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2971U - Fixing structure of main circuit board for tape recorder - Google Patents

Fixing structure of main circuit board for tape recor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2971U
KR20000002971U KR2019980012966U KR19980012966U KR20000002971U KR 20000002971 U KR20000002971 U KR 20000002971U KR 2019980012966 U KR2019980012966 U KR 2019980012966U KR 19980012966 U KR19980012966 U KR 19980012966U KR 20000002971 U KR20000002971 U KR 200000029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pipe
faucet body
faucet
water supply
coupl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96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수탁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129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2971U/en
Publication of KR200000029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971U/en

Links

Landscapes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급수방향 조절식 수도꼭지에 관한 것으로서, 수도꼭지 몸체의 전방측에 유출관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급수방향을 사용자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는 사용이 편리한 급수방향 조절식 수도꼭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direction control faucet, and to provide a user-friendly water supply direction control faucet that can be adjusted to the user's direction by rotatably installing the outlet pipe on the front side of the faucet body. .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조절핸들을 가지며, 그 전방 일측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끝단 내주연에는 안내홈이 형성된 수도꼭지 몸체와; 상기 수도꼭지 몸체를 통해 유출되는 물의 급수방향을 상하좌우로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수도꼭지 몸체 전방측에 연결되며, 그 일측에는 상기 걸림턱과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결합편이 절곡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의 중단 외측연에는 상기 안내홈이 삽입되는 안내돌기가 형성된 유출관과; 상기 수도꼭지 몸체와 상기 유출관 사이에 개재되어 수밀작용을 수행하는 고무패킹으로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justment handle, the front side is formed with a locking step bent inwardly, the inner periphery of the end of the locking jaw faucet body formed with a guide groove; It is connected to the faucet body front side to arbitrarily adjust the water supply direction of the water flowing out through the faucet body up and down, left and right, one side of the coupling piece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locking jaw is bent, the outer edge of the coupling piece An outlet pipe having a guide protrusion into which the guide groove is inserted; It is composed of a rubber packing interposed between the faucet body and the outlet pipe to perform a watertight action.

Description

급수방향 조절식 수도꼭지Water Faucet

본 고안은 급수방향 조절식 수도꼭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도꼭지 몸체의 전방측에 유출관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급수방향을 사용자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는 사용이 편리한 급수방향 조절식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direction adjustable fauc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supply direction adjustable faucet that can be installed to the user side by rotatably installing the outlet pipe on the front side of the faucet body. .

도 1 은 종래의 수도꼭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도꼭지(10)는 수도 파이프(11)의 끝단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조절하는 조절구로서, 통상적으로 수도 파이프(11)에 나사 연결되며, 그 상측에는 물의 양과 흐름을 조절하는 조절핸들(12)이 설치되어 조절핸들(12)을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림에 따라서 조절핸들(12)이 수도꼭지(10) 내부를 개방 또는 차단하여 물의 공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수도꼭지(10)의 입구측은 항상 하방을 향해 성형되어 있는 바, 유출되는 물의 급수방향을 바꾸고자 하는 경우 종래에는 수도꼭지(10) 끝단에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호스를 연결하는 것이 통상적인 방식이었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aucet. As shown in Figure 1, the faucet 10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water pipe (11) to adjust the flow of water supplied, it is typically screwed to the water pipe (11), the upper side of the water The adjusting handle 12 for adjusting the amount and flow is installed so that the adjusting handle 12 opens or blocks the faucet 10 to adjust the supply of water as the adjusting handle 12 is turn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t is composed. Here, the inlet side of the faucet 10 is always molded downward, so in the case of changing the water supply direction of the outflowing water, it was conventional to connect a hose not shown in the drawing to the end of the faucet 10. .

그러나, 호스를 수도꼭지 끝단에 연결하여 급수의 방향을 바꾸는 종래 방식은 호스의 길이가 짧을 경우에는 급수방향을 조절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반대로 호스의 길이가 길 경우에는 그 취급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ethod of changing the direction of water supply by connecting the hose to the faucet end is not easy to adjust the water supply direction when the length of the hose is short, on the contrary, when the length of the hose is long, the handling is inconvenient.

