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8946A - Call test device and method in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Call test device and method in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8946A
KR20000008946A KR1019980029068A KR19980029068A KR20000008946A KR 20000008946 A KR20000008946 A KR 20000008946A KR 1019980029068 A KR1019980029068 A KR 1019980029068A KR 19980029068 A KR19980029068 A KR 19980029068A KR 20000008946 A KR20000008946 A KR 20000008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hange
base station
subsystem
connection
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90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명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29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8946A/en
Publication of KR20000008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946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Abstract

PURPOSE: A device and method are provided to test a call by only exchange without a base transceiver station(BTS) in a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CONSTITUTION: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exchange(400) comprises access switching subsystems having a subscriber and trunk line matching function, a central control subsystem(480) having a system control and operating function, and an 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440) connecting these two systems with each other. A first access switching subsystem-wireless(410, ASS-W) comprises a simulator(412) which provides a call processing function of the BTS, a first signalling connection control part(414, SCCP) which discriminates whether a first message transfer part(416, MTP) is normal or not, and the first MTP which transfers a signal. A second ASS-W(450) comprises a second MTP(456)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MTP, a second SCCP(454) which discriminates whether the second MTP is normal or not, and an application part(452) which provides a call processing function of the exchange. The first ASS-W and the second ASS-W are set to an imaginary BTS and exchange, respectively. Then, the first ASS-W is connected to the second ASS-W, and a call between them is set or cancelled.

Description

개인 이동 통신 시스템의 호 시험 장치 및 방법Call Test Apparatus and Method for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개인 이동 통신 서비스(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PCS) 이동 통신 교환기에 있어서,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BTS)(200)에 관계없이 호(call) 시험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a call test regardless of a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200 in a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CS) mobile communication switch.

종래기술에 있어서, 개인 이동 통신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개인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 구성도이며, 도 2 는 종래 교환기의 구성도이다. 상기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은, 단말기(Personal Station:PS)(100)와 함께 무선통신로로 구성되어 있고, 무선자원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지국(200)이 더 포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무선 링크(link) 및 유선 링크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 장치(Base Station Controller:BSC)(300)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은 운용 보수 센터(500)와 가입자의 각종 정보 저장 및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HLR)(600) 및 교환기(400)도 포함하고 있다. 교환기(400)는 기지국(200)을 통해 연결된 이동전화기의 가입자가 또다른 가입자와 통화할수 있도록 홈 위치 등록기(600)의 정보를 참조한다. 하지만, 필요할 경우 다른 교환기와 연결하는 기능을 담당한다.In the prior art,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a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as follows.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and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exchange.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is configured as a wireless communication path together with a terminal (Personal Station: PS) 100, and further includes a base station 200 that performs a function of managing radio resources. In addition, the system further includes a base station controller (BSC) 300 that performs radio link and wire link control functions. The system also includes an operation maintenance center 500 and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600 and an exchange 400 that perform various information storage and location registration of subscribers. The exchange 400 refers to the information of the home location register 600 so that the subscriber of the mobile telephone connected through the base station 200 can talk to another subscriber. However, it is responsible for connecting with other exchanges if necessary.

그러므로, 교환기(400)의 기능은 기지국(200)에 의해 시작한다고 볼 수있다. 여기서, 기지국(200)이 연결되지 않은 교환기(400)는 시험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실제 교환기에는 특수한 용도를 위한, 정해진 회선에 연결된 고정전화기가 있다. 또한 고정전화기를 통해 어느정도의 시험은 가능하다. 하지만, 기지국(200)과 연계된 시험은 할 수가 없는 상황이다. 또, 호를 단말기(100)로 시험했을 때 단말기(100) 수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교환기(400)의 부하를 측정할수 없었다. 그 결과 얼만큼의 부하로 어느정도의 호를 처리할수 있는지를 알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function of the exchange 400 begins by the base station 200. Here, the switch 400, to which the base station 200 is not connected, cannot be tested. In practice, however, there are fixed telephones connected to fixed lines for special applications. Some tests are also possible with fixed telephones. However, the test associated with the base station 200 is not possible. In addition, there is a limit to the number of terminals 100 when the call is tested by the terminal 100. Therefore, the load of the exchange 400 could not be measured.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know how much call can be handled by how much load.

도 2 에서는 교환기(400)의 구성도이다. 도 2 에서는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의 기지국)(410), 가입자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420), 가입자 또는 중계기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 (430), 상호 연결망 하부시스템(440),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450), 교환국간 신호 서비스를 위한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460), 중계기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470), 중앙 제어 장치(480)으로 구성되어 있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exchange 400. In FIG. 2, the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virtual base station) 410, the inter-subscriber 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420, the subscriber or relay 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430, the interconnect network subsystem 440, the inter-radio A 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450, a 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460 for signaling services between exchanges, a relay 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470, and a central control unit 480.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개인 이동 통신 서비스에서 기지국 없이 교환기만으로 호 시험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a call with only a switch without a base station in a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장점은 하기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개인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도 2 는 종래 교환기의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exchanger.

