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7441A - V5.2 interface device in full electronic switching system - Google Patents

V5.2 interface device in full electronic switch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7441A
KR20000007441A KR1019980026786A KR19980026786A KR20000007441A KR 20000007441 A KR20000007441 A KR 20000007441A KR 1019980026786 A KR1019980026786 A KR 1019980026786A KR 19980026786 A KR19980026786 A KR 19980026786A KR 20000007441 A KR20000007441 A KR 20000007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nk
processor unit
protocol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67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정욱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80026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7441A/en
Publication of KR20000007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441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3Protocol definition or spec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8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dynamic selection of recovery network elements, e.g. replacement by the most appropriate element afte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15Interconnection of switching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3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physical layer [OSI layer 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4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data link layer [OSI layer 2], e.g. HDL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5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network layer [OSI layer 3], e.g. X.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PURPOSE: A device is provided to interface using a V5.2 interface protocol between various access networks accepting PSTN/ISDN subscribers of a remote place and a full electronic switching system. CONSTITUTION: The device comprises: a V5.2 E1 link matching unit(251) to perform a class 1 function and a class 2 function of a V5.2 protocol by interfacing by an access network and a physical E1 link; a main process unit(253) to manage a national protocol entity and a bearer channel allotment among a class 3 function of the V5.2 protocol; a telephony process unit(254) to interface between a class 3 message and the main process unit(253).

Description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V5.2 인터페이스 장치(A V5.2 interface unit in a digital switching system)A V5.2 interface unit in a digital switching system

본 발명은 V5.2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전자 교환기에 설치되어, V5.2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접근망(Access Network)과 전전자 교환기 사이를 인터페이스 시켜 주는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V5.2 인터페이스 장치(이하에 V5.2 인터페이스 장치라 한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5.2 interfac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5.2 in an all-electronic exchange that is installed in the all-electronic exchange and interfaces between an access network and the all-electronic exchange using the V5.2 interface protocol. Interface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V5.2 interface device).

도 1은 V5.2 인터페이스에 대한 물리적 형태도로서, 전전자 교환기(200)는 V5.2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각 접근망(100)과 인터페이스 한다.FIG. 1 is a physical diagram of a V5.2 interface. The electronic switch 200 interfaces with each access network 100 using the V5.2 protocol.

V5.2 인터페이스는 ITU-T 권고안 G.965에 규정된 것으로서, 접근망(100)과 전전자 교환기(200) 사이에서 계층 1로부터 계층 3 까지의 표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시그널링(signaling) 프로토콜이며, 광 가입자 장치나 WLL(Wireless Local Loop), PBX(Private Branch Exchange), 기타 원격지의 PSTN/ISDN 가입자를 수용하는 다양한 접근망(100)을 전전자 교환기(200)에 수용할 수 있는 개방형 인터페이스이다.The V5.2 interface, defined in ITU-T Recommendation G.965, is a signaling protocol that provides a standard interface from layer 1 to layer 3 between the access network 100 and the electronic switchgear 200. It is an open interface capable of accommodating a variety of access networks 100 for accommodating subscriber devices, wireless local loops (WLLs), private branch exchanges (PBXs), and other remote PSTN / ISDN subscribers.

이러한 V5.2 인터페이스는 1묶음 당, 최대 16개까지의 E1(2.048Mbps) 링크를 가지며, 각각의 E1 링크 당, 32개의 타임슬롯이 할당된다. 각 E1 링크의 타임슬롯 15, 16, 및 31은 물리적인 통신채널로 사용 가능하고, 물리적 통신채널로 할당되지 않은 타임슬롯은 베어러 채널로 사용할 수 있으며, 첫 번째 및 두 번째 링크의 채널 16은 보호 프로토콜을 포함한다.This V5.2 interface has up to 16 E1 (2.048 Mbps) links per bundle, and 32 timeslots are assigned to each E1 link. Time slots 15, 16, and 31 of each E1 link can be used as physical communication channels, timeslots not assigned to a physical communication channel can be used as bearer channels, and channel 16 on the first and second links is protected. Include a protocol.

도 2는 V5.2 인터페이스의 기능적 모델에 관한 개요도로서, V5.2 인터페이스의 계층 3 프로토콜은 PSTN 시그널링(signaling) 프로토콜, 제어 프로토콜, 링크 제어 프로토콜, 보호 프로토콜, 및 베어러 채널 프로토콜로 구성된다.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unctional model of the V5.2 interface, wherein the layer 3 protocol of the V5.2 interface is composed of a PSTN signaling protocol, a control protocol, a link control protocol, a protection protocol, and a bearer channel protocol.

