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3068A - 자가 주사용구 - Google Patents

자가 주사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3068A
KR20000003068A KR1019980024168A KR19980024168A KR20000003068A KR 20000003068 A KR20000003068 A KR 20000003068A KR 1019980024168 A KR1019980024168 A KR 1019980024168A KR 19980024168 A KR19980024168 A KR 19980024168A KR 20000003068 A KR20000003068 A KR 20000003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locking
syringe
striking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4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5915B1 (ko
Inventor
김남국
Original Assignee
김남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국 filed Critical 김남국
Priority to KR1019980024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5915B1/ko
Publication of KR20000003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9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5/2033Spring-loaded one-shot injectors with or without automatic needle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73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preventing premature release, e.g. by making use of a safety lo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함에 편리성을 갖게 함과 아울러 위생적이며 또한 장기(長期)사용 시에도 손상됨이 없는 내구성을 갖게한 자가 주사용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주사용구는 2개로 분할되게 체결되며 내부에는 주사기의 수용실이 마련된 케이싱과, 케이싱의 수용실내에 주사기의 가압용 로드와 대면된 상태로 이동되게 수용되어 주사기 측으로 탄성압력을 가하는 관 형상의 몸통부를 갖는 타격체와, 케이싱의 양측에서 타격체와 주사기측으로 탄성력을 부여하게 설치된 탄성체와, 케이싱에 지지된 상태로 타격체에 탄성적으로 수용되어 케이싱을 통하여 출몰가능하게 위치되며, 출몰 여부에 따라 타격체를 탄성체를 압축시킨 상태로 케이싱에 록킹하거나 혹은 해제하기 위한 제1록킹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오염 등에 의한 감염 우려가 없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고, 또한 오래 사용 시에도 고장이나 파손됨이 없고, 또 다 사용된 주사기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자가 주사용구
본 발명은 매일 매일 자가 주사를 요하는 성장 호르몬 주입자 혹은 당뇨병 환자 및 인체 해면체부위에 자가주사를 하는 자들이 사용하는 자가 주사용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사 압력을 가하는 타격체와 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구조를 개량한 자가 주사용구에 관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성장호르몬 주입자, 당뇨병 환자나 혹은 인체의 해면체 부위에 자가 주사를 요하는 자(예컨대, 발기 부전증의 발기장애 치료자 등)들은 필요시 독자적으로 자가 주사를 하더라도 의료법을 위해하는 것으로 보지 않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며, 이를 위해서 개발된 것이 자가 주사기(상표명: 페니 파워)이다.
상기 자가 주사기의 구성을 참고적으로 설명하면, 기존의 자가 주사기는 내부에 구비된 약물 주사용 주사기의 내부에 환자들이 필요로 하는 주사 제를 직접 주입한 후, 주사 제가 수용되는 일회용 주사기의 실린더의 내부로 자가 주사기의 공이부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약물 주사기에는 주사 제를 주사함에 충분한 압력이 작용되게 하여 손쉽게 자가 주사를 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자가 주사기는 사용자들이 직접적으로 사용할 약물을 주입함과 아울러 특히 외부의 먼지 등에 노출되어 있는 공이부가 약물 주사기의 실린더내부에 접촉된 상태로서 작용되기 때문에 항시 주사 제를 병균 등에 오염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기존의 자가 주사기는 약물 주사기로부터 주사 제를 주입한 상태에서는 주사바늘이 자가 주사기의 외부로 돌출 된 상태를 이루므로 휴대 시 잘못하면 주사바늘에 찔리게 될 우려가 있는 등의 사용상의 불편과 아울러 주사바늘을 처리하는 데에도 큰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또 기존의 자가 주사기는 부품수가 많고 구성이 복잡하여 그 만큼 생산비가 많이 소요됨으로써 제품의 가격이 고가로 되어 사용자들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주는 폐단이 있다. 