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7329A - 고분산 제로 도파관 섬유 - Google Patents

고분산 제로 도파관 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7329A
KR20000007329A KR1019980026614A KR19980026614A KR20000007329A KR 20000007329 A KR20000007329 A KR 20000007329A KR 1019980026614 A KR1019980026614 A KR 1019980026614A KR 19980026614 A KR19980026614 A KR 19980026614A KR 20000007329 A KR20000007329 A KR 20000007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active index
profile
region
range
annular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6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빗 케이. 스미스
Original Assignee
알프레드 엘. 미첼슨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레드 엘. 미첼슨,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알프레드 엘. 미첼슨
Priority to KR1019980026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7329A/ko
Publication of KR20000007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32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8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with core or cladding having graded refractive index
    • G02B6/0286Combination of graded index in the central core segment and a graded index layer external to the central core seg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04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re effective area or mode field radius
    • G02B6/02009Large effective area or mode field radius, e.g. to reduce nonlinear effects in single mode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214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tailored to obtain the desired dispersion, e.g. dispersion shifted, dispersion flattened
    • G02B6/02219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dispersion properties in the silica low loss window around 1550 nm, i.e. S, C, L and U bands from 1460-1675 nm
    • G02B6/02228Dispersion flattened fibres, i.e. having a low dispersion variation over an extended wavelength rang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214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tailored to obtain the desired dispersion, e.g. dispersion shifted, dispersion flattened
    • G02B6/02219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dispersion properties in the silica low loss window around 1550 nm, i.e. S, C, L and U bands from 1460-1675 nm
    • G02B6/02228Dispersion flattened fibres, i.e. having a low dispersion variation over an extended wavelength range
    • G02B6/02238Low dispersion slope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214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tailored to obtain the desired dispersion, e.g. dispersion shifted, dispersion flattened
    • G02B6/02219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dispersion properties in the silica low loss window around 1550 nm, i.e. S, C, L and U bands from 1460-1675 nm
    • G02B6/02252Negative dispersion fibres at 1550 nm
    • G02B6/02257Non-zero dispersion shifted fibres, i.e. having a small negative dispersion at 1550 nm, e.g. ITU-T G.655 dispersion between - 1.0 to - 10 ps/nm.km for avoiding nonlinear eff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214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tailored to obtain the desired dispersion, e.g. dispersion shifted, dispersion flattened
    • G02B6/02285Characterised by the polarisation mode dispersion [PMD] properties, e.g. for minimising PM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36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re or cladding comprising multiple layers
    • G02B6/03605Highest refractive index not on central axis
    • G02B6/03611Highest index adjacent to central axis region, e.g. annular core, coaxial ring, centreline depression affecting wavegui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36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re or cladding comprising multiple layers
    • G02B6/03616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 G02B6/03638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having 3 layers only
    • G02B6/03644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having 3 layers only arranged - +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36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re or cladding comprising multiple layers
    • G02B6/03616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 G02B6/03688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having 5 or more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s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성능의 전기통신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해 설계된 단일 모드 광도파관 섬유에 관한 것이다. 신규한 코어 프로파일 설계는 휨(bending) 성능을 향상시켜서 해로운 외부환경에 대한 증가된 저항력을 제공한다. 확장된 파장 윈도우(extended wavelength window)에 있어서의 전체 분산은 작동 윈도우의 상한값위에 제로(0) 분산 파장을 두어 낮게 유지시킨다. 또한, 절단 파장(cutoff wavelength)은 단지 작동 윈도우이하로 증가된다. 매우 낮은 도파관 감쇠로 인해 제조가 용이하다.

Description

고분산 제로 도파관 섬유
본 발명은 작동파장 윈도우(operating wavelength window)의 상한값보다 더 큰 제로(0) 분산 파장을 갖는 단일 모드 광도파관 섬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특성은 휨 유도 감쇠(bend induced attenuation)에 대한 저항과 함께 달성된다.