도 3 은 본 발명에 있어서, 기존의 시스템과 시험을 위해 변경된 시스템.3 is a modified system for testing with existing systems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이동 통신 시스템의 호 시험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시스템 형상도.4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l testing of a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흐름도.5 is a flow ch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는 호 설정 절차에 관한 기존의 규정에 맞게 처리한 기지국에서 교환기로의 메시지 흐름도.6 is a message flow diagram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exchange processing in accordance with the existing provisions for call setup procedure.

도 7 은 호 설정 절차에 관한 기존의 규정에 맞게 처리한 교환기에서 기지국으로의 메시지 흐름도.7 is a message flow diagram from an exchange to a base station processed in accordance with the existing provisions for call setup procedures.

도 8 은 호 해제 절차에 관한 기존의 규정에 맞게 처리한 기지국에서 교환국으로의 메시지 흐름도.8 is a message flow diagram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switching center processed according to the existing provisions for call release procedure.

도 9 은 호 해제 절차에 관한 기존의 규정에 맞게 처리한 교환기에서 기지국으로의 메시지 흐름도.9 is a message flow diagram from an exchange to a base station processed in accordance with the existing provisions for call release procedur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단말기(Personal Station:PS)100: Terminal (PS)

200,: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BTS)200 ,: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300,302,304:기지국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BST)300,302,304: Base Station Controller (BST)

400,402,404:개인 통신 교환기400,402,404: Personal Communication Switch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eXchange:PCX)(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eXchange: PCX)

410: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Wireless:410: Access Switching Subsystem-Wireless

ASS-W)(가상의 기지국)ASS-W) (virtual base station)

412:시뮬레이터(Simulator)412: simulator

414,454:신호 연결 제어부(Signalling Connection Control Part:SCCP)414,454: Signaling Connection Control Part (SCCP)

416,456:메시지 전송부(Message Transfer Part:MTP)416,456: Message Transfer Part (MTP)

420:가입자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Suscriber: ASS-S)420: Access Switching Subsystem-Suscriber (ASS-S)

430:가입자 또는 중계기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430: Subscriber or relay 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Access Switching Subsystem-Suscriber/Trunk:ASS-S/T)(Access Switching Subsystem-Suscriber / Trunk: ASS-S / T)

440:상호 연결망 하부시스템(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INS)440: 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INS)

450: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의 기지국)450: Wireless 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virtual base station)

(Access Switching Subsystem-Wireless:ASS-W)(Access Switching Subsystem-Wireless: ASS-W)

452:응용부(Application Part:AP)452: Application Part (AP)

460:교환국간 신호 서비스를 위한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CCS No.7:ASS-7)460: Access switching subsystem for signaling service between switching stations (Access Switching Subsystem-CCS No. 7: ASS-7)

470:중계기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Trunk:ASS- T)470: Access Switching Subsystem-Trunk (ASS- T)

480:중앙 제어 장치(Central Control Subsystem:CCS)480: Central Control Subsystem (CCS)

500:운용 보수 센터(Operating Maintenance Center:OMC)500: Operating Maintenance Center (OMC)

600: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HLR)600: Home Location Register (HLR)

700:공중 교환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PSTN)700: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800:공중 육상 이동망(Public Land Mobile Network:PLMN)800: 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이동 통신 서비스에서 기지국 없이 교환기 만으로 호 시험하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sign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apparatus for performing a call test without a base station only in a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provided.

가입자 및 중계선 정합기능을 갖는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430)과, 시스템 제어와 운용, 그리고, 유지보수 기능을 갖는 중앙 제어 장치(480)와, 이 두 시스템의 상호연동 기능을 제공하는 상호 연결망 하부시스템(440)으로 구성된 개인 이동 통신 서비스의 교환기(400)에 있어서,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430 with subscriber and relay line matching function, central control unit 480 with system control and operation and maintenance functions, and interconnect network subsystem providing interworking functions of the two systems. In the switch 400 of the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onsisting of 440,

기지국의 호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시뮬레이터(412)와 제 1 메시지전송부(416)의 이상여부를 확인하는 제 1 신호 연결제어부(414) 및 신호를 전송하는 제 1 메시지전송부(416)로 구성된 제 1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410)과;Comprised of a simulator 412 for providing a call processing function of the base station, a first signal connection controller 414 for checking whether the first message transmitter 416 is abnormal, and a first message transmitter 416 for transmitting a signal. A first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410);