여기서 PSTN 시그널링 프로토콜은 PSTN 사용자 포트들의 시그널링 정보를 양 방향으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며, 제어 프로토콜은 사용자 포트 상태 변화와 사용자 포트 제어를 위한 정보, 2.048Mbits/sec 링크(E1 링크)의 프레임 할당, 멀티프레임 할당, 경보 감시 및 CRC에 관한 제어정보, 계층 2 링크의 제어와 PSTN 시그널링을 이동시키기 위한 정보, 및 일반적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비져닝의 동기화와 재시동 능력을 제어하는 정보에 관한 것이다.Here, the PSTN signaling protocol is for transmitting signaling information of PSTN user ports in both directions, and the control protocol is information for changing user port status and user port control, frame allocation of 2.048 Mbits / sec link (E1 link), and multiframe. Control information regarding allocation, alert monitoring and CRC, information for controlling Layer 2 links and moving PSTN signaling, and information for controlling synchronization and restart capability of provisioning to provide general functionality.

그리고, 링크 제어 프로토콜은 E1 링크의 상태 확인, 관리개체에 의한 링크의 블록킹(Blocking) 및 블록킹 해제(Unblocking) 등의 정보를 양방향으로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보호 프로토콜은 보호 프로토콜에 의한 통신 채널이며, 사용되고 있는 E1 링크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V5.2 인터페이스 상의 각종 정보의 보호를 위하여, k개의 다중화 구조를 가지는 정보를 양방향으로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또한, 베어러 채널 프로토콜은 베어러 채널의 할당 및 해제 등의 정보를 양방향으로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The link control protocol is a protocol for bidirectionally transmitting information such as checking the status of the E1 link, blocking of the link by the management entity, and unblocking. The protection protocol is a communication channel based on the protection protocol, and is a protocol for bidirectionally transmitting information having k multiplexed structures in order to protect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on a V5.2 interface when an E1 link is in use. In addition, the bearer channel protocol is a protocol for bidirectionally transmitting information such as allocation and release of a bearer channel.

도 3은 일반적인 전전자 교환기의 구조도로서, 전전자 교환기(200)는 크게 복수개의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INS(230: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및 CCS(240:Central Control Subsystem)로 구성되며, 해당 ASS를 통하여 각 접근망(100)과 연결된다.3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general electronic switch, the electronic switch 2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ASS (Access Switching Subsystem), INS (230: 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and CCS (240: Central Control Subsystem), It is connected to each access network 100 through the corresponding ASS.

ASS는 가입자 및 중계선 인터페이스, T-스위치,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스위치, 프레임 릴레이 핸들러(Frame Relay handler), 광 가입자 접속장치, 각종 신호장치, 패킷 핸들러(Packet handler) 등을 구비하여 대부분의 호처리 기능과 자체 운용 및 유지보수 기능 등을 수행한다.The ASS is equipped with subscriber and trunk line interfaces, T-switches,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switches, frame relay handlers, optical subscriber access devices, various signaling devices, packet handlers, etc. It performs processing functions, self operation and maintenance functions.

이러한 ASS는 각 응용단계에 따라서, ASS-S(210:Subscriber), ASS-T(220: Trunk), ASS-S/T(Subscriber/Trunk), ASS-7(No.7), ASS-P(Packet), ASS-I(ISDN), ASS-ATM, ASS-F(광 가입자 접속장치), ASS-PCS, ASS-FR(Frame Relay) 등으로 구성된다.Such ASS is ASS-S (Subscriber) 210, ASS-T (Trunk 220), ASS-S / T (Subscriber / Trunk), ASS-7 (No. 7), ASS-P,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stage. (Packet), ASS-I (ISDN), ASS-ATM, ASS-F (optical subscriber access device), ASS-PCS, ASS-FR (Frame Relay) and the like.

한편, INS(230)는 전전자 교환기(200)의 중심에 위치하여 ASS 상호간 또는 ASS 와 CCS(240) 사이를 연결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며, INS(230)와 ASS 간을 점대점으로 연결시켜 주는 데이터 링크를 통해 INS(230)와 각 ASS 간의 통신(가입자간에 주고받는 정보 또는 시스템 내부에서 사용하기 위한 정보)이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INS 230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electronic exchanger 200 to perform the function of connecting the ASS between each other or between the ASS and CCS 240, by connecting the INS 230 and ASS in a point-to-point The master communicates between the INS 230 and each ASS (information exchanged between subscribers or information for use within the system) via a data link.

