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7299U - Monitor grid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 Google Patents

Monitor grid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7299U
KR20000007299U KR2019980018707U KR19980018707U KR20000007299U KR 20000007299 U KR20000007299 U KR 20000007299U KR 2019980018707 U KR2019980018707 U KR 2019980018707U KR 19980018707 U KR19980018707 U KR 19980018707U KR 20000007299 U KR20000007299 U KR 200000072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voltage
control grid
resis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870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은태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187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7299U/en
Publication of KR200000072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299U/en

Links

Landscapes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니터의 제어그리드전압 안정화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회로는 콜렉터단과 에미터단이 고압회로(10)와 제어그리드(G1)에 연결되는 PNP형 제1트랜지스터(Q1)와 ; 콜렉터단이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과 연결되고, 에미터단이 제너다이오드(ZD1)를 통해 접지되는 PNP형 제2트랜지스터(Q2)로 구성되어, 제1저항(R1)이 상기 제1트랜지스터(Q11)의 콜렉터단과 베이스단을 연결하고, 제2저항(R2)과 제3저항(R3)의 접점이 상기 제2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저항(R2)의 타단이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단과 제어그리드(G1)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3저항(R3)의 타단이 마이콤(20)으로부터 뮤트신호를 입력받고, 제4저항(R4)의 일단이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단과 제어그리드(G1) 사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단과 제너다이오드(ZD1) 사이에 연결되어 있어, 수상관에 흐르는 빔커런트의 양이 변화하더라도 제어그리드(G1) 전압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므로써, 제어그리드(G1) 전압이 화면 밝기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한다는 데 그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grid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of the monitor, the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NP type first transistor (Q1)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terminal and the emitter terminal to the high voltage circuit 10 and the control grid (G1); The collecto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of the first transistor Q1, and the emitter terminal is composed of a PNP type second transistor Q2 grounded through the zener diode ZD1, and the first resistor R1 is the first resistor.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transistor Q11 is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the contact of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third resistor R3 is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of the second transistor Q2, and the second resistor R2 is connected. The other end of the first transistor (Q1) is connected between the emitter terminal and the control grid (G1), the other end of the third resistor (R3) receives a mute signal from the microcomputer 20, the fourth resistor (R4) One end of) is connected between the emitter end of the first transistor (Q1) and the control grid (G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between the emitter end of the second transistor (Q2) and the zener diode (ZD1), Even if the amount of beam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ntrol grid G1 is kept constant, the control is always performed. The effect is to minimize the effect of grid G1 voltage on the screen brightness.

Description

모니터의 제어그리드전압 안정화 회로( A circuit for stabilizing a G1 of a monitor )A circuit for stabilizing a G1 of a monitor

본 고안은 모니터의 제어그리드 전압 안정화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상관에 흐르는 빔커런트의 양이 변화하더라도 제어그리드 전압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되어진 모니터의 제어그리드전압 안정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grid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of a moni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 grid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of a monitor that is designed to maintain a constant control grid voltage at all times even when the amount of beam current flowing through the receiving pipe is changed.

도 1은 일반적인 모니터의 고압 회로와 그 주변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로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회로(2)는 스위칭전원회로(SMPS)를 통해 공급된 전원전압을 DC/DC 컨버터(3)를 통해 B+ 전압으로 안정화시킨 후, 고압회로(2)의 플라이백트랜스포머(FBT)를 통해 승압시킨다.FIG. 1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high voltage circuit and a peripheral circuit of a general monitor. As shown in FIG. 1, the high voltage circuit 2 converts a power supply voltage supplied through a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SMPS into a DC / DC converter 3. After stabilization to B + voltage through the), the voltage is boosted through the flyback transformer (FBT) of the high-voltage circuit (2).

이에 따라 모니터에 전원이 공급되어 수평편향회로가 동작을 개시하면, 상기 고압회로(2)는 수상관에서 필요한 고압을 발생하여 제어그리드, 포커스그리드, 스크린그리드 등에 공급한다.Accordingly,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monitor and the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starts to operate, the high voltage circuit 2 generates a high pressure necessary in the water pipe and supplies it to the control grid, the focus grid, the screen grid, and the like.

