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8914U - 낙하물에 대한 위험방지 시설물 - Google Patents

낙하물에 대한 위험방지 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8914U
KR20000008914U KR2019980020786U KR19980020786U KR20000008914U KR 20000008914 U KR20000008914 U KR 20000008914U KR 2019980020786 U KR2019980020786 U KR 2019980020786U KR 19980020786 U KR19980020786 U KR 19980020786U KR 20000008914 U KR20000008914 U KR 200000089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alling
scaffold
prevention
preven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7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순
박민규
Original Assignee
김종우
금강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우, 금강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우
Priority to KR20199800207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8914U/ko
Publication of KR200000089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914U/ko

Links

Landscapes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계(쌍줄비계, 외줄비계) 및 무비계상태에서의 건물의 외벽에 지지된 지지비계에 장착되는 낙하물에 대한 위험방지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공사중인 건물의 외벽에 설치된 비계의 외측으로 장착되는 낙하물에 대한 위험방지 시설물에 있어서, 상기 (지지)비계(100, 100)에 고정되는 고정구(5, 50)에 회전자재로 연결된 지지구(6, 60)를 일단부에 형성하고 있는 버팀대(1, 10)와, 상기 버팀대(1)와 버팀대(10)의 사이에 횡으로 다수 안착되어 고정부착된 하부 낙하물방지판(2…20)과, 상기 다수의 하부 낙하물방지판(2…20)의 외부로 삽입되어 슬라이드식으로 이동되도록 손잡이(31)가 형성된 상부 낙하물방지판(3…30)과, 상기 상,하부 낙하물방지판(2…20),(3…3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4, 40)와, 상기 버팀대(1, 10)의 타단부에 형성된 지지구(7, 70)와 일단에 형성된 지지구(6, 60)에 연결되어 상부 낙하물방지판(3, 30)을 고정하기 위해 지지구(6, 7),(60, 70)에 연결하는 고정대(8, 80)와, 상기 타단부에 형성된 지지구(7, 70)와 상기 (지지)비계(100,100)에 고정되는 고정구(9, 90)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101, 110)와, 상기 상부, 하부 낙하물방지판(2…20),(3…30)의 하부에 장착되는 낙하물받이(200)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에 대한 위험방지 시설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낙하물에 대한 위험방지 시설물(The equipment for prevention of danger regarding the dropping objects)
본 고안은 비계(쌍줄비계, 외줄비계) 및 무비계상태에서의 건물의 외벽에 지지된 지지비계에 장착되는 낙하물에 대한 위험방지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의 공사현장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하는 도중에 실수로 인하여 작업도구 및 기타 건축자재가 상부층에서 바닥으로 떨어질때 인명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건출물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비계에 일정높이(보통 4층높이)마다 장착되는 낙하물에 대한 위험방지 시설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낙하물에 대한 위험방지 시설물은 보통 방호철망, 방호시트, 방호선반등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이들의 시설물은 공사중인 건물의 주위로 설치되어 있는 비계발의 외측에서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금속파이프를 횡으로 다수 설치한 다음에, 그 위로 시설물인 철망, 시트, 합판 등을 얹혀서 별도의 독립된 철선이나 부속자재로 고정되게 사용하여야 하므로 부속자재가 많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해체시에는 부속자재를 수거하기 위해 잡부를 필요로 함은 물론 현장에 흩어진 자재를 찾지 못하거나 그대로 방치해버려서 자재의 망실로 인한 피해가 많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낙하물에 대한 위험방지 시설물을 설치하는데 있어서, 시설물이 조립식이 아니기 때문에 항상 자재를 현장에 비치하여 두어야 하므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공간활용에도 문제가 많았다. 또한 조립식이더라도 부속자재가 많기 때문에 이들을 결합하는데에도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요되므로 현장의 운영에 있어서 공기를 지연시키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그리고 낙하물에 대한 위험방지 시설물의 자재는 그 크기가 한정되어 있어 설치를 하다보면 자재의 크기보다 좁은 공간이 많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러한 공간을 마무리 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좁은 공간을 마무리하기 위해서는 시설물의 자재를 절단하여 공간을 처리하여야 하게 되므로 공사후에는 절단된 자재를 사용할 수 없게 되기때문에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오게 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폐단을 해결하고자 개량 안출한 것으로, 낙하물에 대한 위험방지 시설물을 비계에 설치하는데 있어서, 80%의 완제품으로 갖고 20%에 해당하는 부속자재를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자의 안정성이 유지됨은 물론 부속자재들이 거의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서 해체시에도 자재의 망실로 인한 피해가 없으므로 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의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벽에 설치된 외줄 및 쌍줄비계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무비계의 상태라도 건물의 외벽에 지지비계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시설물을 설치하는데 있어서, 시설물의 크기보다 좁은 공간이 생기더라도 시설물의 자재를 절단하지 않고도 좁은 공간에다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거의 완제품에 해당하기 때문에 적은 인원으로도 빠른 시간내에 설치와 해체가 간편하므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잇점이 있고, 반복사용으로 인한 자재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그 뿐만아니라 시설물의 유지관리가 용이한 것이다.