이 때, 데이터 링크의 INS(230) 측 종단을 SSL(Space Switch Data Link)이라 하고, ASS 측 종단을 TSL(Time Switch Link)이라 하며, CCS(240)와 INS(230) 간에는 제어 작용을 위한 링크가 존재한다. 또한, INS(230)는 호처리 기능 중 스페이스 스위치 연결과 같은 집중기능 등을 수행하며, 망 동기장치를 구비하여 시스템 클럭을 생성, 분배하는 기능도 담당한다.At this time, the end of the INS 230 side of the data link is referred to as a space switch data link (SSL), the end of the ASS side is referred to as a time switch link (TSL), and a control action between the CCS 240 and the INS 230. The link exists. In addition, the INS 230 performs a central function such as a space switch connection among call processing functions, and is also responsible for generating and distributing a system clock by providing a network synchronizer.

그리고, CCS(240)는 전전자 교환기(200)의 총괄적인 운용 및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한다. 시스템 차원의 운용 및 유지보수, 관리, 통계 기능뿐만 아니라 대용량 저장매체(MT,CT,DAT,RDKU,디스크) 제어관리, 오퍼레이터와의 각종 입출력 제어기능, 타 시스템과의 연동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CS 240 performs the overall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the electronic switch 200. In addition to system-level operation, maintenance, management, and statistical functions, it performs control of mass storage media (MT, CT, DAT, RDKU, disk), various input / output control with the operator, and interworking with other systems.

한편, 이러한 전전자 교환기(200)와 접근망(100)은 종래에 2선을 사용하여 연결되었으나, 위에서 설명한 V5.2 인터페이스는 E1 라인을 사용함으로서, 선로 및 가입자 인터페이스 카드를 줄일 수 있고, 기존의 ISDN/PSTN 교환시스템과 모든 종류의 접근망을 수용할 수 있어서, 현재 국내외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여러 나라에서 개발 상용화 준비중에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onic switch 200 and the access network 100 is conventionally connected using two wires, the above-described V5.2 interface by using the E1 lin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ine and subscriber interface card, It can accommodate ISDN / PSTN exchange systems and all kinds of access networks, and is currently attracting attention both at home and abroad, and is preparing for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in various countries.

그러므로, V5.2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접근망(100)과 전전자 교환기(200)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전전자 교환기(200)에 ASS 중의 하나로서 장착되어 효율적으로 V5.2 인터페이스를 실현시켜주는 V5.2 인터페이스 장치(250)가 필요하다.Therefore, in order to connect between the access network 100 and the electronic switchboard 200 using the V5.2 protocol, the V5 mounted on the electronic switchboard 200 as one of the ASSs to efficiently realize the V5.2 interface. .2 interface device 250 is required.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전자 교환기(200)를 구성하는 ASS 중의 하나로서 장착되어, 원격지의 PSTN/ISDN 가입자를 수용하는 다양한 접근망(100)과 전전자 교환기(200) 사이를 V5.2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터페이스 시켜 주는 장치, 즉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V5.2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meet the needs as described above, is equipped as one of the ASS constituting the electronic switchboard 200, various access network 100 and electronic switchboard to accommodate the remote PSTN / ISDN subscrib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for interfacing between the 200 using the V5.2 interface protocol, that is, a V5.2 interface device in an all-electronic exchang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V5.2 인터페이스 장치는 소정의 접근망과 물리적인 E1 링크로 인터페이스 하여, V5.2 프로토콜의 계층 1 기능과 계층 2 기능을 수행하는 V5.2 E1 링크 정합부; V5.2 프로토콜의 계층 3 기능 중, National Protocol Entity와 베어러 채널 할당, 및 V5.2 시스템 관리기능을 수행하는 주 프로세서부; V5.2 프로토콜 관련 메시지 중, 계층 3 메시지와 상기 주 프로세서부 사이를 서로 인터페이스 시켜주는 텔레포니 프로세서부; 상기 V5.2 E1 링크 정합부 및 소정의 데이터 링크로부터 입출력되는 타임슬롯의 교환기능, 상기 텔레포니 프로세서부나 전전자 교환기를 구성하는 타 서브 시스템의 프로세서와 상기 주 프로세서부 사이의 메시지 교환 통로 제공기능, 상기 소정의 데이터 링크로 입출력되는 데이터에 대한 전/광 변환(E/O)이나 광/전 변환(O/E) 기능을 수행하는 타임 스위치 링크부; V5.2 프로토콜 계층 3 메시지를 처리하여, 상기 타임 스위치 링크부와 V5.2 E1 링크 정합부 사이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하고, 관리용 메시지는 상기 텔레포니 프로세서부로 보내는 계층 3 처리부; 상기 주 프로세서부, 텔레포니 프로세서부, 및 전전자 교환기를 구성하는 타 프로세서를 사이에서 IPC 채널을 제공하는 메시지 스위치 접속부; 상기 텔레포니 프로세서부의 제어 하에 상기 타임 스위치 링크부를 통해 상기 V5.2 E1 링크 정합부로 소정의 서비스 신호를 제공하는 서비스 접속부; 및 상기 V5.2 E1 링크 정합부에 대한 시험기능을 수행하며, 케이블의 탈장이나 기능오류 등의 경보가 발생하면, 상기 텔레포니 프로세서부로 장애 정보를 전송하는 트렁크 시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V5.2 interface device in the electronic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erfaces with a predetermined access network and a physical E1 link to perform layer 1 and layer 2 functions of the V5.2 protocol. A V5.2 E1 link matching unit; A main processor unit that performs bearer channel allocation and V5.2 system management among the layer 3 functions of the V5.2 protocol; A telephony processor unit for interfacing between the layer 3 message and the main processor unit among V5.2 protocol related messages; A function of exchanging time slots input / output from the V5.2 E1 link matching unit and a predetermined data link, providing a message exchange path between the processor of another sub-system constituting the telephony processor unit or an electronic switchgear and the main processor unit; A time switch link unit for performing pre / optical conversion (E / O) or pre / op conversion (O / E) function for data input / output through the predetermined data link; A layer 3 processor processing a V5.2 protocol layer 3 message, transferring user data between the time switch link unit and the V5.2 E1 link matching unit, and sending a management message to the telephony processor unit; A message switch connection unit providing an IPC channel between the main processor unit, the telephony processor unit, and another processor constituting the electronic switch; A service connection unit for providing a predetermined service signal to the V5.2 E1 link matching unit through the time switch link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telephony processor unit; And a trunk test unit configured to perform a test function on the V5.2 E1 link matching unit and to transmit failure information to the telephony processor unit when an alarm such as a cable hernia or a functional error occurs. .

