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7531A - 차량용 시트 벨트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벨트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7531A
KR20000007531A KR1019980026909A KR19980026909A KR20000007531A KR 20000007531 A KR20000007531 A KR 20000007531A KR 1019980026909 A KR1019980026909 A KR 1019980026909A KR 19980026909 A KR19980026909 A KR 19980026909A KR 20000007531 A KR20000007531 A KR 20000007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guide
guide groove
spr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6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1954B1 (ko
Inventor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정몽훈
주식회사 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훈, 주식회사 성우 filed Critical 정몽훈
Priority to KR1019980026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1954B1/ko
Publication of KR20000007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9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07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46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벨트를 고정하는 버클에 가이드 홈을 지닌 프레임을 설치함과 동시에, 가이드 홈에 삽입된 텅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서포트 브라켓을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하고, 스토퍼를 밀어 올려 텅을 분리시키는 버튼에는 자체 탄성력을 지닌 러그를 형성하여 리턴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의 차량용 시트 벨트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체결장치는 커버(100)에 내장되며 제 1가이드 홈(112) 및 가이드 슬릿(114)을 지닌 프레임(110)과, 제 1스프링(124)에 의해 탄성 가압된 상태로 제 1가이드 홈(112)을 따라 미끄럼 이동되는 슬라이더(120)와, 제 1가이드 홈(112)이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 2가이드 홈(135)을 지니며 전방에는 가이드부(132)가 형성되어 있고 후방단에는 스위치 단자(176)가 결합되는 서포트 브라켓(130)과, 제 2스프링(148)에 의해 탄성 가압된 상태로 제 2가이드 홈(135)을 따라 상하로 미끄럼 이동되는 것으로 하단에는 텅(170)의 걸림홈(172)에 삽입되는 걸림단부(146)를 지니며 상부에는 경사단부(144)가 형성된 스토퍼(140)와, 경사단부(144)와 미끄럼 접촉되어 경사부(159) 및 프레임(110)에 형성된 가이드 슬릿(114)을 따라 미끄럼 이동되는 가이드 돌기(156)를 지닌 버튼(15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벨트 체결장치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벨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벨트를 고정하는 버클에 가이드 홈을 지닌 프레임을 설치함과 동시에, 가이드 홈에 삽입된 텅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서포트 브라켓을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하고, 스토퍼를 밀어 올려 텅을 분리시키는 버튼에는 자체 탄성력을 지닌 러그를 형성하여 리턴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의 차량용 시트 벨트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에는 충돌 사고시에 탑승자가 충격으로 인해서 외부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트 벨트가 설치되어 있다. 대부분의 차량에서 채용하고 있는 3점식 시트 벨트의 일단은 리트렉터에 의해서 인출 가능하게 차체 고정되며, 타단에는 텅이 끼워져 있다. 이 텅은 차체에 부착된 버클에 삽입되어 시트 벨트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한 도 1을 참고로 종래의 차량용 시트벨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시트 벨트 체결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 (a)는 텅이 삽입된 상태, (b)는 텅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시트 벨트 체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외부 케이스를 형성하고 있는 커버(12)와, 일단에는 클립(16)을 개재하여 힌지핀(14)에 의해 스트랩(18)이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텅(22)이 삽입되는 가이드 홈(20)이 형성된 프레임(10)과, 이 프레임(10)과 직각으로 배치되어 스프링(28)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상하 이동하는 스토퍼(30)와, 경사단부(34)를 통해서 스토퍼(30)를 밀어 올려 텅(22)을 가이드 홈(2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릴리스 버튼(32)으로 이루어져 있다. 텅(22)에 형성된 결합홈(26)에는 웨빙(24)이 끼워져 있다. 또한, 릴리스 버튼(32)의 작동시에 스프링에 의해 버튼을 가압하기 위한 릴리스 레버(40)가 힌지핀(42)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체결장치에 있어서, 시트 벨트의 체결시에 가이드 홈(20)에 텅(22)을 삽입하게 되면, 스토퍼(30)가 스프링(28)을 압축하면서 상승된 후에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가 텅(22)의 걸림홈에 삽입됨으로써 웨빙(24)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에, 텅(22)을 분리하기 위해 릴리스 버튼(32)을 누르게 되면, 버튼이 전진함에 따라서 그의 경사단부에 의해서 스토퍼(30)가 상승하면서 걸림홈으로부터 빠져 나옴과 동시에, 텅(22)은 스프링(36)과 릴리스 레버(40)의 가압 작용으로 화살표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20)으로부터 신속하게 분리된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차량용 시트 벨트 체결장치에서는 시트 벨트의 해제시에 가이드 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텅을 밀어 주는 구조가 릴리스 버튼과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서, 이를 밀어주기 위한 별도의 릴리스 레버가 