상기 제 1 메시지전송부(416)와 연결된 제 2 메시지전송부(456)와 제 2 메시지(456)의 이상여부를 확인하는 제 2 신호 연결제어부(454) 및 교환국의 호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응용부(452)로 구성된 제 2 무선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4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pplication for providing a call processing function of the second signal connection controller 454 and the switching station to check whether the second message 456 and the second message 456 connected to the first message transmitter 416 are abnormal. And a second wireless access exchange subsystem 450 comprised of a portion 452.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이동 통신 시스템의 호 시험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응용부(452)와 신호 연결 제어부(454)(414)와 메시지전송부(416)(456)로 구성된, 다수의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402)(404)(410)(450)을 포함하는, 교환기 시스템(400)에 있어서,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all test method of the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application unit 452, the signal connection control unit 454, 414 and the message transmission unit 416 ( 1. A switch system 400, comprising a plurality of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s 402, 404, 410, 450, consisting of 456.

제 1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410)을 가상의 기지국(200)으로 설정하는 과정;Setting the first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410 as a virtual base station 200;

제 2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450)을 교환기시스템(400)으로 설정하는 과정;Setting the second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450 to the exchange system 400;

제 1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410)과 제 2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450)을 연결하는 과정; 및Connecting the first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410 and the second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450; And

제 1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410)과 제 2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450)간에 호 설정 및 호 해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nd performing call establishment and call release between the first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410 and the second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450.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기지국(410)으로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기지국(410)으로 사용할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410)의 신호점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며,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ing of the virtual base station 410, it is preferable to change the signal point of the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410 to be used as the base station 410,

상기 가상의 기지국(410)에 있어서, 실제 기지국(200)에서 데이터신호를 처리하는 것처럼 시뮬레이(412)터에서 처리한 후, 상기 신호가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신호 연결 제어부(414) 아래의 상기 메시지전송부(416)로 전송하고, 신호비교후 이상이 없으면 헤드부분에 맞는 데이터를 넣어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며,In the virtual base station 410, after processing in the simulator 412 as if the data signal is processed in the actual base station 200, the signal connection control unit 414 to check whether the signal is abnormal. ) Transmit the message to the message transmission unit 416 below, and if there is no abnormality after signal comparison,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data by inserting the head data.

상기 교환기(450)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신호를 자체내의 메시지전송부(456)와 신호 연결제어부(454)로 보내진후, 상기 응용부(452)에서 신호를 발신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In the switch 450, the transmitted signal is sent to the message transmission unit 456 and the signal connection control unit 454 in the self,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the signal from the application unit 452,

상기 호 설정 및 호 해제하는 단계는, 기존의 틀을 가상의 기지국(410)과 교환국(450)사이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ll setup and call release is preferably performed between the virtual base station 410 and the switching center 450.

참고로 본 발명에서의 시기와 경우를 보면 다음과 같다. 다량의 호가 진행될 때 부하의 수치를 알아보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부하의 차이에 따라 상기 교환기(400)에서 처리할 수 있는 성능이 어느정도인지 알아보는 경우가 있다. 아니면, 기지국(200) 사정으로 기지국(200)이 정상적이지 않을 때의 경우가 있다.For reference, times and cases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Sometimes, when a large number of calls are made, the value of the load is determined. In addition, there may be a case in which the performance of the exchange 400 may be processed depending on the load difference. Otherwise, there is a case where the base station 200 is not normal due to the base station 200.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동작 설명에 앞서 간단하게 환경을 설정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있어서, 기존의 시스템과 시험을 위해 변경된 시스템이다. 도 3 의 (a)에서는 기존의 교환기(400)내의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402)(404)과 기지국(302)(304)을 연결하는 중계선을 할당한다. 그리고, 도 3 의 (b)는 할당한 중계선을 각기 다른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 교환기(410)(450)끼리 연결한다. 또한, 도 3 의 (b)는 가상의 기지국으로 사용할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 기지국(410)의 기준 신호점을 H’100에서 H’200으로 바꿔준다. 또한, 시뮬레이터(412)를 기지국(300)으로 사용할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410)에 로딩한다. 가입자는 홈 위치 등록기(600)에 원하는 만큼 생성한다. 이 때, 같은 국번호에 연속한 4자리 가입자를 생성한다. 이후, 시뮬레이터(412)를 실행시킬 때 초기화 과정의 프린터 문이 나온다. 여기서, 초기화 값은 위치등록과 호시험중 무엇을 수행할지를 선택한다. 초기화 값은, 처음 번호로 시작하여 한 번호씩 증가 하여 다음 번호는 자동으로 시뮬레이터(412)가 만들어 주는 발신 가입자 처음 번호가 있다. 또한, 같은 형식으로 만드는 착신번호, 발신할 가입자수, 셀 정보와 발착신 가입자가 통화를 하는 통화 시간이 있다. 그리고, 통화 후 전화를 끊고 나서 다시 같은 발신 번호로 발신수 만큼 다시 같은 과정을 진행하는 호 간격과 착신 될 번호 등이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vironment is simply set. 3 is a modified system for testing and existing system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of FIG. 3, a relay line connecting the base station 302 and the base station 302 and the inter-wireless access switching subsystem 402 and 404 in the existing switch 400 is allocated. And (b) of FIG. 3 connects the assigned relay lines between different wireless 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exchanges 410 and 450. In addition, (b) of FIG. 3 changes the reference signal point of the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base station 410 to be used as the virtual base station from H'100 to H'200. In addition, the simulator 412 is loaded into the inter-connection switching subsystem 410 to be used as the base station 300. Subscribers create as many as they want in home location register 600. At this time, a four-digit subscriber that is consecutive to the same station number is generated. Thereafter, when the simulator 412 is executed, a printer statement of an initialization process comes out. Here, the initialization value selects what to do during location registration and call test. The initialization value starts with the first number and increases by one number, and the next number is the originating subscriber first number automatically generated by the simulator 412. In addition, there is a called number, a number of subscribers to be sent, cell information, and a call time for a caller to make a call. Then, the call is hung up after the call and then the call interval and the number of incoming calls, etc., which proceeds the same process again as many callers to the same caller number.

