washing machine is a machine in which a process of removing foreign matters by penetrating, emulsifying and dispersing the foreign matters embedded in textiles, such as clothes, through a detergent diluted with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performed by mechanical relative movement. It refers to a device, which is classified into a spiral winding type, a stirring type, and a drum type according to a method of applying relative motion of fiber and water. Hereinafter, as a spiral winding type that is common in Korea, the water supply, washing, draining, rinsing, and dehydration processes will be described based on a one-type washing machine in which one washing tank is performed.

이러한 1조식 세탁기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탁물을 투입하여 세탁을 하는 세탁조(3)와, 상기 세탁조(3)의 외주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그 외부에 설치되는 저수조(2)와, 이 저수조(2)의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세탁조(3) 내부 하단의 펄세이터(10)나 이와 함께 세탁조(3)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기어메카니즘(11)과, 상기 기어메키니즘(11)에 동력을 전달하는 세탁모타(12) 및 상기 구성부품 과 기타 부품들을 지지하고 수용하는 외상(1) 등으로 구성된다.This one-type washing machine is a washing tank (3) for putting the laundry into the laundry as shown in Figure 1 and 2, and the storage tank (2) which is installed outsid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shing tank (3)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gear mechanism 11 installed at a lower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tank 2 to selectively drive the pulsator 10 at the lower end of the washing tank 3 or the washing tank 3 together with the gear mechanism 11. It consists of a washing motor 12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outer shell and an outer box (1) for supporting and receiving the components and other components.

상기 저수조(2)의 바닥에 형성된 하나의 배수구(4)에는 외상(1)의 하단부분에 이르기까지 연결관(5)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관(5)에는 세탁수의 배수과정을 제어하는 배수밸브(6)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관(5)의 끝단에는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호스(7)가 연결되어 있다.One drainage port 4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eservoir 2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5 to the lower end of the trauma 1, and the connection pipe 5 controls the drainage process of the wash water. A drain valve 6 is provided, and a drain hose 7 for discharging the wash water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onnecting pipe 5.

이러한 1조식 세탁기는 세탁물과 세제를 세탁조(3)에 투입시키고, 외상(1)의 세탁작동패널의 파워스위치를 온으로 작동시키면 모든 세탁과정을 자동적으로 작동시키는 마이컴의 제어에 의해 세탁모타(12)가 구동하게 된다. 상기 세탁모타(12)가 구동되면 그 동력은 회전수와 토오크를 세탁에 적절하도록 가변시키는 태양기어 및 유성기어 등으로 이루어진 기어메카니즘(11)을 경유하여 이 기어메카니즘(11)과 동축상에 있는 펄세이터(10)로 회전토오크가 전달된다.This one-type washing machine puts laundry and detergent into the washing tank (3), and when the power switch of the washing operation panel of the outer box (1) is turned on, the washing motor (12) is controlled by the microcomputer that automatically operates all washing processes. ) Will be driven. When the washing motor 12 is driven, its power is coaxial with the gear mechanism 11 via a gear mechanism 11 made of a sun gear and a planetary gear for varying the rotational speed and the torque to be suitable for washing. Rotational torque is transmitted to the pulsator 10.

상기 펄세이터(10)가 회전됨에 따라 발생되는 순환수류를 이용한 상대적인 운동에 의하여 세탁이 이루어지게 된다.Washing is performed by the relative movement using the circulating water flow generated as the pulsator 10 is rotated.

상기 세탁조(3) 내부의 순환수류에 의한 세탁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세탁조(3)의 하단에서 세탁모타의 세탁축에 고정된 펄세이터(10)만이 정/역회전방향으로 간헐적인 회전운동을 하게된다. 이와 같이 펄세이터(10)가 회전하면 펄세이터(10)의 회전날개들에 의하여 펄세이터(10) 외주부분의 흐름은 정압으로 되고 그 중심부분은 부압으로 되어 세탁수가 세탁물을 끌어당기고 회전시키면서 밀어내는 순환수류를 만든다.The washing process by the circulation water flow inside the washing tank 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Only the pulsator 10 fixed to the washing shaft of the washing motor at the lower end of the washing tank 3 intermittently rotates in the forward / reverse rotation direction. Will be When the pulsator 10 rotates as described above, the flow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pulsator 10 becomes positive pressure due to the rotary blades of the pulsator 10, and the central part becomes negative pressure, so that the washing water pulls and rotates the laundry. I make a circulating stream.

이와 같이 세탁조(3) 하단의 펄세이터(10)에 의해 발생된 순환수류에 의해 세탁조(3) 내에서 세탁중인 세탁물을 상하반전 및 회전시키면서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이물질(때)을 분리시키는 세정작용을 통하여 세탁이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washing operation of separating foreign matters (by time) by relative movement while rotating and rotating the laundry being washed in the washing tank 3 by the circulating water generated by the pulsator 10 at the lower end of the washing tank 3 is performed. Washing is done through.

