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2215U - 방전실을갖는휴대폰충전기 - Google Patents

방전실을갖는휴대폰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2215U
KR20000002215U KR2019990005822U KR19990005822U KR20000002215U KR 20000002215 U KR20000002215 U KR 20000002215U KR 2019990005822 U KR2019990005822 U KR 2019990005822U KR 19990005822 U KR19990005822 U KR 19990005822U KR 20000002215 U KR20000002215 U KR 200000022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harging
chamber
discharge
ch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8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수
Original Assignee
임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병수 filed Critical 임병수
Priority to KR20199900058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2215U/ko
Publication of KR200000022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215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상의 휴대폰 충전기의 일반적 구성에 있어서, 예비 밧데리의 방전효과를 확실하게 보장하기 위하여 충전기의 적당위치에 방전실을 별도로 형성한 보다 개량된 충전기를 제공코져 한 것으로,
밧데리가 장진된 휴대폰을 충전하는 주충전실과 예비 밧데리를 충전하는 보조충전실을 갖는 통상의 충전기(1)에 있어서, 내부에 방전단자(7a)를 장설한 전용방전실(6)을 별도로 부설하여 제3밧데리(11c)를 상기 방전실(6)에서 충분히 방전시킨 다음 충전실(4),(5)에 의해 충전이 이루어지게함을 특징으로 하는데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방전실을 갖는 휴대폰충전기{A CHARGER OF CELLULARPHONE HAVING A DISCHARGING PART}
본 고안은 통상의 휴대폰 충전기의 일반적 구성에 있어서, 예비 밧데리의 방전효과를 확실하게 보장하기 위하여 충전기의 적당위치에 방전실을 별도로 형성한 보다 개량된 충전기를 제공코저 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종래 일반화된 휴대폰의 충전장치는 휴대폰에 밧데리가 장진된 상태에서 충전할수 있는 주충전실과 예비 밧데리를 보조적으로 충전시킬수 있는 예비충전실을 상기 주충전실 일측에 구비한 이중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충전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따른다.
휴대폰용 충전 밧데리는 그 특성상 충전된 전기가 완전히 소진 된 연후에 충전을 하는 것이 밧데리의 수명 보장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만일 내부에 전기가 조금이라도 잔유된 상태에서 밧데리를 충전실에 꽂아 충전을 시키게 되면 충전용량이 적어짐은 물론 내장된 충전장치의 전압 역기(逆起)현상에 의해 충전영역이 축소되어 밧데리의 수명이 급격히 단축되므로 고가한 밧데리를 자주교체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러한 현상 때문에 휴대폰 제조 메이커에서는 소비자들에게 밧데리의 방전을 충분히 하여야 한다는 안내문을 휴대폰의 사용설명서에 상세히 기재하고 있지만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외출시 등에 있어서 휴대폰에 장진된 사용중의 밧데리를 빼내어 충전실에 그대로 꽂고 (방전이 충분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충전완료 된 밧데리를 재 장진하여 휴대 사용하는 예가 대부분이므로 밧데리의 사용수명이 매우 단기적인 문제점이 따른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기존의 충전기 즉 주충전실과 예비충전실을 갖는 일반적 구조에 밧데리 방전 전용의 방전실을 별도로 구비토록하여 예비 충전을 하기전에 항상 방전실에서 잔유전기를 충분히 방전 시킨 연후에 예비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입니다.
일반적인 종래의 휴대폰 충전기는 사용자가 2개의 밧데리를 구비하여 하나는 휴대폰에 장진하여 사용하고 나머지 하나는 예비충전실에 꽂아서 충전을 시키도록하여 휴대폰에 꽂은 밧데리가 소진되면 이를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고안은 예비밧데리를 여분으로 하나씩만 구비하는 종래의 구성과 달리 예비 밧데리를 2개씩 구비하여 하나는 예비충전실에 꽂아 충전하고 나머지 하나는 방전 전용실에 꽂아서 강제방전을 시키도록 하여 항상 방전이 끝난후에 예비충전실로 옮겨 충전이 이루어지게 하여 밧데리의 수명을 최대한 보장토록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방전실의 방전회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충전기 2: 본체
3: 대판 4: 주충전실
5: 보조충전실 6: 방전실
7: 충전단자 7a: 방전단자
8: 코드선 9: 회로판넬
10: 휴대폰 11a,11b,11c: 밧데리
도 1은 본고안의 충전기에 대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통상의 충전기1은 대판3위에 본체2를 결합하고 본체2는 휴대폰에 밧데리를 장진한 상태에서 충전하는 주충전실4과 예비적으로 비치하는 밧데리를 충전할수 있는 보조충전실5이 개구되어 있으며 대판3의 내측에는 코드선8에 연결되는 단자회로판넬9을 내장하여 이의 충전단자7가 각충전실4,5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일반적 공지구성의 충전기1에 보조충전실5과 동일한 규격으로 방전실6을 별도로 요설하여 내측에 방전단자7a를 내장하여 이 방전실6에 밧데리11a,11b,11c,를 꽂으면 밧데리 내부에 잔존하는 전기가 자체 강제 방전되어 소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방전실6은 보조충전실5의 측면이나 본체2의 좌우측면등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충전기는 주충전실4과 보조충전실5 이외에 방전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전용 방전실6을 구비함에 특징이 있고 이의 사용시에는 휴대폰10에 장진하는 밧데리11a 이외에 여분으로 2개의 밧데리11b,11c를 구비하여 사용한다.
(편의상 제1밧데리,제2밧데리,제3밧데리라 한다.)
본 고안을 사용함에 있어서는 하나의 휴대폰에 3개의 밧데리를 구비하여 1조로 사용하는 것으로 제1밧데리는 휴대폰10에 장진하여 사용하고 제2밧데리는 보조충전실5에 삽입하여 충전을 시킨 후에 제1밧데리와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대기상태로 두며, 제3밧데리는 방전실6에 꽂아둔다.
이렇게 되면 방전실6에 꽂은 제3밧데리 11c에 잔유전기가 남아 있을 경우 방전단자7a에 의해 자체방전이 이루어지므로 제3밧데리는 방전이 항상 충분히 이루어지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휴대폰10에 꽂은 제1밧데리 11a를 교체할 경우 충전이 충분이 이루어진 제2밧데리 11b를 보조충전실5로 부터 빼내어 교제하고, 방전실6에 있는 제3밧데리 11c를 보조충전실5로 옮겨 꽂은 후에 사용한 제1밧데리 11a는 방전실6에 꽂아준다.
이렇게 되면 휴대폰에서 분해 된 밧데리는 반드시 방전실6을 경유하여 보조충전실5로 옮겨가 충전과정을 거치게되므로 잔유전기가 남아있는 밧데리 즉 방전이 덜된 밧데리를 충진시키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항상 밧데리 충전이 양호하게 이루어지고 부주의로 인해 미방전 상태에서 충전을 시키는 과오를 범하지 않아 밧데리의 충전상태가 양호하고 사용수명을 충분히 보장할 수 있는 것입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의 휴대폰 충전기의 구성에 있어서 주충전실과 보조충전실 이외에 별도로 방전효과만을 부여하는 전용방전실을 별도로 형성하므로서 사용자가 밧데리의 충전에 앞서 항상 방전실을 경유하여 충분한 방전을 시키도록 유도하여 밧데리의 충전효과를 극대화하고 그 사용수명을 연장하여 휴대폰 사용의 편의성과 경제성을 높인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밧데리가 장진된 휴대폰을 충전하는 주충전실과 예비 밧데리를 충전하는 보조충전실을 갖는 통상의 충전기1에 있어서, 내부에 방전단자7a를 장설한 전용방전실6을 별도로 부설하여 제3밧데리 11c를 상기 방전실6에서 충분히 방전시킨 다음 충전실4,5에 의해 충전이 이루어지게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실을 갖는 휴대폰 충전기
KR2019990005822U 1999-04-09 1999-04-09 방전실을갖는휴대폰충전기 KR2000000221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822U KR20000002215U (ko) 1999-04-09 1999-04-09 방전실을갖는휴대폰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822U KR20000002215U (ko) 1999-04-09 1999-04-09 방전실을갖는휴대폰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215U true KR20000002215U (ko) 2000-02-07