이때 상기 고압회로(2)의 플라이백트랜스포머(FBT)로부터 출력된 약 -120 Vp-p 정도의 전압은 다이오드(D1) 및 커패시터(C1)를 통해 네가티브(-) 정류된 후 수상관의 제어그리드(G1)로 공급되어, 수상관의 캐소드에서 발산되는 전자의 양을 제어하여 휘도 변조를 컨트롤한다.At this time, about -120 output from the flyback transformer (FBT) of the high-voltage circuit (2) V pp The voltage of the degree is negative (-) rectified through the diode (D1) and capacitor (C1) and then supplied to the control grid (G1) of the water pipe, controlling the amount of electrons emitted from the cathode of the water pipe to control the luminance modulation Control

상기 제어그리드(G1)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원통형이 일반적인데, 캐소드를 둘러싸고 있는 중앙에는 0.6㎜ 정도의 작은 구멍을 뚫어서 세밀한 전자빔을 만들고 캐소드에서 발생되는 전자량을 제어하는 데 유리하도록 되어 있다.The control grid (G1) is generally made of stainless steel cylindrical, the center surrounding the cathode is made to drill a small hole of about 0.6mm to make a fine electron beam and to control the amount of electrons generated in the cathode.

이때 제어그리드(G1)에 낮은 네가티브(-) 전압을 공급할수록 상기 캐소드의 전자 방출을 억제하는 힘이 크기 때문에 형광막에 충돌하는 전자량이 감소되어 화면이 어두워 진다.At this time, the lower the negative (-) voltage is supplied to the control grid (G1), the greater the force for suppressing the electron emission of the cathode, so the amount of electrons colliding with the fluorescent film is reduced, the darker the screen.

일반적으로 모니터의 전원 오프시나 혹은 모드 변환시 각 모니터 회로에 필요한 전압(정격 전압)을 일시에 공급하게 되면 각 모니터 회로에 이상을 초래하게 되므로, 전원 오프시나 혹은 모드 변환 초기에는 각 모니터 회로가 워밍업을 한 후 정상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정격 전압보다 낮은 준비 전압을 공급한 다음에, 정격 전압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 이것을 뮤트 기능이라 하며, 상기 뮤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뮤트신호는 마이콤(4)으로부터 출력된다.In general, supplying the necessary voltage (rated voltage) to each monitor circuit at the time of power-off or mode switching at the time causes abnormalities to each monitor circuit. Therefore, each monitor circuit is warmed up at the time of power-off or at the beginning of mode conversion. It is then necessary to supply a ready voltage lower than the rated voltage for normal operation and then supply the rated voltage. This is called a mute function, and a mute signal for performing the mute function is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4.

상기 뮤트신호는 정상 동작시 로우 레벨을 유지하다가, 전원 오프시나 혹은 모드 변환시 잠시동안 하이 레벨로 천이되는데, 이 순간 정상 동작시보다 낮은 제어그리드(G1) 전압을 수상관에 공급하므로써, 캐소드로부터 형광막으로 방출되는 전자량을 억제시킨다.The mute signal is maintained at a low level during normal operation, and then transitions to a high level for a while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or a mode is changed. It suppresses the amount of electrons emitted to the film.

도 1을 참조하여 고압 회로의 동작을 정상 동작시와 뮤트 동작시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1, the operation of the high voltage circuit is divided into normal operation and mute operation.

상기 고압회로(2)의 플라이백트랜스포머(FBT)로부터 출력된 약 -120 Vp-p 정도의 전압은 네가티브(-) 정류되고, 정류된 -DC 전압( 통상 -80V )은 커패시터(C1)에서 평활된다.About -120 output from the flyback transformer (FBT) of the high voltage circuit (2) V pp The voltage is negative rectified and the rectified -DC voltage (typically -80V) is smoothed at the capacitor C1.