또한 얼마 사용을 하지 않더라도 약물 주사기에 압력을 가하는 공이부가 쉽게 파손되는 등으로 인하여 제품의 품질 저하와 아울러 제품의 수명을 단축되게 하는 폐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제반 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약물 주사기에 압력을 가하는 타격 체와 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구조를 개량하고, 또한 환자들이 필요로 하는 주사 제는 일회용 주사기에 주입된 상태로써 공급하는 것에 의해, 주사 제에 오염 염려가 없는 위생 성과, 수명 연장효과의 내구성을 갖게 하고, 여기에 더하여 사용하는 데에 안전성과 편리성 및 경제성을 갖게 한 자가 주사용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자가 주사용구는, 청구 1항 기재의, 주사 제가 수용된 실린더와 가압용 로드를 구비하고, 가압용 로드의 이동시 실린더에 수용된 주사액을 주사바늘을 통하여 주사되게 한 주사기에 있어서, 적어도 2개로 분리되게 결합되어 주사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실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보다는 작은 지름을 이루며, 상기 수용실의 어느 일 측에서 상기 주사기의 가압용 로드와 대면된 상태로 이동되게 수용되어 상기 주사기에 탄성압력을 부여하는 어느 한쪽만이 개구된 관 형상의 몸통부를 갖는 타격체; 상기 케이싱에 지지된 상태를 이루어 상기 타격체와 주사기에 대하여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 및 상기 케이싱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타격체에 탄성적으로 수용되어 상기 타격체로부터 케이싱을 통하여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출몰 여부에 따라 상기 타격체를 탄성체를 압축시킨 상태로써 케이싱에 록킹하거나 혹은 해제하기 위한 제1록킹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록킹수단은 상기 타격체에 소정 깊이로 설치된 수용홈과, 상기 케이싱의 수용홈과의 대응부위에 수용홈 보다는 작게 형성된 안내공과, 상기 수용홈을 따라 이동되게 수용한 상태로서 상기 케이싱에 걸리게 한 걸림부와 상기 안내공 보다는 약간 작게되어 상기 걸림부로부터 돌설하여 상기 안내공을 따라 수용홈측으로 이동되며 어느 일측은 경사 안내면이 형성된 걸림돌기로 이루어진 걸림구와, 상기 걸림구의 걸림부에 지지된 상태로서 수용홈에 수용되어 상기 걸림구를 이동하기 위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가 주사용구는 타격체를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2록킹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록킹 수단은 어느 하나의 케이싱부의 축방향을 따라 소정 폭으로서 길게 형성된 슬릿부와 상기 케이싱부의 타격체의 몸체부와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슬릿부에 연속하여 그 슬릿부보다는 넓게 형성된 걸림홈부로 이루어진 안내용 장공과, 상기 안내용 장공을 따라서 왕복 이동할수 있게 하여 상기 걸림홈부를 통하여 상기 타격체의 몸체부에 체결된 나사부와 상기 안내장공의 걸림홈부의 외부로 돌출 위치되게 상기 나사부의 단부에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나사부에 의한 상기 타격체의 몸체부로부터 이동여부에 따라서 상기 타격체를 걸림홈 으로부터 해제하거나 혹은 록킹 하기 위한 경사연부가 형성된 걸림두부로 이루어진 록킹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내의 후측 단과 상기 타격체의 몸통부와의 사이에 수용되어 그 타격체측으로 탄성압력을 부여하는 코일 스프링의 제1탄성체와, 상기 케이싱내의 선단과 상기 주사기의 사이에 설치되어 주사기 측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의 제2탄성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주사용구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1의 분리사시도 이고,
도 3A 및 3B도는 도 1의 Ⅰ-Ⅰ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로써, 도 3A는 주사기의 바늘이 몰입된 상태를, 도 3B는 주사기의 바늘이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A의 Ⅱ-Ⅱ선 방향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Ⅲ- Ⅲ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싱 20 : 일회용 주사기
30 : 타격체 32: 타격체 몸통부
36,66 : 제1,제2탄성체 40 : 제1록킹수단
42 : 수용홈 44 : 안내공
45 : 걸림구 46 : 걸림부
47 : 탄성체 48 : 걸림돌기
49 : 경사안내면 50 : 제2록킹수단
52 : 슬릿(Slit)부 54 : 걸림홈부
55 : 나사부 56 : 안내용 장공
57 : 걸림두부 58 : 록킹핀
