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8275U - 수액투여 종료 감지기 - Google Patents
수액투여 종료 감지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08275U KR20000008275U KR2019980019908U KR19980019908U KR20000008275U KR 20000008275 U KR20000008275 U KR 20000008275U KR 2019980019908 U KR2019980019908 U KR 2019980019908U KR 19980019908 U KR19980019908 U KR 19980019908U KR 20000008275 U KR20000008275 U KR 20000008275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ad
- infusion
- fluid
- container
- sap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액투여 종료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복잡하고 난해한 결합구조를 갖는 종래 수액감지 및 경보수단의 메카니즘(Mechanism)구성을 배재시키고, 접지봉을 갖는 작동간에 의해 수액의 감소량을 직접 감지되게하여 수액감지의 신속성과 함께 정밀성을 부가되도록함과 동시에, 간소화된 구성 및 이의 편리한 조립관계로서 제품양산에 따른 제조원가를 절감되도록 한 수액투여 종료 감지기를 제공함에 있으며,
또 다른 목적으로는 제품의 고장발생시 부분적인 부품의 교체사용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함과 동시에, 특히 용기의 형태(유리병 내지 비닐팩 등)또는 수액의 용량에 따라 하중을 달리하는 수액용기의 종류에 구애받음 없이, 탄력적인 작용관계로서 수액용기의 하중을 배제한 순수한 수액무게만을 설정, 이를 감지할수 있도록하여 사용효율을 증대시킨 수액투여 종료 감지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분할된 형태로 조립구성되는 몸체와, 몸체에 수용되어 상,하 이송동작되는 작동간과, 음향과 발광수단을 구비한 수액감지부로 형성된 수액 투여 종료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일체화된 단일구조로 상,하부면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의 회전걸고리를 갖는 상부덮개와, 하부덮개를 형성시키고, 그 내부로는 수직관통된 구조로서 안내홈을 갖는 작동공과 단락된 구조의 접지단자를 형성시키며, 몸체의 전면으로는 밀폐된 구조의 전원 수용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작동간은 일측으로 상,하이송운동을 안내하는 안내돌기와, 하중조절볼트에 의해 하중값이 설정되는 접지봉과 용기형태에 따라 수액하중을 설정되게하는 눈금판과, 하중변화에 따라 반탄력이 작용하는 압축스프링과, 하단으로 탈부착되는 고정고리를 구비시키므로서 달성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수액투여 종료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병원등에서 환자의 치료를 위해 혈액 또는 링게르 등의 수액투여를 필요로 할 경우, 수액용기를 편리하게 거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투여되는 수액의 감소량을 감지되도록하여 수액투여의 종료시점을 자동으로 경보해 줄수있도록 한 수액투여 종료 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액은 일정용량의 용기내에 충진된 상태로 환자에게 투여되어지는 것이며, 이러한 수액투여는 상당한 시간의 소모를 요하며 이루어지게 되는 것인바, 통상적으로 환자에게 수액을 투여함에 있어서는 도 1로 도시된 바와같이 걸고리(10)를 갖는 설치봉(20)을 형성하여 환자의 침대 등에 고정시킨후, 이 설치봉(20)의 걸고리(10)상에 수액용기(100)를 거치시킨 상태로서 주사바늘을 연결, 환자에게 수액을 투여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같이 이용되고있는 종래의 일반적인 수액 투여수단은 단순히 수액용기를 거치시킴에 그 용도가 한정되는 것으로, 수액투여중 환자 또는 간병인들의 부주의로 인해 수액용기내의 수액감소량을 확인하지 못하여 투여되는 수액을 적절히 차단하지 못하였을 경우, 환자에게 심각한 위험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수액투여의 대상이 중환자일 경우 심지어 그 환자를 사망에 이르게 까지 할수있는 매우 치명적인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것이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수액투여 수단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한 것으로서, 근래에 선출원 공개된(공개번호 특허 제98-13986호) "수액투여 종료 경보장치"가 창안된바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같이 선출원 공개된 수액투여 종료 경보장치는;
수액용기의 하중변화에 따라 동작되는 작동간의 구성이, 고정고리와 일체화된 구조를 갖고, 그 몸체는 분할조립되는 형태로서 내부에 인장스프링을 내설 고정시킨 구조를 갖는 것인바,
이와같은 구조의 작동간은 수액용기를 거치, 사용함에 있어 하중변화에 따른 작동관계가 스프링의 인장복원력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이를 반복적으로 사용할 경우 잦은 인장응력에 의해 저항력이 감소되며 쉽게 탄성 복원력을 상실하게 되므로 수액투여량을 감지함에 있어 많은 오차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을 뿐만 아니라, 작동간 몸체가 분할된 조립형태로서 고정고리와 일체화된 구성을 갖게 되므로 부품 조립에 따른 구성의 난해함과 함께, 간혹 사용자의 부주의로 고정고리가 파손될 경우 부분적인 수리형태를 갖지못하고 작동간 전체의 구성을 폐기시켜햐 하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는 것이었다.