먼저 정상 동작시 마이콤(4)으로부터 로우 레벨의 뮤트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뮤트신호가 제 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입력되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됨에 따라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되기 때문에, 상기 고압회로(2)로부터 공급되는 -80V의 DC전압(Va)은 전압 감쇄 부하(R3+R4)를 통해 전압이 -60V 정도로 강하되어 수상관의 제어그리드(G1)에 공급된다.First, when a low level mute signal is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4 during normal operation, the mute signal is input to the base of the second transistor Q2 and the second transistor Q1 is turned on as the first transistor Q2 is turned on. ) Is turned off, the DC voltage Va of -80V supplied from the high voltage circuit 2 drops to about -60V through the voltage attenuation load R3 + R4, so that the control grid G1 of the water pipe. Supplied to.

그러나, 뮤트 동작시(전원 오프시나 혹은 모드 변환시) 마이콤(4)으로부터 하이 레벨의 뮤트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뮤트신호가 제 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입력되어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가 턴오프됨에 따라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기 때문에, 상기 고압회로(2)로부터 공급되는 -80V의 DC 전압(Va)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를 통해 그대로 수상관의 제어그리드(G1)에 공급된다.However, when a mute signal of high level is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4 during a mute operation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or a mode is switched), the mute signal is input to the base of the second transistor Q2 so that the second transistor Q2 is applied. Since the first transistor Q1 is turned on as it is turned off, the DC voltage Va of -80V supplied from the high voltage circuit 2 is directly controlled through the first transistor Q1 through the control grid ( Supplied to G1).

따라서 전원 오프시나 혹은 모드 변환시 마이콤(4)으로부터 하이 레벨의 뮤트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어그리드 전압이 -60V에서 -80V로 낮아지기 때문에 그만큼 전자 방출을 억제하여 화면이 전체적으로 어두워지게 된다.Therefore, when the high level mute signal is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4 at the time of power-off or mode switching, the control grid voltage is lowered from -60V to -80V, thereby suppressing electron emission and darkening the screen as a whole.

한편, 상기 DC/DC 컨버터(3)는 스위칭전원회로(SMPS)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전압을 이용하여, 수평주파수에 따라 입력된 전원전압의 크기를 변화시켜(이러한 전압을 B+ 전압이라 한다), 고압회로(2)나 수평 편향 회로에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Meanwhile, the DC / DC converter 3 changes the magnitude of the input power voltage according to the horizontal frequency by using the power supply voltage output from the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SMPS (these voltages are referred to as B + voltages). It serves to supply the circuit 2 or the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이때, 상기 플라이백트랜스포머(FBT)가 수상관(CRT)의 부하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DC/DC 컨버터(3)는 빔커런트(Beam Current)의 많고 적음에 따라(화면의 밝기 변화에 따라) B+ 전압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BT)의 2 차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적절히 신호 처리한 후 상기 PWM 제어부(1)에 피드백 전압( Vfb )으로 공급하므로써, B+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flyback transformer (FBT) is connected to the load of the water pipe (CRT), the DC / DC converter (3) as the number of beam current (Beam Current) less and les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brightness of the screen) ) It is designed to regulate B + voltage. That is, after sensing the voltage output from the secondary side of the flyback transformer (FBT) and appropriately signal processing, the feedback voltage V fb ), You can adjust B +.