59 : 경사연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 주사용구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주사용구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1의 분리사시도 이고, 도 3A 및 3B도는 도 1의 Ⅰ-Ⅰ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로써, 도 3A는 주사기의 바늘이 몰입된 상태를, 도 3B는 주사기의 바늘이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는 도 3A의 Ⅱ-Ⅱ선 방향에 따른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주사용구는 휴대 및 사용을 편리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 적어도 2개로 분할 가능하게 결합된 대략 만년필 형상의 케이싱(1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케이싱(10)은 중공형상을 이루는 2개의 케이싱부들(12,14)에 의한 나사(16)결합으로 분리할 수가 있고, 내부에는 소정 넓이의 수용실(18)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케이싱부들(12,14)은 동일 한 크기를 이루게 형성하여도 무방하나 사용상 제1케이싱부(12)를 다른 제2케이싱부(14)보다는 크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싱(10)은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가능한 수지물질로서 성형함이 보다 바람직하나, 크기와 형태는 사용자들의 취향에 따라서 도면 표시에 한정됨이 없이 임의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 자가 주사용구의 케이싱(10)에 형성된 상기 케이싱부들(12,14)의 수용실(18)내부에는, 소 정량의 주사 제를 수용하는 실린더(22) 및 주사 바늘(24)와 그리고 상기 실린더(22)에 수용된 주사 제를 가압 함에 필요한 압력을 가하는 가압용 로드(26)을 구비한 일회용 주사기(20)과, 상기 가압용 로드(26)측으로 주사 제를 압축함에 필요한 힘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용 로드(26)측으로 압력을 가하는 후술하는 타격체(30)이 순차적으로 수용되어 있다.
상기 일회용 주사기(20)은 상기 타격체(30)으로부터 강한 타격 압력을 받도록 하기 위해 상기 주사기(20)은 상기 케이싱(10)에서 상기 제2케이싱부(14)에 의해서 형성되는 쪽에 수용되고, 반면에 상기 타격체(30)은 상기 제1케이싱부(12)에 의해서 형성되는 수용실측에 수용되어 상기 주사기(20)의 가압용 로드(26)측으로 타격을 가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에서 일회용 주사기(20)은 수개 가 한조를 이루게 진공 포장되어 사용자들이 사용하기가 쉽게 구성되며, 또한 상기 일회용 주사기(20)의 실린더(22)내부로는 위생과 아울러 편리성을 고려하여 사전에 의사에 의해서 처방된 주사 제가 충전된다. 또한 상기 일회용 주사기(20)는 사용할 주사 제의 용량에 따라서 그 크기를 대중소로 구분하여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타격체(30)은 상기 가압용 로드(26)에 탄성압력을 가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 모양의 제1탄성체(36)을 수용지지 하기 위해 어느 일측 만을 개구(33)시킨 관 형상의 몸통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타격체(30)의 몸통부(32)는 상기 케이싱(10)중 상기 제1케이싱부(12)의 내경과 같거나 혹은 약간 작은 직경을 이루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통부(32)의 개구(33)와의 반대측 단부는 상기 주사기(20)의 가압로드(26)과 대면되게 위치되어있다. 상기 타격체(30)의 몸통부(32)의 길이는 상기 주사기(20)과 도면표시와는 달리 이격 된 상태를 이루게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제1탄성체(36)은 상기 몸통부(32)를 상기 제1케이싱부(12)에 삽입하기 전에 상기 몸통부(32)의 개구(33)을 통하여 내부로 수용되게 한 후, 상기 제1케이싱부(12)의 내부로 삽입함에 의해, 상기 제1탄성체(36)의 일단은 상기 제1케이싱부(12)에 지지된 상태를 이루어 상기 타격체(30)에 강한 탄성력이 작용되게 한다. 상기 타격체(30)은 상기 제1탄성체(36)으로부터 가해지는 탄성압력으로서 상기 주사기(20)의 가압용 로드(26)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타격체(30)의 상기 제1탄성체(36)과 반대측으로 되는 상기 주사기(20)과 상기 케이싱(10)내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 형상의 제2탄성체(6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탄성체(66)은 상기 주사기(20)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0)의 내부로 이동하는 데에 필요한 탄성력만을 갖으면 됨으로, 상기 타격체(30)을 상기 주사기(20)측으로 압압하는 데에 사용하는 상기 제1탄성체(36)의 압축 강도보다는 약하게 구성된 것 즉, 상기 제1탄성체(36)의 탄성압력에 의해서 충분히 압축상태를 이루는 것을 사용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상기 타격체(30)으로 하여금 상기 주사기(20)의 주사바늘(24)가 상기 케이싱(10)의 외부로 돌출되게 하면서 주사기(20)으로부터 주사약물이 주입되게 하는 작용을 실행되게 할 수가 없다.
