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2235U - Heating heat exchanger - Google Patents

Heating heat exchang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2235U
KR20000002235U KR2019980010450U KR19980010450U KR20000002235U KR 20000002235 U KR20000002235 U KR 20000002235U KR 2019980010450 U KR2019980010450 U KR 2019980010450U KR 19980010450 U KR19980010450 U KR 19980010450U KR 20000002235 U KR20000002235 U KR 200000022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pipes
heating heat
heating
combustion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045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귀진
Original Assignee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한규
Priority to KR20199800104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2235U/en
Publication of KR200000022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235U/en

Links

Landscapes

  • Air Supp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난방 열 교환기에 있어서, 버너 노즐이 삽입되는 연소로와; 연소로의 일단에 구비된 제 1연결부와; 연결부에 횡방향으로 구비된 다수개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열교환부와; 열교환부의 단부에 구비된 제 2연결부로 이루어진 난방 열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10)를 이루는 다수개의 파이프(12,14)에 삽입되는 방열 핀(20)으로 이루어져, 열 교환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ting heat exchanger, the burner nozzle is inserted; A first connection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mbustion furnace; A heat exchanger made of a plurality of pipes provided in the connecting portion in a transverse direction; In the heating heat exchanger consisting of a second connection portion provided at the end of the heat exchanger, consisting of heat radiation fins 20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pipes (12, 14) constituting the heat exchanger 10, the heat exchange can be made smoothly It would be.

Description

난방 열 교환기Heating heat exchanger

본 고안은 난방 열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내에서 유입되는 공기와 접촉되는 열교환부의 단면적을 넓혀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난방 열 교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heat exchang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ting heat exchanger capable of improving the thermal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eat exchanger in contact with the air introduced from the room.

일반적으로 인위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공간 내의 공기 온도를 일정한 상태로 유지토록 하는 것을 공기 조화라 하며, 이때 사용되는 장치를 공기조화장치라 한다.In general, to maintain the air temperature in the space by using an artificial method is called air conditioning, and the device used at this time is called an air conditioner.

공기조화 장치로는 냉방을 위한 에어컨디셔너가 있으며, 난방을 위한 히터(온풍기)등이 있다.An air conditioner includes an air conditioner for cooling and a heater (heater) for heating.

에어컨디셔너는 유체인 냉매가 압축, 팽창 과정을 거치면서 발생하게 되는 감열과 팽창 작용을 이용하여 공간 내의 공기 온도를 낮추도록 한 것이며, 온풍기는 에너지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실내 온도를 높이도록 한 것이다.The air conditioner is to reduce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 the space by using the heat and expansion action that occurs when the refrigerant refrigerant is compressed and expanded, and the warmer is to increase the room temperature by using the heat generated from the energy. .

도 1은 종래 고안에 따른 난방 열 교환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온풍기(100)는 중앙의 파티션 플레이트(112)를 기준으로 미도시한 흡입구와 토출구(170)가 구비된 캐비닛(110)과, 이 캐비닛(110)과 파티션 플레이트(112)의 하부에 설치된 블로워(160)와, 그 상부에 설치된 열교환부(150) 및 점화장치, 그리고 연료공급장치로 이루어 졌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heating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warmer 100 is a cabinet 110 having a suction port and a discharge port 170 not shown based on the partition plate 112 in the center ), A blower 160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cabinet 110 and the partition plate 112, a heat exchanger 150 and an ignition device, and a fuel supply device provided at the upper part thereof.

여기에서, 블로워(160)는 캐비닛(110)에 미도시되어 있는 흡입구와 연결되어 있어 구동시 실내의 찬 공기를 흡입하면서 이 물질이 걸려지도록 되어 있다.Here, the blower 160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not shown in the cabinet 110 so that this material is caught while sucking cold air in the room during driving.

열교환부(150)는 내부가 내화재로 구비되어 있는 연소로(152)와, 그 상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파이프(154,154a)를 연결하는 제 1연결부(156)와 제 2연결부(156a)가 구비되어 있다.The heat exchange part 150 includes a combustion furnace 152 having a fireproof material therein, and a first connection part 156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156a which connect a plurality of pipes 154 and 154a installed in a transverse direction thereon. Is provided.

또한, 열교환부(150)의 일측에는 연소된 가스를 배출토록 하는 미도시한 배출구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heat exchange unit 15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not shown to discharge the burned gas.

점화장치는 연소로의 입구에 설치되는 버너(130)와, 이를 구성하는 버너 노즐과 그 단부에 구비된 점화캡 및 송풍기, 그리고 변압기(미도시함)로 구비되며, 격벽(132)으로 열교환부(150)와 구분되도록 되어 있다.The ignition device includes a burner 130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combustion furnace, a burner nozzle constituting the burner, an ignition cap and a blower provided at an end thereof, and a transformer (not shown). It is distinguished from 150.