최근에는 수도꼭지의 끝단에 급수방향을 좌우로 바꾸어주는 연결구가 설치되는 고안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단지 좌우로만 회전되고 상방으로는 급수되지 못하는 구조이므로 양치질을 하는 경우 한손에는 칫솔을, 다른 손에는 별도의 물 받을 컵을 들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낄수 밖에 없었다.Recently, a design has been proposed in which the end of the faucet is installed to change the water supply direction to the left and right, but since it is only rotated left and right, and the water can not be supplied upward, the toothbrush in one hand and the other in the other hand Users had to feel uncomfortable because they had to take a separate cup to receive water.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도꼭지 몸체의 전방측에 유출관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급수방향을 사용자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는 사용이 편리한 급수방향 조절식 수도꼭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n easy-to-use water supply direction adjustable faucet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faucet body rotatably adjust the water supply direction to the user There is thi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조절핸들을 가지며, 그 전방 일측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끝단 내주연에는 안내홈이 형성된 수도꼭지 몸체와; 상기 수도꼭지 몸체를 통해 유출되는 물의 급수방향을 상하좌우로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수도꼭지 몸체 전방측에 연결되며, 그 일측에는 상기 걸림턱과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결합편이 절곡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의 중단 외측연에는 상기 안내돌기가 삽입되는 안내홈이 형성된 유출관과; 상기 수도꼭지 몸체와 상기 유출관 사이에 개재되어 수밀작용을 수행하는 수밀부재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justment handle, the front side is formed with a locking step bent inwardly, the inner periphery of the end of the locking jaw faucet body formed with a guide groove; It is connected to the faucet body front side to arbitrarily adjust the water supply direction of the water flowing out through the faucet body up and down, left and right, one side of the coupling piece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locking jaw is bent, the outer edge of the coupling piece An outlet pipe having a guide groove into which the guide protrusion is inserted; The watertight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he faucet body and the outlet pipe to perform a watertight action.

도 1 은 종래의 수도꼭지를 도시한 측면도.1 is a side view of a conventional faucet.

도 2 는 본 고안의 급수방향 조절식 수도꼭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supply direction adjustable fauce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고안의 급수방향 조절식 수도꼭지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supply direction adjustable fauce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 는 각각 도 2 와 도 3의 측단면도.4 and 5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of FIGS. 2 and 3, respectively.

도 6 은 본 고안의 수도꼭지 몸체에 유출관을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connecting the outlet pipe to the faucet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수도꼭지 110:수도꼭지 몸체100: faucet 110: faucet body

112:조절핸들 114:걸림턱112: adjusting handle 114: locking jaw

116:안내홈 120:유출관116: Information Home 120: Outlet

122:결합편 124:경사면122: combining piece 124: inclined surface

126:결합홈 128:안내돌기126: coupling groove 128: guide protrusion

130:고무패킹130: rubber packing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고안의 급수방향 조절식 수도꼭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급수방향 조절식 수도꼭지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 는 각각 도 2 와 도 3의 측단면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supply direction adjustable fauce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supply direction adjustable fauce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and 5 are respectively the side of Figs. It is a cross section.

우선, 도 2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급수방향 조절식 수도꼭지(100)는 조절핸들(112)이 설치된 수도꼭지 몸체(110)와, 수도꼭지 몸체(110)에 연결되는 유출관(120)과, 수도꼭지 몸체(110)와 유출관(120) 사이에 개재되어 수밀작용을 하는 고무패킹(130)으로 크게 나뉘어진다.First, 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water supply direction adjustable fauce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aucet body 110, the control handle 112 is installed, and an outlet pipe connected to the faucet body 110 ( 120 and the rubber packing 130 is interposed between the faucet body 110 and the outlet pipe 120 to have a watertight action.