상기 타격체(30)에는 그 타격체(30)을 상기 탄성체(36)을 압축하는 상태로서 상기 케이싱(10)을 구성하는 상기 제1케이싱부(12)에 록킹하거나 혹은 상기 탄성체(36)의 압축력이 해제되는 상태로서 해제하기 위한 제1록킹 수단(40)이 상기 케이싱(10)의 수용실(18)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록킹 수단(40)은 도 4표시와 같이, 상기 타격체(30)에 소정 깊이로 설치된 수용홈(4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케이싱(10)의 상기 수용홈(42)와의 대응부위에는 상기 수용홈(42)보다는 작게된 안내공(4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홈(42)에는 그 수용홈(42)를 따라 이동되게 수용한 상태로서 상기 케이싱(10)을 구성하는 제1케이싱부(12)에 걸리게 한 걸림부(46)과 상기 걸림부(46)으로부터 일체로 돌설된 걸림돌기(48)로 구성된 걸림구(45)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48)은 상기 안내공(44)보다는 약간 작게 형성됨에 의해, 상기 걸림구(45)는 상기 안내공(44)를 따라 수용홈(42)측으로 완전히 몰입되게 이동된다. 상기 수용홈(42)과 상기 걸림구(45)의 상기 걸림부(46)과의 사이에는 상기 걸림구(45)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 형상의 탄성체(47)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림구(45)의 걸림돌기(48)의 어느 일측에는 상기 케이싱(10)측으로의 출몰을 자유롭게 하기 위한 경사 안내면(49)가 형성되어 있다(도3A 및 3B참조). 상기 걸림구(45)는 보통 시에는 상기 탄성체(47)로부터 작용되는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케이싱(10)의 제1케이싱부(12)측으로 걸린 상태로서 지지되어 저서, 상기 타격체(30)이 항시 상기 주사기(20)측으로 타격을 가할 수 있는 준비 상태를 이루게 한다(도 3A참조).
즉, 상기 제1록킹 수단(40)을 구성하는 상기 걸림구(45)를 상기 케이싱(10)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있는 상기 걸림돌기(48)부위를 눌러서 상기 타격체(30)에 형성된 상기 수용홈(42)의 내부로 상기 탄성체(47)에 저항하면서 완전히 몰입되게 하면, 상기 타격체(30)은 상기 걸림구(45)의 몰입에 의해서 상기 케이싱(10)으로부터 해제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체(36)으로부터 탄성압력을 받고 있던 상기 타격체(30)은 상기 케이싱(10)으로부터 상기 걸림구(45)가 해제되는 순간 상기 탄성체(36)로부터 부여되는 압력으로 상기 케이싱(10)내부의 수용실(18)을 따라서 상기 주사기(20)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걸림구(45)의 걸림부(46)의 표면은 상기 케이싱(10)의 내주면에 순응되게 반구면을 이루게 함과 아울러(도 4참조), 상기 걸림돌기(48)은 상기 탄성체(36)으로부터 탄성력을 받는 방향으로 경사 안내면(49)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걸림구(45)를 상기 케이싱(10)으로부터 신속히 이동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케이싱(10)으로부터 해제되거나 혹은 록킹되도록 상기 안내공(44)를 통하여 신속히 출몰되게 한다.
