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9060U - 프로젝션 텔레비전에서 화면의 선택출력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젝션 텔레비전에서 화면의 선택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9060U
KR20000009060U KR2019980020956U KR19980020956U KR20000009060U KR 20000009060 U KR20000009060 U KR 20000009060U KR 2019980020956 U KR2019980020956 U KR 2019980020956U KR 19980020956 U KR19980020956 U KR 19980020956U KR 20000009060 U KR20000009060 U KR 200000090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t
screen
driving
signal
projection telev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9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원천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209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9060U/ko
Publication of KR200000090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060U/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프로젝션 텔레비전에서 화면의 선택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CRT의 구동을 각각 또는 조합하여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특수한 화면효과를 얻을 수 있는 프로젝션 텔레비전에서 화면의 선택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 프로젝션 텔레비전에서 구현되는 정상적인 화면의 구현상태와는 달리, R,G,B신호의 주사빔을 출사하는 CRT의 구동을 하나씩 일정시간간격을 갖고 순차적으로 구동되도록 하거나 다른 형태로 조합하여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색다르고 특수한 화면효과를 얻을 수 있는 프로젝션 텔레비전에서 화면의 선택출력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프로젝션 텔레비전에서 화면의 선택출력장치
본 고안은 프로젝션 텔레비전에서 화면의 선택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CRT의 구동을 각각 또는 조합하여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특수한 화면효과를 얻을 수 있는 프로젝션 텔레비전에서 화면의 선택출력장치(A selective output apparatus of screen for projection television)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젝션 텔레비전은 적색(R), 녹색(G), 청색(B)의 빛의 3원색을 갖는 3개의 특수한 CRT를 발광시켜 영사렌즈(PROJECTION LENS) 및 반사경을 이용하여 화상을 투사 확대시켜 스크린 상에 최종 화상이 형성되도록 하는 텔레비전 시스템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프로젝션 텔레비전은 튜너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신호처리 및 컨버어전스 조정하여 R, G, B 신호의 주사빔이 동시에 출사되어 스크린에 화상이 구현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스크린에 구현되는 화상은 R, G, B 신호의 주사빔을 출사하는 각 CRT에서 컨버어전스 조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촬영당시의 영상이 있는 그대로 재현되어, 좀 더 색다른 화면의 효과를 바라는 사용자의 기호 및 취미에 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R, G, B 신호의 주사빔을 출사하는 3개의 CRT를 각각 또는 여러 형태로 조합하여 주사빔을 출사함으로써, 정상적인 화면과는 다른 특수한 화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프로젝션 텔레비전에서 화면의 선택출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제어수단이 3개의 CRT의 구동시간, 구동순서 및 조합형태를 제어하고, RGB조정수단이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CRT의 구동을 조정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텔레비전에서 화면의 선택출력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RGB조정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컴의 제어신호를 나타낸 파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안테나 150 : 튜너부
151 : 고주파 증폭부 152 : 혼합부
153 : 국부발진부 200 : IF증폭부
250 : 영상검파부 300 : 메인IC
350 : 영상처리부 400 : 구동부
450 : 반사경 500 : 스크린
550 : 마이컴 600 : RGB 조정부
R1, R2 : 저항 TR : 트랜지스터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텔레비전에서 화면의 선택출력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은 안테나(100)로부터 수신되는 복합영상신호인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고주파증폭부(151), 상기 고주파증폭부(151)에서 증폭된 입력신호와 국부발진부(152)에서 국부발진주파수를 인가받아 중간주파수로 변환하는 혼합부(153) 및 상기 혼합부(153)에 주파수 변환용의 신호를 공급하는 국부발진부(153)로 구성되는 튜너부(150)과,
상기 튜너부(150)로부터 출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인 중간주파신호를 증폭하는 IF증폭부(200)과, 상기 IF증폭부(200)에서 중간주파증폭되어 출력되는 복합영상신호 중에 혼합된 영상신호를 뽑아내는 영상검파부(250)과,
상기 영상검파부(2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증폭하고, 색신호(C신호) 및 휘도신호(Y신호)를 분리한 후, 상기 색신호에서 색차신호를 만들어내며, 상기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에서 원색의 R,G,B신호를 출력함과 더불어, 후술하는 마이컴(300)에서 제어신호를 인가받는 메인IC(300)과, 상기 메인IC(300)에서 R,G,B신호를 인가받아 증폭하여 R CRT, G CRT, B CRT로 이루어진 구동부(400)에 출력하는 영상처리부(350)과,
상기 구동부(400)에서 출사된 R,G,B 주사빔을 반사하는 반사경(450)과, 상기 반사경(450)에서 반사된 R,G,B 주사빔으로 화상을 형성하는 스크린(500)과, 상기 튜너부(150)에 접속되고, 리모트컨트롤러(도시 안됨)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후술하는 RGB조정부(60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마이컴(550)과, 상기 마이컴(55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부(400)내의 3개의 CRT를 조정하는 RGB조정부(6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의 리모트컨트롤러(도시 안됨) 조작에 의해 채널이 선국되면, 이를 감지하는 마이컴(550)이 상기 튜너부(150)에 튜닝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의 선국된 채널이 선택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복합영상신호는 후단의 IF증폭부(200)에 의해 중간주파증폭되어 영상검파부(250)에 출력되고, 상기 영상검파부(250)에 의해 영상신호 만이 검파된다.