또한, 선원발명으로서의 종래 수액투여 종료 감지장치는 작동간 이외에 구성으로서 탄성 변화에 의해 수액의 감소량을 감지하는 별도의 감지제어부가 형성되어짐에 있어,
상,하 분할된 구조의 하우징과 경보수단설치홈이 형성되고, 이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스위치 작동구와, 경보스위치와, 다수개의 위치검출부재와, 복수개로 분리된 커버수단이 복잡한 조립관계로서 구성되어지는 것인바,
이와같은 감지제어부가 작동됨에 있어서는, 수액감소에 따른 하중의 변화로 팽창된 스프링이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에 의해 작동간을 상승시키게 되고, 이에 상승되는 작동간은 위치검출부재에 걸림되며, 위치검출부재를 상부로 밀어올리게 되고, 이와 동시에 위치검출부재는 재차 스위치작동부로 그 힘을 전달하여 경보스위치와 접촉되게 하므로서 수액의 감소량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전술한 바와같은 구조 및 작용상태를 갖는 종래의 수액투여 종료 감지장치는 감지제어부의 구성이 매우 복잡한 형태로서 다수개의 번잡한 부품결합에 의해 구성되어지는 것으로, 제품생산에 따른 재료의 과다소모와 함께 제작의 난해성으로 제품의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을 뿐만 아니라, 조잡한 조립구성으로 인한 잦은 고장발생의 원인과 함께 고장수리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것이었으며,
특히, 수액의 감소량을 정확하고 정밀하게 측정하여 이에 적절히 대응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 수액투여 종료 감지장치의 주요 기능임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수액투여 종료 감지장치는 작동간에 의해 위치검출부재와 스위치작동부를 밀어올리게 되는 구성을 갖는 것으로, 순수한 수액감소량에 따라서만 인장복원되어야 할 스프링의 힘이 별도의 구성부 작용에 사용되며 저항력을 받게 되므로, 수액의 감소량을 감지함에 있어, 상당한 측정의 오차를 발생시키는 것이었을 뿐만 아니라,
더욱이, 수액은 그 종류에 따라 하중을 달리하는 유리병 내지 비닐팩 등에 충진되어진 것으로, 수액의 감소량을 측정함에 있어서는, 순수한 수액 무게를 제외한 수액이 충진된 용기에 따라 그 하중을 고려하여 이에 적절히 대응할수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수액투여 감지장치는 위치검출부재가 단순히 탄성돌기에 걸림된 상태로서 수액투여량을 설정, 이를 고정되게 한 것인바,
이와같은 구성은 순순한 수액하중 이외에 상당한 자체하중을 갖는 유리병 등의 수액용기를 거치시켰을 경우, 그 하중에 의해 위치검출부재가 설정된 수액투여량 고정상태에서 벗어나며 정밀한 수액투여량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는 등, 상당한 기능상의 문제점을 주는것으로, 구성 및 사용상에 있어 해결하여야 할 매우 많은 과제를 상존시키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선원발명인 종래 수액투여 종료 경보장치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복잡하고 난해한 결합구조를 갖는 종래 수액감지 및 경보수단의 메카니즘(Mechanism)구성을 배재시키고, 접지봉을 갖는 작동간에 의해 수액의 감소량을 직접 감지되게하여 수액감지의 신속성과 함께 정밀성을 부가되도록함과 동시에, 간소화된 구성 및 이의 편리한 조립관계로서 제품양산에 따른 제조원가를 절감되도록 한 수액투여 종료 감지기를 제공함에 있으며,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제품의 고장발생시 부분적인 부품의 교체사용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함과 동시에, 특히 용기의 형태(유리병 내지 비닐팩 등)또는 수액의 용량에 따라 하중을 달리하는 수액용기의 종류에 구애받음 없이, 탄력적인 작용관계로서 수액용기의 하중을 배제한 순수한 수액무게만을 설정, 이를 감지할수 있도록하여 사용효율을 증대시킨 수액투여 종료 감지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분할된 형태로 조립구성되는 몸체와, 몸체에 수용되어 상,하 이송동작되는 작동간과, 음향과 발광수단을 구비한 수액감지부로 형성된 수액 