전술한 수도꼭지 몸체(110)는 전방 일측에 내측으로 대략 "ㄱ"자로 절곡된 걸림턱(1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114)의 끝단 내주연에는 안내홈(116)이 내주연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The above-mentioned faucet body 110 is formed with a locking jaw 114 bent inwardly "a" to the inside on one side, the guide groove 116 has an inner circumference at the inner periphery of the end of the locking jaw 114 It is formed along.

유출관(120)은 상기 수도꼭지 몸체(11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급수방향을 상하좌우로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수도꼭지 몸체(110) 전방측에 연결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유출관(120)의 후방 끝단에는 "ㄷ"자로 3단 절곡 형성된 결합편(122)이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결합편(122)은 상기 걸림턱(114)과 상호 탄력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결합편(122)의 끝단에는 결합이 용이도록 경사면(124)이 형성되어 있다.The outlet pipe 120 is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faucet body 110 so that the water supply direction of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faucet body 110 can be arbitrarily adjusted up, down, left, and right. In other words, at the rear end of the outlet pipe 120, a coupling piece 122 is formed to be bent in three stages of the letter "C" is extended, the coupling piece 122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locking jaw 114. . And the inclined surface 124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oupling piece 122 to facilitate the coupling.

즉, 유출관(120)의 결합편(122)에 형성된 경사면(124)을 수도꼭지 몸체(110)의 걸림턱(114) 끝단에 밀착시켜 누르면 유출관(120)의 결합편(122)이 탄성 변형되면서 내주연측으로 오무려지게 된다. 이때 결합편(122)의 결합홈(126)내에 걸림턱(114) 끝단이 삽입됨으로써 수도꼭지 몸체(110)와 유출관(120)이 상호 연결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inclined surface 124 formed on the coupling piece 122 of the outlet pipe 12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end of the locking jaw 114 of the faucet body 110, the coupling piece 122 of the outlet pipe 120 is elastically deformed. As it becomes, it will be crowded to the inner peripheral side. At this time, the end of the locking jaw 114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26 of the coupling piece 122 so that the faucet body 110 and the outlet pipe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그리고, 걸림턱(114)의 끝단 내주연에는 안내홈(116)이 내주연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이 안내홈(116)에 관계하여 결합편(122)의 중단 외주연에는 안내돌기(128)가 외주연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걸림턱(114)이 결합편(122)의 결합홈(126)내에 삽입됨과 동시에 안내돌기(128)가 안내홈(116)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n, the guide groove 116 is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end of the locking jaw 114, and the guide protrusion 128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coupling piece 122 in relation to the guide groove 116.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outer periphery. That is, the locking jaw 114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26 of the coupling piece 122 and the guide protrusion 128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16.

여기에서, 안내돌기(128)가 안내홈(116)을 따라 회전됨에 따라서 급수조절을 위해서 유출관(120)을 상하좌우로 회전시킬 때 어느정도 마찰력을 발생시켜 유출관(120)의 입구를 소정방향으로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Here, as the guide protrusion 128 is rotated along the guide groove 116, when the outlet pipe 120 is rotated up, down, left, and right for water supply control, a certain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to move the inlet of the outlet pipe 120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t plays a role.