예컨대, 상기 빔커런트가 많아져 애노드 전압(고압)이 하강하면 피드백 전압( Vfb )이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B+ 전압이 높아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BT)로부터 발생하는 고압이 상승된다. 반대로, 상기 빔커런트가 적어져 애노드 전압(고압)이 상승하면 피드백 전압( Vfb )이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B+ 전압이 낮아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BT)로부터 발생하는 고압이 하강되므로써, 고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For example, when the beam current increases and the anode voltage (high voltage) falls, the feedback voltage ( V fb ) Is lowered, thereby increasing the B + voltage, thereby increasing the high pressure generated from the flyback transformer (FBT). On the contrary, when the beam current decreases and the anode voltage (high voltage) increases, the feedback voltage ( V fb ) Rises, thereby lowering the B + voltage and lowering the high pressure generated from the flyback transformer (FBT), thereby keeping the high pressure constant.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모니터는 수상관에 흐르는 빔커런트가 변화함에 따라 B+ 전압의 크기가 변화하여 플라이백트랜스포머(FBT)의 2차측 출력전압의 크기가 변화하기 때문에, 빔커런트 변화에 따라 제어그리드(G1) 전압도 민감하게 변화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monitor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beam current change because the magnitude of the B + voltage changes as the beam current flowing through the water pipe changes and the magnitude of the secondary output voltage of the flyback transformer (FBT) change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grid G1 voltage was also sensitively changed.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수상관에 흐르는 빔커런트의 양이 변화하더라도 제어그리드(G1) 전압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하는 모니터의 제어그리드전압 안정화 회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grid voltage of the monitor to always maintain a constant control grid (G1) voltage even if the amount of beam current flowing through the water pipe is chang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tabilization circui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제어그리드전압 안정화 회로는,The control grid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of th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플라이백트랜스포머로부터 출력된 AC전압을 다이오드 및 커패시터를 통해 네가티브 정류하여 수상관의 제어그리드에 공급하는 고압회로와 ; 정상 동작시 로우 레벨의 뮤트신호를 출력하고 전원 오프시나 모드 변환시 하이 레벨의 뮤트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이 구비된 모니터에 있어서,A high voltage circuit for negatively rectifying the AC voltage output from the flyback transformer through a diode and a capacitor and supplying it to the control grid of the water pipe; A monitor equipped with a microcomputer that outputs a low level mute signal during normal operation and a high level mute signal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or the mode is switched.

콜렉터단과 에미터단이 상기 고압회로와 제어그리드에 연결되는 PNP형 제 1 트랜지스터와 ;A PNP type first transistor having a collector stage and an emitter stage connected to the high voltage circuit and a control grid;

콜렉터단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과 연결되고, 에미터단이 제너다이오드를 통해 접지되는 PNP형 제 2 트랜지스터 ;A PNP type second transistor having a collector terminal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of the first transistor and an emitter terminal grounded through a zener diode;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단과 베이스단 사이를 연결하는 제 1 저항 ;A first resistor connecting the collector terminal and the base terminal of the first transistor;

한쪽단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단과 제어그리드 사이에 병렬 연결되고 다른 한쪽단이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에 연결되는 제 2 저항 ;A second resistor having one end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emitter end of the first transistor and the control gri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ase end of the second transistor;

한쪽단이 상기 제 2 저항과 제 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 사이에 병렬 연결되고 다른 한쪽단이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뮤트신호를 입력받는 제 3 저항 ; 및A third resistor having one end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second resistor and the base end of the second transistor and the other end receiving a mute signal from the micom; And

한쪽단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단과 제어그리드 사이에 병렬 연결되고 다른 한쪽단이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단과 제너다이오드 사이에 병렬 연결되는 제 4 저항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fourth resistor having one end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emitter terminal and the control grid of the first transisto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emitter terminal and the zener diode of the second transistor.

도 1 은 일반적인 모니터의 고압회로와 그 주변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high voltage circuit and a peripheral circuit of a general monitor;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제어그리드전압 안정화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ontrol grid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of th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고압회로 20 : 마이콤10: high voltage circuit 20: microcomputer

Q 1,2 : 제 1,2 트랜지스터 ZD1 : 제너다이오드Q 1,2: First and second transistor ZD1: Zener diode

D1 : 다이오드 C : 커패시터D1: Diode C: Capacitor

R 1,2,3,4 : 제 1,2,3,4 저항R 1,2,3,4: 1,2,3,4 resistor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제어그리드전압 안정화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ontrol grid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of th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회로는, 플라이백트랜스포머(FBT)로부터 출력된 AC전압을 다이오드(D1) 및 커패시터(C1)에 의해 네가티브(-) 정류하는 고압회로(10)와 ; 정상 동작시 로우 레벨의 뮤트신호를 출력하고 전원 오프시나 모드 변환시 하이 레벨의 뮤트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20); 및 상기 고압회로(10)로부터 입력된 -DC전압에 상기 -DC전압의 변화량만큼 보정전압을 가감하여 수상관의 제어그리드(G1)에 공급하는 제어그리드전압 공급부(30)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igh voltage circuit 10 which rectifies an AC voltage output from a flyback transformer FBT by a diode D1 and a capacitor C1; A microcomputer 20 for outputting a low level mute signal during normal operation and a high level mute signal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or the mode is switched; And a control grid voltage supply unit 30 which adds or subtracts a correction voltage by the amount of change of the -DC voltage to the -DC voltage input from the high voltage circuit 10 and supplies it to the control grid G1 of the water pipe.