투여 종료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일체화된 단일구조로 상,하부면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의 회전걸고리를 갖는 상부덮개와, 하부덮개를 형성시키고, 그 내부로는 수직관통된 구조로서 안내홈을 갖는 작동공과 단락된 구조의 접지단자를 형성시키며, 몸체의 전면으로는 밀폐된 구조의 전원 수용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작동간은 일측으로 상,하이송운동을 안내하는 안내돌기와, 하중조절볼트에 의해 하중값이 설정되는 접지봉과, 용기형태에 따라 수액하중을 설정되게하는 눈금판과, 하중변화에 따라 반탄력이 작용하는 압축스프링과, 하단으로 탈부착되는 고정고리를 구비시키므로서 달성된다.
도 1은 수액투여를 위한 수액용기의 일반적인 거치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액투여 종료 감지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액투여 종료 감지기의 측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액투여 종료 감지기의 작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액투여 종료 감지기의 하중량 설정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액투여 종료 감지기의 사용상태도.
<도면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상부덮개 3 : 하부덮개
4 : 작동간 5 : 고정고리 11 : 작동공
12 : 커버 13 : 기판 14 : 전원수용홈
15, 15' : 단자홈 21 : 회전걸고리 31 : 통공
32 : 고정홈 33 : 하중조절볼트 34 : 임시고정볼트
35 : 고정공 41 : 접지봉 42 : 접지안내공
43 : 하중조절홈 44 : 헤드 45 : 결합구
46 : 압축스프링 51 : 결합판 111 : 안내홈
151, 151' : 단자 311 : 스프링 걸림턱 431 : 눈금판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수액투여 종료 감지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액투여 종료 감지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액투여 종료 감지기의 측단면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액투여 종료 감지기의 작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액투여 종료 감지기의 하중량 설정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액투여 종료감지기의 사용상태도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몸체(1)와, 상부덮개(2)와, 하부덮개(3)와, 작동간(4)과, 고정고리(5)가 상호 조립관계로 결합되어지므로서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몸체(1)는 일체화된 구조로서 일정한 길이를 갖는 반 원통형의 도형체로 형성되어지는 것인바,
이와같은 몸체(1)의 중앙으로는 도 1내지 도 5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관통된 구조로서 일측면에 안내홈(111)을 갖는 원통형의 작동공(11)을 형성하고, 몸체(1)의 전면으로는 도 1 또는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이 커버(12)에 의해 밀폐되는 구조로서, 후술하는 기판(13)을 장착 수용되게하는 전원수용홈(14)을 형성하며, 전원수용홈(14)의 상단 중앙으로는 수평상태를 취하며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형태로서 복수개의 단자홈(15)(15')을 형성하고, 이러한 각 단자홈(15)(15') 내로는 건전지(B)와의 전원선(L) 연결에 전원을 접속되게 하는 단자(151)(151')를 내설 연장되도록 하여, 도 3의 부분확대 평면도로 도시된 바와같이 작동공(11)의 상부를 이격된 수평상태로 가로지르며 걸쳐진 형태를 취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커버(12)의 배면으로는 경보스피커(M)와, 발광램프(R)와, 전원스위치(S)와 