상기와 같이 세탁을 완료하고 수회에 걸쳐 헹굼을 수행한 후 탈수시켜야 한다. 이때는 상기 배수밸브(6)가 작동되어 세탁조(3)와 저수조(2)내의 세탁수는 배수구(4)-연결관(5)-배수밸브(6)-배수호스(7)를 통하여 배수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fter washing, rinsing should be performed several times before dehydration. At this time, the drain valve 6 is operated so that the wash water in the washing tank 3 and the reservoir 2 is drained through the drain port 4, the connecting pipe 5, the drain valve 6, and the drain hose 7. .

이와 같이 배수한 후 저수조(2) 하단의 기어메카니즘(11)에 의해 펄세이터(10)와 함께 세탁조(3)를 일정한 회전속도에 이르기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고속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세탁물은 세탁조(3)와 함께 회전됨으로써 그 원심력으로 인해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이 분리되어 탈수되게 된다.After draining as described above, the washing mechanism 3 together with the pulsator 10 is gradually increased to a constant rotational speed by the gear mechanism 11 at the bottom of the water storage tank 2 to rotate at a high speed. At this time, the laundry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washing tank (3),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laundry is separated and dehydrated due to its centrifugal forc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세탁기의 배수호스는 세탁기의 사용을 완료하거나 세탁기를 이동시킬 때와 마찬가지로 배수호스(7)의 끝단에 형성된 배수호스 연결고리(8)를 상기 외상(1) 상부측면의 배수호스 걸이구멍(9)에 삽입하여 세탁하는 경우 다시 말해서 배수호스(7)가 걸려있는 상태에서 세탁하는 경우에는 배수과정이 진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the drain hose of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 of the washing machine is completed or the washing machine is moved to the drain hose connecting ring (8) formed at the end of the drain hose (7) drainage of the upper side of the trauma (1) In the case of washing by inserting into the hose hook hole 9, that is, when washing in a state in which the drain hose 7 is hung, the drainage process does not proceed.

이러한 배수과정을 제어하는 배수밸브(6)의 작동과정은 마이컴의 제어에 의해 배수밸브(6)를 작동시켜 열어도 배수호스(7)의 끝단이 외상(1) 상부의 배수호스 걸이구멍(9)에 걸려 있고 저수조(2) 내부의 세탁수 수위보다 배수호스(7)의 끝단높이가 높기 때문에 세탁수는 배수되지 않는다. 따라서 세탁기의 배수행정이 이뤄지지 않아 헹굼이나 탈수행정을 진행할 수 없고 이로 인하여 세탁을 완료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drain valve 6 for controlling the drainage process, even if the drain valve 6 is operated and opened by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the end of the drain hose 7 has a drain hose hook hole 9 in the upper part of the trauma 1. ) And the tip height of the drain hose (7) is higher than the wash water level inside the reservoir (2), the wash water is not drained. Therefore, the drainage stroke of the washing machine is not achieved,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insing or dehydration stroke cannot be performed and thus the washing cannot be completed.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폐단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세탁기의 배수호스가 걸려있는지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배수호스를 정상적으로 위치시키게 하고 이에 따라서 헹굼 및 탈수시 세탁수의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세탁기의 배수호스 걸림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closed and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detecting whether the drain hose of the washing machine is hanging to inform the user to recognize the user to position the drain hose normally Therefore, it is to provide a drain hose jam detection device of the washing machine to allow the smooth drainage of the wash water during rinsing and dehydration.

도 1은 종래의 전형적인 세탁기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ypical typical washing machine,

도 2는 종래의 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도 3은 본 고안의 배수호스 걸림 감지장치가 구비된 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a drain hose jam de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서 마이크로 스위치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icro switch part in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세탁기 외상 2: 저수조1: washing machine trauma 2: reservoir

