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9121U - 진공청소기의 관절식 신축 연장관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관절식 신축 연장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9121U
KR20000009121U KR2019980021026U KR19980021026U KR20000009121U KR 20000009121 U KR20000009121 U KR 20000009121U KR 2019980021026 U KR2019980021026 U KR 2019980021026U KR 19980021026 U KR19980021026 U KR 19980021026U KR 20000009121 U KR20000009121 U KR 200000091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ipe
movable
vacuum cleaner
extens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10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의석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210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9121U/ko
Publication of KR200000091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121U/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의 흡입관에 연결되어 먼지의 흡입통로 역할을 하는 연장관을 절곡 및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장롱 위나 선반 위와 같이 직선형의 연장관으론 청소하기 힘든 곳도 손쉽게 청소할수 있도록 한 관절식 신축 연장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연장관을 흡입관에 연결되는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으로 부터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측방향으로의 절곡이 가능한 가동관으로 분리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가동관을 고정관으로 부터 필요한 길이만큼 삽탈시켜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또한 원하는 각도만큼 절곡시킬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는 장롱이나 선반의 상부 등을 손쉽게 청소할수 있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관절식 신축 연장관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의 흡입관에 연결되어 먼지의 흡입통로 역할을 하는 연장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연장관을 절곡 및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장롱 위나 선반 위와 같이 직선형의 연장관으론 청소하기 힘든 곳도 손쉽게 청소할수 있도록 한 진공청소기의 관절식 신축 연장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상,하부케이스로 구성된 본체 내에 구동원인 흡입모터와 먼지주머니 및 필터가 내장되어 있고, 본체의 흡입구에는 먼지의 흡입통로 역할을 하는 흡입관이 플렉시블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본체의 상단에는 상기 먼지주머니에 쌓인 먼지의 집진량을 표시해 주는 먼지표시기(Dust Meter)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흡입관에는 먼지의 흡입을 안내하기 위한 연장관이 연결되어 있고, 연장관의 단부에는 먼지를 긁어서 흡입효율을 높여주기 주기 위한 브러쉬몸체가 장착되어 있다.
이 외에도, 진공청소기는 흡입관과 연장관 사이에 손잡이 및 콘트롤패널이 구비된 파우어 조절단이 설치되어 있고, 연장관과 브러쉬몸체 사이에는 상기 브러쉬몸체의 착탈을 위한 브러쉬넥크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본체 내의 흡입모터가 구동함에 따라 진공부의 압력이 급격히 낮아져 흡입력이 발생하고, 이 흡입력으로 인해 외부의 먼지가 브러쉬몸체를 통하여 연장관으로 흡입된 다음 흡입관을 거쳐 집진실의 먼지주머니에 쌓이게 된다.
상기 동작중, 먼지주머니에 쌓인 먼지의 양은 사용자가 볼수 없기 때문에 본체의 외부에 설치된 먼지표시기가 이를 감지하여 외부에 표시하게 되며, 사용자는 투시창을 통하여 표시되는 먼지표시기를 육안으로 보면서 집진량을 확인하여 먼지주머니의 교체시기를 알수 있다.
또한, 먼지주머니에 적정량의 먼지가 쌓이면 사용자는 먼지주머니를 본체로 부터 분리하여 세척 내지는 쌓인 먼지를 털어 낸 다음 재장착하여 다시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통상 연장관이 직선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의 손이 잘 닿지 않는 구석진 곳이나 틈새 등을 청소하기가 어렵고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연장관을 흡입관에 고정되는 고정관과, 이 고정관으로 부터 길이방향으로 분리 결합되는 가동관으로 분리 형성하여 신축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였던 것이다.
즉, 고정관으로 부터 가동관을 필요한 길이만큼 삽입 또는 탈거시켜 연장관의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할수 있도록 하였던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연장관은 길이조절이 가능하여 장롱의 밑면 및 벽면의 틈새 등을 청소하기에는 용이하나, 장롱 위와 선반 위 또는 굴곡진 부분에 쌓인 먼지 등을 청소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기술적인 과제는 연장관을 관절식 및 신축식으로 구성하여 길이조절 뿐만 아니라 측방향으로의 절곡이 가능하게 하여 구석진 부분과 장롱이나 선반의 상단 및 굴곡진 부분 까지도 용이하게 청소할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립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접속관의 내면을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관 20 : 가동관
21 : 고정홈 22 : 구멍
23 : 걸림턱 30 : 접속관
31 : 분할홈 40 : 슬라이드 노브
50 : 스토퍼 핀 60 : 핀
70 : 볼베어링 80 : 판스프링
90 : 가이드 파이프 100 : 슬라이드 노브
110 : 스프링 120 : 주름관
130 : 스프링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연장관을 흡입관에 연결되는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으로 부터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측방향으로의 절곡이 가능한 가동관으로 분리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가동관을 고정관으로 부터 필요한 길이만큼 삽탈시켜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또한 원하는 각도만큼 절곡시킬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는 장롱이나 선반의 상부 등을 손쉽게 청소할수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조립 정단면도이며, 도 3은 조립 평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의 연장관을 구성함에 있어서,
본체의 흡입관에 연결되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전,후 작동하는 슬라이드 노브(40)와, 이 슬라이드 노브에 의해 상하 작동하는 스토퍼 핀(50)을 구비하는 고정관(10)과;
상기 고정관에 끼워져 길이방향으로 삽,탈 가능하며 복수개의 고정홈(21)을 구비하는 가동관(20)과;
상기 가동관의 선단에 핀(60)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핀을 중심으로 그 내면에 복수개의 분할홈(31)이 원주형태로 배열되게 형성된 접속관(30)과;
상기 가동관의 구멍(22)에 내설되어 판스프링(80)에 의해 지지되며 그와 대응하는 분할홈(31)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볼베어링(70)과;
상기 볼베어링을 지지하기 위하여 가동관(20)의 판스프링(80)내측에 설치되며 외부의 슬라이드 노브(100)와 스프링(11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하는 가이드 파이프(90)와;
상기 가동관(20)과 접속관(30)의 연결부위에 내설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자바라식의 주름관(120); 으로 구성된다.