수도꼭지 몸체(110)에 유출관(120)을 연결함에 있어서 유출관(120)의 결합편(122)이 어느정도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수도꼭지 몸체(110)의 걸림턱(114)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유출관(120)은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connecting the outlet pipe 120 to the faucet body 110, the coupling piece 122 of the outlet pipe 120 is elastically deformed to some extent while being coupled to the locking jaw 114 of the faucet body 110 The pipe 120 is preferably mold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고무패킹(130)은 상기 수도꼭지 몸체(110)와 상기 유출관(120)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이는 수도꼭지 몸체(110)와 유출관(120)을 흐르는 물이 외부로 새지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rubber packing 130 is interposed between the faucet body 110 and the outlet pipe 120, which serves to prevent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faucet body 110 and the outlet pipe 120 from leaking to the outside.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방향 조절식 수도꼭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direction adjustable fauc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도꼭지 몸체(110)에 유출관(120)을 연결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우선 유출관(120)의 결합홈(126)내에 고무패킹(130)을 개재시킨 다음, 수도꼭지 몸체(110)의 전방측에 유출관(120)을 상호 대향시켜 맞댄 상태, 즉 수도꼭지 몸체(110)의 걸림턱(114)에 유출관(120) 결합편(122)의 경사면(124)이 접촉된 상태에서 유출관(120)을 몸체방향으로 누르면, 누르는 힘에 의해서 경사면(124)을 따라 유출관(120)의 결합편(122)이 내주연측으로 탄성 변형된다.As shown in FIG. 4 and FIG. 5, when the outlet pipe 120 is connected to the faucet body 110, the rubber packing 130 is interposed in the coupling groove 126 of the outlet pipe 120. Next, the inclined surface 124 of the coupling piece 122 of the outlet pipe 120 to the engaging jaw 114 of the faucet body 110 to face the outlet pipe 120 to the front side of the faucet body 110 to face each other. When the outlet pipe 120 is pressed in the body direction in the state of contacting with each other, the coupling piece 122 of the outlet pipe 120 is elastically deformed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along the inclined surface 124 by the pressing force.

이때, 유출관(120)을 조금더 누르면 탄성변형되어 있던 결합편(122)이 원상 복귀되어 걸림턱(114) 끝단이 결합편(122)내에 삽입된다.At this time, when the outlet pipe 120 is pressed a little more, the elastically deformed coupling piece 122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hape, and the end of the locking jaw 114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iece 122.

이와 동시에, 걸림턱(114) 끝단 내주연에 형성된 안내홈(116)에는 결합편(122)의 외주연에 형성된 안내돌기(116)가 삽입되는 바, 안내돌기(128) 및 안내홈(116)은 물의 급수방향을 조절하기 위하여 유출관(120)을 상하 좌우로 회전시킬 때, 유출관(120)이 임의 조절된 각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안내돌기(128)를 안내홈(116)내에 결합함에 있어서 적절한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e same time, the guide projection 116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upling piece 122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16 formed at the inner circumferential end of the locking step 114, the guide protrusion 128 and the guide groove 116. When the outlet pipe 120 is rotated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to adjust the water supply direction of the water, it serves to maintain the outlet pipe 120 at any adjusted angl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guide protrusion 128 to generate an appropriate friction force in coupling the guide groove 116.

걸림턱(114)이 결합편(122)에 결합되고, 동시에 안내돌기(128)가 안내홈(116)에 결합됨에 따라 수도꼭지 몸체(110)에 유출관(120)이 연결되는 것이다.The locking jaw 114 is coupled to the coupling piece 122, and at the same time, the guide protrusion 128 is coupled to the guide groove 116, so that the outlet pipe 120 is connected to the faucet body 110.

여기에서, 고무패킹(130)은 수도꼭지 몸체(110)와 유출관(120) 사이에 개재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고무패킹(130)을 개재하여 수도꼭지 몸체(110)와 유출관(120)을 연결함에 있어서 유출관(12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적절한 밀폐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무패킹(130)이 수밀작용을 적절히 수행함과 동시에 유출관(12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Here, the rubber packing 130 is interposed between the faucet body 110 and the outlet pipe 120 serves to prevent leakage. In connecting the faucet body 110 and the outlet pipe 120 via the rubber packing 130,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an appropriate closed state to facilitate the rotation of the outlet pipe 120. That is, it is important to configure the rubber packing 13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otation of the outlet pipe 120 at the same time to properly perform the watertight action.

이와같이 조립된 수도꼭지(100)를 분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동작을 역순으로 수행함으로써 분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When disassembling the faucet 100 assembl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disassemble by performing the above operation in the reverse order.