필요하므로 복잡한 구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스트랩은 힌지핀에 의해서 프레임의 일단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유동이 제지됨으로써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구속감이 큰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텅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제 1가이드 홈과 버튼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 슬릿을 지닌 프레임을 배치함과 동시에, 텅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스토퍼가 상하로 미끄럼 이동되도록 구성하여 작동성을 향상시킨 시트벨트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이드 홈이 구비된 프레임의 후단에 힌지핀을 이용하여 스트랩을 유동할 수 있도록 고정함으로써 시트 벨트의 착용시에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구속감을 줄일 수 있는 시트벨트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리턴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도 릴리스 버튼에 복원력을 줄 수 있도록 구성하여 구조를 단순화시킨 시트벨트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시트 벨트 체결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 (a)는 텅이 삽입된 상태, (b)는 텅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 체결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과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서 채용한 스트랩의 분리 및 결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 내지 도 7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 체결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로, 도 5는 텅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 도 6은 텅이 삽입된 상태, 도 7은 버튼이 눌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제 1가이드 홈 114:가이드 슬릿
120:슬라이더 122:돌기
124:제 1스프링 130:서포트 브라켓
132:가이드 부 135:제 2가이드 홈
140:스토퍼 142:수납홈
144:경사단부 146:걸림단부
148:제 2스프링 150:릴리스 버튼
154:러그 160:힌지핀
162:핀 스프링 164:스트랩
170:텅 172:걸림홈
174:웨빙 176:스위치 단자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버에 내장되며 제 1가이드 홈 및 가이드 슬릿을 지닌 프레임과, 제 1스프링에 의해 탄성 가압된 상태로 제 1가이드 홈을 따라 미끄럼 이동되는 슬라이더와, 제 1가이드 홈이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 2가이드 홈을 지니며 전방에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고 후방단에는 스위치 단자가 결합되는 서포트 브라켓과, 제 2스프링에 의해 탄성 가압된 상태로 제 2가이드 홈을 따라 상하로 미끄럼 이동되는 것으로 하단에는 텅의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단부를 지니며 상부에는 경사단부가 형성된 스토퍼와, 경사단부와 미끄럼 접촉되어 경사부 및 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 슬릿을 따라 미끄럼 이동되는 가이드 돌기를 지닌 버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벨트 체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레임의 후방에 형성된 핀홀에는 핀 스프링에 의해 탄성 가압된 상태로 힌지핀이 삽입되며, 이 힌지핀의 외주부에는 스트랩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벨트 체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튼에는 상기 서포트 브라켓의 가이드부를 따라 미끄럼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탄성력이 저장되며, 이 버튼의 분리시에는 저장된 탄성에너지에 의해 리턴되는 러그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벨트 체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벨트 체결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 1에서 설명한 종래의 구조와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 체결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과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서 채용한 스트랩의 분리 및 결합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먼저, 도 2에 분리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 체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일단은 스트랩(164)에 의해 차체에 고정되며 타단에는 텅(170)이 삽입되는 커버(100)와, 이 커버(100)에 내장되는 것으로 상기 텅(170)이 끼워지는 제 1가이드 홈(112)이 형성된 프레임(110)과, 이 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 1가이드 홈(112)과 대략, 직각으로 배치된 제 2가이드 홈(135)을 지닌 서포트 브라켓(130)과, 이 서포트 브라켓(130)의 제 2가이드 홈(135)을 따라 상하 이동되면서 텅(170)의 걸림홈(172)에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작용하는 스토퍼(140)와, 스토퍼(140)를 상승시켜 텅(170)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릴리스 버튼(150)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프레임(110)의 제 1가이드 홈(112)에는 텅(170)에 의해 가압되어 미끄럼 이동하는 슬라이더(120)가 끼워져 있다. 슬라이더(120)의 후단부에는 시트벨트의 해제시에 슬라이더(120)를 밀어 제 1가이드 홈(112)으로부터 텅(170)이 분리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1스프링(124)이 끼워져 있다. 코일 스프링 형태인 제 1스프링(124)의 전방단은 슬라이더(120)의 후면에 형성된 돌기(122)에 결합되어 있으며, 후방단은 프레임(110)에 형성된 삽입홈(138)에 끼워져 있어 슬라이더(120)를 전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참고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전방단이라 함은 텅(170)이 끼워지는 쪽을 말하며, 하방단이라 함은 그 반대쪽으로 스트랩이 결합되는 쪽을 말한다.