고전력 레이저(high powered laser), 고 데이터 속도 트랜스미터(high data rate transmitter) 및 리시버(receiver) 및 파장 분할 멀티플렉싱(WDM,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기술을 이용한 전기통신 시스템은 대단히 낮지만, 제로(0)가 아닌 전체 분산 및 대단히 낮은 분극 모드 분산(PMD, polarization mode dispersion)을 갖는 광도파관 섬유를 요구한다. 또한, 상기 도파관 섬유는 자기 위상 변조(self phase modulation, SPM) 및 4파 혼합(four wave mixing, FWM)과 같은 비선형 현상을 필수적으로 제거한 특성을 가져야 한다. 상기 SPM은 도파관 섬유의 모드 필드 직경(mode field diameter)을 증가시킴으로해서 파워 밀도(power density)를 낮추어 제한시킬 수 있다. 상기 FWM은 분산의 값이 0이 아닌 파장의 범위에서 작동시킴으로써 조절된다.
또한 상기 광도파관이 광증폭기를 갖는 긴 길이의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음이 요구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 5,483,612호에 기재된 복합 코어 설계는 이러한 요구조건들을 만족하는 도파관 섬유를 제공한다. 최근에는 케이블 설치가 어렵거나 설치후에 케이블 접근성이 제한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도파관 섬유의 요구조건들이 명시되었다. 특히, 상기 설치들은 다수의 WDM 채널(channel)을 증가시키기 위한 확장된 파장 작동 윈도우를 요구한다. 상기 광범위한 작동 윈도우는 케이블 및 설치 비용을 차례차례 감소시키는 각각의 도파관 섬유에 있어서 더 큰 정보의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설치후의 접근성이 제한을 받기 때문에, 상기 케이블은 시간에 대한 그 특성을 유지시키는데 있어서 특별해야 한다. 예를 들어, 사용할 때 향상된 휨성능을 나타내는 도파관 섬유가 필요로 된다. 또한, 이러한 고성능 시스템은 낮은 전체 분산 및 낮은 분극 모드 분산(PMD)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는 큰 반복기 간격(repeater spacing)을 포함할 것이다.
정의
하기 정의들은 종래부터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오는 것이다.
-코어(core) 영역의 반경은 굴절률에 관련하여 정의된다. 특정 영역은 첫 번째 및 마지막 굴절률 지점을 갖는다. 도파관의 중심선에서 이러한 첫 번째 굴절률 지점의 위치까지인 상기 반경은 상기 코어 영역 또는 세그먼트(segment)의 내부 반경이다. 반면에, 도파관 중심선에서 마지막 굴절률 지점의 위치까지인 상기 반경은 상기 코어 세그먼트의 외부 반경이다. 코어 구조의 다른 유용한 정의들은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설명되지 않았다면, 여기에 설명된 굴절률 프로파일의 파라미터(parameter)들은 다음과 같이 편리하게 정의될 것이다:
*중심 코어 영역의 반경은 도파관의 축중심선에서 X축을 갖는 외삽된 중심 굴절률 프로파일의 교점까지 측정되고;
*제 2의 환상 영역(annular region)의 반경은 도파관의 축중심선에서 제 2 환형의 기준선의 중심까지 측정되며;
*제 2의 환상 영역의 폭은 굴절률 프로파일의 1/2 굴절률 지점에서 도파관 반경까지 인발된 평행선들 사이의 거리이다.
제 1의 환상 영역의 차원은 상기 중심 영역과 제 2의 환상 영역의 차원 사이의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
-유효면적은 이며, 여기서 적분한계는 0에서 ∞이고, E는 전파광에 관계된 전기장이다. 유효직경, Deff Aeff=π(Deff/2)2 로 정의될 수 있다.
-PMD는 분극 모드 분산을 나타낸다.
-WDM은 파장 분할 멀티플렉싱을 나타낸다.
-SPM은 자기 위상 변조를 나타내며, 특정 파워 레벨(power level)이상의 신호의 일부가 파워 레벨이하의 신호의 일부에 관한 도파관에서 다른 속도로 이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FWM은 4파 혼합을 나타내며, 도파관에서 둘 또는 그 이상의 신호들이 다른 주파수들의 신호들을 형성시키기 위해 간섭하는 현상을 말한다.
-△%는 Δ%=100×(n1 2-n2 2)/2n1 2 에 의해 정의되는 굴절률의 비교값을 나타내며, 여기서 n1은 영역 1에서의 최대 굴절률이고, n2c는 통상적으로 클래딩 영역이도록 설정되는 참조부호 영역에서의 굴절률이다.
