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6803A - 벽면을 조정할 수 있는 띠형보강재- 밴드형앵커 보강토공법 - Google Patents

벽면을 조정할 수 있는 띠형보강재- 밴드형앵커 보강토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6803A
KR20000006803A KR1019990048684A KR19990048684A KR20000006803A KR 20000006803 A KR20000006803 A KR 20000006803A KR 1019990048684 A KR1019990048684 A KR 1019990048684A KR 19990048684 A KR19990048684 A KR 19990048684A KR 20000006803 A KR20000006803 A KR 20000006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type
turnbuckle
strip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8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5200B1 (ko
Inventor
정재영
Original Assignee
정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영 filed Critical 정재영
Priority to KR10-1999-0048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5200B1/ko
Publication of KR20000006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2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1)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벽면을 조정할 수 있는 띠보강재와 앵커가 결합된 보강토공법.
(2) 발명의 목적
보강재와 밴드형앵커를 결합시켜 사질토 및 점질토 겸용하고 인발저항력을 크게하며, 벽면을 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3) 발명의 구성
전면판을 설치하고 난 후, 양 끝단에 구멍을 형성한 띠형철제의 중앙부분을 반원형으로 형성한 후 다시 90도 반전시킨 밴드형앵커와, turnbuckle eye와 철제띠형보강재를 볼트로 연결된 한 쌍을 밴드형앵커로 결합한 좌우동형보강재를 전면판에 볼트로 연결하고, turnbuckle부위만 남기고 지층단면 위에 흙을 채운 후, turnbuckle의 회전부를 돌려 전면판의 수직도를 유지하는 방법.
(4) 발명의 효과
띠형보강재와 밴드형앵커를 결합시켜 인발저항력을 극대화시키고, 보강재 수량의 감소로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벽면을 조정할 수 있는 띠형보강재- 밴드형앵커 보강토공법{Adjustable strip-bended strip anchor reinforced earth wall system}
마찰형 보강재와 밴드형앵커를 결합시켜 사질토 및 점질토 겸용하고 인발저항력을 크게하며, 벽면을 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강토공사란, 단층지면과 적층되는 콘크리트 전면판간에 보강재를 부설하고, 단층지면에 자갈, 토사 등을 채우고 다져서 보강재와 토사가 일체화되게 축성하는 축대축성법의 일종이다. 이와 같은 보강토공사에 있어서 보강재의 역할은 대단히 중요하다.
보강토공법은 사질토의 성질을 이용하여 수직응력의 크기에 따라 마찰저항력을 증가시키는 철제띠형보강재 시스템과 점성질토의 성질을 이용하여 수직응력과 관계없이 흙의 점착력과 앵커의 지지력을 이용하는 앵커형 시스템을 사용한다.
보강토공법은 보강재의 인발저항력>보강재의 인장력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무리 인장력이 큰 보강재라도 토체내에서 인발되면 인발파괴가 되므로 인발저항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소재 또는 형상 또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띠형보강재의 인발저항력 공식은 2*보강재의폭*수직응력*마찰계수*보강재의길이로 구하며, 앵커의 수동저항력은 (4*수동토압계수*수직응력*앵커의 지지단면)+ (수직응력*흙의 마찰계수*2*앵커의 접촉면적)으로 구한다.
만일, 띠형보강토공법에서 마찰력이 모자라면, 인장력이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보강재의 수량을 증가시키든가 또는 보강재의 폭이 넓은 것을 사용하던가 또는 보강재의 길이를 길게 하는 방법을 사용하므로 보강재의 효율성이 부족하다.
이러한 공법들은 각각 흙의 성질에 따라 구분되고 있으나, 흙이란 지역과 장소에 따라 성질이 다르고 함수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본 공법에 적절한 흙을 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보강재의 인발저항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 수직응력 = 2.0kg/㎤ = 20t/㎡이고, 보강재의 유효길이 = 6.5m, 보강재의 마찰계수는 보강재의 표면형상에 따라 각각 적용하며, 동일한 수직토압조건에서 계산한 결과는,
1) Websol Fricional Anchor System의 parastrip는 폭 90mm, 겉보기마찰계수 = tan30°= 0.577로 마찰저항 = 2*0.09*0.577*20*6.5 = 13.50t/ea이고,
2) Reindorced Earth System의 ribbed steel은 폭 60mm, 겉보기마찰계수 = tan36°= 0.727로 마찰저항력 = 2*0.06*0.727*20*6.5 = 11.34t/ea이다.