상기의 영상검파부(250)에 의해 검파된 영상신호는 메인IC(300)에 입력되어 색신호 및 휘도신호로 분리되고, 상기 색신호에서 색차신호가 만들어지며, 상기의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에서 원색의 R,G,B신호가 만들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원색의 R,G,B신호는 영상처리부(350)에 출력되어 R,G,B 수상관 각각의 출력에 알맞도록 증폭 및 처리되어 구동부(400)에 출력된 후, 상기 반사경(450)을 통해 반사되어 스크린(500)에 정상적인 화상으로 구현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해당 채널의 RGB신호에 의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가운데, 사용자가 리모트컨트롤러를 조작하여 구동부(400)의 구동 및 시간을 설정하는 경우, 상기 리모트컨트롤러에서 발생되는 설정신호는 텔레비전의 전면부에 장착되어 있는 신호수신부(도시 안됨)를 통해 감지되어 상기의 마이컴(550)에 입력된다.
즉, 상기의 구동 및 시간 설정은 구동부(400)내의 R CRT, G CRT, B CRT가 일정한 시간간격, 예를들면 30초의 시간 간격을 갖고 구동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마이컴(550)은 후단에 접속된 RGB조정부(600)에 서로 다른 3개의 제어펄스를 인가하게 되고, 상기 RGB조정부(600)는 마이컴(55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부(400)의 구동을 조정하게 된다.
이하, 상기 구동부(400)를 조정하는 RGB조정부(600)에 대해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R CRT를 조정하는 RGB조정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컴의 제어신호를 나타낸 파형도로서, 상기 RGB조정부의 수는 구동부(400)내의 3개의 CRT에 일대일 대응을 하기 때문에 3개이지만, 모두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 중 R CRT를 조정하는 RGB조정부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RGB조정부(600)는 마이컴(550)의 제어신호(하이,로우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단과, 상기 입력단에 접속된 보호저항(R2)와, 상기 보호저항(R2)에 접속된 트랜지스터(TR)과, 상기 트랜지스터(TR)에 접속되어 과전압을 방지하는 보호저항(R1)와, 상기 보호저항(R1)에 접속된 CRT구동전압(메인B+)공급단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그 작용을 설명하면, 상기 입력단으로 마이컴(550)의 하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트랜지스터(TR)가 도통되어 메인B+ 전압이 구동부(400)내의 R CRT에 공급되어, 상기 R CRT가 구동되는 반면, 상기 입력단으로 마이컴(550)의 로우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트랜지스터(TR)가 오프되어 메인B+ 전압이 구동부(400)내의 R CRT에 공급되지 못하게 되어, 상기 R CRT가 구동되지 않게 된다.
이어, 사용자의 구동 및 시간설정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 3을 참고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R CRT를 조정하는 RGB조정부에 인가되는 마이컴의 제어펄스이고, 도 3b는 G CRT를 조정하는 RGB조정부에 인가되는 마이컴의 제어펄스이고, 도 3c는 B CRT를 조정하는 RGB조정부에 인가되는 마이컴의 제어펄스이다.