-굴절률 프로파일은 상기 코어의 선택된 부분에 있어서의 △% 또는 굴절률 및 반경 사이의 관계이다. 알파 프로파일(alpha profile)은 n(r)=n0(1-Δ[r/a]α) 의 식에 따른 굴절률 프로파일로 정의되며, 여기서 r은 반경, △는 전술한 바와 같고, a는 프로파일의 마지막 지점이며, r은 프로파일의 첫 번째 지점에서 0이 되도록 선택되고, α는 프로파일 형태로 정의되는 지수이다. 다른 굴절률 프로파일은 계단형 굴절률, 사다리꼴형 굴절률 및 둥근 계단형 굴절률을 포함하고, 상기 둥근 계단형 굴절률은 빠른 굴절률 변화의 영역에서의 도펀트 확산(dopant diffusion) 때문에 발생한다.
-프로파일 부피는 로서 정의된다. 내부 프로파일 부피는 도파관 중심선, r=0에서부터 분기점 반경까지 확장된다. 상기 프로파일 부피(volume)의 단위는 굴절률 단위가 없기 때문에 %㎛2이다. 혼동을 피하기 위해, 프로파일 부피는 숫자뒤에 유니트(unit)라는 단어로서 표시할 것이다.
-분기점 반경은 신호 파장이 변함에 따라 상기 신호에서 파워 분포의 의존성으로부터 발견된다. 내부 부피에 있어서, 신호 파워는 파장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된다. 외부 부피에 있어서, 신호 파워는 파장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도파관 섬유의 휨 저항은 전술한 시험 조건하에서 유도되는 감쇠로 표현된다. 이러한 자료에서, 75mm 휨은 약 75mm 맨드릴(mandrel)을 100회 회전하여 도파관에서 유도되는 감쇠를 말한다. 32mm 휨은 약 32mm 맨드릴을 1회 회전하여 도파관에서 유도되는 감쇠를 말한다.
따라서, 확장된 파장 윈도우에 있어서의 낮은 감쇠; 확장된 윈도우에 있어서의 낮은 전체 및 PMD 분산; 및 가혹한 외부환경에서 시간에 대해 휨 유도 감쇠에 대한 특별한 저항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상당한 고성능 시스템의 요구조건에 만족할 수 있는 미합중국 특허 제 5,483,612호(`612 특허)에 기재되어 있는 것보다 우수한 광도파관 섬유가 필요하다.
신규한 도파관은 코어 굴절률 프로파일 설계를 변형하여 이러한 요구조건을 만족시킨다. 컴퓨터 모델링(computer modeling) 및 제조 시운전의 공정을 통해, 향상된 휨 저항을 위한 더 높은 절단 파장을 나타내고, 또한 확장된 파장 윈도우에 있어서 낮은 전체 분산을 제공하기 위한 더 높은 제로 분산 파장을 갖는 굴절률 코어 프로파일계가 발견되었다.
도파관 섬유의 특성들이 코어 굴절률 프로파일에서의 변화에 매우 민감함이 강조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파관 특성 및 성능상에서의 프로파일 변화의 결과를 예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심지어 프로파일 변화가 작아지거나 두 개의 프로파일 족들이 밀접하게 관계되는 경우에서도 그러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 개의 세그먼트들인 도파관의 대칭축 주위로 배열되는 중심 코어 영역, 상기 중심 영역에 이웃하는 제 1 환상 영역, 및 제 1 환상 영역에 이웃하는 제 2 환상 영역을 포함하는 코어를 갖는 단일 모드 광도파관 섬유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중심 영역은 도파관 중심선 주위에 굴절률의 뚜렷한 감소를 갖는다. 이러한 뚜렷한 감소는 특정한 공정 단계동안 중심선 영역으로부터 도펀트의 확산 때문에 발생할 것이다. 감소된 굴절률을 갖는 중심선 부피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해서 침적 단계에서 이러한 확산이 보상될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모델은 도펀트의 확산을 설명하기 위해 조정될 것이다. 이 후자의 것이 선택된다면, 상기 중심선 굴절률의 감소는 중심 영역의 일부인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중심선의 굴절률 감소를 제거하기 위해, 또는 상기 코어 굴절률 프로파일의 다른 부분들을 조정하여 중심선의 도펀트의 확산을 보상하기 위해 선택하든지간에 이에 대해 영향받지 않는다.
