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1803U - 세탁기의 펄세이터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펄세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1803U
KR20000001803U KR2019980011606U KR19980011606U KR20000001803U KR 20000001803 U KR20000001803 U KR 20000001803U KR 2019980011606 U KR2019980011606 U KR 2019980011606U KR 19980011606 U KR19980011606 U KR 19980011606U KR 20000001803 U KR20000001803 U KR 200000018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shing
pulsator
wings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16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환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116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1803U/ko
Publication of KR200000018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803U/ko

Links

Landscapes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기의 펄세이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세탁기의 펄세이터는 날개들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펄세이터의 하면에서 물을 측방으로 쳐주게 되므로, 물의 순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캐비닛의 내부에 세탁물의 세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저수조와 세탁조가 설치되고, 세탁조의 바닥에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펄세이터의 몸체가 설치된다. 그리고, 몸체의 하면에는 몸체의 하방으로 물을 밀어주도록 삼각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날개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날개들은 몸체의 하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면과, 이 수직면의 끝에서 몸체의 하면을 향하여 그 폭이 점진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되는 만곡면을 갖는다. 따라서, 몸체의 하면에 형성되는 삼각 형상의 날개들이 펄세이터의 하방으로 물을 밀어 세탁조의 상방으로 많은 양의 물을 급수시키게 되므로, 물의 순환 효율이 향상되고, 물의 수위가 낮은 경우에도 물의 순환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져 세탁 효율의 저하가 방지된다.