연료공급장치는 미도시한 연료탱크와 연결되어 있는 연료유입 파이프(122) 라인 상에 구비되어 있는 연료 필터(124)와 연료펌프(120)로 구비된다.The fuel supply device includes a fuel filter 124 and a fuel pump 120 provided on a fuel inlet pipe 122 line connected to a fuel tank (not shown).

연료펌프(120)의 토출측은 점화장치의 버너에 연결되어 있다.The discharge side of the fuel pump 120 is connected to the burner of the ignition device.

이와 같이 구성된 난방 열 교환기의 작용은 미도시한 전원 스위치를 ON하게 됨과 동시에 연료펌프(120)의 구동으로 연료는 연료유입 파이프(122)에 설치되어 있는 연료 필터(124)를 경유하면서 이 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그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버너(130)로 유입되고, 그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버너 노즐을 통해 소정의 량만큼 연소로 내로 분사가 된다.The action of the heating heat exchang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urns on the power switch not shown and at the same time, the fuel is driven by the fuel pump 120 while the fuel passes through the fuel filter 124 installed in the fuel inlet pipe 122. In the state of being removed, it flows into the burner 130 connected to the end part, and is injected into a combustion furnace by a predetermined amount through the burner nozzle connected to the end part.

이때, 송풍기의 구동으로 버너 노즐로 공기가 공급되며, 변압기에 고압의 전류가 인가되면서 스파크가 일어남으로서, 점화가 시작된다.At this time, air is supplied to the burner nozzle by driving the blower, and spark is generated while a high voltage current is applied to the transformer, so that ignition is started.

점화가 된 후 이 점화열은 연소로(122)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 1연결부(156)와 다수개의 파이프(154,154a) 및 제 2연결부(156a)를 경유하고, 미도시한 배출구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After the ignition, the ignition heat passes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56 and the plurality of pipes 154 and 154a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56a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furnace 122, and through an outlet not shown. Emissions to the atmosphere.

이 과정중 실내의 찬 공기는 블로워(160)의 구동으로 흡입구를 통해 캐비닛(1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연교환부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개의 파이프(154,154a)주위를 경유하면서 온도가 높아진 상태로 되고, 그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토출구(170)를 통해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난방을 하게 된다.Cold air in the room during the process is driven by the blower 160,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cabinet 110 through the suction port is a state of high temperature while passing around the plurality of pipes (154,154a) provided in the soft exchange section It is to be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port 170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thereby heating.

그러나, 연소 가스가 제 1연결부와 연결되어 있는 다수개의 파이프 내를 거쳐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과정중 덕트내로 흡입된 공기가 파이프의 외측으로 흐르면서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나, 찬공기와 맞닿는 파이프의 면적이 일정함에 따라 열효율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lthough the air sucked into the duct flows to the outside of the pipe while the combustion gas is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through the plurality of pipe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the heat exchange is performed, but the area of the pip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cold air is As this consta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hermal efficiency is lowered.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실내에서 유입되는 찬 공기와 접촉되는 파이프의 단면적을 넓혀 난방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난방 열 교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ing heat exchanger designed to solve such a problem and to improve heating efficiency by widen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a pipe contacting cold air introduced from a room.

도 1은 종래 고안에 따른 난방 열 교환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heating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고안에 따른 열교환부의 정면도,2 is a front view of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 conventional design,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열교환부의 종단면도,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요부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열교환부 12,14;파이프10; heat exchanger 12, 14; pipe

20;방열 핀 22;디스크 핀20; heat dissipation pin 22; disc fin

24;연결용 파이프 26;구멍24; connection pipe 26; hol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버너가 삽입되는 연소로와; 연소로의 일단에 구비된 제 1연결부와; 제 1연결부에 횡방향으로 구비된 다수개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열교환부와; 열교환부의 단부에 구비된 제 2연결부로 이루어진 난방 열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를 이루는 다수개의 파이프에 삽입되는 방열 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열교환기를 제공함에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combustion furnace is inserted burner; A first connection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mbustion furnace; A heat exchange part comprising a plurality of pipes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ion part in a transverse direction; A heating heat exchanger comprising a second connection part provided at an end of the heat exchange part, which is achieved by providing a heat exchanger comprising heat dissipation fins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pipes forming the heat exchange part.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열교환부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요부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ure 4,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난방 열교환기를 종래와 연계하여 설명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풍기(100)는 중앙의 파티션 플레이트(112)를 기준으로 미도시한 흡입구와 토출구(170)가 구비된 캐비닛(110)과, 이 캐비닛(110)과 파티션 플레이트(112)의 하부에 설치된 블로워(160)와, 그 상부에 설치된 열교환부(150) 및 점화장치, 그리고 연료공급장치로 이루어 졌다.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ting heat exchanger will be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related art.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warm air heater 100 has a suction port and an discharge port 170 which are not shown based on the partition plate 112 in the center. ) Is provided with a cabinet 110, a blower 160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110 and the partition plate 112, a heat exchanger 150 and an ignition device, and a fuel supply device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thereof. lost.