상기 중심 영역 및 상기 제 2 환상 영역은 제 1 환상 영역 및 제 2 환상 영역을 감싸고 이웃하는 클래드 층(clad layer)의 굴절률과 비교하여 비교적 높은 굴절률을 갖는다. 신규한 도파관은 2.90 내지 3.90유니트(unit)의 범위에서 내부 프로파일 부피 및 7.20 내지 10.20유니트의 외부 프로파일 부피를 갖는다. 외부 대 내부 프로파일 부피의 비는 1.96 내지 3.04의 범위이다. 이러한 코어 굴절률 프로파일의 확실한 특징은 전술한 가장 최근의 `612 특허에 대하여 비교적으로 큰 외부 부피이다.
세 세그먼트들은 내부 및 외부 부피가 만나는 비교 굴절률 및 프로파일 상에서의 한계를 제공하는 α, 계단형, 둥근 계단형 또는 사다리꼴 형태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α는 0에서 무한대까지 어떤 값도 취할 수 있다. 1의 α값을 갖는 굴절률 프로파일은 이미 제조되었고, 요구되는 성능을 갖는 도파관을 제공한다. 약 4이상의 α값은 필수적으로 계단형 굴절률인 굴절률 프로파일을 만든다.
전술하였고, 신규한 도파관에 의해 제공된 시스템을 위해 요구되는 독특한 일련의 특징들은
1525nm 내지 1565nm의 파장범위에 있어서 -0.75ps/nm-km 내지 -5.5ps/nm-km의 범위의 낮은 전체 분산;
약 1575nm 내지 1595nm의 범위의 제로 분산 파장;
상기 파장의 범위에 있어서 약 0.10ps/nm2-km미만의 크기의 분산 기울기;
약 7.90㎛이상의 모드 필드 직경;
상기 도파관이 연결된 후에 약 1400nm 내지 1520nm의 범위에서 측정된 절단 파장;
약 0.25ps/(km)1/2이하의 PMD;
약 0.03dB이하의 휨 감쇠를 유도하는 75mm 맨드릴; 및
약 0.30dB이하의 휨 감쇠를 유도하는 32mm 맨드릴이다.
포괄적이고 설득력 있는 일련의 특징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 코어 굴절률 프로파일을 갖는 도파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정의들 및 통상적인 정의들을 사용하여, 상기 코어의 중심 세그먼트는 약 0.79% 내지 1.21%의 범위의 △0% 및 약 2.55㎛ 내지 3.55㎛의 범위의 반경을 갖는다. 제 1 환형은 중심 코어에 이웃하고 약 0.20%이하의 △1%를 갖는다. 제 2 환형은 제 1 환형에 이웃하고, 약 0.30% 내지 1.2%의 범위의 △2%, 제 2 환형의 중심에서 측정된 약 5.5㎛ 내지 8.70㎛의 범위의 반경, 및 1/2의 △% 지점들 사이에서 측정된 약 0.4㎛ 내지 2㎛의 범위의 폭을 갖는다.
이러한 굴절률 프로파일계에 관계된 내부 및 외부 프로파일 부피들은 약 2.9 내지 3.9유니트 및 2.5 내지 10.2유니트의 각각의 범위들에 있다.
이러한 각 세그먼트들의 굴절률 형태는 α프로파일, 계단형 굴절률, 둥근 계단형 굴절률 또는 사다리꼴 프로파일들에서 선택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α는 어떤 양의 수일 수 있다.
도 1은 신규한 광도파관 섬유의 코어 굴절률 프로파일의 그래프이다.
중심선 확산 현상은 본 발명의 요약부에 설명되어 있다. 신규한 코어 굴절률 프로파일의 바람직한 구체예는 중심선 확산 콘(centerline diffusion cone)이라고 불리는 도파관 중심선상에 감소된 굴절률의 부피를 갖는데, 이는 상기 중심선 확산 콘을 제거하기 위해 공정의 조절이 제조되지 않을 때 신규한 프로파일의 제조가 더 쉬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도파관 특성들중 중심선 확산 콘의 결과는 하나의 최소 조절은 중심선 확산 콘을 보상하기 위한 코어 굴절률 프로파일의 나머지 부분들에서 제조되도록 충분히 작아야 한다.