한편, 도 6 은 수도꼭지 몸체(110)의 걸림턱(114)에 유출관(120)의 결합편(122)을 상호 연결하는 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걸림턱(114)의 끝단에 결합편(122)의 경사면(124)이 접촉되도록 맞댄 후, 유출관(120)을 수도꼭지 몸체(110) 방향으로 누르면 유출관(120)의 결합편(122)이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내주연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오무려진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view for explaining in more detail the state of connecting the coupling piece 122 of the outlet pipe 120 to the locking jaw 114 of the faucet body 110, the end of the locking jaw 114 After the inclined surface 124 of the coupling piece 122 comes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outlet pipe 120 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faucet body 110 so that the coupling piece 122 of the outlet pipe 120 is shown as an imaginary line. It elastically deforms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and is retracted.

결합편(122)이 소정상태로 오무려짐에 따라 유출관(120)의 결합편(122)이 수도꼭지 몸체(110)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게 되며, 이후 유출관(120)이 소정위치에 이르게 되면 결합편(122)의 결합홈(126)내에 걸림턱(114)의 끝단이 삽입됨과 동시에 탄성변형되어 있던 결합편(122)이 탄성 복원되어서 수도꼭지 몸체(110)에 유출관(120)이 결합되는 것이다.As the coupling piece 122 is recessed in a predetermined state, the coupling piece 122 of the outlet pipe 120 may be introduced into the faucet body 110, and then the outlet pipe 120 may reach a predetermined position. When the end of the locking jaw 114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26 of the coupling piece 122 and at the same time the elastically deformed coupling piece 122 is elastically restored so that the outlet pipe 120 is coupled to the faucet body 110. Will be.

이렇게 조립 완료된 수도꼭지(1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물의 급수방향을 하방으로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유출관(120) 입구를 하방으로 향하게 하여 사용하면 되고, 필요에 의해서 유출관(120)를 상방으로 향하게 하고자 하는 경우, 예를 들면, 양치질을 하는 경우에는 우선, 유출관(120)을 손으로 잡고 상방(또는 측방)으로 돌린다. 이때, 수도꼭지 몸체(110)에는 유출관(12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유출관(120)이 상방으로 회전된다.Looking at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embled faucet 100 in this way, if you want to make the water supply direction of the water downwards, the outlet pipe 120 may be used to face the inlet downward, if necessary to direct the outlet pipe 120 upwards. For example, when brushing, for example, first, the outlet pipe 120 is held by hand and turned upwards (or laterally). At this time, since the outlet pipe 1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aucet body 110, the outlet pipe 120 is rotated upward.

유출관(120)의 입구가 상방으로 향한 후, 잡고 있던 유출관(120)을 놓으면 유출관(120)이 소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는, 안내홈(116)내에 안내돌기(128)가 삽입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정도 마찰력이 발생하기 때문이며 그로 인하여 유출관(120)이 회전된 후에도 그 입구쪽이 상방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After the inlet of the outlet pipe 120 faces upward, when the outlet pipe 120 is held, the outlet pipe 120 maintains a predetermined state. This is because the guide protrusion 128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16 to some extent because the friction force is generated, so that the inlet side is maintained upward even after the outlet pipe 120 is rotated.

이렇게 유출관(120) 입구를 소정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급수방향을 상방으로 하고자 하는 경우, 예를 들면 양치질을 하는 경우 유출관(120)의 입구를 상방으로 위치시켜 놓고, 유출관(120) 입구측에 입을 대고 양치질 헹금을 하면되므로 별도의 컵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In this way, because the inlet of the outlet pipe 120 can be adjus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when the water supply direction is to be upward, for example, when brushing the teeth, the outlet of the outlet pipe 120 is placed upward, and the outlet pipe 120 is disposed. You can brush your teeth with your mouth on the mouth so you don't need a separate cup.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range permitt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수도꼭지 몸체의 전방측에 유출관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급수방향을 사용자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의 급수방향을 상방 또는 측방으로 향하게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utflow pipe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faucet body so that the water supply direction can be arbitrarily adjusted by the user, the water supply direction of the water needs to be directed upward or side, conveniently. Can be used.