상기 제어그리드전압 공급부(30)는, 콜렉터단이 상기 고압회로(10)로부터 -DC전압을 입력받고, 에미터단이 수상관의 제어그리드(G1)에 연결되는 제 PNP형 제 1 트랜지스터(Q1)와 ; 콜렉터단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과 연결되고, 에미터단이 제너다이오드(ZD1)를 통해 접지되는 PNP형 제 2 트랜지스터(Q2) ;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1)의 콜렉터단과 베이스단 사이를 연결하는 제 1 저항(R1) ; 한쪽단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단과 수상관의 제어그리드(G1) 사이에 병렬 연결되고 다른 한쪽단이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에 연결되는 제 2 저항(R2) ; 한쪽단이 상기 제 2 저항(R2)과 제 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 사이에 병렬 연결되고 다른 한쪽단이 상기 마이콤(20)으로부터 뮤트신호를 입력받는 제 3 저항(R3) ; 및 한쪽단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단과 수상관의 제어그리드(G1) 사이에 병렬 연결되고 다른 한쪽단이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단과 제너다이오드(ZD1) 사이에 병렬 연결되는 제 4 저항(R4)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control grid voltage supply unit 30 has a PNP type first transistor Q1 having a collector terminal receiving a -DC voltage from the high voltage circuit 10 and an emitter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trol grid G1 of the water pipe. Wow ; A PNP type second transistor (Q2) having a collector terminal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of the first transistor (Q1) and having an emitter terminal grounded through a zener diode (ZD1); A first resistor R1 connecting between the collector terminal and the base terminal of the first transistor Q11; The second resistor R2 having one end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emitter terminal of the first transistor Q1 and the control grid G1 of the water pip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of the second transistor Q2. ; A third resistor (R3) having one end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base terminal of the second transistor (Q2) and the other end receiving a mute signal from the micom (20); And one end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emitter terminal of the first transistor Q1 and the control grid G1 of the water pipe and the other end between the emitter terminal of the second transistor Q2 and the zener diode ZD1. The fourth resistor R4 is connected in parallel.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회로의 동작 및 효과를 (a) 초기 동작시, (b) -DC전압 감소시, (c) -DC전압 증가시, (d) 뮤트 동작시로 나누어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Subsequently,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divided into (a) initial operation, (b) -DC voltage decrease, (c) -DC voltage increase, and (d) mute operation. As follows.

이때 (a) 초기 동작시 (b) -DC전압 감소시 (c) -DC전압 증가시는 모두 모니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이므로, 마이콤(20)으로부터 로우 레벨의 뮤트신호가 출력된다.At this time, since (a) the initial operation (b)-when the DC voltage decreases (c)-when the DC voltage increase is all the normal operation of the monitor, the low level mute signal is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20.

a. 초기 동작시a. Initial operation

플라이백트랜스포머(FBT)가 동작하여 (A)포인트 전압이 0V에서 서서히 네가티브(-) 전압으로 떨어지면, 제 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전압이 (A)포인트 전압과 같이 변하게 되고, 제어그리드(G1) 전압은 제 1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될 때까지 0V를 유지하게 된다.When the flyback transformer FBT operates and the (A) point voltage gradually drops from 0 V to the negative (-) voltage, the base voltage of the first transistor Q1 changes with the (A) point voltage, and the control grid G1 The voltage is maintained at 0 V until the first transistor Q1 is turned on.