신규한 프로파일의 주요 특성은 △% 대 도파관 반경의 그래프인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612 특허의 자료와 본 발명의 자료를 비교하여 보면, 본 발명의 신규한 프로파일은 `612 특허에 기재되고 주장된 일종의 프로파일의 종임을 알 수 있다. 중심선 확산 콘은 도 1의 영역(2)로서 도시되었다. 높은 굴절률 중심 영역(4)은 α 프로파일이며, 여기서 α는 1 및 2의 사이이다.
또 다른 중심 영역은 둥글거나 사다리꼴의 프로파일의 (16) 및 (6)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α가 1 및 2 사이인 α프로파일 및 보충은 중심선 확산 콘을 제거함으로써 제공되어 왔다. 또 다른 형태는 이러한 세그먼트의 △%, 반경 및 폭을 따라 프로파일의 형태가 변화되어 요구되는 도파관의 특성을 달성하는 것을 지적하도록 나타낸다.
제 1 환상 영역(10)은 중심 영역에 이웃하고, 낮은 △%를 갖는다. 다른 프로파일 형태(8)는 제 1 환상 영역에 있어서를 나타낸다. 상기 제 1 환상 영역에 이웃하는 제 2 환상 영역은 또 다른 프로파일 형태(12 및 14)를 갖도록 나타낸다. 제 2 환상 영역에 이웃하는 클래딩 층은 (24)로서 나타낸다.
또한, 도 1은 여기에 사용된 차원 규정(dimension conventions)을 나타낸다. 따라서, 도파관 중심선에서 외삽된 중심 프로파일이 x-축과 교차하는 지점까지의 거리인 중심 코어 반경은 (18)로서 나타내었다. 상기 제 2 환상 영역의 위치를 정의하는 상기 반경은 도파관 중심선에서 x-축에 접근하는 제 2 환형의 중심까지의 거리(20)이다. 1/2 △% 지점들에서 측정된 제 2 환형의 폭은 길이(22)로서 도시된다. 제 1 환형의 폭의 내부 반경은 길이(18)이다. 제 1 환형의 외부 반경은 반경(20)으로부터 폭(22)의 1/2을 감하여된 거리이다.
제작의 용이함 및 노미날(nominal)로부터의 적은 프로파일 이탈에 대한 둔감성에 관한 바람직한 구체예는 프로파일 세그먼트(4, 10 및 14)의 조합에 의해 주어진다. 이것은 중심선 확산 콘(2)을 위한 프로파일이고, α≒1의 중심 영역, 제 1 환상 영역에서 계단형 프로파일, 및 제 2 환상 영역에서 둥근 계단형 굴절률 프로파일을 갖는다. 상기 클래딩 층 굴절률은 일정하다. 상기 중심 코어 영역은 0.9%에서 △0% 및 3.2㎛의 반경을 갖는다. 상기 제 1 환상 영역은 0.02%에서 △1%를 갖는다. 상기 제 2 환상 영역은 0.5%에서 △2%, 7㎛의 중심 반경, 및 1/2 △%에서 0.9의 폭을 갖는다. 각각의 내부 부피 및 외부 부피는 3.4 및 7.3유니트이다. 이러한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동일한 특성을 제공하는 또 다른 프로파일은 △2%가 0.25%이고, 폭이 1.8㎛인 것이다.
이러한 바람직한 구체예는 약 0.075ps/nm2-km의 변조 분산 기울기와 함께 1525nm 내지 1565nm의 파장 범위에서 -6 내지 -0.5ps/nm-km의 분산을 제공한다. 수용가능한 제품의 산출로 전화되는 제조시의 변화에 대한 도파관 특성의 민감성은 바람직하다. 휨손실은 결합된 도파관 상에서 측정된 절단 파장이 기본적으로 1500nm 부근이기 때문에 `612 특허에 기재된 도파관 유형의 절반 값이다. 또한, 모드 필드는 명목상 8.4㎛이고, 유효면적은 약 53㎛2이다.