건전지 장착구(J)를 갖는 기판(13)이 부착되는 것으로, 이와같은 기판(13)은 사용중 전원을 공급받기위하여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건전지(B) 장착구(J)내로 건전지(B)를 장착되게 함과 동시에 전원선(L)에 의해 단자(151)(151')와 연결관계를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덮개(2)는 도 1 내지 도 5로 도시된 바와같이 체결나사(N)에 의해 몸체(1)의 상부면으로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상부덮개(2)의 중앙으로는 도 3내지 도 5로 도시된 바와같이 자유회전운동이 가능한 조립형태로서 일측이 개방된 회전걸고리(21)를 힌지결합에 의해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덮개(3)는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이 체결나사(N)에 의해 몸체(1)의 저면으로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하부덮개(3)의 상부면으로는 전술한 작동공(12)과 일치되는 구성으로서 원형의 스프링걸림턱(311)을 갖는 다단구조의 통공(31)을 형성하고, 전면 중앙하단으로는 "∩" 형상의 홈으로서 통공(31)과 일직선으로 연결되게 하는 고정홈(32)을 형성하여 하중조절볼트(33)를 체결되도록 하며, 고정홈(32)과 직교되는 일측면으로는 통공(31)과 수평으로 관통연결되는 구조로서 임시고정볼트(34)가 체결되도록 한 고정공(35)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간(4)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봉상체로 그 내부 중앙으로 도 2또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수직으로 관통된 구조로서 접지봉(41)이 내설되는 접지안내공(42)을 형성하며, 작동간(4) 본체의 전면 하단으로는 일정한 길이로 절개되며 접지안내공(42)과 관통 연결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중조절홈(43)을 형성하고, 하중조절홈(43)의 전면으로는 독립된 결합구성으로서 수액용기의 하중 설정눈금이 표시된 판상체의 눈금판(431)을 형성하며, 작동간(4)의 상단부로는 단턱구성에 의해 그 직경을 작동간(4)의 본체 보다 다소 크게하며 일측으로 직사각체의 안내돌기(441)를 갖도록 한 헤드(44)를 형성하고, 작동간(4)의 하부, 즉 하중조절홈(43)의 하단으로는 도 2 또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공(P)을 갖는 결합구(45)를 형성하며, 작동간(4) 외측면으로는 압축스프링(46)을 형성 결합되도록 하여, 압축스프링(46)에 의해 작동간(4) 전면이 감착된 구조를 취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접지봉(41)은 접지안내공(42)내로 슬라이딩 삽입고정되는 구조로서, 접지봉(41)의 하단으로 체결공(P')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를 고정하기위한 수단으로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은 별도의 하중조절볼트(33)를 구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고리(5)는 도 2 또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결합판(51)과 일체화된 구성을 갖으며 일측이 상향 개방된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 결합판(51)의 상부면 중앙으로는 체결공(P")을 갖는 결합공(511)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수액투여 종료 감지기의 상호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몸체(1)의 상부면으로 상부덮개(2)가 체결나사(N)에 의해 고정 결합되고, 전원 수용홈(14)으로는 건전지(B)를 장착한 기판(13)이 커버(12)에 의해 수용 결합되며, 몸체(1)의 저면을 통한 작동공(11)내로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눈금판(431)이 결합된 