상기 탄성체(36)에 의한 탄성압력을 받게되는 상기 타격체(30)은 그와 맞닿고 있는 상기 주사기(20)측으로 상기 가압용 로드(26)을 통하여 강한 탄성압력을 부여한다. 상기 제1탄성체(36)의 강한 탄성압력을 상기 타격체(30)을 통하여 받게되는 순간 상기 주사기(20)은 선단에 기 설치된 상기 제2탄성체(66)에 저항하면서 압축되어, 먼저 상기 주사기(20)의 주사바늘(24)가 상기 케이싱(10)의 선단부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돌출되게 한다(도3B참조). 이때 돌출되는 주사기 바늘(24)는 사용자들의 주사위치인 피하 측으로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탄성체(36)의 강한 탄성압력은 상기 타격체(30)의 몸통부(32)를 통하여 상기 가압용 로드(26)을 상기 실린더(22)측으로 밀게됨으로 상기 가압용 로드(26)의 압력을 받게되는 주사 제는 신속히 상기 주사 바늘(24)를 통하여 인체로 주입되게 된다. 상기 타격체(30)의 가압으로 주사 제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주사기(20)은 상기 제1탄성체(36)의 탄성력 압력으로 상기 제2탄성체(36)이 압축된 상태를 이루면서 주사바늘(24)가 케이싱(10)의 외부를 향하여 돌출 되어진 상태로 있게 된다(도 3B참조).
도면부호(50)은 상기 케이싱(10)에서 상기 제1록킹 수단(40)과의 직각으로 되는 위치에 상기 타격체(30)을 안전 상태로 고정하면서 상기 타격체(30)가 상기 탄성체(36)에 의하여 변동된 위치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사용하기 위해 설치한 제2록킹수단이다. 상기 제2록킹 수단(50)에 대한 것은 후술하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Ⅲ-Ⅲ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2록킹 수단(50)은 케이싱(10)의 제1케이싱부(12)의 축 방향을 따라 소정 폭으로서 길게 형성한 슬릿부(52)와, 상기 제1케이싱부(12)의 타격체(30)의 몸체부(32)와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슬릿부(52)에 연속하여 상기 슬릿부(52)보다는 넓게 형성된 걸림홈부(54)로 된 안내용 장공(56)을 구비하고 있다(도 1,2참조)
상기 타격체(30)에는 상기 안내용 장공(56)을 따라서 상기 타격체(30)과 같이 이동하면서 도 3B와 같은 상태로 있는 상기 타격체(30)와 주사기(20)을 도 3A의 상태로 위치 전환되게 이동하기 위한 록킹핀(58)이 나사 체결되어 있다.
상기 록킹핀(58)는 상기 걸림홈부(54)를 통하여 상기 타격체(30)의 몸체부(32)측으로 체결되게 한 나사부(5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나사부(55)의 어느 단부에는 상기 안내장공(56)의 상기 걸림홈부(54)의 외부로 돌출되게 위치되게 한 걸림두부(57)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걸림두부(57)의 하부 주연부위에는 상기 걸림홈부(54)에 용이하게 걸리도록 한 경사연부(59)가 형성되어 있다(도2참조)
상기 제2록킹수단(50)을 형성하는 상기 록킹핀(58)의 나사부(55)가 타격체(30)측으로 완전히 결합된 상태는, 상기 록킹핀(58)의 걸림두부(57)이 타격체(30)측으로 가까워지면서 상기 걸림두부(57)의 경사연부(59)가 상기 케이싱(10)에 걸린 상태를 이루게 하므로, 제1탄성체(36)의 탄성력을 받게되는 상기 타격체(30)역시 상기 록킹핀(58)의 나사부(55)에 의해서 상기 케이싱(10)에 록킹 상태로 있게된다. 따라서 자가주사용구를 휴대시 부주의로 인해 제1록킹수단(40)의 걸림구(45)를 눌러서 해제되는 상태를 이루게 하여도, 상기 제2록킹수단(50)이 안전장치 기능을 함으로 상기 타격체(30)의 이동에 의한 주사바늘의 돌출로 피해를 보는 일을 없게하는 안전성을 갖게 한다.
