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4894U - 배터리 잔여 용량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잔여 용량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4894U
KR20000004894U KR2019980015498U KR19980015498U KR20000004894U KR 20000004894 U KR20000004894 U KR 20000004894U KR 2019980015498 U KR2019980015498 U KR 2019980015498U KR 19980015498 U KR19980015498 U KR 19980015498U KR 20000004894 U KR20000004894 U KR 200000048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ime
unit
capacity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54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형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154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4894U/ko
Publication of KR200000048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894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6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s or variables, e.g. visual or audible indic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8Constructional arrangements comprising digital calculation means, e.g. for performing an algorith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표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좀더 구체적으로 표시해주는 장치를 구현함에 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수치를 사용하여 백분율 또는 남은 시간으로 표시해주는 장치를 제공 한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배터리의 용량 표시에 이용된다.

Description

배터리 잔여 용량 표시 장치
본 고안은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표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측정하여 수치적으로 백분율 또는 남은 시간으로 표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무선 단말기(CORDLESS TELEPHONE SET)는 휴대를 위하여 배터리(BATTERY)를 사용하고 있는데 사용자가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충전하게 하기 위하여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표시해주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배터리의 잔여 용량 표시는 대부분이 간단하게 몇 개의 부분으로 구분하여 아이콘을 단계적으로 표시해줌으로써, 사용자가 구체적인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아이콘에 의한 단계적 표시는 직접적으로 배터리의 용량 변화에 따른 시간 변화량을 표시해주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항상 배터리 잔여 용량을 예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수치적으로 표시해주는 장치를 구현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와, 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여 전압값을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제어부로 전송하는 배터리 용량 감지부와, 일반적인 배터리 방전 전압과 시간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제어부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백분율로 표시해주는 표시부와, 상기 배터리 용량 감지부를 통해 주기적으로 상기 배터리부의 출력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메모리의 상기 방전 전압과 시간 테이블을 독출하여 상기 측정한 출력 전압에 따라 동작 전압까지 방전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백분율로 계산하여 상기 표시부로 전송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용량을 감지하여 표시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배터리의 방전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용량을 감지하여 표시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배터리의 방전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제어부 100은 배터리 용량 감지부를 통해 주기적으로 배터리부 120의 출력 전압을 측정하여 전압값의 변화를 검사한다. 측정된 전압값은 메모리 110의 지정된 저장 영역에 저장된 배터리 방전 테이블에서 비교하여 총 방전 시간에 대한 남은 방전 시간의 비를 구해 100을 곱함으로써 남은 시간을 백분율로 데이터로 출력한다. 이때 출력되는 데이터는 표시부 140을 통해 출력된다. 메모리 110은 배터리의 방전 테이블을 가지고 있으며, 계산되는 시간 백분율 데이터와 남은 배터리 용량 방전 시간 데이터를 저장한다.
배터리부 120은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 용량 감지부 130은 제어부의 제어를 받으며 주기적으로 배터리부 120의 출력 전압을 측정한다. 배터리 용량 감지부 130은 또한 측정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기 위한 ADC(ANALOG DIGITAL CONVERTER)를 가지고 있다. 표시부 140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이다. 표시부 140은 상기 제어부 100의 제어를 받아 기기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을 표시한다.
배터리 방전 테이블의 예를 살펴보면 하기 표 1과 같다.
전압 50 45 43 42.5 42 41.5 41 40 30 10
남은 시간 20 17 13 10 7 6 3 2 1 0
이때 방전 테이블의 데이터가 많고 배터리부 120의 출력전압의 측정이 주기적으로 짧은 시간을 주기로 측정되면 표시되는 데이터의 신뢰도도 높아지게 된다.
표시부 140을 통해 표시되는 데이터는 풀(FULL) 충전 시에 배터리가 소모되는데 걸리는 시간에서 현재 남은 시간을 나누어 100을 곱한 백분율 데이터 또는 상기 방전 테이블의 남은 시간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표시의 예는 "50%" 또는 "80분"과 같이 백분율 또는 시간으로 표시한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에 의해 본 고안은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백분율 또는 예상되는 방전 시간으로 표시해줌으로써, 사용자가 배터리의 방전을 예측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배터리 용량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와,
    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여 전압값을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제어부로 전송하는 배터리 용량 감지부와,
    배터리 전압에 따른 예상되는 잔여 사용 시간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제어부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백분율로 표시해주는 표시부와,
    상기 배터리 용량 감지부를 통해 주기적으로 상기 배터리부의 출력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메모리의 상기 시간 테이블을 독출하여 상기 측정한 출력 전압에 따라 동작 전압까지 방전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백분율로 계산하여 상기 표시부로 전송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잔여 용량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용량 감지부를 통해 주기적으로 상기 배터리부의 출력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메모리의 상기 시간 테이블을 독출하여 상기 측정한 출력 전압에 따라 동작 전압까지 방전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표시부로 상기 시간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표시부는 제어부로부터 상기 시간 데이터를 받아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남은 시간으로 표시해줌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잔여 용량 표시 장치.
KR2019980015498U 1998-08-18 1998-08-18 배터리 잔여 용량 표시 장치 KR2000000489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498U KR20000004894U (ko) 1998-08-18 1998-08-18 배터리 잔여 용량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498U KR20000004894U (ko) 1998-08-18 1998-08-18 배터리 잔여 용량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894U true KR20000004894U (ko) 2000-03-15