마지막으로, 원하는 값을 적당하게 다 입력한후, 마지막 프린트문에서 변경사항 여부를 질문한다. 결과 변경사항이 없으면, 시뮬레이터(412)는 발신 가입자 수만큼의 호를 만들어서 가상 기지국(410)과 교환기(450)를 이어주는 케이블로 신호를 전송한다.Finally, enter the desired values as appropriate, and then ask the last print statement if they have changed. If there is no result change, the simulator 412 makes as many calls as there are outgoing subscribers and sends a signal over the cable connecting the virtual base station 410 and the switch 450.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이동 통신 서비스에서 기지국(200) 없이 교환기(400) 만으로 호 시험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시스템 형상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이다.4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 call test with only the switch 400 without the base station 200 in the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flowch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의 (ST1)은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의 기지국)(410)에서 시뮬레이터(412)를 실제처럼 실행시킨다. 즉, 실제 단말기(100)에서 통화버튼을 눌렀을 때 기지국(200)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처럼 시뮬레이터(412)에서 처리한다. 그다음, 도 5 의 (ST2)에서는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의 기지국)(410)과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교환기)(450)사이에서의 신호 전송을 보인다. 우선, 도 5 의 (ST3)은 시뮬레이터(412)단에서 아랫단에 있는 신호 연결제어부(414)로 신호를 보낸다. 이때 신호 연결제어부(414)에서 메시지전송부(416)의 이상여부를 다른 여러상황과 비교한다. 그리고, 이상이 없으면 메시지전송부(416)로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헤드부분에 알맞는 데이터를 넣고 전송하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도 5 의 (ST4)는 신호를 전송받은 메시지전송부(416)에서는 교환기(450)의 메시지전송부(456)로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도 5 의 (ST5)는 교환기(450)부에서 메시지전송부(456), 신호 연결제어부(454)를 거쳐 헤드부분을 읽는다. 그 후, 다른 여러 사항과 비교한다. 도 5 의 (ST6)과 (ST7)에서는, 비교결과 이상이 없으면 응용부(452)단으로 신호를 보내어 발신 처리를 하게된다.FIG. 5 (ST1) executes the simulator 412 as if it were a real time in the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virtual base station) 410. That is, when the call button is pressed on the actual terminal 100, the simulator 412 processes the data as the base station 200 processes the data. Next, in FIG. 5 (ST2),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inter-wireless access switching subsystem (virtual base station) 410 and the inter-wireless access switching subsystem (switch) 450 is shown. First, ST3 of FIG. 5 sends a signal from the simulator 412 stage to the signal connection controller 414 at the bottom stage. At this time, the signal connection controller 414 compares the error of the message transmitter 416 with other various situations. If there is no abnormality,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6 transmits a signal. At this point, remember to insert the appropriate data in the head part and transmit it. 5, the ST4 transmits a signal to the message transmitter 456 of the exchange 450 in the message transmitter 416 receiving the signal. 5, the ST5 reads the head portion from the switch 450 through the message transmission unit 456 and the signal connection control unit 454. After that, compare with other items. In Fig. 5 (ST6) and (ST7), if there is no abnormality in the comparison result, a signal is sent to the application unit 452 stage to perform the transmission process.