접지봉(41)과 압축스프링(46)을 구비한 작동간(4)이 수용 결합되어지는 것으로, 이때 작동공(11)내로 수용되는 작동간(4)에 있어, 안내돌기(441)는 작동공(11)의 안내홈(111)내로 결합되어지므로서 작동간(11)에 고정력을 부여하며 상, 하 이송운동을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작동공(11)내로 작동간(4)이 수용된 상태에서 몸체(1)의 저면으로는 하부덮개(3)가 체결나사(N)에 의해 결합하게되는 것인바, 이때 하부덮개(3)의 결합에 의해 작동간(4)은 작동공(11)내에 완전수용된 상태로서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압축스프링(46)을 작동간(4)의 헤드(44)와 하부덮개(3)의 스프링걸림턱(311)에 고정되어지게 하고, 이후 하부덮개(3)의 통공(31)으로는 작동간(4)의 끝단부인 결합구(45)가 일정길이 돌출되며, 이 결합구(45)로 고정고리(5)가 결합공(511)에 의한 체결로서 조립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이와같은 결합상태에서 하부덮개(3)의 고정홈(32)으로는 하중조절볼트(33)가 삽입되어,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작동공(11)내에 수용된 작동간(4)의 하중조절홈(43)과 접지봉(41)을 연결고정시키게 되고, 이때 하중조절홈(43)과 접지봉(41)에 고정력을 부여한 하중조절볼트(33)의 머리부분은 고정홈(32)에 걸림되는 구조로서, 이와 연결된 접지봉(41)을 항상 단자(151)(151')와 접지된 상태로 고정되게 하므로 완성된 물품으로서의 수액투여 종료 감지기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조립구성을 갖는 수액투여 종료 감지기의 사용 및 그에 따른 상호 기능작용으로는;
먼저, 도 6의 사용상태도로 도시된 바와같이 회전걸고리(21)를 이용하여, 환자의 침대 등에 설치된 거치대에 본 고안의 수액투여 종료 감지기를 거치시키게 된다.
이후, 고정고리(5)상에 수액이 충진된 용기(100)를 연결시키게 되면,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작동간(4)은 하부덮개(3)의 통공(31)을 통해 수액의 하중만큼 인장 돌출되어지며 작동공(11)내의 압축스프링(46)을 압축되게 한다.
이때, 고정고리(5)로 수액용기(100)가 연결, 사용되기전, 접지봉(41)은 항상 복수개로 이격 구성된 단자(151)(151')를 상호 연결시키며 전원을 통전시키는 구성을 갖게 되는 것인바, 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원스위치(S)를 오프(off)상태로 하여 전원 차단에 의한 불필요한 경보음 또는 발광 작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으로, 이에 수액용기(100)의 연결하중에 의해 작동간(4)이 인출되고, 따라서 접지봉(41)이 단자(161)(161')와의 연결상태가 해제 되어지게 되면 전원스위치(S)를 온(on)상태로 조작하여 수액투여량의 감지를 위한 작동을 실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이 수액용기(100)가 고정고리(5)에 거치된 상태에서 환자에게 수액이 투여되면 용기내의 수액 감소에 따라 하중 또한 감소하게 되고, 이에 수액의 감소하중만큼 압축스프링(46)은 반탄력을 작용하며 작동공(11) 내에서 작동간(4)을 서서히 상승되게 함과 동시에 접지봉(41) 또한 원상태의 위치로 복원시키며, 이격구성된 단자(151)(151')와 접지연결되게하여 전원 통전에 의한 스피커(M)의 경보음과 발광램프(R)의 빛을 발산되어지게 하므로서 수액투여의 종료시점을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투여되는 수액은 수액의 용량 및 수액용기(100)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하중량을 갖으며 고정고리(5)에 거치되어지는 것으로서, 비닐팩등 용기 자체 하중량이 미약한 수액용기(100)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별다른 조작관계를 필요치 않으나, 특히 유리병등 그 중량이 다소 과다한 수액용기(100)를 사용할 경우에는;
도 5로 도시된 바와같이 먼저 고정고리(5)를 이용, 수동에 의해 작동간(4)을 강제 인출시킨후, 임시고정볼트(34)를 조임되게하여 작동간(4)을 고정시킨다.