이 때, 상기 주 프로세서부와 텔레포니 프로세서부, 타임 스위치 링크부, 계층 3 처리부, 메시지 스위치 접속부는 Active/Standby 형태의 이중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in processor, the telephony processor, the time switch link unit, the layer 3 processing unit, the message switch connec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have a redundancy structure of Active / Standby type.

도 1은 V5.2 인터페이스에 대한 물리적 형태도,1 is a physical diagram of a V5.2 interface,

도 2는 V5.2 인터페이스의 기능적 모델에 관한 개요도,2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functional model of the V5.2 interface;

도 3은 일반적인 전전자 교환기의 구조도,3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general electrical exchanger,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V5.2 인터페이스 장치의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 V5.2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접근망(Access Network) 150: V5.2 인터페이스 링크100: access network 150: V5.2 interface link

200: 전전자 교환기200: electronic exchanger

210,220: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210,220: Access Switching Subsystem (ASS)

230: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230: 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240: CCS(Central Control Subsystem)240: Central Control Subsystem (CCS)

250: V5.2 인터페이스 장치 251: V5.2 E1 링크 정합부250: V5.2 interface unit 251: V5.2 E1 link matching unit

252: 계층 3 처리부 253: 주 프로세서부252: Layer 3 processor 253: Main processor unit

254: 텔레포니 프로세서부 255: 서비스 접속부254: telephony processor unit 255: service connection unit

256: 트렁크 시험부 257: 타임 스위치 링크부256: trunk test section 257: time switch link section

258: 메시지 스위치 접속부258: message switch connec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V5.2 인터페이스 장치(250)의 블록도로서, 이 장치는 도 3에서 보인 전전자 교환기(200)를 구성하는 ASS 중 하나(250)로 장착되어, 접근망(100)과의 V5.2 인터페이스를 실현한다.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V5.2 interface device 250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equipped with one of the ASSs constituting the electronic switchboard 200 shown in FIG. To implement the V5.2 interface.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V5.2 인터페이스 장치(250)는 V5.2 E1 링크 정합부(251), 계층 3 처리부(252), 주 프로세서부(253), 텔레포니 프로세서부(254), 서비스 접속부(255), 트렁크 시험부(256), 타임 스위치 링크부(257), 및 메시지 스위치 접속부(258)로 이루어진다.The V5.2 interface device 2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5.2 E1 link matching unit 251, a layer 3 processing unit 252, a main processor unit 253, a telephony processor unit 254, and a service connection unit 255. ), A trunk test unit 256, a time switch link unit 257, and a message switch connection unit 258.