도 6 과 도 7 은 호 설정 절차에 관한 기존의 규정에 맞게 처리한 메시지의 흐름도이다. 도 6 의 (ST11)은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 기지국)(410)에서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교환기)(450)과 연결 설정을 위해서 접속관리 서비스 요구(Connection Manage Service Request:CM Service Request)메시지를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교환기)(450)에 전달한다. 도 6 의 (ST12)는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교환기)(450)이 신호 연결제어부(414)연결의 완전한 설정을 위해 사용자 데이터를 갖지않는 신호 연결제어부(454)연결의 확인 프리미티브를 전송하여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 기지국)(410)로부터 초기메시지를 기다린다. 도 6 의 (ST13)은 호 설정을 위해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 기지국)(410)이 초기설정 메시지를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교환기)(450)로 전송한다. 만일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 기지국)(410)이 시간안에 또는 부적합한 메시지를 보낸다면,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교환기)(450)에서는 호 복구를 시작한다. 도 6 의 (ST14)에서는 초기메시지를 받은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교환기)(450)이 호 진행 메시지를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 기지국)(410)으로 보낸다. 그리고, 동시에 호의 착신 부분 설정절차를 시작한다. 이때 메시지는 추가적인 호 설정 정보는 받아들이지 않을 것임을 표시한다. 도 6 의 (ST15)는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교환기)(450)이 음성통화를 위한 무선자원 할당을 요구하기 위해서 무선자원 할당 요구 메시지를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 기지국)(410)으로 보낸다. 도 6 의 (ST16)은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 기지국)(410)에서 적당한 형태의 트래픽채널을 선택하고, 요구된 채널할당이 정확히 수행되었음을 무선자원 할당 완료 메시지로 보낸다. 이때 채널할당에 오류가 생기면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 기지국)(410)는 할당 실패를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교환기)(450)으로 보낸다. 도 7 의 (ST21)에서는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교환기)(450)이 착신호 설정을 위해 페이징요구를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 기지국)(410)으로 보낸다.6 and 7 are flowcharts of messages processed according to the existing regulations regarding call setup procedures. FIG. 6 (ST11) shows a connection management service request (CM Service)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the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exchange) 450 in the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virtual base station) 410. Request) message to the wireless 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exchange) 450. 6, ST12 transmits an acknowledgment primitive of the connection of the signal connection controller 454 having no user data for the complete connection of the signal connection controller 414 connection. Wait for an initial message from the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virtual base station) 410. 6, ST13 transmits an initialization message to the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switch) 450 for the call setup. If the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virtual base station) 410 sends in time or an inappropriate message, the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exchange) 450 starts call recovery. In FIG. 6 (ST14), the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exchange) 450 that has received the initial message sends a call progress message to the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virtual base station) 410. At the same time, the procedure for establishing the called part of the call is started. The message indicates that no additional call setup information will be accepted. 6, ST15 illustrates a radio resource allocation request message (virtual base station) 410 for the radio access switching subsystem (switch) 450 to request radio resource allocation for a voice call. Send to. 6, ST16 selects an appropriate type of traffic channel in the inter-radio access switching subsystem (virtual base station) 410, and sends a radio resource allocation complet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required channel allocation has been performed correctly. If an error occurs in channel assignment, the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virtual base station) 410 sends an allocation failure to the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exchange) 450. In FIG. 7 (ST21), the inter-connection switching subsystem (switch) 450 sends a paging request to the inter-connection switching subsystem (virtual base station) 410 to set up an incoming call.