본 발명에 사용한 표면이 평활한 띠형보강재의 폭 80mm, 겉보기마찰계수 = tan22°= 0.404, 앵커의 폭 = 0.75m, 앵커의 높이 = 0.08m, 흙의 마찰각 = 30°, tan30°= 0.577, 수동저항계수 = (1+sin30)/ (1-sin30)= 3로, 마찰저항력 = 2*0.08*0.404*20*6.5 = 8.40t/ea, 수동저항력 = 4*3.00*20*(0.08*0.75)/2+ 20*0.577*[2*(π*0.75^2/4/2]/2 = 9.75t/ea, 합산한 저항력 = 8.40 +9.75 = 18.15t/ea로, ribbed steel의 인발력 11.34t/ea를 기준으로 비교하면 parastrip는 13.5/0.09*0.06 = 9.00t/ea이고 본 발명은 18.15/0.08*0.06 = 13.61t/ea로 타 보강재에 비하여 보강재의 인발저항력이 매우 높다.
따라서, 띠형보강재의 마찰저항력과 앵커의 수동저항력을 합친 구조는 저항력이 크므로 보강재의 인발저항력을 최대한 발휘시킬 수 있어 구조적으로 안정하며, 인발저항력의 극대화로 보강재의 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경제적이다.
제 1도는 띠형보강재와 밴드형앵커의 전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철재띠형보강재 2 - 밴드형앵커 3 - 턴바클
4 - 전면판 5 - L형강 7 - 좌우동형보강재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도면에서, eye*eye형 turnbuckle(3) 우측 eye(도시없슴)와 철제띠형보강재 (1)에 형성된 구멍(도시없슴)을 볼트(1a)로 연결된 한 쌍과 철제띠형의 중앙부분을 반원형으로 형성한 후 다시 바깥방향으로 90도 반전시키고 양 끝단에 볼트구멍(도시생략)을 형성한 밴드형앵커(2)를 볼트(1b)로 연결된 좌우동형보강재(7)를 만든다.
설치된 전면판(4)에 미리 삽입된 nut형 insert(4a)와 L형강(5)의 볼트구멍(도시없슴)을 맞추어서 볼트(5a)로 연결한 후 L형강(5)의 볼트구멍(도시없슴)과 좌우동형보강재(7)의 turnbuckle(3) 좌측 eye를 맞추어 볼트(5b)로 연결하고, turnbuckle(3)부위만 남기고 지층단면(6) 위에 흙을 채운 후 다진다. 다시 전면판 (4)위에 상부전면판를 설치하고 nut형 insert(4b)와 L형강(5)의 볼트구멍(도시없슴)을 맞추어서 볼트(5c)로 연결한 후 turnbuckle(3)의 회전부(도시없슴)를 돌려 결속된 상하전면판을 수평방향으로 밀고 끌어 당겨서 수직도를 유지한 다음 남겨진 공간에 흙을 붓고 다지는 방법.
보강재의 인발저항력>인장력관계이므로, 띠형보강재와 밴드형앵커를 결합시켜 인발저항력을 극대화시켜 구조적으로 안정시키고, 극대화한 인발저항력으로 보강재의 수량을 감소시키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철제띠형의 중앙부분을 반원형으로 형성한 후 다시 90도 반전시키고 양 끝단에 구멍(도시생략)을 형성한 밴드형앵커(2)와;
  2. eye*eye형 turnbuckle(3) 우측 eye(도시없슴)와 철제띠형보강재(1)에 형성된 구멍(도시없슴)을 볼트(1a)로 연결된 한 쌍과 제 1항의 밴드형앵커(2)를 볼트(1b)로 연결된 좌우동형보강재(7)와;
  3. 전면판(4)에 삽입된 nut형 insert(4a)와 L형강(5)의 볼트구멍(도시없슴)을 맞추어서 볼트(5a)로 연결한 후 L형강(5)의 볼트구멍(도시없슴)과 좌우동형보강재 (7)의 turnbuckle(3) 좌측 eye를 맞추어 볼트(5b)로 연결하고, turnbuckle(3)부위만 남기고 지층단면(6) 위에 흙을 채운 후 다지고, 다시 전면판(4)위에 상부전면판를 설치하고 nut형 insert(4b)와 L형강(5)의 볼트구멍(도시없슴)을 맞추어서 볼트 (5c)로 연결한 후 turnbuckle(3)의 회전부(도시없슴)를 돌려 전면판의 수직도를 유지하는 방법.