그리고 기존의 낙하물에 대한 위험방지 시설물은 그 두께가 얇아서 낙하물이 시설물을 뚫고 하층으로 낙하되는 경우도 간혹 있어 이를 보강하기 위해서 시설물의 강도를 높혀주었기 때문에 안정성을 더욱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낙하물에 대한 위험방지 시설물을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있는 비계에 장착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낙하물방지판이 슬라이드식으로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버팀대의 일단부를 확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버팀대의 타단부를 확대한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10. 버팀대 2…20, 하부 낙하물방지판
3…30, 상부 낙하물방지판 4, 40. 지지대
5, 50. 고정구 6, 60. 지지구
7, 70. 지지구 8, 80. 고정대
9, 90. 고정구 100. (지지)비계
101, 110. 와이어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사중인 건물의 외벽에 설치된 (지지)비계(100, 100)의 외측으로 장착되는 낙하물에 대한 위험방지 시설물에 있어서, 상기 (지지)비계(100, 100)에 고정되는 고정구(5, 50)에 회전자재로 연결된 지지구(6, 60)를 일단부에 형성하고 있는 버팀대(1, 10)와, 상기 버팀대(1)와 버팀대(10)의 사이에 횡으로 다수 안착되어 고정부착된 하부 낙하물방지판(2…20)과, 상기 다수의 하부 낙하물방지판(2…20)의 외부로 삽입되어 슬라이드식으로 이동되도록 손잡이(31)가 형성된 상부 낙하물방지판(3…30)과, 상기 상,하부 낙하물방지판(2…20),(3…3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4, 40)와, 상기 버팀대(1, 10)의 타단부에 형성된 지지구(7, 70)와 일단에 형성된 지지구(6, 60)에 연결되어 상부 낙하물방지판(3, 30)을 고정하기 위해 지지구(6, 7),(60, 70)에 연결하는 고정대(8, 80)와, 상기 타단부에 형성된 지지구(7, 70)와 상기 (지지)비계(100,100)에 고정되는 고정구(9, 90)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101, 110)와, 상기 상부, 하부 낙하물방지판(2…20),(3…30)의 하부에 장착되는 낙하물받이(200)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에 대한 위험방지 시설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낙하물에 대한 위험방지 시설물을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비계에 장착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의 낙하물방지판이 슬라이드식으로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지지대의 일단부를 확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지지대의 타단부를 확대한 측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도 2에 나타내는 측면도에서 알 수 있듯이, 건출물이 어느 정도의 높이로 공사가 진행될 때, 건축 공사장의 하층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중간 중간의 높이마다 낙하물에 대한 위험방지 시설물을 설치하게 된다.
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미 공장에서 거의 완제품으로 구성되어 있는 낙하물에 대한 위험방지 시설물을 현장으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현장으로 이동된 시설물은 중량이 무겁고 부피가 크므로 현장에 있는 크레인으로 버팀대(1)와 버팀대(10)에 횡으로 다수 고정되게 장착된 하부 낙하물방지판(2…20)에 슬라이드식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삽입된 상부 낙하물방지판(3…30)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대(4, 40)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구(41)에 와이어를 걸어서 시설물을 들어올린후에 건축물의 (지지)비계(100, 100)에 고정구(5, 50)를 고정하면 된다. 즉, 양측의 버팀대(1, 10)의 일단에 형성된 지지구(6, 60)와 회전자재로 이동되게 연결되어 있는 고정구(5, 50)를 (지지)비계(100, 100)에 고정하면 된다. 그리고 버팀대(1, 10)의 타단에 형성된 지지구(7, 70)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101, 110)의 단부에 또 다시 연결되어 있는 고정구(9, 90)를 시설물의 각도에 맞게끔 고정구(5, 50)와의 높이를 설정한 다음에 (지지)비계(100, 100)에 고정하면 된다.