(A)포인트 전압이 제 1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킬 정도의 네가티브(-) 전압에 도달하면, 제어그리드(G1) 전압은 제 1 저항(R1), 제 2 저항(R2), 제 3 저항(R3), 제 1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전압과 베이스전압의 차에 의해서 형성된 전압을 가지게 된다.(A) When the point voltage reaches a negative (-) voltage enough to turn on the first transistor Q1, the control grid G1 voltage is the first resistor R1,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third resistor. (R3) has a voltage form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emitter voltage and the base voltage of the first transistor Q1.

이때 제어그리드(G1) 전압이 네가티브로 떨어짐에 따라 제 4 저항(R4)은 제너다이오드(ZD1)가 일정한 전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 2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전류의 패스를 형성한다.At this time, as the voltage of the control grid G1 falls negatively, the fourth resistor R4 forms a path of the emitter current of the second transistor Q2 so that the zener diode ZD1 can maintain a constant voltage.

b. -DC전압 감소시b. DC voltage decrease

고압회로(10)로부터 출력되는 -DC전압이 감소할 경우 즉 (A)포인트 전압이 낮아질 경우, 제 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전압 즉 (C)포인트 전압이 낮아져,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단에서 콜렉터단으로 흐르는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제 1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전압 즉 (D)포인트 전압이 낮아지게 되므로, 제 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전압 즉 (B)포인트 전압이 낮아진다.When the -DC voltage output from the high voltage circuit 10 decreases, that is, when the (A) point voltage is lowered, the base voltage of the first transistor Q1, that is, the (C) point voltage, is lowered, so that the first transistor Q1 is reduced. As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emitter stage to the collector stage increases, the emitter voltage of the first transistor Q1, that is, the (D) point voltage, decreases, and thus the base voltage of the second transistor Q2, that is, the (B) point voltage. Is lowered.

이때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전압과 베이스전압의 차가 커져,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단에서 베이스단으로 흐르는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제 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전압 즉 (C)포인트 전압이 증가하게 되므로, 제 1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전압 즉 (D)포인트 전압이 증가한다.At this time, the difference between the emitter voltage and the base voltage of the second transistor Q2 increases, and as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emitter end of the second transistor Q2 to the base end increases, the base voltage of the first transistor Q1, i.e. Since the (C) point voltage increases, the emitter voltage of the first transistor Q1, that is, the (D) point voltage increases.

이에 따라 상기 고압회로(10)로부터 출력되는 -DC전압이 감소하면 제어그리드전압 공급부(10)를 통해 감소량만큼 보정한 후 수상관의 제어그리드(G1)에 공급한다.Accordingly, when the -DC voltage output from the high voltage circuit 10 decreases, the control grid voltage supply unit 10 corrects the amount of the reduction through the control grid voltage supply unit 10 and supplies the correction amount to the control grid G1 of the water pipe.

이때 상기 고압회로(2)로부터 공급되는 -80V의 DC전압(A 포인트 전압)은 제 2 저항과 제 3 저항(R2,R3)에 의해 -60V 정도로 강하되어 수상관의 제어그리드(G1)에 공급된다.At this time, the DC voltage (A point voltage) of -80V supplied from the high voltage circuit 2 drops to about -60V by the second and third resistors R2 and R3 and is supplied to the control grid G1 of the water pipe. do.

c. -DC전압 증가시c. DC voltage increase

고압회로(10)로부터 출력되는 -DC전압이 증가할 경우 즉 (A)포인트 전압이 높아질 경우, 제 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전압 즉 (C)포인트 전압이 높아져,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단에서 콜렉터단으로 흐르는 전류가 감소함에 따라, 제 1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전압 즉 (D)포인트 전압이 높아지게 되므로, 제 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전압 즉 (B)포인트 전압이 높아진다.When the -DC voltage output from the high voltage circuit 10 increases, that is, when the (A) point voltage increases, the base voltage of the first transistor Q1, that is, the (C) point voltage increases, and thus the first transistor Q1 As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emitter stage to the collector stage decreases, the emitter voltage of the first transistor Q1, that is, the (D) point voltage becomes high, so that the base voltage of the second transistor Q2, that is, the (B) point voltage, increases. Increases.