V5.2 E1 링크 정합부(251)는 V5.2 프로토콜의 계층 1과 계층 2 기능을 수행하는 가입자 보드로서, 접근망(100)과 물리적인 E1 링크로 인터페이스 한다.The V5.2 E1 link matching unit 251 is a subscriber board performing layer 1 and layer 2 functions of the V5.2 protocol and interfaces with the access network 100 through a physical E1 link.

이러한 V5.2 E1 링크 정합부(251)는 접근망(100)으로부터 해당 E1 링크를 통해 보내진 엔벨로프 기능 프레임 정보를 해석하여 계층 3 처리부(252)로 보낸다. 또한, 타임 스위치 링크부(257)로부터 나온 사용자 데이터와 BCC 처리에 의해 생성된 타임슬롯 할당정보를 1차 계위신호 프레임에 배열한 후, 2.048Mbps 속도로 V5.2 링크와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V5.2 E1 link matching unit 251 interprets the envelope function frame information sent through the corresponding E1 link from the access network 100 and sends it to the layer 3 processing unit 252. Further, after arranging the user data from the time switch link unit 257 and the timeslot assignmen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BCC process in the primary hierarchical signal frame, it connects to the V5.2 link at 2.048 Mbps. .

계층 3 처리부(252)는 V5.2 E1 링크 정합부(251)를 제어하고, 계층 3 프로토콜인 제어 프로토콜, 링크 제어 프로토콜, BCC 프로토콜, 보호 프로토콜, 및 PSTN 프로토콜에 관한 메시지를 처리하는데, 현재 수신하는 메시지가 관리용 메시지인 경우에는 이 관리용 메시지를 텔레포니 프로세서부(254)로 보내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layer 3 processing unit 252 controls the V5.2 E1 link matching unit 251 and processes messages related to layer 3 protocols such as control protocol, link control protocol, BCC protocol, protection protocol, and PSTN protocol, and is currently received. If the message is a management message, and serves to send this management message to the telephony processor unit 254.

또한, 접근망(100)으로부터 V5.2 E1 링크 정합부(251)를 통해 수신된 통화 정보를 타임 스위치 링크부(257)에 전달하거나, 타임 스위치 링크부(257)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받아 V5.2 E1 링크 정합부(251)로 전달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ccess network 100 through the V5.2 E1 link matching unit 251 is transmitted to the time switch link unit 257, or receives the user data from the time switch link unit 257 V5.2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E1 link matching unit 251.

주 프로세서부(253)는 트래픽 제어, 스위치 제어, 자원관리, V5.2 인터페이스 장치(250)의 유지보수, 보전, 운용관리, IPC 메시지 교환 등을 담당하는 주 프로세서로 구성된다. 이 때, 주 프로세서부(253)는 Active/Standby 형태의 이중화 구조로 구성함으로서, V5.2 인터페이스 장치(250)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main processor unit 253 is composed of a main processor that is in charge of traffic control, switch control, resource management, maintenance, maintenance, operation management, IPC message exchange, and the like of the V5.2 interface device 250. At this time, the main processor unit 253 may be configured in a redundant structure of Active / Standby type, thereby improving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V5.2 interface device 250.

이러한 주 프로세서부(253)는 V5.2 인터페이스 관련 블록으로 V5.2 시스템 관리, 리소스 관리, National Protocol Entity 관리를 담당하는 VSC(V5.2 Subscriber Control Software) 블록과 베어러 채널 할당을 관리하는 블록으로 구성된다.The main processor unit 253 is a V5.2 interface related block and a block that manages V5.2 subscriber control software (VSC) blocks and bearer channel assignments in charge of V5.2 system management, resource management, and national protocol entity management. It is composed.

텔레포니 프로세서부(254)는 계층 3 처리부(252)를 통하여 V5.2 E1 링크 정합부(251)를 제어하며, 주 프로세서부(253)와의 통신을 위한 IPC U-Link 정합기능, PCM 데이터 채널 분할 기능, 텔레포니 장애검출 기능, 해당 프로세서의 시스템 시험 및 동작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직렬통신 기능을 가진다.The telephony processor unit 254 controls the V5.2 E1 link matching unit 251 through the layer 3 processing unit 252, and divides the IPC U-Link matching function and the PCM data channel for communication with the main processor unit 253. Function, telephony fault detection function, serial communication function to monitor the system test and operation status of the processor.

