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7014U - 콤팩트 디스크 케이스 - Google Patents

콤팩트 디스크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7014U
KR20000007014U KR2019980018339U KR19980018339U KR20000007014U KR 20000007014 U KR20000007014 U KR 20000007014U KR 2019980018339 U KR2019980018339 U KR 2019980018339U KR 19980018339 U KR19980018339 U KR 19980018339U KR 20000007014 U KR20000007014 U KR 200000070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se
case body
stor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83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우
Original Assignee
김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우 filed Critical 김정우
Priority to KR20199800183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7014U/ko
Publication of KR200000070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014U/ko

Links

Landscapes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팩트 디스크(CD)가 수납되어 보관되는 CD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CD의 삽입 및 인출을 위한 도어의 구조를 개선하여 CD의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CD 케이스는 서로 조립되어 내부에 CD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전,후방 커버(1)(2)와, 전,후방 커버(1)(2)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CD 수납부와 폴더 브로셔 수납부로 구획하는 분리격벽(3)과, 전,후방 커버(1)(2)로 이루어진 케이스 본체(4)의 일측에 하단부를 중심으로 힌지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5) 및 도어(5)의 내벽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며 도어(5)의 개방시 케이스 본체(4) 내부에 수납된 CD를 협지하여 케이스 본체(4)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협지구(6)를 구비한 협지구 지지체(7)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본 고안의 CD 케이스는 도어가 케이스 본체의 일측에 힌지회동에 의해서 개폐되는 구조를 취함과 아울러 도어에 결합된 협지구가 수납상태에 있는 CD의 가장자리부를 협지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케이스 내부에 수납된 CD의 인출시 도어를 열어젖히는 동작만에 의해서 CD가 도어의 회동과 함께 케이스 본체의 외부로 인출되어지므로 CD의 인출 및 수납동작이 매우 손쉽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콤팩트 디스크 케이스
본 고안은 컴팩트 디스크(Ccmpact Disk, 이하 'CD'라 칭함)를 수납하여 보관하는 CD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CD 케이스의 일측벽에 하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개폐용 도어를 형성하고 도어의 내부에는 CD의 외주면을 협지하는 협지구를 형성하여 도어의 개방시 CD가 협지구에 협지되어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CD의 인출 및 수납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한 콤팩트 디스크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D는 음악이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각종 비디오물을 비롯한 게임등의 수록 매체로서 다른 어떤 매체 보다도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는 바, 이러한 CD는 외부로부터의 접촉이나 충격등에 매우 취약한 특성을 지니고 있음에 기인하여 CD 재생장치에 장착되는 재생되는 때 이외의 경우에는 CD 케이스에 넣어져 보관되고 있음이 일반적이다.
도1은 일반적인 CD 케이스의 구조를 보인 것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CD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21)의 일측에 케이스 본체(21)의 상부면 전체를 커버하는 크기의 덮개(22)가 힌지축(23)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케이스 본체(21)의 내부에는 중앙부에 CD(25)가 놓여지는 CD 안착요부(24a)가 구비된 CD 안착판(2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22)의 양측벽(22a) 내면에는 반원형의 결합돌기(22b)가 돌출형성되는 한편 이에 대응되는 부위의 CD안착판(24)상에는 결합요부(24a)가 형성되어 덮개(22)를 닫았을 때 이들 결합돌기(22b)와 결합요부(24a)간의 밀착결합에 의해서 덮개(22)의 닫힘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 덮개(22)의 양측벽(22a) 각 외면 일측에는 파지부(22c)가 형성되어 있어 덮개(22)의 개방시 이들 양 파지부(22c)에 엄지와 검지 또는 중지를 대고 힘을 가한 상태에서 덮개(22)를 윗쪽으로 들어올려 덮개(22)가 열리도록 한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CD 케이스 구조에서는 케이스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CD(25)를 인출하고자 할 때 한 손으로 케이스 본체(21)를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을 이용하여 덮개(22)를 잡고 힌지회동시켜서 덮개(22)를 완전히 열어젖힌 다음 CD 안착판(24)에 보관된 CD(25)를 케이스 본체(21) 외부로 꺼내야 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만 하고, 또한 꺼냈던 CD(25)를 다시 CD 케이스에 수납코자 할 때에도 상기 인출과정과 반대의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여만 하는 불편이 있다.