한편 상기 안전장치인 제2록킹수단(50)을 케이싱(10)으로부터 해제시킨 위치 즉, 상기 나사부(55)를 상기 타격체(30)으로부터 풀어지는 상태를 이루게 하여 상기 록킹핀(58)의 상기 걸림두부(57)에 있는 경사연부(59)가 상기 케이싱(10)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게 한 위치에서, 상기 제1록킹수단(40)을 케이싱(10)으로부터 해제하면, 상기 제2록킹수단(50)은 상기 안내용 장공(56)을 이루는 상기 걸림홈부(54)와 연속된 상기 슬릿부(52)를 따라 이동되면서 주사기에 압력을 가하게되는 상기 타격체(30)과 같이 이동되다가, 상기 슬릿부(32)가 끝나게되는 어느 단부에 저지됨으로 상기 타격체(30)역시 더 이상의 진행됨이 없이 정지된다. 상기 안내장공(56)을 이루는 상기 슬릿부(52)의 길이는 상기 타격체(30)이 주사기내의 주 사제를 외부로 완전히 밀어낼 수 있도록 함에 충분한 길이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타격체(30)이 전진된 상태에서 상기 제2록킹수단(50)의 록킹핀(58)을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록킹핀(58)과 일체로된 상기 타격체(30)역시 제1탄성체(36)에 저항하면서 원래 상태로 복귀된다. 상기 타격체(30)이 복귀되는 동안 그 타격체(30)에 상기 제1록킹수단(40)의 걸림구(45)는 상기 케이싱(10)의 안내공(44)와 만나게 되고, 상기 걸림구(45)와 안내공(44)이 만나는 순간 수축되어 있던 탄성체(47)가 복원되려고 하는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걸림구(45)는 신속히 상기 케이싱(10)의 안내공(44)를 통하여 케이싱(10)의 외부로 돌출 되면서, 최초와 같이 케이싱(10)에 록킹된 상태로 있게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록킹 수단(50)의 록킹핀(58)을 타격체(30)측으로 체결하면 록킹핀(58)의 걸림두부(57)이 상기 케이싱(10)의 걸림홈부(54)에 걸리면서 안전장치의 기능을 발휘한다.
한편, 상기 타격체(30)이 상기 록킹핀(58)에 의해 당겨지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 시, 상기 주사기(20)은 제1탄성체(36)에 의한 타격체(30)으로부터의 가압 작용해제로 인한 제2탄성체(66)의 복원력으로, 도 3A 및 도 5의 상태로 케이싱(10)의 내부로 신속히 몰입되어 주사바늘에 의한 피해를 없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가주사 용구에 있어서 주사기에 압력이 작용되게 하는 타격체의 개량으로 인해, 자가주사용구를 사용할 때 주사 제에 세균 등의 오염우려가 없이 보다 위생적이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 더하여 주사 제를 주입 후 에는 주사바늘은 다시 케이싱의 내부로 몰입되게 한 기능과 아울러 안전장치의 채택으로 인해 사용 및 휴대 시 안전성을 갖게 하며, 또 이 때문에 주사기를 구입한 곳으로의 휴대 이동이 편리하여 주사 바늘의 처리가 편리한 효과도 있다. 또한 장기 사용에도 부품 등의 손상우려가 없어서 그 만큼 제품수명을 연장시키면서 아울러 경제적인 이점을 갖게 하는 효과를 부여한다.