도 7 의 (ST22)는 기존 시스템에서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 기지국)(410)으로 응답 메시지를 보내는 것을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 기지국)(410)에서 모두 처리하여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교환기)(450)으로 페이징응답을 보낸다. 도 7 의 (ST23)은 호를 진행시키기 위해 필요한 모든정보를 갖고, 초기 설정 메시지를 착신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 기지국)(410)으로 보낸다. 단, 여기서는 발착신이 같은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 기지국)(410)에게 보내진다. 그리고, 이 메시지는 연결설정을 위해 사용된다. 도 7 의 (ST24)는 초기 설정 메시지를 받았다는 표시로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 기지국)(410)이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교환국)(450)에 호 확인 메시지를 보낸다. 원래는 단말이 초기에 표시된 호를 받을 수 있는 상태임을 표시한다. 도 7 의 (ST25)는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교환기)(450)이 착신호 음성통화를 위한 무선자원 할당을 요구하기 위해서 무선자원 할당 요구 메시지를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 기지국)(410)으로 보낸다. 도 7 의 (ST26)은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 기지국)(410)에서 적당한 형태의 트래픽채널을 선택하고 요구된 채널할당이 정확히 수행되었음을 무선자원 할당 완료 메시지로 보낸다. 도 6 의 (ST17)은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교환국)(450)이 착신 단말을 호출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통보메시지를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 기지국)(410)으로 전송한다. 도 7 의 (ST27)는 통보메시지를 받은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 기지국)(410)이 해당되는 통보표시를 발신측에게 알려준다. 그리고, 연결 통보 메시지를 기다린다. 도 7 의 (ST28)은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 기지국)(410)으로부터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교환기)(450)으로 착신측 단말이 응답했음을 알리기 위한 연결 메시지를 보낸다. 도 7 의 (ST29)는 연결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교환국)(450)이 양측을 연결하고 잘 받았다는 응답메시지로 연결응답을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 기지국)(410)으로 보낸다. 도 6 의 (ST18)는 착신측으로부터 응답보고를 받은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교환기)(450)이 연결 통보 메시지를 발신측 무선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 기지국)(410)으로 보낸다. 도 6 의 (ST19)는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 기지국)(410)이 연결 메시지 수신을 확인하는 연결 인식 메시지를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교환국)(450)으로 전송한다. 이런 절차에 의해 임의의 발신번과 착신번이 통화중 상태가 된다.(ST22) of FIG. 7 processes all of the transmission of the response message from the existing system to the inter-wireless exchange switching subsystem (virtual base station) 410 in the inter-wireless exchange switching subsystem (virtual base station) 410 to exchange the inter-wireless connection. Paging response is sent to subsystem 450 (switch). 7 (ST23) has all the information necessary to proceed with the call, and sends an initial setup message to the terminating inter-connection switching subsystem (virtual base station) 410. However, the origination call is sent to the same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virtual base station) 410. This message is then used to establish a connection. (ST24) of FIG. 7 indicates that an initial setup message has been received by the inter-radio access switching subsystem (virtual base station) 410 sends a call confirmation message to the inter-radio access exchange subsystem (switching station) 450. The original indicates that the terminal can receive the initially displayed call. (ST25) of FIG. 7 shows that a radio resource allocation request message is transmitted to a radio resource allocation request message (virtual base station) in order for the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switch) 450 to request radio resource allocation for an incoming voice call. 410). FIG. 7 (ST26) selects an appropriate type of traffic channel in the inter-radio access switching subsystem (virtual base station) 410 and sends a radio resource allocation complet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required channel allocation has been performed correctly. 6, ST17 transmits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inter-wireless switching exchange subsystem (virtual base station) 410 informing that the inter-wireless switching exchange subsystem (switching station) 450 is calling the called terminal. (ST27) of FIG. 7 informs the calling party of the notification indicat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virtual base station) 410 which received the notification message. Then, it waits for a connection notification message. 7 (ST28) sends a connection message to inform the destination terminal that the destination terminal has responded from the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virtual base station) 410 to the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switch) 450. (ST29) of FIG. 7 is a respons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switching station) 450, which has received the connection message, has connected both sides and has received a connection response. Send to. 6, ST18 transmits a connection notification message to an originating radio access switching subsystem (virtual base station) 410, which has received a response report from the called party. FIG. 6 (ST19) transmits a connection recognition message to the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switch station) 450 in which the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virtual base station) 410 confirms receipt of the connection message. By this procedure, any calling and called party is placed in a busy state.