이때 상부, 하부 낙하물방지판(2…20)(3…30)을 장착하고 있는 버팀대(1, 10)를 계속해서 이어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낙하물방지판의 최대길이보다 약간 작은 간격을 갖는 공간(120)을 두고 반복해서 설치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구(5, 50)와 고정구(9, 90)의 높이에 의해 낙하물방지판의 시설물의 각도가 조절이 됨과 동시에 와이어(101, 110)의 고정된 길이에 의해서도 시설물의 각도는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낙하물방지판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지지)비계(100, 100)에 고정된 고정구(5, 50)와 버팀대(1, 10)에 형성된 지지구(6, 60)가 회전이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서로 핀(130, 13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버딤태(1, 10)에 고정되게 장착되어 있는 상, 하부 낙하물방지판(2…20)(3…30)의 시설물을 (지지)비계(100, 100)에 일정간격을 두고 반복해서 고정구(5, 50),(9, 90)에 의해 고정시켜 설치한 다음에는, 버팀대(1, 10)에 고정되게 장착되어 있는 하부 낙하물방지판(2…20)에 삽입되어 있는 상부 낙하물방지판(3…30)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대(8, 80)를 버딤대(1, 10)에 형성된 지지구(6, 7),(60, 70)에서 해체한다. 다시말해 고정대(8, 80)는 버팀대(1, 10)에 고정된 하부 낙하물방지판(2…20)의 상부로 삽입된 상부 낙하물방지판(3…30)이 현장으로 이동시 좌우로 슬라이되어 이동되는 것을 막기 위해 고정하고 있는 것이다. 즉, 상부 낙하물방지판(3…30)에는 양측에 손잡이(31…3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 이유는 작업자가 상부 낙하물방지판(3…30)을 손쉽게 슬라이드식으로 이동하기 위해 설치된 이유도 있지만, 또 다른 이유은 고정대(8, 80)가 손잡이(31…31)의 내측으로 밀착되어 버팀대(1, 10)에 형성된 양측단부에 형성된 지지구(6, 7),(60, 70)에 결합함으로써 현장으로 이동시 좌우로의 이동을 막기 위한 이유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부 낙하물방지판(3…30)을 (지지)비계(100, 100)에 완전히 설치하기 위해서는 고정대(8, 80)를 지지구(6, 7),(60, 70)에서 해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정대(8, 80)를 버팀대(1, 10)에 형성된 지지구(6, 7),(60, 70)에서 해체한 다음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버팀대(1, 10)에 고정된 하부 낙하물방지판(2…20)에 삽입된 상부 낙하물방지판(3…30)의 상부에 형성된 손잡이(31…31)를 잡고 일정공간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또 다른 버팀대(1)로 차례차례 슬라이드식으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식으로 이동된 상부 낙하물방지판(3…30)의 단부를 또 다른 버팀대(1)에 고정된 하부 낙하물방지판(2…20)의 상부에 삽입하여 안착되게 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반복하여 설치하게 되면, 버팀대(1, 10)에 장착된 상부 낙하물방지판(3…30)이 자연스럽게 일정공간(120)을 채워가면서 설치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반복하여 설치하다 보면 건축물의 크기 및 방향에 따라서 낙하물방지판(2…20)보다 좁은 공간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하더라도 상부 낙하물방지판(3…30)을 그 좁은 공간만큼만 슬라이드식으로 꺼내서 다른 하부 낙하물방지판(2)에 안착하면 간단히 좁은 공간도 설치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낙하물방지판(3…30)을 절단하지 않고도 간단히 좁은 공간에도 설치가 용이한 것이다.
또한 상부, 하부 낙하물방지판(2…20),(3…30)에는 낙하물이 떨어진후 재차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상부, 하부 낙하물방지판(2…20),(3…30)의 하부에 떨어진 낙하물을 모으기 위한 낙하물받이(200)를 설치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건축물의 공사가 마무리되어 낙하물에 대한 위험방지 시설물을 해체할때에는 상기의 설치방법에 역순으로 진행하면 되는 것이다. 즉, 버팀대(1, 10)에 고정되게 형성된 하부 낙하물방지판(2…20)에 삽입되는 상부 낙하물방지판(3…30)을 원상으로 복귀한후 이동이 되지 않도록 상부 낙하물 지지판(3…30)을 고정하는 고정대(8, 80)를 지지구(6, 7),(60, 70)에 볼트(160, 160)등으로 고정한후에 와이어(101, 110)를 연결하고 있는 고정구(9, 90)를 (지지)비계(100, 100)에서 풀고 다시 버팀대(1, 10)의 단부에 형성된 지지구(6, 60)와 연결된 고정구(5, 50)를 (지지)비계(100, 100)에서 풀어주면 되는 것이다. 이때에도 안전을 위해 버팀대에 장착된 낙하물방지판의 시설물은 크레인에 의해 해체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크레인에 의해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지지대(4, 40)의 상단에는 크레인의 와이어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연결구(4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낙하물에 대한 위험방지 시설물이 거의 완제품에 가깝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설치가 간단하고, (지지)비계에서 설치되는 부속품도 거의 시설물과 같이 결합이 되어 있으므로 해체시에도 자재의 분실이 거의 없기 때문에 경제적인 것이다.