Claims (4)

  1. 환자를 위한 소 정량의 주사액이 수용된 실린더와 가압용 로드를 구비하고, 가압용 로드의 이동시 실린더에 수용된 주사액을 주사바늘을 통하여 주사할 수 있도록 한 주사기에 있어서,
    적어도 2개로 분리되게 결합되어 주사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실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보다는 작은 지름을 이루며, 상기 수용실의 어느 일 측에서 상기 주사기의 가압용 로드와 대면된 상태로 이동되게 수용되어 상기 주사기에 탄성압력을 부여하는 어느 한쪽만이 개구된 관 형상의 몸통부를 갖는 타격체;
    상기 케이싱에 지지된 상태를 이루어 상기 타격체와 주사기에 대하여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 및
    상기 케이싱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타격체에 탄성적으로 수용되어 상기 타격체로부터 케이싱을 통하여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출몰 여부에 따라 상기 타격체를 탄성체를 압축시킨 상태로써 케이싱에 록킹하거나 혹은 해제하기 위한 제1록킹 수단을 포함하는 자가 주사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록킹수단은 상기 타격체에 소정 깊이로 설치된 수용홈과, 상기 케이싱의 수용홈과의 대응부위에 수용홈 보다는 작게 형성된 안내공과, 상기 수용홈을 따라 이동되게 수용한 상태로서 상기 케이싱에 걸리게 한 걸림부와 상기 안내공 보다는 약간 작게되어 상기 걸림부로부터 돌설하여 상기 안내공을 따라 수용홈측으로 이동되며 어느 일측은 경사 안내면이 형성된 걸림돌기로 이루어진 걸림구와, 상기 걸림구의 걸림부에 지지된 상태로서 수용홈에 수용되어 상기 걸림구를 이동하기 위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주사용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주사용구는 타격체를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2록킹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록킹 수단은 어느 하나의 케이싱부의 축방향을 따라 소정 폭으로서 길게 형성된 슬릿부와 상기 케이싱부의 타격체의 몸체부와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슬릿부에 연속하여 그 슬릿부보다는 넓게 형성된 걸림홈부로 이루어진 안내용 장공과, 상기 안내용 장공을 따라서 왕복 이동할수 있게 하여 상기 걸림홈부를 통하여 상기 타격체의 몸체부에 체결된 나사부와 상기 안내장공의 걸림홈부의 외부로 돌출 위치되게 상기 나사부의 단부에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나사부에 의한 상기 타격체의 몸체부로부터 이동여부에 따라서 상기 타격체를 걸림홈 으로부터 해제하거나 혹은 록킹 하기 위한 경사연부가 형성된 걸림두부로 이루어진 록킹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주사용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케이싱내의 후측 단과 상기 타격체의 몸통부와의 사이에 수용되어 그 타격체측으로 탄성압력을 부여하는 코일 스프링의 제1탄성체와, 상기 케이싱내의 선단과 상기 주사기의 사이에 설치되어 주사기측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의 제2탄성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주사용구.
KR1019980024168A 1998-06-25 1998-06-25 자가주사용구 KR100275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4168A KR100275915B1 (ko) 1998-06-25 1998-06-25 자가주사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4168A KR100275915B1 (ko) 1998-06-25 1998-06-25 자가주사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068A true KR20000003068A (ko) 2000-01-15
KR100275915B1 KR100275915B1 (ko) 2000-12-15

Family

ID=19540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4168A KR100275915B1 (ko) 1998-06-25 1998-06-25 자가주사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59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633B1 (ko) * 2013-01-18 2013-10-02 한국기계연구원 무침 주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633B1 (ko) * 2013-01-18 2013-10-02 한국기계연구원 무침 주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5915B1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Z285952B6 (cs) Kombinace ovládacího ústrojí a kazety
US6607508B2 (en) Vial injector device
US4900307A (en) Safety retracting needle for use with syringe
TWI302841B (en) Medicine injection devices and methods
US3880163A (en) Medicinal syringe actuating device
US7442185B2 (en) Auto-injector
US519052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aising a skin wheal and anesthetizing skin
DE69635167T2 (de) Subkutaner druckstrahlinjektor
JP2682532B2 (ja) 無針皮下注射器
US10105499B2 (en) Activator for an autoinjector
JP2008522668A (ja) エピネフリンを送達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13613695B (zh) 喷嘴组件、注射器主体及包括其的无针注射器
US2704072A (en) Means for making hypodermic injections
TW200808398A (en) A vial system and method for a needle-less injector
KR100275915B1 (ko) 자가주사용구
KR101966547B1 (ko) 동물용 주사기
AU2004267899A1 (en) System for administering an injectable product
US11752269B2 (en) Spring loaded medical needle-free injection system
CN110418657A (zh) 牙科安全注射器
WO2021167454A1 (en) Injection devices for wearable devices
RU40894U1 (ru) Карпульный шприц
KR100336325B1 (ko) 자동주사장치
RU216479U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инъектор
KR100226620B1 (ko) 주사기용 주사보조기구
US20230414876A1 (en) Medical needle-free injection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