3: 세탁조 4: 배수구3: washing tank 4: drain

5: 연결관 6:배수밸브5: connector 6: drain valve

7: 배수호스 8: 배수호스 연결고리7: Drain hose 8: Drain hose connection

9: 배수호스 걸이구멍 10: 펄세이터9: Drain hose hanger hole 10: Pulsator

11: 기어메카니즘 12: 세탁모타11: gear mechanism 12: washing motor

20: 걸림검출부 21: 스위치 레버20: jam detection unit 21: switch lever

22: 마이크로 스위치 23: 회로기판22: micro switch 23: circuit board

24: 신호발생부24: signal generator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할 수 있도록 배수호스의 끝단에 형성된 배수호스 연결고리를 걸 수 있는 스위치 레버가 마련되고 상기 배수호스가 걸렸을 때 그 자체중량에 의하여 배수호스가 걸려 있음을 감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로 이루어진 걸림검출부, 상기 걸림검출부의 마이크로 스위치에서 감지된 신호를 회로기판 상에 마련되는 마이콤을 통해 경보신호로 표시하는 신호발생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witch lever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drain hose hook formed on the end of the drain hose so that the drain hose is caught by its own weight when the drain hose is caught to implement the above object Hanging detection unit consisting of a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al generating unit for displaying a signal detected by the micro-switch of the locking detection unit as an alarm signal through a microcomputer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이하에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의 구체적인 특징들이 보다 쉽게 이해될 것이다.Hereinafter, specific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readily understood by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호스 걸림 감지장치가 적용된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마이크로 스위치 부분만을 나타낸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drain hose jam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ly the micro switch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수조(2) 바닥의 배수구(4)에는 외상(1)의 하단부분에 이르기까지 연결관(5)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관(5)의 끝단에는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호스(7)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호스(7)의 끝단에는 외상(1) 상부의 스위치 레버(21)에 걸어놓을 수 있는 연결고리(8)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a drainage pipe 4 at the bottom of the reservoir 2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5 to the lower end of the trauma 1, and the end of the connection pipe 5 discharges the wash water. To the drain hose 7 is connected, the end of the drain hose 7 is formed with a connecting ring (8) which can be hung on the switch lever 21 of the upper portion (1).

상기 저수조(2) 상단의 상부판(13) 내부에는 상기 배수호스(7)의 끝단에 형성된 배수호스 연결고리(8)를 걸어 놓을 수 있는 스위치 레버(21)가 마련되고 상기 배수호스(7)가 배수호스 연결고리(8)에 걸렸을 때 그 자체중량에 의하여 배수호스(7)가 걸려 있음을 감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22)로 구성된 걸림검출부(20)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검출부(20)에서 감지된 신호를 회로기판(23) 상에 마련되는 마이콤을 통해 경보신호음로 표시되는 신호발생부(2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경보신호로 표시함에 있어, 경보음으로 표시할 때는 부저를 사용하고 경보문자로 표시할 때는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In the upper plate 13 of the upper part of the reservoir 2, a switch lever 21 for hanging the drain hose connecting ring 8 formed at the end of the drain hose 7 is provided and the drain hose 7 Is caught by the drain hose connecting ring (8) is provided with a catch detection unit 20 consisting of a micro switch 22 for detecting that the drain hose 7 is caught by its own weight, the hook detection unit 20 The signal generator 24 is provided to display the detected signal as an alarm signal sound through the microcomputer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23. In displaying the alarm signal, it is preferable to use a buzzer when displaying the alarm sound and to use a light emitting diode when displaying the alarm charact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배수호스(7) 끝단의 배수호스 연결고리(8)를 세탁기 외상(1) 상부의 상부판(13)내에 설치한 마이크로 스위치인 걸림검출부(20)의 스위치 레버(21)에 걸은 상태에서 세탁기의 사용을 종료하거나 세탁기를 이동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 micro-switch detection part installed in the upper plate 13 of the upper portion of the washing machine outer casing (1) of the drain hose ring (8) at the end of the drain hose (7) as shown in FIGS. The use of the washing machine is terminated or the washing machine is moved while the switch lever 21 of FIG. 20 is hooked.

이와 같이 배수호스(7)가 걸려있는 상태로 운전하는 경우에는 배수호스(7)의 자체중량에 의하여 스위치 레버(21) 자체내에 마련된 탄성체의 복원력을 이기고 누른 상태이다.When driving in such a state that the drain hose 7 is suspended in this manner, the self-weight of the drain hose 7 overcomes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body provided in the switch lever 21 itself.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22)는 스위치 레버(21)에 의해 접촉된 온(on)상태이므로 마이크로 스위치(22)에서 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상기 걸림검출부(20)의 마이크로 스위치(22)에서 감지된 신호는 회로기판(23)상의 마이콤에 의해 부저나 발광다이오드로 된 신호발생부(24)에서 경보음이나 깜빡이는 경보문자를 표시하게 된다.Therefore, since the micro switch 22 is in an on state contacted by the switch lever 21, the micro switch 22 generates a signal and the signal sensed by the micro switch 22 of the hook detection unit 20. By the microcomputer on the circuit board 23, the buzzer or the signal generator 24 made of a light emitting diode displays an alarm sound or a flashing alarm character.