이 때, 텔레포니 프로세서부(254)는 주 프로세서부(253)에서의 경우와 같이 Active/Standby 형태의 이중화 구조로 구성함으로서, V5.2 인터페이스 장치(250)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telephony processor unit 254 may be configured in a redundant structure of Active / Standby type, as in the case of the main processor unit 253, thereby improving operational reliability of the V5.2 interface device 250.

또한, 텔레포니 프로세서부(254)는 주 프로세서부(253)의 시스템 시험 및 동작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직렬통신 기능을 가지며, V5.2 기능을 담당하는 블록은 VSI(V5.2 Subscriber Interface Software)로, V5.2 프로토콜의 계층 3 메시지와 주 프로세서부(253)와의 IPC 통로 역할을 담당한다.In addition, the telephony processor unit 254 has a serial communication function for monitoring the system test and operation status of the main processor unit 253, and the block in charge of the V5.2 function is referred to as V5.2 (V5.2 Subscriber Interface Software). It acts as an IPC channel between the Layer 3 message of the V5.2 protocol and the main processor 253.

그러므로, 접근망(100)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중에서 계층 3 처리부(252)에서 추출된 관리 메시지들은 텔레포니 프로세서부(254)를 통해 주 프로세서부(253)로 전해지게 된다.Therefore, the management messages extracted by the layer 3 processor 252 among the messages received from the access network 100 are transmitted to the main processor 253 through the telephony processor 254.

메시지 스위치 접속부(258)는 V5.2 인터페이스 장치(250)의 텔레포니 프로세서부(254)와 주 프로세서부(253) 사이나, 혹은 INS(230)나 CCS(240)와 같은 타 서브 시스템의 주 프로세서와 V5.2 인터페이스 장치(250)의 주 프로세서부(253) 사이에서 IPC 메시지 통신이 가능하도록 IPC 메시지 채널을 제공한다. 또한, 자신에게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상 상태를 IPC 통신 채널을 통하여 메시지 형태로 텔레포니 프로세서부(254)로 송신한다.The message switch connection 258 is between the telephony processor unit 254 and the main processor unit 253 of the V5.2 interface device 250 or the main processor of another subsystem such as the INS 230 or the CCS 240. And an IPC message channel to enable IPC message communication between the main processor unit 253 of the V5.2 interface device 250. In addition, when an abnormality occurs, the abnormal state is transmitted to the telephony processor unit 254 in the form of a message through the IPC communication channel.

즉, INS(230)나 CCS(240)의 주 프로세서는 타임 스위치 링크부(257)를 거쳐 메시지 스위치 접속부(258)에서 제공한 IPC 채널을 통해 주 프로세서부(253)로 전해지는 것이다.That is, the main processor of the INS 230 or the CCS 240 is transmitted to the main processor 253 via the IPC channel provided by the message switch connector 258 via the time switch link unit 257.

서비스 접속부(255)는 각종 접근망 가입자 및 중계선으로 R2, DTMF, CCT, Tone 등의 신호 서비스를 위한 관련 신호의 송수신 기능을 제공하며, 회의통화와 같은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서비스 접속부(255)는 텔레포니 프로세서부(254)의 제어 하에 구동된다.The service connection unit 255 transmits and receives a related signal for signaling services such as R2, DTMF, CCT, and Tone to various access network subscribers and relay lines, and provides a voice service such as a conference call. At this time, the service connection unit 255 is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telephony processor unit 254.

즉, 계층 3 처리부에서 추출된 관리 메시지가 톤 발생이나 음성 서비스에 관련된 메시지인 경우, 이 관리 메시지는 텔레포니 프로세서부(254)를 통하여 서비스 접속부(255)로 전해진다. 그러면, 서비스 접속부(255)에서 발생한 해당 서비스 신호는 타임 스위치 링크부를 통하여 각 가입자에게 전해지게 된다.That is, when the management message extracted by the layer 3 processor is a tone generation or voice service related message, the management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service connection unit 255 through the telephony processor unit 254. Then, the corresponding service signal generated in the service connection unit 255 is transmitted to each subscriber via the time switch link unit.

타임 스위치 링크부(257)는 V5.2 E1 링크 정합부(251) 및 데이터 링크(타임 스위치 링크부와 INS 사이의 데이터 교환통로)로부터 입출력되는 신호들에 대한 타임슬롯 교환을 수행한다.The time switch link unit 257 performs time slot exchange for signals input and output from the V5.2 E1 link matching unit 251 and the data link (data exchange path between the time switch link unit and the INS).