슬라이더(120)의 상단면 양측부에는 제 1가이드 홈(112)을 규정하는 상부레일(112a)이 폭방향으로 끼워지는 윙(120a)이 형성되어 있다. 양 윙(120a)의 중간지점에는 스톱돌기(126)가 형성되어 있어 슬라이더(120)가 제 1가이드 홈(112)에서 완전히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제지한다. 슬라이더(120)가 더욱 원활하게 미끄럼 이동하도록 지지하기 위해서 프레임(110)의 하부에는 지지돌기(112b)를 형성하여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프레임(110)에는 서포트 브라켓(130)에 형성된 고정돌기(136)가 삽입되는 고정구멍(116)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단에는 힌지핀(160)이 삽입되는 핀홀(118)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서포트 브라켓(130)에는 제 2스프링(148)의 상단을 끼우기 위한 돌기(134)가 형성되어 있다. 제 2스프링(148)의 하단은 스토퍼(140)의 수납홈(142)에 안착되어 있다. 또한, 전방단에는 릴리스 버튼(150)에 형성된 러그(154)가 밀착된 상태로 미끄럼 이동하는 가이드부(132)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단에는 스위치 단자(176)가 끼워지는 장착홈(139)이 형성되어 있다.
제 2스프링(148)을 개재하여 서포트 프레임(110)의 제 2가이드 홈(도 5의 148)에 수직상태로 끼워져 상하 이동하는 스토퍼(140)의 하단에는 텅(170)의 걸림홈(172)에 삽입되어 그의 이탈을 제지하는 걸림단부(14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의 양측면에는 경사단부(14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부(159)는 다음에 설명할 릴리스 버튼(150)의 경사부(159)와 미끄럼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채용한 릴리스 버튼(150)의 전방단에는 누름부(15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누름부(152)의 후방 하측에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러그(15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방단에는 프레임(110)의 상부 레일(112a)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면서 릴리스 버튼(150)이 길이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바(15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릴리스 버튼(150)의 내측 양단면에는 상기 스토퍼(140)의 경사단부(144)와 미끄럼 접촉하면서 제 2스프링(148)을 밀어 올리는 경사부(159)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서 채용한 스트랩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분리 및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의 후단에는 핀홀(11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핀홀(118)에는 힌지핀(160)이 삽입된다. 힌지핀(160)에는 핀 스프링(162)이 끼워지며, 스트랩(164)에 형성된 장착공(164a)이 힌지핀(160)에 결합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스트랩(164)은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스트랩(164)은 프레임(110)의 후단에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성을 지닌 시트 벨트 체결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 체결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로, 도 5는 텅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 도 6은 텅이 삽입된 상태, 도 7은 버튼이 눌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벨트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커버(100)의 내부에 내장된 프레임(110)의 제 1가이드 홈(112)에는 제 1스프링(124)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슬라이더(120)가 끼워져 있다. 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된 서포트 브라켓(130)의 제 2가이드 홈(135)에는 제 2스프링(148)에 의해 스토퍼(140)가 하방으로 가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웨빙(174)이 결합되어 있는 텅(170)을 제 1가이드 홈(112)에 삽입하게 되면, 텅(170)의 선단부에 의해 슬라이더(120)가 가압되기 시작하며, 슬라이더(120)의 가압에 따라 제 1스프링(124)이 압축되기 시작한다. 이때, 스토퍼(140)의 걸림단부(146)는 텅(170)에 형성된 걸림홈(172)을 따라 제 2스프링(148)의 초기 압축상태에서 해제된다. 텅(170)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하게 삽입되면, 스토퍼(140)는 제 2스프링(148)에 압축되어 있던 탄성력에 의해서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하단의 걸림단부가 텅(170)의 걸림홈(172)에 삽입됨으로써, 텅(170)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에, 시트벨트를 해제하기 위해 릴리스 버튼(150)을 누르게 되면, 러그(159)는 서포트 프레임(110)의 전방 가이드부(132)를 타고 올라가면서 압축됨과 동시에, 스토퍼(140)의 경사단부(144)가 릴리스 버튼(150)의 경사부(159)를 타고 올라가는 과정에서 제 2스프링(148)이 다시 한번 압축되면서 걸림홈(172)에 삽입되어 있던 걸림단부(146)가 이탈하게 된다. 이때, 슬라이더(120)는 제 1스프링(124)에 저장되어 있던 탄성력에 의해서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텅(170)을 가압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가이드 홈(112)으로부터 분리시킨다.
텅(170)이 분리된 다음에, 릴리스 버튼(150)은 가압시에 러그(159)에 저장되어 있던 탄성력에 의해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스토퍼(140)는 제 2스프링(148)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슬라이더(120)는 제 1스프링(124)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며, 스톱돌기(126)에 의해 더 이상 전진하지 않고 멈추게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벨트를 고정하는 버클에 가이드 홈과 가이드 슬릿을 지닌 프레임을 설치하여 텅의 길이방향 이동을 원활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릴리스 버튼의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힌지핀을 이용하여 스트랩을 전후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구속감을 줄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릴리스 버튼에는 자체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러그를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리턴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아도 적절히 리턴되도록 구성하여 구조를 단순화시킨 이점이 있다.