도 8 과 도 9 는 호 해제 절차에 관한 기존의 규정에 맞게 처리한 메시지의 흐름도이다. 도 8 의 (ST31)는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 기지국)(410)의 발신측 프러세서로부터 처음 초기화 과정의 프린트문에서 입력받은 통화시간동안 통화를 한다. 그리고, 호 제어 트랜잭션을 복구하기 위해 해제 메시지를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교환국)(450)으로 전송한다. 도 8 의 (ST32)는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교환기)(450)이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트랜잭션 식별자를 해제하고 해제 완료 메시지를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 기지국)(410)으로 전송한다. 도 8 의 (ST33)은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교환기)(450)이 해제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 후, 호 설정 해제 명령 메시지를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 기지국)(410)으로 전송한다. 도 8 의 (ST34)는 호 설정 해제 명령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 기지국)(410)은 할당된 자원을 복구한다. 복구가 완결되면, 호 설정 해제 완료 메시지를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교환기)(450)으로 전송한다. 도 9 의 (ST41)는 착신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교환기)(450)이 발신측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교환기)(450)으로부터 발신 해제를 보고받는다. 그리고, 해제 메시지를 착신측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 기지국)(410)으로 전송한다. 도 9 의 (ST42)는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 기지국)(410)이 해제 메시지 수신후, 트랜잭션 식별자를 해제한다. 그리고, 해제 완료 메시지를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교환기)(450)으로 전송한다. 도 9 의 (ST43)은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교환기)(450)이 해제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후, 호 설정 해제 명령 메시지를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 기지국)(410)으로 전송한다. 도 9 의 (ST44)는 호 설정 해제 명령을 수신한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교환기)(450)이 할당된 자원을 복구한다. 그리고, 호 설정 해제 완료 메시지를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교환기)(450)으로 전송한다. 도 8 과 도 9 의 (ST35)(ST36)(ST45)(ST46)는 발착신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교환기)(450)이 신호 연결 제어부(454)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신호 연결 제어부(454) 해제 메시지를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 기지국)(41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 기지국)(410)은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교환기)(450)으로 신호 연결 제어부(454) 해제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결과 한 호에 대한 모든 자원이 복구된다.8 and 9 are flowcharts of messages processed according to the existing regulations regarding call release procedures. (ST31) of FIG. 8 makes a call during the talk time received from the originating processor of the inter-wireless access switching subsystem (virtual base station) 410 in the print statement of the initial initialization process. And sends a release message to the inter-connection switching subsystem (switch station) 450 to recover the call control transaction. In ST32 of FIG. 8, an inter-wireless access switching subsystem (switch) 450 receives a release message. It releases the transaction identifier and sends a release complete message to the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virtual base station) 410. 8, ST33 transmits a call setup release command message to the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virtual base station) 410 after the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switch) 450 transmits the release completion message. . In step ST34 of FIG. 8, the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virtual base station) 410 receiving the call setup release command message recovers the allocated resources. When recovery is complete, a call establishment release complete message is sent to the inter-connection switching subsystem (switch) 450. In FIG. 9 (ST41), the incoming inter-radio 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exchange) 450 is informed of the origination release from the originating inter-radio 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exchange) 450. Then, the releas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called party's inter-wireless access exchange subsystem (virtual base station) 410. 9, ST42 releases the transaction identifier after the inter-wireless access switching subsystem (virtual base station) 410 receives the release message. And sends a release complete message to the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switch) 450. 9, ST43 transmits a call setup release command message to the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virtual base station) 410 after the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exchange) 450 receives the release complete message. . 9, ST44 recovers resources allocated by the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switch) 450 that has received the call setup release command. Then, the call setup release completion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inter-connection switching subsystem (switch) 450. 8 and 9, ST35, ST36, ST45, and ST46 include a signal connection control unit 454 for the originating radio 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exchange) 450 to disconnect the signal connection control unit 454. ) Transmits a release message to the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virtual base station) 410. In addition, the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virtual base station) 410 transmits a signal connection control unit 454 release completion message to the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switch) 450. As a result, all resources for a call are restored.

다음 호에 대한 설정은 발신측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가상 기지국)(410)이 호 설정 해제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 후, 호 간격 시간이 흐른 후 다시 같은 번호로 상기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호 간격 시간은 시뮬레이터를 실행 후, 처음 초기화 과정 중 프린트문에서 입력받은 값이다.For the next call, the call exchange inter-subsystem (virtual base station) 410 transmits the call setup release completion message, and then goes back to the same number after the call interval time passes. The call interval time is the value input from the print statement during the initial initialization process after running the simulator.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an take various forms and only the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but rather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should be understood to do.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the effects obtained by the representative ones of the disclosed inventions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개인 휴대 통신 서비스 교환기에 있어서, 상용 시뮬레이터가 용량이나 이용 측면에서 사용한다는 것은 힘이 든다. 그리고, 스펙의 변경 사항에 취약한 면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시스템을 사용하면서 시뮬레이터를 구현한다. 고로, 개발 확인 측면에서 유용한 장치며, 방법이다.For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exchangers, it is difficult to use commercial simulators in terms of capacity or usage. And there are some aspects that are vulnerable to specification changes. Therefore, we implement the simulator while using the existing system. Therefore, it is a useful device and method in terms of development confirmation.

Claims (6)