이때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전압과 베이스전압의 차가 작아져,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단에서 베이스단으로 흐르는 전류가 감소함에 따라, 제 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전압 즉 (C)포인트 전압이 감소하게 되므로, 제 1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전압 즉 (D)포인트 전압이 감소한다.At this time, the difference between the emitter voltage and the base voltage of the second transistor Q2 is reduced, and as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emitter terminal to the base terminal of the second transistor Q2 decreases, the base voltage of the first transistor Q1 is reduced. That is, since the (C) point voltage is decreased, the emitter voltage of the first transistor Q1, that is, the (D) point voltage is reduced.

이에 따라 상기 고압회로(10)로부터 출력되는 -DC전압이 증가하면 제어그리드전압 공급부(10)를 통해 증가량만큼 보정한 후 수상관의 제어그리드(G1)에 공급한다.Accordingly, when the -DC voltage output from the high voltage circuit 10 is increased, the amount is corrected by the increase amount through the control grid voltage supply unit 10 and then supplied to the control grid G1 of the water pipe.

이때 상기 고압회로(2)로부터 공급되는 -80V의 DC전압(A 포인트 전압)은 제 2 저항과 제 3 저항(R2,R3)에 의해 -60V 정도로 강하되어 수상관의 제어그리드(G1)에 공급된다.At this time, the DC voltage (A point voltage) of -80V supplied from the high voltage circuit 2 drops to about -60V by the second and third resistors R2 and R3 and is supplied to the control grid G1 of the water pipe. do.

d. 뮤트 동작시d. Mute operation

상기 마이콤(20)으로부터 하이 레벨의 뮤트신호가 출력되므로, 제 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압 즉 (B)포인트 전압이 제 2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 전압보다 높아져 제 2 트랜지스터(Q2)가 턴오프된다.Since the high level mute signal is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20, the base voltage of the second transistor Q2, that is, the point voltage (B) is higher than the emitter voltage of the second transistor Q2, so that the second transistor Q2 Is turned off.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가 턴오프됨에 따라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전압 즉 (C)포인트 전압이 낮아지게 되므로, 제 1 트랜지스터(Q1)가 세츄레이션(Saturation)된다.As the second transistor Q2 is turned off, the base voltage of the first transistor Q1, that is, the (C) point voltage is lowered, so that the first transistor Q1 is saturated.

이에 따라 상기 고압회로(10)로부터 공급되는 -80V의 DC 전압(A 포인트 전압이)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를 통해 그대로 수상관의 제어그리드(G1)에 공급된다.Accordingly, the DC voltage (A point voltage) of -80 V supplied from the high voltage circuit 10 is supplied to the control grid G1 of the water pipe as it is through the first transistor Q1.

따라서 전원 오프시나 혹은 모드 변환시 마이콤(20)로부터 하이 레벨의 뮤트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어그리드(G1) 전압이 -60V에서 -80V로 낮아지기 때문에 그만큼 전자 방출을 억제하여 화면이 전체적으로 어두워 된다.Therefore, when a high level mute signal is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20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or the mode is switched, the voltage of the control grid G1 is lowered from -60V to -80V.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회로는, 수상관에 흐르는 빔커런트의 양이 변화하더라도 제어그리드(G1) 전압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므로써, 제어그리드(G1) 전압이 화면 밝기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한다는 데 그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control grid voltage G1 constantly even when the amount of beam current flowing through the water pipe changes, thereby controlling the effect of the control grid voltage on the screen brightness. Minimize the effect.

Claims (1)