이러한 타임 스위치 링크부(257)는 PCM 데이터의 다중화 및 역다중화를 수행하며, 주 프로세서부(253)와 텔레포니 프로세서부(254) 사이의 메시지 교환 통로를 제공하고, INS(230)나 CCS(240)와 같은 타 서브 시스템의 프로세서와 주 프로세서부(253)의 메시지 교환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즉, 메시지 스위치 접속부(258)로부터 주 프로세서부(253)가 보낸 IPC 메시지를 삽입하여 출력하거나, INS(230)나 CCS(240)에서 보내온 IPC 메시지를 추출하여 메시지 스위치 접속부(258)를 통해 주 프로세서부(253)로 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time switch link unit 257 performs multiplexing and demultiplexing of the PCM data, provides a message exchange path between the main processor unit 253 and the telephony processor unit 254, and provides an INS 230 or a CCS 240. It serves as a message exchange path between the processor of the other sub-system, such as) and the main processor unit 253. That is, the IPC message sent from the main processor unit 253 is inserted from the message switch connection unit 258, or the IPC message sent from the INS 230 or the CCS 240 is extracted, Performs a function of sending to the processor unit 253.

그리고, INS(230)와 V5.2 인터페이스 장치(250) 사이에서 전/광 변환(E/O) 및 광/전 변환(O/E)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것은 전전자 교환기(200)에서 INS(230)와 V5.2 인터페이스 장치(250) 사이에서는 광에 의한 통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The INS 230 and the V5.2 interface device 250 perform pre / optical conversion (E / O) and pre / op conversion (O / E) functions. This is because the electronic switch 200 performs communication by light between the INS 230 and the V5.2 interface device 250.

트렁크 시험부(256)는 텔레포니 프로세서부(254)의 제어에 의하여 V5.2 인터페이스 링크(150) 및 V5.2 E1 링크 정합부(251)에 대한 시험기능을 수행하며, 케이블 탈장이나 기능오류 등의 경보가 발생하면, 텔레포니 프로세서부(254)로 해당 장애 정보를 전송한다.The trunk test unit 256 performs a test function for the V5.2 interface link 150 and the V5.2 E1 link matching unit 251 under the control of the telephony processor unit 254, and the cable hernia or the functional error. If an alarm occurs, the corresponding failur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telephony processor unit 254.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V5.2 인터페이스 장치(250)를 사용하면, 원격지의 PSTN/ISDN 가입자를 수용하는 다양한 접근망(100)과 전전자 교환기(200) 사이를 V5.2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터페이스 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using the V5.2 interface device 2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5.2 interface protocol between the various access network 100 and the electronic switchboard 200 to accommodate the remote PSTN / ISDN subscribers Can be interfaced using.

Claims (2)