KR10-1999-0048684A 1999-11-04 1999-11-04 벽면을 조정할 수 있는 띠형 보강재와 밴드형 앵커를 사용하는 보강토 공법 KR100405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8684A KR100405200B1 (ko) 1999-11-04 1999-11-04 벽면을 조정할 수 있는 띠형 보강재와 밴드형 앵커를 사용하는 보강토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8684A KR100405200B1 (ko) 1999-11-04 1999-11-04 벽면을 조정할 수 있는 띠형 보강재와 밴드형 앵커를 사용하는 보강토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803A true KR20000006803A (ko) 2000-02-07
KR100405200B1 KR100405200B1 (ko) 2003-11-12

Family

ID=19618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8684A KR100405200B1 (ko) 1999-11-04 1999-11-04 벽면을 조정할 수 있는 띠형 보강재와 밴드형 앵커를 사용하는 보강토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52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963B1 (ko) * 2004-11-25 2007-05-30 프레이씨네 안정화된 토양 구조물 및 그 토양 구조물 건설용 외장재요소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5786B2 (ja) * 1994-02-17 1998-04-02 強化土エンジニヤリング株式会社 補強土構造物の壁面構造
KR100328621B1 (ko) * 1999-05-14 2002-03-14 이정수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963B1 (ko) * 2004-11-25 2007-05-30 프레이씨네 안정화된 토양 구조물 및 그 토양 구조물 건설용 외장재요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5200B1 (ko) 2003-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530833A (ja) 補強土擁壁システム及び構築方法
CN206752482U (zh) 控制偏压变形的组合支挡结构
CN105672450A (zh) 平行于既有地铁隧道结构上方大口径排水管道的敷设方法
CN206487488U (zh) 深井高应力软岩巷道u型钢增强复合锚网支护结构
CN112942408A (zh) 一种软土地基道路改扩建工程支挡结构及施工方法
CN110158641B (zh) 一种锚杆加筋复合挡土墙及施工方法
CN210288417U (zh) 雨污水管开挖基坑支护结构
KR20000006803A (ko) 벽면을 조정할 수 있는 띠형보강재- 밴드형앵커 보강토공법
CN209779642U (zh) 一种具有抗滑结构的微型桩及其挡墙组合体
CN113585221B (zh) 深厚软土真空预压与动力强夯组合加固体系及施工方法
CN206376274U (zh) 一种单桩高位承台与锚索塔吊基础结构
CN213775385U (zh) 一种富水砂层盾构隧道下穿高架桥用隔离加固结构
CN209523242U (zh) 挖掘机破碎头和挖掘机
KR101757975B1 (ko) 사면을 압착하기 위한 수압판측에 정착체가 구비된 앵커 및 그 시공 방법
CN1086279A (zh) 地基水平置换加固法
CN210315650U (zh) 一种锚杆加筋复合挡土墙
CN107060837A (zh) 一种浅埋偏压不对称式护拱施工方法
CN207863105U (zh) 一种用于坡地及群体建筑施工用循环型排水沟
KR200223114Y1 (ko) 암 절취사면용 옹벽 보강구조
CN214143735U (zh) 基坑复合式支护结构
KR100467423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축조구조
CN221072112U (zh) 一种高速公路软基段不均匀沉降的托换加固结构
CN214403607U (zh) 一种采矿用泥质破碎带的巷道支护结构
CN115110966B (zh) 一种隧道支护结构及施工方法
CN213772764U (zh) 一种装配化的陡坡路基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