블로워(160)는 캐비닛(110)에 미도시되어 있는 흡입구와 연결되어 있어 구동시 실내의 찬 공기를 흡입하면서 이 물질이 걸려지도록 되어 있다.The blower 160 is connected to a suction port not shown in the cabinet 110 so that the material is caught while sucking cold air in the room during driving.

열교환부(150)는 내부가 내화재로 구비되어 있는 연소로(152)와, 그 상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파이프(154,154a)를 연결하는 제 1연결부(156)와 제 2연결부(156a)가 구비되어 있다.The heat exchange part 150 includes a combustion furnace 152 having a fireproof material therein, and a first connection part 156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156a which connect a plurality of pipes 154 and 154a installed in a transverse direction thereon. Is provided.

또한, 열교환부(150)의 일측에는 연소된 가스를 배출토록 하는 미도시한 배출구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heat exchange unit 15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not shown to discharge the burned gas.

점화장치는 연소로의 입구에 설치되는 버너(130)와, 이를 구성하는 버너 노즐과 그 단부에 구비된 점화캡 및 송풍기, 그리고 변압기로 구비되며, 격벽(132)으로 열교환부(150)와 구분되도록 되어 있다.The ignition device includes a burner 130 installed at an inlet of the combustion furnace, a burner nozzle constituting the burner, an ignition cap, a blower, and a transformer provided at an end thereof, and is separated from the heat exchanger 150 by a partition wall 132. It is supposed to be.

연료공급장치는 미도시한 연료탱크와 연결되어 있는 연료유입 파이프(122) 라인 상에 구비되어 있는 연료 필터(124)와 연료펌프(120)로 구비된다.The fuel supply device includes a fuel filter 124 and a fuel pump 120 provided on a fuel inlet pipe 122 line connected to a fuel tank (not shown).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열 교환기에 있어서, 점화열은 연소로(152)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 1연결부(156)와 다수개의 파이프(154,154a) 및 제 2연결부(156a)를 경유하고, 배출구를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된다.In the heat exchanger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ignition heat is passed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56 and the plurality of pipes 154 and 154a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56a which are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furnace 152. Through the atmosphere.

이때, 실내의 찬 공기는 블로워(160)의 구동으로 흡입구를 통해 캐비닛(1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부(150)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개의 파이프(154,154a)주위를 경유하면서 온도가 높아진 상태로 되고, 그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토출구(170)를 통해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난방을 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old air in the room is driven by the blower 160,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cabinet 110 through the suction port is passed through the plurality of pipes (154, 154a) provided in the heat exchange unit 150 while the temperature is It becomes high and discharges to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port 170 installed in the upper part, and it heats.

이와 같이 연소로(152)내에서 점화된 점화열이 파이프(154,154a)내를 통과하고, 그 주위에 있는 공기를 가열하는 과정에서, 파이프(154,154a)의 표면적이 적음으로 인해 열효율이 낮아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본 고안에서는 열교환부(10)를 이루는 다수개의 파이프(12,14)에 단면적을 넓히도록 삽입된 방열핀(20)으로 이루어진다.In this way, the ignition heat ignited in the combustion furnace 152 passes through the pipes 154 and 154a, and in the process of heating the air around it,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pipes 154 and 154a is reduced due to the small surface area.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dissipation fins 20 are inserted into the pipes 12 and 14 constituting the heat exchange part 10 to widen the cross-sectional area.

상기 방열핀(20)은 이웃한 방열핀과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간격 유지용 파이프(24)의 일측에 디스크 핀(22)을 일체로 구비하고, 이 간격 유지용 파이프(24)와 디스크 핀(22)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26)으로 이루어진다.The heat dissipation fin 20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disk fin 22 on one side of the space maintaining pipe 24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adjacent heat dissipating fins, and the space maintaining pipe 24 and the disk fin ( It consists of a hole 26 formed in the center of the 22.

본 고안에서 디스크 핀(22)을 간격 유지용 파이프(24)의 일측에 일체로 구비하여 사용하였으나, 원주 방향으로 다수개의 돌기를 형성하여 단면적을 넓혀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k pin 22 is provided integrally on one side of the space keeping pipe 24, but a plurality of protrusions can b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widen the cross-sectional area.

이와 같이 이루어진 난방 열 교환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action of the heating heat exchanger thus made is as follows.