플라이백트랜스포머(FBT)로부터 출력된 AC전압을 다이오드(D1) 및 커패시터(C1)를 통해 네가티브(-) 정류하여 수상관(CRT)의 제어그리드(G1)에 공급하는 고압회로(10)와 ; 정상 동작시 로우 레벨의 뮤트신호를 출력하고 전원 오프시나 모드 변환시 하이 레벨의 뮤트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20)이 구비된 모니터에 있어서,A high voltage circuit 10 rectifying the AC voltage output from the flyback transformer FBT through the diode D1 and the capacitor C1 and supplying the negative voltage to the control grid G1 of the water pipe CRT; In the monitor equipped with a microcomputer 20 for outputting the mute signal of the low level in normal operation and the mute signal of the high level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or the mode switch, 콜렉터단과 에미터단이 각각 상기 고압회로(10)와 제어그리드(G1)에 연결되는 PNP형 제 1 트랜지스터(Q1)와 ;A PNP type first transistor Q1 having a collector stage and an emitter stage connected to the high voltage circuit 10 and the control grid G1, respectively; 콜렉터단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과 연결되고, 에미터단이 제너다이오드(ZD1)를 통해 접지되는 PNP형 제 2 트랜지스터(Q2) ;A PNP type second transistor (Q2) having a collector terminal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of the first transistor (Q1) and having an emitter terminal grounded through a zener diode (ZD1);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1)의 콜렉터단과 베이스단 사이를 연결하는 제 1 저항(R1) ;A first resistor R1 connecting between the collector terminal and the base terminal of the first transistor Q11; 한쪽단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단과 제어그리드(G1) 사이에 병렬 연결되고 다른 한쪽단이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에 연결되는 제 2 저항(R2) ;A second resistor (R2) having one end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emitter terminal of the first transistor (Q1) and the control grid (G1)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of the second transistor (Q2); 한쪽단이 상기 제 2 저항(R2)과 제 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 사이에 병렬 연결되고 다른 한쪽단이 상기 마이콤(20)으로부터 뮤트신호를 입력받는 제 3 저항(R3) ; 및A third resistor (R3) having one end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base terminal of the second transistor (Q2) and the other end receiving a mute signal from the micom (20); And 한쪽단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단과 제어그리드(G1) 사이에 병렬 연결되고 다른 한쪽단이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단과 제너다이오드(ZD1) 사이에 병렬 연결되는 제 4 저항(R4)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제어그리드전압 안정화 회로.One end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emitter terminal of the first transistor Q1 and the control grid G1, and the other end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emitter terminal of the second transistor Q2 and the zener diode ZD1. The control grid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of the moni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sistor (R4).
KR2019980018707U 1998-09-30 1998-09-30 Monitor grid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KR20000007299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707U KR20000007299U (en) 1998-09-30 1998-09-30 Monitor grid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707U KR20000007299U (en) 1998-09-30 1998-09-30 Monitor grid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299U true KR20000007299U (en) 2000-04-25

Family

ID=69521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8707U KR20000007299U (en) 1998-09-30 1998-09-30 Monitor grid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7299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63183U (en) Switched-Mode Power Supplies with Transient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KR100669952B1 (en) High-voltage power supply for video display apparatus
KR20000007299U (en) Monitor grid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KR20000015613A (en) Circuit for stabilizing the control grid voltage of a monitor
KR20000009176U (en) Monitor grid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KR100195755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brightness of crt
KR100226701B1 (en) Circuit for compensating horizontal/vertical size in monitor
KR20000001589A (en) Stabilization apparatus of back raster brightness and method therof
KR200174698Y1 (en) Beam current stabilizing apparatus of cathode-ray tube for television set
KR20000011148U (en) Monitor's Control Grid Voltage Mute Circuit
KR100281382B1 (en) Monitor high voltage generation circuit
US6856104B2 (en) High voltage supply for a picture tube
KR19990028815U (en) High-pressure stabilization device of television
KR19990027231U (en) Monitor B + Voltage Generation Circuit
KR200148098Y1 (en) A circuit for controlling horizontal size in a monitor
KR100236032B1 (en) Circuit for prohibiting from being changed horizontal size and vertical size of picture in a monitor
KR100299844B1 (en) High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of Image Display Equipment
KR100226687B1 (en) An apparatus for protecting a CRT
KR920007328Y1 (en) High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KR200156528Y1 (en) Circuit for automatically limiting brightness in a monitor
KR19990007143U (en) Image signal level control device of high pressure variable compensation method
KR100228169B1 (en) High-voltage stabilizing circuit in multi-think monitor
US6169587B1 (en) Raster V-size adjustment circuit
KR19990005594A (en) B + voltage automatic adjustment device and method in monitor
KR20000011149U (en) Monitor's Control Grid Voltage Mute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