상기한 예에서와 같이 상기 구동부(400)내의 R CRT, G CRT, B CRT가 일정한 시간간격, 예를들면 30초의 시간 간격을 갖고 구동되도록 하는 경우, 상기 마이컴(55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펄스, 즉 60초의 구동주기를 갖는 제어펄스를 R CRT를 조정하는 RGB조정부(600)에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RGB조정부(600)는 구동부(400)내의 R CRT가 60초를 주기로 하여 구동되도록 조정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마이컴(550)은 G CRT를 조정하는 RGB조정부에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펄스, 즉 상기 R CRT보다는 30초 늦게 구동되도록 하는 제어펄스를 인가하게 되고, 상기 B CRT를 조정하는 RGB조정부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펄스, 즉 상기 G CRT보다는 30초 늦게 구동되도록 하는 제어펄스를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400)내의 R CRT가 30초간 구동되고, 상기의 G CRT가 30초간 구동되고, 이어 상기의 B CRT가 30초간 구동된 후, 다시 상기의 R CRT가 초기구동된 다음 60초가 지난 뒤, 다시 30초간 구동되는 식으로 반복하여 순차적으로 CRT들이 구동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스크린이 대형인 점을 이용하여 3개의 CRT를 순차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싸이키 조명과 같은 특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CRT를 하나씩 구동시키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두 개의 CRT씩 예를들면, R CRT + G CRT, G CRT + B CRT, R CRT + B CRT와 같이 조합하여 일정 시간간격으로 구동시킬 수도 있으며, 3개의 CRT를 일정 시간간격으로 동시에 구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CRT를 빠짐없이 순차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하나씩 걸러서 예를들면 R CRT를 구동시킨 후, B CRT를 구동시키고, 다시 R CRT를 구동시킨 후, B CRT를 구동시키는 방식으로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방식은 상기의 두 개씩 조합하여 구동시키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R, G, B 신호의 주사빔을 출사하는 CRT를 일정시간 간격을 갖고 순차적으로 구동되도록 하거나 또는 여러 형태로 조합되도록 한 후, 마이컴이 상기의 경우에 따른 제어신호를 RGB조정부에 인가하고, 상기 RGB조정부가 CRT의 구동상태를 조정함으로써, 정상적인 화면의 구현상태와는 다른 특수한 화면효과를 나타내어 다양한 사용자의 기호 및 취미에 부응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3개의 CRT를 이용하여 대형 스크린에 화상을 구현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전에 있어서,
    상기 CRT의 구동시간 및 구동순서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은 RGB조정수단이 상기 3개의 CRT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구동하거나 동시에 구동하거나 또는 2개씩 조합한 후, 일정한 순서에 따라 구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전에서 화면의 선택출력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GB조정수단은 2개의 보호저항과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수단에서 하이신호가 입력시, 상기 트랜지스터가 도통되어 메인B+ 전압이 각 CRT에 공급되도고, 상기 제어수단에서 로우신호가 입력시, 상기 트랜지스터가 오프되어 메인B+ 전압이 각 CRT에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각 CRT의 구동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전에서 화면의 선택출력장치.
KR2019980020956U 1998-10-30 1998-10-30 프로젝션 텔레비전에서 화면의 선택출력장치 KR2000000906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956U KR20000009060U (ko) 1998-10-30 1998-10-30 프로젝션 텔레비전에서 화면의 선택출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956U KR20000009060U (ko) 1998-10-30 1998-10-30 프로젝션 텔레비전에서 화면의 선택출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060U true KR20000009060U (ko) 2000-05-25

Family

ID=69517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956U KR20000009060U (ko) 1998-10-30 1998-10-30 프로젝션 텔레비전에서 화면의 선택출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906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50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bilizing a video state of a video display having a picture-in-picture function
JPS62269481A (ja) 映像信号処理・表示装置
JPH05236384A (ja) テレビジョン/テレテキストのコントラスト及び輝度の共通制御回路
JPS625559B2 (ko)
JPH06101805B2 (ja) ビデオ信号処理装置
KR20000009060U (ko) 프로젝션 텔레비전에서 화면의 선택출력장치
US5333019A (en) Method of adjusting white balance of CRT display, apparatus for same, and television receiver
JP2929048B2 (ja) テレビジョン装置
KR20000009068U (ko) 프로젝션 텔레비전에서 화면색 자동조정장치
US63773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color component focusing in a rear-projection television set
KR970007536B1 (ko) 영상기기의 도우밍 방지장치
KR100260706B1 (ko) 방송수신 모니터의 akb라인 제거장치
JPS6128271B2 (ko)
KR20000009055U (ko) 프로젝션 텔레비전에서 다양한 화면의 출력장치
JP2743412B2 (ja) カラービデオモニタ
JP2558633B2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
JP2830023B2 (ja) 輝度信号遅延時間補正回路
US5138442A (en) Image registration system for multiple picture tube projection television
JPS6311802Y2 (ko)
JP2917682B2 (ja) 映像信号処理回路
KR0154653B1 (ko) 와이드 텔레비전의 화면크기 자동절환장치
JPH0320870Y2 (ko)
KR100220347B1 (ko) 편향 ic의 전원입력장치
JPH0937281A (ja) オートホワイトバランス回路
KR100525889B1 (ko) 프로젝션 티브이 및 그 화면보호 기능 해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