고정관(10)은 그 후단이 본체의 흡입관(도시되지 않았슴)에 연결되고, 슬라이드 노브(40)는 선단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외력과 그 후단부에 탄설된 스프링(130)의 탄성력에 의해 전,후 작동하며, 스토퍼 핀(50)은 상기 슬라이드 노브의 저면에 형성된 경사면과 접촉하면서 상,하 작동한다.
가동관(20)은 접속관(30)과 함께 고정관에 삽입될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그 상단에는 상기 스토퍼 핀(50)이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복수개의 고정홈(2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접속관(30)은 가동관의 단부에 핀(60)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핀 주위의 내면에는 도 4와 같이 다수개의 분할홈(31)이 원주상으로 배열되게 형성되며, 이들 분할홈은 모두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볼베어링(70)은 가동관(20)의 구멍(22)에 내설되어 어느 한 개의 분할홈(31)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판스프링(8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도록 지지된다.
가이드 파이프(90)는 가동관(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외부에 설치된 슬라이드 노브(100) 및 그 후단부와 가동관의 걸림턱(23) 사이에 탄설된 스프링(110)의 탄성력에 의해 전,후 이동하면서 판스프링(80)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파이프(90)의 중간에는 판스프링(80)을 통하여 볼베어링(70)에 가해지는 지지력(탄성력)을 해제시키기 위한 소직경의 요부(9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노브(100)는 가동관의 외측에 설치된다.
주름관(120)은 그 양단이 각각 연결부를 관통하여 가동관(20)과 접속관(30)에 지지되므로 연결부위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주름관은 주연부가 절개된 형상으로 내경의 크기에 따라 탄력적으로 확장 또는 축소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동관(20)과 접속관(30)이 고정관(10)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가동관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다.
이때는, 도 3과 같이 스프링(110)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 파이프(90)가 판스프링(80)을 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판스프링에 의해 볼베어링(70)이 접속관(30)의 분할홈(31)에 끼워져 고정관(10)과 가동관(20) 및 접속관(30)이 모두 일직선을 유지하게 되므로 이때는 종래의 연장관과 마찬가지로 사용할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장롱이나 선반의 상단 등을 청소하기 위하여 연장관의 길이를 조절할 경우에는 고정관(10)의 슬라이드 노브(40)를 후진시켜 스토퍼 핀(50)의 구속상태를 해제시킨 다음 가동관(20)을 손으로 잡고 고정관(10)으로 부터 삽,탈시켜서 원하는 길이로 조절하면 된다.
이후, 슬라이드 노브(40)를 놓으면 스프링(130)의 복권력에 의해 슬라이드 노브(40)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스토퍼 핀을 눌러 대응하는 위치의 고정홈(21)에 삽입시키므로 연장관은 길이가 조절된 상태로 있게 된다.
또한, 연장관을 절곡시킬 경우에는 외부로 돌출된 슬라이드 노브(100)를 움직여 가이드 파이프(90)의 요부(91)가 판스프링(80)의 저면에 위치토록 하면 된다.
이렇게 하면, 가이드 파이프(90)의 요부(91)가 판스프링(80)의 저면에 위치하는 순간 판스프링(80) 및 볼베어링(70)의 구속력이 해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가동관(20)을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할수 있다.
즉, 사용자가 슬라이드 노브(100)를 접속관(30) 쪽으로 밀게 되면 스프링(110)이 압축되면서 해당위치의 가이드 파이프(90)가 단부 쪽으로 이동하고, 이와 동시 요부(91)가 볼베어링(70)의 저면에 위치하는 순간 판스프링(80) 지지력이 해제되어 상기 판스프링이 관의 중심부 쪽으로 절곡되며, 이와 함께 볼베어링의 지지력이 해제되어 접속관(30)의 분할홈(31)으로 부터 이탈된다.