예를 들면, 양치질을 하는 경우 종래에는 칫솔질을 하고 헹금을 위해서는 별도로 컵을 마련하여 물은 급수받어야만 했으나, 본 고안에서는 유출관 입구를 상방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물을 급수받을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컵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매우 편리함이 있다.For example, when brushing teeth, in order to brush and rinse, a separate cup had to be prepared to receive water, b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ter can be supplied with the outlet pipe inlet facing upward, the cup separately There is very convenience that does not need to use.

Claims (1)

조절핸들을 가지며, 그 전방 일측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끝단 내주연에는 안내홈이 형성된 수도꼭지 몸체;A faucet body having an adjustment handle, a front side of which is formed a locking jaw bent inwardly, and a guide groov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end of the locking jaw; 상기 수도꼭지 몸체를 통해 유출되는 물의 급수방향을 상하좌우로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수도꼭지 몸체 전방측에 연결되며, 그 일측에는 상기 걸림턱과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결합편이 절곡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의 중단 외측연에는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는 안내돌기가 형성된 유출관; 및It is connected to the faucet body front side to arbitrarily adjust the water supply direction of the water flowing out through the faucet body up and down, left and right, one side of the coupling piece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locking jaw is bent, the outer edge of the coupling piece Outflow pipe is formed with a guide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And 상기 수도꼭지 몸체와 상기 유출관 사이에 개재되어 수밀작용을 수행하는 수밀부재로 구성된 급수방향 조절식 수도꼭지.A water supply direction adjustable faucet comprising a watertight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faucet body and the outlet pipe to perform a watertight action.
KR2019980012966U 1998-07-14 1998-07-14 Fixing structure of main circuit board for tape recorder KR20000002971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966U KR20000002971U (en) 1998-07-14 1998-07-14 Fixing structure of main circuit board for tape recor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966U KR20000002971U (en) 1998-07-14 1998-07-14 Fixing structure of main circuit board for tape recor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971U true KR20000002971U (en) 2000-02-15

Family

ID=69519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966U KR20000002971U (en) 1998-07-14 1998-07-14 Fixing structure of main circuit board for tape recor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2971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867Y1 (en) * 2020-05-07 2021-06-16 김문회 Fauc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867Y1 (en) * 2020-05-07 2021-06-16 김문회 Fauc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97020A (en) Plant-watering device
US10480164B2 (en) Touch to open/close mechanism for a showerhead
KR101843317B1 (en) Hose for a shower having tangle preventing function
KR200249577Y1 (en) Water Faucet
KR20000002971U (en) Fixing structure of main circuit board for tape recorder
US10066374B2 (en) Single button, cyclic shower head switch
JP2528516Y2 (en) Hose drainer for shower equipment
CN116537323A (en) Cantilever faucet convenient to operate
US20040155460A1 (en) Duct for breeding water in a shower head
US7121303B1 (en) Mixed water faucet
JP3599169B2 (en) Valve device for switching water channel of faucet
JP2000346213A (en) Seal member for valve
US5114256A (en) Cleaning brush
CN107876223B (en) Sounding part suitable for pressing at any angle, pressing switching water outlet mechanism and shower head
CN212041044U (en) Hand-held shower
KR100530042B1 (en) Width-adjustable computer mouse
JP2739467B2 (en) Single lever mixer tap
JP4404470B2 (en) Watering nozzle
KR102656992B1 (en) Bidet cover apparatus capable of easily detachable and bidet device with bidet cover apparatus
CN215354071U (en) Pull-down kitchen shower nozzle
JP3190281U (en) Faucet coupler
KR200370915Y1 (en) Oral washing device
CN219024650U (en) Go out water switching mechanism and gondola water faucet
CN219973388U (en) Cantilever faucet convenient to operate
CN216078428U (en) Three-way shu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