소정의 접근망과 물리적인 E1 링크로 인터페이스 하여, V5.2 프로토콜의 계층 1 기능과 계층 2 기능을 수행하는 V5.2 E1 링크 정합부(251);A V5.2 E1 link matching unit 251 for interfacing a predetermined access network with a physical E1 link to perform layer 1 and layer 2 functions of the V5.2 protocol; V5.2 프로토콜의 계층 3 기능 중, National Protocol Entity와 베어러 채널 할당을 관리하는 주 프로세서부(253);A main processor unit 253 which manages a national protocol entity and bearer channel allocation among the layer 3 functions of the V5.2 protocol; V5.2 프로토콜 관련 메시지 중, 계층 3 메시지와 상기 주 프로세서부(253) 사이를 서로 인터페이스 시켜주는 텔레포니 프로세서부(254);A telephony processor unit 254 for interfacing between the layer 3 message and the main processor unit 253 among V5.2 protocol related messages; 상기 V5.2 E1 링크 정합부 및 소정의 데이터 링크로부터 입출력되는 타임슬롯의 교환기능, 상기 텔레포니 프로세서부(254)나 전전자 교환기를 구성하는 타 서브 시스템의 프로세서와 상기 주 프로세서부(253) 사이의 메시지 교환 통로 제공기능, 상기 소정의 데이터 링크로 입출력되는 데이터에 대한 전/광 변환(E/O)이나 광/전 변환(O/E) 기능을 수행하는 타임 스위치 링크부(257);The exchange function of the time slots input and output from the V5.2 E1 link matching unit and a predetermined data link, between the processor of the other subsystem constituting the telephony processor unit 254 or the electronic switch and the main processor unit 253. A time switch link unit 257 for performing a message exchange path providing function, and performing pre / optical conversion (E / O) or pre / op conversion (O / E) for data input and output through the predetermined data link; V5.2 프로토콜 계층 3 메시지를 처리하여, 상기 타임 스위치 링크부(257)와 V5.2 E1 링크 정합부 사이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하고, 관리용 메시지는 상기 텔레포니 프로세서부(254)로 보내는 계층 3 처리부(252);Processes a V5.2 protocol layer 3 message, transfers user data between the time switch link unit 257 and the V5.2 E1 link matching unit, and sends layer 3 a management message to the telephony processor unit 254. A processing unit 252; 상기 주 프로세서부(253), 텔레포니 프로세서부(254), 및 전전자 교환기를 구성하는 타 프로세서를 사이에서 IPC 채널을 제공하는 메시지 스위치 접속부;A message switch connection unit for providing an IPC channel between the main processor unit 253, the telephony processor unit 254, and another processor constituting the electronic switchboard; 상기 텔레포니 프로세서부(254)의 제어 하에 상기 타임 스위치 링크부(257)를 통해 상기 V5.2 E1 링크 정합부(251)로 소정의 서비스 신호를 제공하는 서비스 접속부(255); 및A service connection unit 255 for providing a predetermined service signal to the V5.2 E1 link matching unit 251 through the time switch link unit 257 under the control of the telephony processor unit 254; And 상기 V5.2 E1 링크 정합부(251)에 대한 시험기능을 수행하며, 케이블의 탈장이나 기능오류 등의 경보가 발생하면, 상기 텔레포니 프로세서부(254)로 장애 정보를 전송하는 트렁크 시험부(25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V5.2 인터페이스 장치.The trunk test unit 256 performs a test function on the V5.2 E1 link matching unit 251 and transmits fault information to the telephony processor unit 254 when an alarm such as a cable disconnection or a functional error occurs. V5.2 interface device in an electronic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프로세서부(253), 텔레포니 프로세서부(254), 타임 스위치 링크부(257), 계층 3 처리부(252), 및 메시지 스위치 접속부(258)는 Active/Standby 형태의 이중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V5.2 인터페이스 장치.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main processor unit 253, the telephony processor unit 254, the time switch link unit 257, the layer 3 processor unit 252, and the message switch connector unit 258 are active / standby type redundant. A V5.2 interface device in an all-electronic exchange comprising a structure.
KR1019980026786A 1998-07-03 1998-07-03 V5.2 interface device in full electronic switching system KR2000000744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6786A KR20000007441A (en) 1998-07-03 1998-07-03 V5.2 interface device in full electronic switch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6786A KR20000007441A (en) 1998-07-03 1998-07-03 V5.2 interface device in full electronic switch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441A true KR20000007441A (en) 2000-02-07

Family

ID=19542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6786A KR20000007441A (en) 1998-07-03 1998-07-03 V5.2 interface device in full electronic switch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744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318B1 (en) * 1998-08-05 2006-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How to set datalink map in V5.2 protoc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318B1 (en) * 1998-08-05 2006-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How to set datalink map in V5.2 protoc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5425A (en) Switching system reliability
JPH03150951A (en) Exchange system
JP3161717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H0634538B2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digital switching system
EP0497000B1 (en) A maintenance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in an ISDN service
US20070071020A1 (en) Gateway digital loop carrier device
KR20000007441A (en) V5.2 interface device in full electronic switching system
US6070213A (en) Telecommunications terminal
KR100263381B1 (en) V5.2 interface unit in a switching system
KR100263384B1 (en) Control method of bank control and maintenance unit in fiber loop carrier-curb system
KR940007980B1 (en) Isdn subscriber matching device
KR950008219B1 (en) Packet processing unit of isdn
JP3165081B2 (en) Duplexing method for a D-channel packet processor operating in a single mode in an ISDN exchange having a centralized packet processor
KR0163148B1 (en) A digital exchanger for integrating services
JP3607582B2 (en) Subscriber access method
KR100219945B1 (en) Tdx-100 exchange system structure
KR100238435B1 (en) Service control method for analogue subscriber in atm interworking subsystem
KR100268225B1 (en) Maintenance method for connection an(access network) and le(logical exchage) using v5.2
KR100385218B1 (en)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Origination Call
KR100314354B1 (en) A Basic Rate Interface Unit of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n Fiber Loop Carrier-Curb Systems
KR100237473B1 (en) Method of establishing packet pvc's in n-isdn
KR940007983B1 (en) Digital subscriber matching circuit
WO2003101145A1 (en) Isdn interface apparatus
KR0146997B1 (en) Method of setting up the digital subscriber's tone specified path
KR19990001334A (en) Multimedia type multiplexing device and its moun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