이러한 경보음이나 깜빡이는 경보문자로 표시되는 신호를 사용자가 감지하여 배수호스(7)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면 스위치 레버(21)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하여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므로 마이크로 스위치(22)의 신호감지부분과의 접촉이 해제되게 된다. 따라서 회로기판(23)상의 마이콤에 의해 부저나 발광다이오드로 마련된 신호발생부(24)에서 경보음과 경보문자는 중지하게 되면서 정상적 배수과정이 수행되므로 원활한 세탁이 이루어 질 수 있게 된다.When the user detects a signal indicated by such an alarm sound or a flashing alarm character and releases the jam state of the drain hose 7, the switch lever 21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body such as a spring. The contact with the signal sensing portion of (22) is released. Accordingly, the alarm sound and the alarm character are stopped in the signal generator 24 provided with the buzzer or the light emitting diode by the microcomputer on the circuit board 23, so that the normal drainage process is performed, thus enabling smooth washing.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배수호스 걸림 감지장치는 단순히 배수호스 끝단의 연결고리를 걸어놓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세탁기의 배수호스가 걸려있는지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배수호스를 정상적으로 위치시키게 하고 이에 따라서 헹굼 및 탈수시 세탁수의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drain hose jam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art of simply hanging the hook of the drain hose end, detects whether the drain hose of the washer is caught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By notifying the user to position the drain hose normally and accordingly has a unique effect that the smooth drainage of the wash water during rinsing and dehydration.

Claims (3)

배수호스(7)의 끝단에 형성된 배수호스 연결고리(8)를 걸 수 있는 스위치 레버(21)가 마련되고 상기 배수호스(7)가 배수호스 연결고리(8)에 걸렸을 때 그 자체중량에 의하여 배수호스(7)가 걸려 있음을 감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22)로 이루어진 걸림검출부(20);A switch lever 21 is provided to hang the drain hose connecting ring 8 formed at the end of the drain hose 7 and when the drain hose 7 is caught by the drain hose connecting ring 8 by its own weight. Hanging detection unit 20 consisting of a micro switch 22 for detecting that the drain hose 7 is hanging; 상기 걸림검출부(20)의 마이크로 스위치(22)에서 감지된 신호를 회로기판(23) 상에 마련되는 마이콤을 통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경보신호로 표시하는 신호발생부(24)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배수호스 걸림 감지장치.The signal generator 24 is provided to display a signal detected by the micro switch 22 of the hook detection unit 20 as an alarm signal so that a user can recognize it through a microcomputer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23. Drain hose jam detection device of the washing mach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부(24)의 경보신호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부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배수호스 걸림 감지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alarm signal of the signal generator (24) comprises a buzzer for generating an alarm sou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부(24)의 경보신호는 경보문자를 발생시키는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배수호스 걸림 감지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alarm signal of the signal generator (24) comprises a light emitting diode for generating an alarm character.
KR2019980021583U 1998-11-06 1998-11-06 Drain hose jam detector of washing machine KR20000009573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583U KR20000009573U (en) 1998-11-06 1998-11-06 Drain hose jam detector of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583U KR20000009573U (en) 1998-11-06 1998-11-06 Drain hose jam detector of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573U true KR20000009573U (en) 2000-06-05

Family

ID=69522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1583U KR20000009573U (en) 1998-11-06 1998-11-06 Drain hose jam detector of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9573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150B1 (en) 2019-02-08 2019-08-13 박서현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 accumulated in a drainage hose of a washing machine and a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150B1 (en) 2019-02-08 2019-08-13 박서현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 accumulated in a drainage hose of a washing machine and a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1536B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210999B1 (en) Washing Machine and the Quick Washing Method for the Same
KR101203565B1 (en) Controling method of washing machine
JP2018046887A (en) Drum-type washing machine
KR20000009573U (en) Drain hose jam detector of washing machine
JP2588993B2 (en) Washing machine drainage control method
KR100444955B1 (en)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KR200205100Y1 (en) Washing machine with sub-basket
TWI666356B (en) Washing machine
JP4270774B2 (en) Washing machine
KR101092432B1 (en) drain system of drum-type washing machine
KR100192452B1 (en) Method for dissolving detergent in an automatic washing machine
KR101037154B1 (en) Braking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KR10054647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emergency mode of washing machine
JPH07308481A (en) Fully automatic washing machine
KR20020018346A (en) The unbalance control method for a washing machine
JP3131861B2 (en) Washing method of electric washing machine
KR101092431B1 (en) drain system of drum-type washing machine
JP2001104680A (en) Washing machine
KR100216747B1 (en) Drying method of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KR101092428B1 (en) drain system of drum-type washing machine
KR101092430B1 (en) drain system of drum-type washing machine
KR20050114367A (en) Drain system of drum-type washing machine
KR20020018345A (en) The unbalance control method for a washing machine
JPH01320100A (en) Dehydrating tub for two-tub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