가입자 및 중계선 정합기능을 갖는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과, 시스템 제어와 운용, 그리고, 유지보수 기능을 갖는 무선 호출 제어 장치와, 이 두시스템의 상호연동 기능을 제공하는 상호 연결망 하부시스템으로 구성된 개인 이동 통신 서비스의 교환국에 있어서,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consisting of a 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with subscriber and relay line matching, a wireless call control device with system control, operation and maintenance, and an interconnect network subsystem providing the interworking capabilities of the two systems. In the exchange of services, 기지국의 호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시뮬레이터와 제 1 메시지전송부의 이상여부를 확인하는 제 1 신호 연결제어부 및 신호를 전송하는 제 1 메시지전송부로 구성된 제 1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과;A first wireless 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comprising a simulator for providing a call processing function of a base station, a first signal connection controller for checking whether a first message transmitter is abnormal, and a first message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signal; 상기 제 1 메시지전송부와 연결된 제 2 메시지전송부와 제 2 메시지의 이상여부를 확인하는 제 2 신호 연결제어부 및 교환국의 호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응용부로 구성된 제 2 무선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을 포함하는, 개인 이동 통신 서비스에서 기지국 없이 교환기 만으로 호 시험하는 장치.And a second wireless connection switching subsystem comprising a second message transmission unit connected to the first message transmission unit, a second signal connection control unit for checking whether a second message is abnormal, and an application unit providing a call processing function of an exchange station. A device for testing calls with only a switch without a base station in a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응용부와 신호 연결 제어부와 메시지전송부로 구성된, 다수의 무선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을 포함하는, 교환기 시스템에 있어서,An exchang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radio access exchange subsystems, comprising an application portion, a signal connection control portion and a message transmission portion, 제 1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을 가상의 기지국으로 설정하는 과정;Setting the first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to a virtual base station; 제 2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을 교환기시스템으로 설정하는 과정;Setting a second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as an exchange system; 상기 제 1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과 상기 제 2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을 연결하는 과정; 및Connecting the first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and the second inter-connection exchange subsystem; And 상기 제 1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과 상기 제 2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간에 호 설정 및 호 해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개인 이동 통신 서비스에서 기지국 없이 교환기 만으로 호 시험하는 방법.And performing a call setup and call release between the first inter-wireless access switching subsystem and the second inter-wireless access switching subsyste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기지국으로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기지국으로 사용할 무선간 접속 교환 하부시스템의 신호점을 변경하는, 기지국 없이 교환기 만으로 호 시험하는 방법.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tting of the virtual base station changes the signal point of the inter-connection switching subsystem to be used as the base sta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기지국에 있어서, 실제 기지국에서 데이터신호를 처리하는 것처럼 시뮬레이터에서 처리한 후, 상기 신호가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신호 연결 제어부 아래의 상기 메시지전송부로 전송하고, 신호비교후 이상이 없으면 헤드부분에 맞는 데이터를 넣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이동 통신 서비스에서 기지국 없이 교환기 만으로 호 시험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in the virtual base station, the data is processed in the simulator as if the data is processed in the actual base station, and then transmitted to the message transmitter under the signal connection control unit to check whether the signal is abnormal. And if there is no abnormality after signal comparison, insert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head part and transmitting the data, and performing a call test using only an exchange without a base station in a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신호를 자체내의 메시지전송부와 신호 연결제어부로 보내진 후, 상기 응용부에서 신호를 발신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인 이동 통신 서비스에서 기지국 없이 교환기 만으로 호 시험하는 방법.The base station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in the exchange, transmitting the transmitted signal to the message transmission unit and the signal connection controller in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n transmitting the signal in the application unit. How to test call with only exchanger withou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설정 및 호 해제하는 단계는, 기존의 틀을 가상의 기지국과 교환국사이에서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이동 통신 서비스에서 기지국 없이 교환기 만으로 호 시험하는 방법.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ep of setting up and releasing a call comprises: performing an existing framework between a virtual base station and a switching center.
KR1019980029068A 1998-07-20 1998-07-20 Call test device and method in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KR2000000894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9068A KR20000008946A (en) 1998-07-20 1998-07-20 Call test device and method in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9068A KR20000008946A (en) 1998-07-20 1998-07-20 Call test device and method in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946A true KR20000008946A (en) 2000-02-15

Family

ID=19544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9068A KR20000008946A (en) 1998-07-20 1998-07-20 Call test device and method in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8946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654B1 (en) * 2001-08-31 2003-12-06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ation of call processing in BSC system
KR100442366B1 (en) * 2001-12-29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Simulation method for ce and svc quality measurement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654B1 (en) * 2001-08-31 2003-12-06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ation of call processing in BSC system
KR100442366B1 (en) * 2001-12-29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Simulation method for ce and svc quality measurement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3869B1 (en) System and method of forwarding data calls in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61380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spatch service to an existing telephone network
US5537391A (en) Exchange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the same
KR20000008946A (en) Call test device and method in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US7974594B2 (en) Method for checking connectivity between base station controller and mobile switching center
JPH07254933A (en) Processing system for emergency call
KR19990039266A (en) Data Service Control Method in Mobile Switching
KR950014951B1 (en) Virtual b-channel packet call processing method in the ess
KR100300845B1 (en) Method for checking no.7 siganl link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950011482B1 (en) The method managing an isdn line of communication for the electronic exchanger
JPH08307943A (en) Authentication processing system
KR19980067340A (en) Conference Call Control Method in Personal 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KR100238722B1 (en) Malicious call tracing method in personal communication exchange
KR100385218B1 (en)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Origination Call
KR100271303B1 (en) Call control method in intelligent network for imt-2000
KR970000676B1 (en) Full exchange system
KR100897081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voice call of mobile terminal
KR20010039059A (en) Method for managing resource release using FR and PRI call process ID
KR101007374B1 (en) Call processing method in Intelligent Network and System thereof
KR960008428B1 (en) A communication line setting and cancelling method
KR100198925B1 (en) Transmission digital call processing method for switching system
JP3001534B1 (en) ISDN service method in multi-way multiplex communication system
JP3689036B2 (en) Private branch exchange
JPH0918580A (en) Communication device
KR20010001286A (en) Method for testing set up and release of voice call in radio network controller for broadband wireless mobile 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