이에, 작동간(4)이 인출고정된 상태에서 하중조절볼트(33)를 풀림되게한후,
도 5로 도시된 바와같이 용기(100)의 하중을 배재시킨 순순한 수액하중의 설정값에 따라 하중조절볼트(33)를 하중조절홈(43)내에서 상,하 조절시키게 되면, 접지봉(41)과 눈금판(431) 또한 하중조절볼트에 의해 상, 하 위치조절되는 것이며, 이에 하중값이 설정된 위치에서 하중조절볼트(33)를 재 조임시키게 되면, 접지봉(41)과 눈금판(431)은 설정된 작동간(4)의 하중값에 위치 고정된 상태를 취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눈금판(431)에 의해 하중값이 설정된 상태에서 임시고정볼트(34)의 고정력을 해제시키게 되면, 작동간(4)은 하중조절볼트(33)에 의해 걸림되며 도 5로 도시된 바와같이 용기의 하중만큼 돌출 인장된 상태를 취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상태로 수액용기(100)를 고정고리(5)상에 거치시키게 되면 작동간(4) 및 접지봉(41)은 순수한 수액의 하중변화에만 작용되며 정밀한 수액투여의 완료시점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용관계로서의 기능이외에 것으로 회전걸고리(21)는 도 3내지 도 5로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덮개(2)와의 힌지결합에 의해 자유로운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므로서, 침대 등에 설치된 거치대의 구성형태에 구애받은 없이 항상 전면을 향한 안정된 설치구조로서 수액투여 종료 감지기를 거치되게 하는 기능을 갖게 되는 것이며, 눈금판(431)의 치수는 수액의 하중량을 설정, 식별되게 하는 기능으로서 이는, 수액용량 및 용기에 따라 압축스프링(46)이 작용될수 있는 계측량을 이미 설정 계산하여 놓은 하중량의 측정치수인 것이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수액투여 종료 감지기는, 접지봉을 갖는 작동간과 접지봉에 의해 전원이 단속되는 단자를 구비하여, 압축스프링의 반탄력에 의한 작동간의 상,하 이송작동에 따른 접지봉과 단자의 접지로서 수액의 감소량을 직접 감지되게하므로서 수액감지의 신속성과 함께 정밀성을 부가되도록함과 동시에, 간소화된 구성 및 편리한 조립관계로서 제품양산에 따른 제조원가를 절감되도록 하였을뿐만 아니라,
몸체와 이에 수용되는 작동간 및 접지봉과, 상부덮개, 하부덮개를 각 독립적이고 간소화된 형태로 분할구성시키므로서 제품의 고장발생시 부분적인 부품의 교체사용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였으며,
특히, 하중조절볼트에 의한 눈금판과 접지봉의 하중작용 설정으로 용기의 형태(유리병 내지 비닐팩 등)또는 수액의 용량에 따라 하중을 달리하는 수액용기의 종류에 구애받음 없이, 탄력적인 작용관계로서 수액용기의 하중을 배제한 순수한 수액무게만을 설정, 이를 감지할수 있도록하여 감지기능의 정확성과 함께 사용효율을 증대시킨 것으로 사용자에게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 분할된 형태로 조립구성되는 몸체(1)와, 몸체(1)에 수용되어 상,하 이송동작되는 작동간(4)과, 음향과 발광수단을 구비한 수액감지부로 형성된 수액 투여 종료 감지장치에 있어서,상기, 몸체(1)는 일체화된 단일구조로 상,하부면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의 회전걸고리(21)를 갖는 상부덮개(2)와, 통공(31)과, 스프링 걸림턱(311)과, 임시고정볼트(34)를 갖는 하부덮개(3)를 형성하고, 그 내부로는 수직관통된 구조로서 안내홈(111)을 갖는 작동공(11)과, 상호 이격된 복수개의 단자(151)(151')를 형성하며, 몸체(1)의 전면으로는 밀폐된 구조의 전원 수용홈(14)을 형성하며,상기, 작동간(4)은 일측으로 상,하 이송운동을 안내하는 안내돌기(441)와, 하중조절볼트(33)에 의해 하중값이 설정되는 접지봉(41)과, 용기형태에 따라 수액하중을 설정되게하는 눈금판(431)과, 하중변화에 따라 반탄력이 작용하는 압축스프링(46)을 형성하고, 그 작동간(4)의 하단으로 탈부착 가능한 고정고리(5)를 결합 형성하여,이에, 작동공(11)내에 수용된 작동간(4) 상승에 따른 접지봉(41)과 단자(151)(151')의 접속으로 수액의 감소량을 감지, 경보할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투여 종료 감지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19908U KR20000008275U (ko) | 1998-10-17 | 1998-10-17 | 수액투여 종료 감지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19908U KR20000008275U (ko) | 1998-10-17 | 1998-10-17 | 수액투여 종료 감지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08275U true KR20000008275U (ko) | 2000-05-15 |