또한 낙하물방지판이 버팀대에 고정된 상부의 낙하물방지판이 슬라이드식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공간이 좁은 곳이라도 자재의 파손없이 설치가 용이하므로 어떠한 공간도 간편히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공사중인 건물의 외벽에 설치된 (지지)비계의 외측으로 장착되는 낙하물에 대한 위험방지 시설물에 있어서,
    상기 (지지)비계(100, 100)에 고정되는 고정구(5, 50)에 회전자재로 연결된 지지구(6, 60)를 일단부에 형성하고 있는 버팀대(1, 10)와,
    상기 버팀대(1)와 버팀대(10)의 사이에 횡으로 다수 안착되어 고정부착된 하부 낙하물방지판(2…20)과,
    상기 다수의 하부 낙하물방지판(2…20)의 외부로 삽입되어 슬라이드식으로 이동되도록 손잡이(31)가 형성된 상부 낙하물방지판(3…30)과,
    상기 상,하부 낙하물방지판(2…20),(3…3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4, 40)와,
    상기 버팀대(1, 10)의 타단부에 형성된 지지구(7, 70)와 일단에 형성된 지지구(6, 60)에 연결되어 상부 낙하물방지판(3, 30)을 고정하기 위해 지지구(6, 7),(60, 70)에 연결하는 고정대(8, 80)와,
    상기 타단부에 형성된 지지구(7, 70)와 상기 (지지)비계(100,100)에 고정되는 고정구(9, 90)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101, 110)와,
    상기 상부, 하부 낙하물방지판(2…20),(3…30)의 하부에 장착되는 낙하물받이(200)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에 대한 위험방지 시설물.
KR2019980020786U 1998-10-29 1998-10-29 낙하물에 대한 위험방지 시설물 KR2000000891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786U KR20000008914U (ko) 1998-10-29 1998-10-29 낙하물에 대한 위험방지 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786U KR20000008914U (ko) 1998-10-29 1998-10-29 낙하물에 대한 위험방지 시설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914U true KR20000008914U (ko) 2000-05-25

Family

ID=69522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786U KR20000008914U (ko) 1998-10-29 1998-10-29 낙하물에 대한 위험방지 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8914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3767A (ko) * 2001-01-30 2002-08-05 주식회사 성민산업 낙하물 방호선반
KR100414390B1 (ko) * 2000-11-02 2004-01-13 (주)유원 세이프티 낙하물 방지틀 지지장치
KR100797554B1 (ko) * 2007-01-29 2008-01-24 권택철 안전망 구조물
KR200445692Y1 (ko) * 2007-11-14 2009-08-26 아시아산업안전 주식회사 지지구조가 견고한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낙하물방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390B1 (ko) * 2000-11-02 2004-01-13 (주)유원 세이프티 낙하물 방지틀 지지장치
KR20020063767A (ko) * 2001-01-30 2002-08-05 주식회사 성민산업 낙하물 방호선반
KR100797554B1 (ko) * 2007-01-29 2008-01-24 권택철 안전망 구조물
KR200445692Y1 (ko) * 2007-11-14 2009-08-26 아시아산업안전 주식회사 지지구조가 견고한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낙하물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4725A (en) Scaffolding assembly
US20240060320A1 (en) Safety rail system
US5159993A (en) Self-raising work platform assembly
US4538379A (en) Safety mezzanine gate
US20200199870A1 (en) Formwork system
WO2012046049A2 (en) Scaffold safety rail and method of assembly
KR20000008914U (ko) 낙하물에 대한 위험방지 시설물
US20070096006A1 (en) Overhead beam assembly
US3851858A (en) Toeboard
US20050061582A1 (en) Movable and repositionable safety guard rails for scaffolding
GB2571432A (en) Safety barrier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2348243B1 (ko) 거푸집 작업 발판용 지지대
WO2021209931A1 (en) Lift shaft scaffolding and related safety rail installation
GB1572918A (en) Safety scaffolding system providing a safety barrier for workmen
JP6388834B2 (ja) 斜壁用簡易梯子
KR200167125Y1 (ko) 비계설치용 지지구
KR102355983B1 (ko) 건축비계용 안전발판 결합형 연장 작업지지대
CA2624702A1 (en) Overhead beam assembly
CN216810864U (zh) 脚手架工作平台
KR200368372Y1 (ko) 낙하물 방호 구조물
GB2550562A (en) Scaffold
KR20110057704A (ko) 충돌회피 낙하물 방지망
KR20220116886A (ko) 안전고리 걸이대
KR0134732B1 (ko) 원자력발전소용 가설작업대
KR200226552Y1 (ko) 건축물 시공용 작업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