그 밖에도, 코일 스프링에 의해 가압된 상태의 스토퍼가 서포트 프레임에 형성된 제 2가이드 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기 때문에 작동성이 좋으며, 텅을 구속하고 있는 가압력의 증대로 시트벨트의 체결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커버(100)에 내장되며 제 1가이드 홈(112) 및 가이드 슬릿(114)을 지닌 프레임(110)과,
    제 1스프링(124)에 의해 탄성 가압된 상태로 상기 제 1가이드 홈(112)을 따라 미끄럼 이동되는 슬라이더(120)와,
    상기 제 1가이드 홈(112)가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 2가이드 홈(135)을 지니며 전방에는 가이드부(132)가 형성되어 있고 후방단에는 스위치 단자(176)가 결합되는 서포트 브라켓(130)과,
    제 2스프링(148)에 의해 탄성 가압된 상태로 상기 제 2가이드 홈(135)을 따라 상하로 미끄럼 이동되는 것으로 하단에는 텅(170)의 걸림홈(172)에 삽입되는 걸림단부(146)를 지니며 상부에는 경사단부(144)가 형성된 스토퍼(140)와,
    상기 경사단부(144)와 미끄럼 접촉되어 경사부(159) 및 상기 프레임(110)에 형성된 가이드 슬릿(114)을 따라 미끄럼 이동되는 가이드 돌기(156)를 지닌 버튼(1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벨트 체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의 후방에 형성된 핀홀(118)에는 핀 스프링(162)에 의해 탄성 가압된 상태로 힌지핀(160)가 삽입되며, 이 힌지핀(160)의 외주부에는 스트랩(164)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벨트 체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150)에는 상기 서포트 브라켓(130)의 가이드부(132)를 따라 미끄럼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탄성력이 저장되며, 이 버튼(150)의 분리시에는 저장된 탄성에너지에 의해 리턴되는 러그(159)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벨트 체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버튼(150)의 후방단에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110)의 상부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되면서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바(158)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벨트 체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프레임(110)에는 고정구멍(1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서포트 브라켓(130)에는 상기 고정구멍(116)에 끼워 맞춤되는 고정돌기(136)가 형성된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벨트 체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스프링(148)은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벨트 체결장치.
KR1019980026909A 1998-07-03 1998-07-03 차량용 시트 벨트 체결장치 KR100271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6909A KR100271954B1 (ko) 1998-07-03 1998-07-03 차량용 시트 벨트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6909A KR100271954B1 (ko) 1998-07-03 1998-07-03 차량용 시트 벨트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531A true KR20000007531A (ko) 2000-02-07
KR100271954B1 KR100271954B1 (ko) 2001-04-02

Family

ID=19543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6909A KR100271954B1 (ko) 1998-07-03 1998-07-03 차량용 시트 벨트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19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795A (ko) * 2001-11-05 2003-05-16 강진희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용 버클 조립체 및 그 프레임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704B1 (ko) * 2010-11-12 2013-0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밸트 버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795A (ko) * 2001-11-05 2003-05-16 강진희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용 버클 조립체 및 그 프레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1954B1 (ko) 200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80442B1 (en) Anti-cinch seat belt system
US5567007A (en) Infant safety seat
US6908155B1 (en) Vehicle seat
US7331609B2 (en) Adjustment structure of seat belt device in vehicle
CN100475602C (zh) 具有用背板实现的靠背的后座
US5280959A (en) Shoulder adjuster
US4550474A (en) Safety belt buckle
US5023980A (en) Free running cinching latch plate
JP2726017B2 (ja) シートベルトバックル
US6266855B1 (en) Seat belt buckle
KR20210000400U (ko) Isofix 리테이닝 이중 로킹 메커니즘
KR100271954B1 (ko) 차량용 시트 벨트 체결장치
US7520034B2 (en) Seat belt device
US4310954A (en) Buckle
JP6383090B2 (ja) シートベルトバックル装置及びシステム
EP0959707B1 (en) Buckle
US6370742B1 (en) Buckle with movement prevention device
EP0318127A2 (en) A safety belt arrangement
KR100285046B1 (ko) 시트 벨트 체결장치
CN219249368U (zh) 一种安全带锁舌
KR100635866B1 (ko) 시트체가 곡선운동이 유도되는 유아용 자동차 안전시트
CN211166546U (zh) 一种儿童安全座椅
CN209788674U (zh) 一种锁扣装置以及座椅安全带装置
KR100221191B1 (ko) 차량용 시트벨트 버클
US3555631A (en) Buckle device of safety be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