Family

ID=69519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5498U KR20000004894U (ko) 1998-08-18 1998-08-18 배터리 잔여 용량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4894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534A (ko) * 2000-04-27 2001-11-09 류정열 자동차용 밧데리의 자기 진단장치
WO2007011184A1 (en) * 2005-07-21 2007-01-25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Apparatus for measuring consumption power of terminal having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method thereof
KR100709842B1 (ko) * 2005-11-03 2007-04-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534A (ko) * 2000-04-27 2001-11-09 류정열 자동차용 밧데리의 자기 진단장치
WO2007011184A1 (en) * 2005-07-21 2007-01-25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Apparatus for measuring consumption power of terminal having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method thereof
KR100709842B1 (ko) * 2005-11-03 2007-04-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383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dicating remaining battery life in a battery powered device
CN101322280B (zh) 电池组、电子仪器、和检测电池余量的方法
US6232747B1 (en) Remaining-amount-of-battery detecting device
US6046574A (en) Battery dropout correction for battery monitoring in mobile unit
EP1873541A1 (en) Enhanced-accuracy battery capacity prediction
US6445162B1 (en) Detecting a remaining battery capacity and a battery remaining capacity circuit
US5926007A (en) Battery charging apparatus which determines a time to completion of charging
CA23708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urately determining remaining battery life
CN108072841B (zh) 用于确定电池的相对充电状态的方法和装置
CN103683848A (zh) 电源系统和电源控制器
US6661204B2 (en) Battery charge monitor
JP2004029016A (ja) バッテリー式電子デバイスのためのエネルギー消耗割合メーターおよびエネルギー消耗割合メーターを有するバッテリー式電子デバイス
KR20000004894U (ko) 배터리 잔여 용량 표시 장치
KR100755538B1 (ko) 배터리 잔여용량 측정장치 및 이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
JP3056046B2 (ja) 小型消費電力測定装置
KR100630055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사용 가능 시간 표시장치 및 방법
CN210803623U (zh) 充电器检测装置及系统
CN211123027U (zh) 一种电流检测装置及电子设备
CA2414750A1 (en) Method and apparatus employing a scaling factor for measuring and displaying an electrical parameter of an electrical system
WO19990248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ttery gauging i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65145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잔량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00047067A (ko) 전자식 전력량계의 전압데이터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RU195087U1 (ru) Индивиду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определения нитратов в продуктах, жесткости воды и радиационного фона
CN220367396U (zh) 具有电池内阻测量功能的钩表系统
JP3119952B2 (ja) 充電制御装置および充電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