계속해서, 가동관(20)과 접속관(30)은 핀(60)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므로 청소위치나 높이 등을 감안하여 상기 가동관을 적절한 각도로 절곡시킨 다음 슬라이드 노브(100)로 부터 손을 뗀다.
슬라이드 노브(100)로 부터 손을 떼면, 구속력이 해제되면서 순간적으로 압축되었던 스프링(110)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 파이프(9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판스프링(80)에 의해 볼베어링(70)이 다시 대응하는 위치의 분할홈(31)에 끼워지므로 가동관의 회동이 방지되어 절곡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가동관이 절곡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손쉽게 장롱 위나 선반 위 등을 청소할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연장관을 길이와 각도를 임의의 조절할수 있으므로 청소위치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청소할수 있다.
상기 동작중, 주름관(120)은 연결부위의 틈새로 누출되는 먼지를 차단하게 된다.
청소가 완료되면 연장관을 원래의 형태로 복귀시켜 보관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의 연장관을 구성하는 고정관과 가동관을 길이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원하는 각도로 절곡시킬수 있어 청소위치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손쉽고 간편하게 청소할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진공청소기의 연장관을 구성함에 있어서,
    본체의 흡입관에 연결되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전,후 작동하는 슬라이드 노브(40)와, 이 슬라이드 노브에 의해 상하 작동하는 스토퍼 핀(50)을 구비하는 고정관(10)과;
    상기 고정관으로 부터 길이방향으로 삽,탈 가능하며 스토퍼 핀(40)이 끼워지는 복수개의 고정홈(2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가동관(20)과;
    상기 가동관의 선단에 핀(60)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핀을 중심으로 그 내면에 복수개의 분할홈(31)이 원주형태로 배열되게 형성된 접속관(30)과;
    상기 가동관의 구멍(22)에 내설되어 판스프링(80)에 의해 지지되며 그와 대응하는 분할홈(31)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볼베어링(70)과;
    상기 볼베어링을 지지하기 위하여 가동관(20)의 판스프링(80)내측에 설치되며 외부의 슬라이드 노브(100)와 스프링(11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하는 가이드 파이프(90) 및;
    상기 가동관(20)과 접속관(30)의 연결부위에 내설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자바라식의 주름관(120); 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관절식 신축 연장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10)의 슬라이드 노브(40)는 그 후단부에 스프링(130)이 탄설되고, 저면에는 스토퍼 핀(50)과 접촉하는 경사면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관절식 신축 연장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파이프(90)는 그 중간에 판스프링(80)을 통하여 볼베어링(70)에 가해지는 압력을 해제시키기 위한 소직경의 요부(91)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관절식 신축 연장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120)은 주연부가 절개되어 직경이 탄력적으로 확장 또는 축소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관절식 신축 연장관.
KR2019980021026U 1998-10-31 1998-10-31 진공청소기의 관절식 신축 연장관 KR2000000912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026U KR20000009121U (ko) 1998-10-31 1998-10-31 진공청소기의 관절식 신축 연장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026U KR20000009121U (ko) 1998-10-31 1998-10-31 진공청소기의 관절식 신축 연장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121U true KR20000009121U (ko) 2000-05-25

Family

ID=69522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1026U KR20000009121U (ko) 1998-10-31 1998-10-31 진공청소기의 관절식 신축 연장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912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000A (ko) * 2002-03-05 2003-09-1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관절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KR100859856B1 (ko) * 2002-12-31 2008-09-2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연장관 록킹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000A (ko) * 2002-03-05 2003-09-1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관절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KR100859856B1 (ko) * 2002-12-31 2008-09-2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연장관 록킹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5927A1 (en) Cleaner
CN100462040C (zh) 电动吸尘器
US6058558A (en) Auxiliary brush holder for a vacuum cleaner
EP1510167A2 (en) Accessory assembly for vacuum cleaners
KR20000009121U (ko) 진공청소기의 관절식 신축 연장관
KR200205693Y1 (ko) 진공청소기용 관절식 연장관
US11266282B2 (en) Suction tool and electric vacuum cleaner
KR100299426B1 (ko) 진공청소기용보조브러쉬홀더
JP2006280424A (ja) 電気掃除機
KR19990048504A (ko) 진공청소기용 보조브러쉬 고정홀더
KR101192869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WO2009116706A1 (en) Dust receptacle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0412577B1 (ko) 청소기의 솔브러쉬 조립체
KR0136314B1 (ko) 진공청소기의 전면 손잡이부 조립구조
KR200151837Y1 (ko) 진공청소기용 본체바퀴의 결합구조
KR0133748B1 (ko) 호스홀더기능을 구비한 진공청소기의 핸들
KR100546589B1 (ko)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 결합구조
WO2001000078A1 (en) Vacuum cleaner tool for suction of hard and/or soft surfaces
KR200151838Y1 (ko) 진공청소기용 본체바퀴의 결합구조
KR200143229Y1 (ko)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쉬
JP2977795B1 (ja) 真空掃除機用補助ブラシホルダ
KR960011000B1 (ko)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쉬
KR200155789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부재 유동장치
KR100548936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100873910B1 (ko)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