주어진 범위 및 요구조건들:
-제로 분산 λ-1575nm 내지 1595nm;
-분산기울기<0.1ps/nm2-km;
-모드 필드 직경-7.9㎛ 내지 9.1㎛;
-절단 λ(비결합 도파관)-1760nm; 및
-`612 특허의 도파관 설계와 마찬가지의 최소한의 휨저항;
-상기 모델들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도파관의 물리적 특성을 예상한다.
0% r0 1% 2% r2 W2 내부부피 외부부피
상한 1.21 3.55 0.12 1.2 8.66 1.71 3.90 10.16
하한 0.94 2.55 0 0.3 5.54 - 2.92 2.59
상기 표 1에 나타난 파라미터 한계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은 특정 특성을 갖는 도파관을 제공하지 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 표 1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라미터들이 특정 도파관 특성이 허락된 범위밖일때까지 변화되도록 하는 컴퓨터 모델에 의해 작성되었다. 상기 내용을 만족시키는 마지막 코어 굴절률 프로파일의 파라미터가 기록되었다. 따라서, 각 프로파일 파라미터의 상한 또는 하한은 상기 내용에 만족되는 각 전체 다른 프로파일로부터 유도된다. 당업자들은 표 1을 사용하여 실험적인 시행착오를 통해 기재된 도파관 특성을 제공하는 프로파일을 달성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가 여기에 기재 및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은 하기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본 발명의 코어 프로파일은 휨(bending) 성능을 향상시켜서 해로운 외부환경에 대한 증가된 저항력을 제공하고, 확장된 파장 윈도우에 있어서의 전체 분산이 작동 윈도우의 상한값위에 제로 분산 파장을 두어 낮게 유지시킨다.

Claims (8)

  1. 굴절률 프로파일 및 최대의 굴절률 n0를 갖는 중심영역,
    상기 중심 영역에 이웃하고, 굴절률 프로파일 및 최대의 굴절률 n1를 갖는 제 1 환상 영역,
    상기 제 1 환상 영역에 이웃하고, 굴절률 프로파일 및 최대의 굴절률 n2를 갖는 제 2 환상 영역을 포함하고, n0>n2>n1인 코어 영역; 및
    상기 코어 영역을 감싸고, 실질적으로 일정한 굴절률 nc를 가지며, n1>nc인 클래드 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 영역은 약 2.90 내지 3.90유니트 범위인 내부 프로파일 부피 및 약 7.20 내지 10.20유니트의 범위인 외부 프로파일 부피를 가지며, 상기 외부 대 내부 프로파일 부피의 비가 약 1.96 내지 3.04유니트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데이터 속도 WDM 전기통신 시스템을 위해 설계된 단일 모드 광도파관 섬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영역, 상기 제 1 환상 영역, 및 상기 제 2 환상 영역이 α 프로파일, 계단형 굴절률 프로파일, 둥근 계단형 굴절률 프로파일 및 사다리꼴형 프로파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굴절률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모드 광도파관 섬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영역 굴절률 프로파일이 α 프로파일을 가지며, α의 값이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모드 광도파관 섬유.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환상 영역이 계단형 굴절률 프로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모드 광도파관 섬유.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영역들의 각각의 굴절률 프로파일 및 반경들이
    1525nm 내지 1565nm의 파장범위에 있어서 +0.75ps/nm-km 내지 -5.5ps/nm-km의 범위의 전체 분산;
    약 1575nm 내지 1595nm의 범위의 제로 분산 파장;
    약 0.10ps/nm2-km미만의 크기의 분산 기울기;
    약 7.90㎛이상의 모드 필드 직경;
    연결된 도파관상에서 약 1400nm 내지 1520nm의 범위에서 측정된 절단 파장;
    약 0.25ps/(km)1/2이하의 분극 모드 분산;
    약 0.03dB이하의 감쇠를 유도하는 75mm 휨; 및
    약 0.30dB이하의 감쇠를 유도하는 32mm 휨을 제공하도록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모드 광도파관 섬유.