점화열은 연소로(150)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 1연결부(156)와 다수개의 파이프(12,14) 및 제 2연결부(126a)를 경유하고, 배출구(128)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과정중 블로워(160)의 구동에 의해 흡입된 찬 공기는 파이프(12,14) 외측에 삽입되어 있는 방열핀(20)의 디스크 핀(22) 사이를 통화함으로써, 원활한 열 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ignition heat is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through the outlet 128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art 156 and the plurality of pipes 12 and 14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6a provided on the combustion furnace 150. Cold air sucked by the driving of the heavy blower 160 communicates between the disk fins 22 of the heat dissipation fins 20 inserted into the pipes 12 and 14, thereby facilitating a smooth heat exchange.

즉, 파이프(12,14)의 외측으로 흡입된 공기와 접촉되는 단면적이 커짐으로써, 열효율이 높아지게 된다.That is, the cross-sectional area of contact with the air sucked to the outside of the pipes 12 and 14 is increased, so that the thermal efficiency is increased.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와 접촉되는 열교환부의 단면적을 넓혀 열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increase thermal efficiency by widen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eat exchanger in contact wit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room.

Claims (3)

버너가 삽입되는 연소로와; 연소로의 일단에 구비된 제 1연결부와; 제 1연결부에 횡방향으로 구비된 다수개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열교환부와; 열교환부의 단부에 구비된 제 2연결부로 이루어진 난방 열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10)를 이루는 다수개의 파이프(12,14)에 삽입되는 방열 핀(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열교환기.A combustion furnace into which the burner is inserted; A first connection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mbustion furnace; A heat exchange part comprising a plurality of pipes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ion part in a transverse direction; A heating heat exchanger comprising a second connection part provided at an end of the heat exchange part, wherein the heating heat exchanger comprises a heat dissipation fin 20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pipes 12 and 14 constituting the heat exchange part 10.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핀(20)은 디스크 핀(22)과; 디스크형 핀(22)의 일측에 간격을 유지토록 하는 일체로 구비된 연결용 파이프(24)와; 상기 디스크 핀(22)과 파이프(24)를 관통하는 구멍(2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열교환기.The heat dissipation fin (20)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isk fin (22); A connecting pipe 24 integral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isc-shaped pin 22 to maintain a gap; And a hole (26) passing through the disk fin (22) and the pipe (2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핀의 디스크 핀에 원주 방향으로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열교환기.The heating heat exchang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disk fin of the heat dissipation fin.
KR2019980010450U 1998-06-17 1998-06-17 Heating heat exchanger KR20000002235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450U KR20000002235U (en) 1998-06-17 1998-06-17 Heating heat exchan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450U KR20000002235U (en) 1998-06-17 1998-06-17 Heating heat exchang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235U true KR20000002235U (en) 2000-02-07

Family

ID=69517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0450U KR20000002235U (en) 1998-06-17 1998-06-17 Heating heat exchang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2235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528B1 (en) * 2005-12-06 2006-03-03 조신복 Cover of hot-water pipe for heating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528B1 (en) * 2005-12-06 2006-03-03 조신복 Cover of hot-water pipe for heating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WO2007066848A1 (en) * 2005-12-06 2007-06-14 Shin Bok Cho Cover for hot-water pipe for heat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1500B1 (en) Combustion apparatus
EP1691157A1 (en) Exhaust gas heat exchanger for cogeneration system
KR20000002235U (en) Heating heat exchanger
KR200246230Y1 (en) Heat exchanger for heating
KR100297681B1 (en) Heat exchanger and heating method and a heating apparatus utilizing the heat exchanger
KR100515636B1 (en) Structure of Heat Exchanger in Gas Boiler
US4862846A (en) Cooling water heat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920005335Y1 (en) Air heater
KR20030044455A (en) A inserting structure for pipe of the heater
KR0114427Y1 (en) Heat exchanger of heat treatment
KR100692757B1 (en) Preheater for bus
KR200254347Y1 (en) Multi heat absorption warm air circulator
KR930003503Y1 (en) Evaporating fin used thermal exchangers
KR950006245Y1 (en) Cooling material boiler of airconditioner
JPH01222161A (en) Warm air heater
JPS6038118Y2 (en) air conditioner
KR200142645Y1 (en) The structure of baffle plate for compensating for exhaust wind pressure of gas boiler
JPH11257611A (en) Radiant heater
JP2559919Y2 (en) Oil hot air heater
KR200153749Y1 (en) Heat exchanger heating refrigerant
JPH0979567A (en) Heat storage apparatus and heat storage type burner
JP2000266408A (en) Hot air heating device
JPS5950911B2 (en) Air conditioner/heater with combustor
JPS6152508A (en) Pulsating combustion apparatus
JPH11218370A (en) Refrigerant heater, out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