그리고, 대개의 경우 CD는 CD케이스에 수납된 상태에서 다수개의 CD 케이스를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 CD 케이스 랙(rack)에 보관되는 데, 이와같이 CD 케이스 랙에 보관되어 있는 CD를 찾아보고자 할 경우에는 CD 케이스 랙에 보관된 해당 CD 케이스를 CD 케이스 랙으로부터 분리해 낸 다음 상기의 CD 인출과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특히, 대량의 CD를 보유하고 있는 개인이나 방송국 또는 매장등의 경우에 있어서 CD 케이스 랙에 보관되어 있는 수많은 CD중에서 특정한 CD를 확인하거나 꺼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불편은 더욱 가중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CD 케이스에서 지적되고 있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CD 케이스의 일측벽에 하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개폐용 도어를 구성하고 도어의 내부에 CD의 외주면을 협지하는 협지구를 형성하여 도어의 개방시 CD가 협지구에 협지되어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CD의 인출 및 수납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한 콤팩트 디스크 케이스를 제공함에 고안의 목적을 두고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직 또는 수평상태로 CD 케이스 랙에 밀집보관되고 있는 CD중에서 특정한 CD를 확인하거나 꺼내보고자 할 때 CD 케이스 자체가 CD 케이스 랙에 꽂혀져 있는 그대로의 상태에서 전면에 위치하는 도어의 개방만에 의해서 CD 케이스내의 CD를 확인하거나 꺼내볼 수 있도록 한 콤팩트 디스크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CD 케이스는 모든 종류의 CD는 물론 최근에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는 DVD(Digital Video Disk)의 수납용으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CD 케이스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CD 케이스의 전체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CD 케이스의 도어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CD 케이스의 CD 수납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CD 케이스의 CD 수납 및 인출과정을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전방 커버 2. 후방 커버
3. 분리격벽 4. 케이스 본체
5. 도어 6. 협지구
6a. 협지편 6b. 협지돌기
7. 협지구 지지체 9. CD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서로 조립되어 CD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전후방 커버와 전후방 커버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분리격벽과 전후방 커버로 이루어진 케이스 본체의 일측벽에 힌지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및 도어의 내벽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며 도어의 개방시 케이스 본체 내부에 수납된 CD를 협지하여 케이스 본체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협지구를 구비한 협지구 지지체로 이루어진 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공간은 중앙의 분리격벽에 의해서 양분되어 일측에는 CD가 수납되는 CD수납부를 형성하며, 다른쪽 공간은 케이스 본체의 타측 공간에 수납된 CD의 곡명등이 기록된 폴더 브로셔가 수납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한편, 상기 본 고안의 케이스 본체는 CD 케이스 랙에 수납되어 보관됨에 있어 상기 도어가 전방으로 노출된 상태의 직립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도어의 개방만으로도 CD 케이스 내부의 CD가 외부로 인출되는 구조를 취함에 따라 CD 케이스 랙에 보관된 CD 케이스를 랙으로부터 분리해 내지 않은 상태에서도 CD의 인출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케이스 본체 상하부에는 CD 케이스 랙에 세워진 상태로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T"자형의 레일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와같은 CD 케이스가 수납보관되는 CD 케이스 랙에는 상기 CD 케이스의 상하부에 구비된 "T"자형 레일에 형합하는 가이드 홈이 구비되어 CD 케이스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구체적인 기술적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CD 케이스의 전체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CD 케이스의 도어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CD 케이스는 서로 조립되어 내부에 CD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전,후방 커버(1)(2)와, 전,후방 커버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분리격벽(3)과, 전,후방 커버로 이루어진 케이스 본체(4)의 일측벽에 하단부를 중심으로 힌지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5) 및 도어의 내벽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며 도어(5)의 개방시 케이스 본체(4) 내부에 수납된 CD를 협지하여 케이스 본체(4)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협지구(6)를 구비한 협지구 지지체(7)로 이루어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 커버(1)와 후방커버(2)는 각기 투명재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도어(5) 형성부측 주연부를 제외한 전체 주연부를 따라 분리격벽(3)을 향하는 리브(1a)(2a)가 돌출되어 있으며, 내면의 주연부상에는 경사면(ts)이 형성되어 있고, 외면의 전방 하단부상에는 힌지핀(1b)(2b)이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한편, 상기 분리격벽(3)은 도어(5) 형성부측 주연부를 제외한 전체 주연부를 따라 분리격벽(3)과는 수직을 이루는 일정폭의 테두리(3a)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테부리(3a)의 내측에는 상기 전,후방 커버(1)(2)의 리브(1a)(2a)가 삽입되도록 하는 리브삽입홈(3b)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전,후방 커버(1)(2)는 이들의 리브(1a)(2a)가 분리격벽(3)의 테두리(3a) 안쪽에 형성된 리브삽입홈(3b)에 밀착상태로 끼워짐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어 케이스 본체(4)를 이루게 된다.
상기 분리격벽(3)의 가장자리부에는 전,후방 커버(1)(2)와 마찬가지로 경사면(ts)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어(5) 형성부측 단부의 상부에는 고정편(3c)이 돌출형성되는 한편 그 아랫쪽에는 "V"자형의 요홈(3d)이 형성된다. 이들 고정편(3c) 및 요홈(3d)의 기능에 대하여는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다음, 도어(5)는 투명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대략 "u"자형 단면구조를 이루며, 케이스 본체(4)측 단부의 양 측벽부상에는 상기 전,후방 커버(1)(2)의 전방 하단부에 돌출형성된 힌지핀(1b)(2b)이 삽입되는 핀삽입공(5a)이 구비되며, 핀삽입공(5a) 형성부 반대편 단부에는 협지구 지지체(7)의 고정을 위한 고정홈(5b)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도어(5)의 내부에는 당해 케이스 본체(4)에 수납되는 CD의 타이틀이나 종류등이 기재되는 타이틀 기록편(8)과 협지구 지지체(7)가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협지구 지지체(7)는 그 외측단부에 고정구(7a)가 위쪽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그 고정구(7a)가 상기 도어(5)의 외측단부상에 형성된 고정홈(5b)에 밀착상태로 끼워짐에 의해서 협지구 지지체(7) 및 타이틀 기록편(8)이 도어(5)의 안쪽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협지구 지지체(7)의 고정구(7a) 형성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분리격벽(3)의 외측 상단부에 돌출형성된 고정편(3c)이 밀착상태로 끼워지도록 하는 고정편 삽입홈(7b)이 구비되어 있다. 이에따라, 도어(5)가 그 하단부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힌지회동하여 수직을 이룬 상태, 즉 도어(5)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에는 분리격벽(3)의 고정편(3c)이 도어(5)에 고정된 협지구 지지체(7)의 고정편 삽입홈(7b)에 밀착상태로 끼워짐에 따라 일단 도어(5)가 닫히게 되면 외부로부터 일정치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도어(5)의 닫힘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진다.