  6. 반경 r0, 굴절률 프로파일 및 비교 굴절률 △0%를 갖는 중심영역,
    상기 중심 영역에 이웃하고, 굴절률 프로파일 및 최대의 굴절률 △0%를 갖는 제 1 환상 영역,
    상기 제 1 환상 영역에 이웃하고, 반경 r2, 폭 w2, 굴절률 프로파일 및 최대 굴절률 △2%를 갖는 제 2 환상 영역을 포함하고, △0>△2>△1인 코어 영역; 및
    상기 코어 영역을 감싸고, 실질적으로 일정한 굴절률 nc를 가지며, 제 1 환상 영역의 최대 굴절률 n1이 n1>nc인 클래드 층을 포함하고,
    0%가 약 0.79% 내지 1.21%의 범위이고, r0가 약 2.55㎛ 내지 3.55㎛의 범위이며, △1%는 약 0.20%이하이고, △2%는 약 0.30% 내지 1.2%의 범위이며, r2가 약 5.5㎛ 내지 8.70㎛의 범위이고, w2가 약 0.4㎛ 내지 2㎛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데이터 속도 WDM 전기통신 시스템을 위해 설계된 단일 모드 광도파관 섬유.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부피가 약 2.9 내지 3.9유니트의 범위이고, 외부 부피가 약 2.5 내지 10.2유니트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모드 광도파관 섬유.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영역, 상기 제 1 환상 영역, 및 상기 제 2 환상 영역이 α 프로파일, 계단형 굴절률 프로파일, 둥근 계단형 굴절률 프로파일 및 사다리꼴형 프로파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굴절률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모드 광도파관 섬유.
KR1019980026614A 1998-07-02 1998-07-02 고분산 제로 도파관 섬유 KR200000073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6614A KR20000007329A (ko) 1998-07-02 1998-07-02 고분산 제로 도파관 섬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6614A KR20000007329A (ko) 1998-07-02 1998-07-02 고분산 제로 도파관 섬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329A true KR20000007329A (ko) 2000-02-07

Family

ID=19542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6614A KR20000007329A (ko) 1998-07-02 1998-07-02 고분산 제로 도파관 섬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73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241B1 (ko) * 2000-12-12 2008-12-26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큰 유효면적을 갖는 광섬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241B1 (ko) * 2000-12-12 2008-12-26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큰 유효면적을 갖는 광섬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5350B2 (ja) 波長分割多重伝送システム用の光ファイバ
US5613027A (en) Dispersion shifted optical waveguide fiber
EP0721119B1 (en) Controlled dispersion optical waveguide
EP0724171B1 (en) Large effective area waveguide fiber
US6879764B2 (en) Dispersion shifted fiber having low dispersion slope
EP0307228A2 (en) Few-mode/single-mode fiber
KR100329865B1 (ko) 분산시프트파이버
KR100703246B1 (ko) 낮은 슬로프 분산을 갖는 도파관
JP2002365464A (ja) 有効面積の広い正分散光ファイバ
KR19990063889A (ko) 분산 보상 단일 모드 도파관
JP4282235B2 (ja) 高データレートのために最適化された分散シフト単一モード光ファイバ
JP5112582B2 (ja) 正の波長分散を備えるnz−dsfファイバの波長分散補償のためのファイバ
JP2003524798A (ja) 低分散勾配の導波路ファイバ
US6389208B1 (en) High dispersion zero waveguide fiber
KR20020038781A (ko) 넓은 유효면적과 낮은 분산 기울기를 가진 해저용 광섬유
KR20050084014A (ko) 단일 모드 광섬유용 분산 보상 광섬유 및 그를 포함하는전송 링크
KR20030051707A (ko) 저감된 분산을 갖는 단일모드 광 도파관 섬유
KR20030026340A (ko) 넓은 유효 면적, 낮은 분산 및 낮은 분산 기울기를 갖는광섬유
EP0798578A1 (en) Dispersion shifted optical waveguide fiber
KR20000007329A (ko) 고분산 제로 도파관 섬유
KR100575934B1 (ko) 광섬유
JP4331337B2 (ja) 長距離通信用シングルモード導波路
JP4568485B2 (ja) シングルモード光ファイバ並びに光通信システム
US7209620B2 (en) Dispersion optimized fiber having higher spot area
US6556756B2 (en) Dispersion shifted optical waveguide fi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