Family
ID=69709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19908U KR20000008275U (ko) | 1998-10-17 | 1998-10-17 | 수액투여 종료 감지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00008275U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3363B1 (ko) * | 2000-10-28 | 2005-03-07 | 김용년 | 액체공급장치 |
CN107929857A (zh) * | 2017-12-05 | 2018-04-20 | 温州市中心医院 | 一种护理用悬挂装置 |
CN114404731A (zh) * | 2021-12-17 | 2022-04-29 | 徐州市科健高新技术有限公司 | 一种医疗用自动控制的输液装置 |
KR20230073810A (ko) | 2021-11-19 | 2023-05-26 | 윤강노 | 링거용 수액투여 종료시점 알림장치 |
-
1998
- 1998-10-17 KR KR2019980019908U patent/KR20000008275U/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3363B1 (ko) * | 2000-10-28 | 2005-03-07 | 김용년 | 액체공급장치 |
CN107929857A (zh) * | 2017-12-05 | 2018-04-20 | 温州市中心医院 | 一种护理用悬挂装置 |
CN107929857B (zh) * | 2017-12-05 | 2024-03-22 | 温州市中心医院 | 一种护理用悬挂装置 |
KR20230073810A (ko) | 2021-11-19 | 2023-05-26 | 윤강노 | 링거용 수액투여 종료시점 알림장치 |
CN114404731A (zh) * | 2021-12-17 | 2022-04-29 | 徐州市科健高新技术有限公司 | 一种医疗用自动控制的输液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92690B2 (en) | Infusion pump including syringe sensing | |
US4627835A (en) | Tubing assembly for infusion device | |
US4367736A (en) | System for detecting bubble formation in clear and opaque fluids | |
US4038982A (en) | Electrically controlled intravenous infusion set | |
US5250027A (en) | Peristaltic infusion device with backpack sensor | |
CA1319063C (en) | Pressure diaphragm for a medication infusion system | |
US6690280B2 (en) | Apparatus and process for infusion monitoring | |
US5647854A (en) | Base plate for a drug pump | |
JPH10502432A (ja) | 注入ポンプ用連動ラッチ保持機構 | |
CA2301534A1 (en) | An infusion pump system and an infusion pump unit | |
BR112014029240B1 (pt) | Dispositivo de injeção | |
JPS6236704B2 (ko) | ||
KR20000008275U (ko) | 수액투여 종료 감지기 | |
KR200409394Y1 (ko) | 링거액 감시기 | |
KR20210009338A (ko) | 주사기 위치 안내 특징 및 폐색 검출을 갖는 주사기 펌프 | |
US20090301481A1 (en) | Medicant dispenser, and a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dispensing of a medicant from a dispenser | |
KR101297661B1 (ko) | 시린지 펌프 시뮬레이터 | |
JP2011206082A (ja) | 点滴計測用センサおよび点滴計測装置 | |
KR100197545B1 (ko) | 수액 투여종료 경보장치 | |
JP2005052367A (ja) | シリンジポンプ | |
AU2008200838B2 (en) | Infusion pump | |
JPH1147270A (ja) | 点滴薬液の残量検知装置 | |
KR20210112693A (ko) | 링거액 소진 감지가 가능한 점적통 | |
GB2586285A (en) | Dripping sensor for medical intravenous dripping infusion solution | |
KR20040002029A (ko) | 링거액 감지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