다음, 협지구 지지체(7)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협지구(6)는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세워진 한쌍의 협지편(6a)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협지편(6a)의 상단 내면에는 각각 반구형의 협지돌기(6b)가 돌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양 협지편(6a)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들 협지편(6a) 사이의 간격은 CD(9)의 두께보다 약간 넓게 형성되며, 양 협지돌기(6b)의 정상부 사이의 간격은 CD(9)의 두께보다 약간 좁게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협지구(6)의 형성위치는 협지구 지지체(7)의 좌우폭중 일측으로 치우쳐서 위치함에 있어 도어(5)를 닫았을 때 그 중앙 협지구(6)가 분리격벽(3)의 요홈(3d) 안쪽에 위치하도록 설계된다.
이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 CD 케이스를 이용한 CD의 수납 및 수납된 CD의 인출과정을 도4 및 도5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CD 케이스의 CD 수납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CD 케이스의 CD 인출과정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케이스 본체(4)는 그 중앙의 분리격벽(3)에 의해서 내부공간이 CD 수납부와 폴더 브로셔 수납부(본 실시예에서는 좌측에 CD 수납부가 그리고 우측에 폴더 브로셔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다.)의 두 부분으로 구획되며, CD 수납부 내부에 CD(9)의 수납이 이루어지게 되는 데, 이때 CD(9)의 가장자리부는 전방 커버(1)와 분리격벽(3)의 각 내벽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경사면(ts)에 접촉안내되어 CD 수납부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므로 정보가 수록된 CD(9)의 가장자리부 안쪽의 면이 전방 커버(1)나 분리격벽(3)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CD(9)가 수납상태에 있을 때에는 도어(5)가 그 하단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데, 이때에는 협지구(6)의 양 협지편(6a) 사이에 각 CD(9)의 전방 하부측 가장자리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협지돌기(6b)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협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CD(9)의 상하 좌우의 각 일단부는 케이스 본체(4)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케이스 본체(4) 내부에서의 유동이 억제된다.
이와같이, CD(9)가 수납된 케이스 본체(4)는 주로 CD 케이스 랙(도면 미도시)에 올려져서 보관되어 진다.
한편, 케이스 본체(4) 내부에 수납된 CD(9)를 케이스 본체(4) 외부로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어(5)의 상부를 잡고 외측으로(시계 방향으로) 힘을 가함에 따라 도어(5)가 개방되고 도어(5)의 개방과 함께 도어(5)의 협지구(6)에 협지된 CD(9)가 함께 케이스 본체(4)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진다.
다시말하면, 도어(5)의 상부에 시계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케이스 본체(4)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된 도어(5)가 그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도어(5)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와같은 도어(5)의 개방에 수반하여 도어(5)의 내부에 고정된 협지구(6)가 수납상태에 있던 CD(9)를 잡은 상태로 시계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CD(9)의 인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도어(5)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즉 도어(5)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수평상태로 되었을 때(도5의 점선상태)에는 전체 CD(9)의 반이상이 케이스 본체(4)의 외측으로 드러난 상태로 되므로, 이와같이 케이스 본체(4)의 외측으로 드러난 CD(9)에 대해 중지나 검지를 CD(9)의 중앙 통공에 끼우고 엄지를 CD(9)의 가장자리부에 접촉시키는 파지형태를 취하여 CD(9)를 케이스 본체(4) 및 도어(5)로부터 분리함에 의해서 CD(9)의 인출이 완료된다.
그리고, 꺼냈던 CD(9)를 케이스 본체(4)에 수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어(5)를 완전히 열어젖힌 상태에서 CD(9)를 단순히 CD 수납부에 밀어넣은 다음 도어(5)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닫음에 의해서 CD(9)의 수납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의 CD 케이스는 도어가 케이스 본체의 일측에 힌지회동에 의해서 개폐되는 구조를 취함과 아울러 도어에 결합된 협지구가 수납상태에 있는 CD의 가장자리부를 협지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케이스 본체 내부에 수납된 CD의 인출시 도어를 열어젖히는 동작만에 의해서 CD가 도어의 회동과 함께 케이스 본체의 외부로 인출되어지므로 종래의 CD 케이스에 비해 CD의 인출 및 수납동작이 매우 손쉽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케이스 본체 내부에 수납되어 CD 케이스 랙에 보관중에 있는 CD를 인출하고자 할 때 케이스 본체를 CD 케이스 랙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해 내지 않고 케이스 본체의 도어만을 열어젖힘에 의해서 CD의 인출이 가능하므로 CD의 인출 및 확인 작업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CD 케이스는 그 구조가 종래의 CD 케이스에 비해서 간단하고 또한 구성 부품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CD 케이스의 제작비를 낮출수 있는 효과도 아울러 지니고 있다.