Family

ID=54757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822U KR20000002215U (ko) 1999-04-09 1999-04-09 방전실을갖는휴대폰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221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9904B2 (en) Cell phone battery system with back-up reserve
JP2008131707A (ja) 携帯電話機用充電装置
US20130076148A1 (en) Battery device for uninterrupted power supply and electronic device with such a battery device
KR101764499B1 (ko) 배터리 내장형 핸드폰 케이스
KR100462465B1 (ko) 충방전 겸용잭을 갖는 충전지 케이스구조 및 이에연결되는 방수용 잭플러그
KR20000002215U (ko) 방전실을갖는휴대폰충전기
JP2006340114A (ja) 携帯電話機、携帯電話機用の内蔵電池パック及び携帯電話機用の補助電源
JP2000253586A (ja) 電池の充電方法と電源装置
KR200404743Y1 (ko) 휴대용 휴대폰 충전기
KR200250874Y1 (ko) 휴대폰 건전지
CN220753867U (zh) 一种移动电源
KR200372789Y1 (ko) 비상 충전 케이블 장치
CN113964901B (zh) 无线耳机盒
CN207803673U (zh) 手机保护套以及手机组件
KR10038293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력공급장치
KR200237144Y1 (ko) 휴대폰 건전지
KR20180062591A (ko)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0449051B1 (ko) 건전지와 니켈도금 자석을 이용한 분리형 휴대폰 충전기
KR200200728Y1 (ko) 전원용 커패시터의 전력사용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장치
CN201294248Y (zh) 一种可充、放电电源
KR200165537Y1 (ko) 일반전지와 충전용 밧데리 겸용 전원회로
KR10058576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구조
KR200344198Y1 (ko) 충방전 겸용잭을 갖는 충전지 케이스구조 및 이에연결되는 방수용 잭플러그
KR20060033221A (ko) 분리, 결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
KR200229090Y1 (ko) 무선전화기용 충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