Claims (1)

  1. 서로 조립되어 내부에 CD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전,후방 커버(1)(2)와, 전,후방 커버(1)(2)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CD 수납부와 폴더 브로셔 수납부로 구획하는 분리격벽(3)과, 전,후방 커버(1)(2)로 이루어진 케이스 본체(4)의 일측에 하단부를 중심으로 힌지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5) 및 도어의 내벽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며 도어(5)의 개방시 케이스 본체(4) 내부에 수납된 CD를 협지하여 케이스 본체(4)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협지구(6)를 구비한 협지구 지지체(7)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 디스크 케이스.
KR2019980018339U 1998-09-25 1998-09-25 콤팩트 디스크 케이스 KR2000000701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339U KR20000007014U (ko) 1998-09-25 1998-09-25 콤팩트 디스크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339U KR20000007014U (ko) 1998-09-25 1998-09-25 콤팩트 디스크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014U true KR20000007014U (ko) 2000-04-25

Family

ID=69516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8339U KR20000007014U (ko) 1998-09-25 1998-09-25 콤팩트 디스크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701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8563A (en) Disk cartridge capable of taking out a disk
US20060053435A1 (en) Cartridge for a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4755982A (en) Disc cassette
EP0772196B1 (en) Disc cartridge
GB2272990A (en) Disk cartridge
US6052359A (en) Disk cartridge having a dynamically stable supported member in a discrimination hole
JPH04279484A (ja) 角形カセット用ホルダ
EP0742560A2 (en) A container for accomodating discs
JP3491427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EP1001427B1 (en) Disk cartridge with drawer element
KR20000007014U (ko) 콤팩트 디스크 케이스
KR20000007013U (ko) 콤팩트 디스크 케이스
US5109982A (en) Cassette container case with recessed walls
JP2000103490A (ja) ディスクカ―トリッジの収納ケ―ス
KR100512589B1 (ko) 디스크상기록매체용 카트리지케이스 및 디스크카트리지
KR200177231Y1 (ko)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US20050045502A1 (en) Disk storage case for a recording medium
KR200190679Y1 (ko) 씨디 케이스
JP3713861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用の収納ケース
KR200353629Y1 (ko) 삽입형 디스크 케이스
JP3761124B2 (ja) カートリッジ用収納ケース及びカートリッジ
JP3853458B2 (ja) ミニ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用収納ケース
JP4036702B2 (ja) ディスク収容ケースおよび電子機器
JP2000226093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の収納ケース
JP3755681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用の収納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