Description

세탁기의 펄세이터
본 고안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낮은 수위에서도 물의 순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세탁기의 펄세이터(pulsato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조에 세탁물과 물, 그리고 적당한 양의 세제(洗劑)를 넣고 기계적인 물살(flow of water)에 의한 충격을 세탁물에 주어 일련의 세탁 및 헹굼, 탈수 등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세탁기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비닛(10)의 상부에는 입구(12)가 형성되고, 이 캐비닛(10)의 입구(12)는 도어(14)에 의해 열리고 닫히게 된다. 캐비닛(10)의 상면 전방에 컨트롤 패널(16)이 장착되며, 캐비닛(10)의 상면 후방에는 급수 밸브(18)가 장착된다.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저수조(20)가 설치되고, 저수조(20)의 상부에 샤워 링(shower ring: 22)이 장착되며, 이 샤워 링(22)은 급수 밸브(18)로부터 물을 급수받게 된다.
또한, 저수조(20)의 내부에는 세탁조(30)가 설치되고, 세탁조(30)에는 다수의 구멍(32)들이 형성되며, 세탁조(30)의 상부에 밸런서(balancer: 34)가 장착된다. 세탁조(30)의 내주면 양쪽에는 가이드 필터(guide filter: 36)가 장착되며, 가이드 필터(36)는 세탁조(30)의 하부와 상부를 이어주는 수로(39)를 갖는다. 세탁조(30)의 바닥에는 모터(40)의 구동에 의해 펄세이터(50)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펄세이터(50)는 대략 원판 형상의 몸체(52)를 가지며, 몸체(52)의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분출구멍(54)들이 형성되고, 펄세이터(50)의 하부에는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 발생기(60)가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14)의 조작에 의해 소망하는 세탁 기능을 설정하게 되면, 모터(40)의 구동에 의해 펄세이터(50)가 회전되면 회전 물살이 발생됨과 아울러 물살이 분출구멍(54)들을 통하여 펄세이터(50)의 상방으로 솟아 오르면서 분출 물살이 발생되고, 여기에 기포 발생기(60)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기포, 즉 공기방울이 공급되면서 세탁물의 세탁 행정이 수행된다.
그리고, 세탁물의 세탁 행정중에는 펄세이터(50)의 회전에 의해 물이 세탁조(30)의 하부에서 상부로 가이드 필터(36)의 수로(38)를 통하여 급수된 후, 세탁조(30)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떨어지면서 이른 바 폭포 물살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폭포 물살은 세탁조(30)의 물을 순환시키는 것에 의해 발생되어 세탁 효율을 증진시키게 된다. 또한, 물이 급수 밸브(18)를 통하여 샤워 링(22)으로 공급될 때에는, 이 물이 샤워 링(22)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세탁조(30)로 떨어지면서 이른 바 소나기 물살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세탁기의 펄세이터를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어 설명하면, 펄세이터(50)는 몸체(52)의 하면에 다수의 날개(56)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이 날개(56)들은 평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날개(56)들의 단면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몸체(52)의 중심에서 가장자리를 향하여 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한편, 펄세이터(50)의 날개(56)들은 펄세이터(50)가 회전할 때 물을 측방으로 쳐주게 되며, 이로 인하여 세탁조(30)의 물이 가이드 필터(36)의 수로(38)를 통하여 세탁조(30)의 하부에서 상부로 급수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펄세이터(50)는 날개(56)들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물의 순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날개(56)들이 회전되면서 펄세이터(50)의 하면에서 물을 측방으로 쳐주게 되므로, 물의 유동이 발생된다. 이러한 물의 유동에 의해 세탁조(30)의 물이 수로(38)의 상방으로 상승되어 급수되는 것이나, 물이 날개(56)들에 부딪쳐 밀리게 때문에 물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유지되지 못하고 방해를 받아 물이 수로(38)의 상방으로 상승되지 못하면서 급수량이 감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급수량이 감소될 경우에는 폭포 물살의 발생량이 감소되면서 세탁 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특히, 세탁조(30)의 수위가 낮을 경우에는 수로(38)의 상방으로 물이 거의 상승되지 못하기 때문에 폭포 물살의 발생이 불가능해져 세탁 효율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세탁조(30)의 물이 순환되지 못할 경우에는 세탁물의 헹굼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예컨대, 물은 수로(38)를 통하여 순환되면서 세탁조(30)의 세탁물에 묻어 있는 세제 찌꺼기 등을 제거하여 주게 되는 것이나, 이 세제 찌꺼기가 급수량의 감소로 인하여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헹굼 기능을 수행하게 될 경우에는, 세탁물이 세제 찌꺼기에 의해 오염된 상태로 헹굼되고, 이로 인하여 헹굼 시간의 지연과 물의 소비량이 증가하게 된다.
한편, 저수조(20)의 물을 도시하지 않은 펌프의 구동에 의해 세탁조(30)의 상방으로 급수시키는 순환 장치가 개발되어 있으나, 순환 장치는 펌프와 순환 호스 등의 부품이 별도로 사용되어 세탁기의 구성이 복잡해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부품수의 증가로 인하여 조립성이 저하되며, 생산 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에 의해 물의 순환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세탁기의 펄세이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세탁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 세탁기의 펄세이터를 나타낸 사시도 및 작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펄세이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펄세이터를 나타낸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펄세이터의 작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캐비닛 20: 저수조
30: 세탁조 36: 가이드 필터
38: 수로 40: 모터
70: 펄세이터 72: 몸체
74: 분출구멍 76: 날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캐비닛의 내부에 세탁물의 세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저수조와 세탁조가 설치되고, 세탁조의 내주면 양쪽에 수로를 갖는 가이드 필터가 장착되는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조의 바닥에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물살을 일으키도록 설치되는 대략 원판 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몸체의 하면에는 몸체의 하방으로 물을 밀어주도록 대략 삼각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날개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날개들은 몸체의 하면으로부터 대략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면과, 이 수직면의 끝에서 몸체의 하면을 향하여 그 폭이 점진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되는 만곡면을 가지는 세탁기의 펄세이터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펄세이터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펄세이터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1a 및 도 1b에서 설명한 세탁기의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저수조(20)가 설치되고, 저수조(20)의 상부에 샤워 링(22)이 장착된다. 저수조(20)의 내부에는 세탁조(30)가 설치되며, 세탁조(30)에는 다수의 구멍(32)들이 형성되고, 세탁조(30)의 상부에 밸런서(34)가 장착된다. 세탁조(30)의 내주면 양쪽에는 가이드 필터(36)가 장착되며, 가이드 필터(36)는 세탁조(30)의 하부와 상부를 이어주는 수로(39)를 갖는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탁조(30)의 바닥에는 모터(40)의 구동에 의해 펄세이터(70)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펄세이터(70)는 대략 원판 형상의 몸체(72)를 가지며, 펄세이터(70)는 수지를 소재로 성형에 의해 제작된다.
한편, 몸체(72)의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분출구멍(74)들이 형성되며, 분출구멍(74)들은 몸체(72)의 대략 여섯 군데에 등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70)의 하면에는 다수의 날개(76)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이 날개(76)들의 단면은 대략 삼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날개(76)들의 단면은 삼각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몸체(72)의 중심에서 가장자리를 향하여 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날개(76)들은 몸체(72)의 하면으로부터 대략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면(76a)을 가지며, 이 수직면(76a)의 끝에서 몸체(72)의 하면을 향하여 그 폭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만곡면(76b)이 형성된다. 도면에서, 날개(76)들은 네 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형성된 것을 나타냈으나, 날개(76)들의 위치 및 숫자는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펄세이터에 대한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수조(20)의 내부에 물을 급수시킨 상태에서 세탁물과 세제를 넣은 후에, 컨트롤 패널(14)의 조작에 의해 소망하는 세탁 기능을 설정하게 되면, 모터(40)의 구동에 의해 펄세이터(70)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펄세이터(70)의 회전에 의해 날개(76)들이 물을 몸체(72)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밀어주게 되며, 이로 인하여 세탁조(30)의 바닥에서 물의 유동이 발생되면서 수로(38)의 물이 압력을 부여받게 된다. 이러한 압력에 의해 세탁조(30)의 물이 수로(38)의 상방으로 상승되어 급수되고, 수로(38)의 상방으로 급수된 물은 세탁조(30)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떨어지면서 이른 바 폭포 물살을 발생시키게 된다. 폭포 물살은 세탁조(30)의 가장자리에 있는 세탁물을 두들겨 세탁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날개(76)들의 만곡면(76b)이 펄세이터(70)의 하면에 저수된 물을 몸체(72)의 하방으로 밀어주기 때문에 물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유지되면서 세탁조(30)의 바닥에서 물의 유동이 크게 발생되고, 이 물의 유동에 의해 세탁조(30)의 바닥으로부터 수로(38)의 상방으로 물이 상승되어 급수되는 것이다. 요컨대, 세탁조(30)의 바닥에서 발생되는 물의 유동에 의해 가이드 필터(36)의 수로(38)를 통하여 많은 양의 물이 상방으로 상승되면서 자연스럽게 급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물의 급수량이 많아지게 되면 물의 순환 효율이 향상되고, 결과적으로 폭포 물살의 발생이 크게 증가됨과 아울러 세제의 용해가 충분하게 이루어져 세탁 효율이 향상된다. 뿐만 아니라, 물의 순환 효율이 향상되면서 세탁조(30)의 내주면과 세탁조(30)의 세탁물에 묻어 있는 세제 찌꺼기 등이 깨끗하게 씻어져 헹굼 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세탁조(30)의 수위가 낮을 경우에도 세탁조(30)의 바닥으로부터 수로(38)의 상방으로 물이 상승되어 폭포 물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세탁 효율의 저하가 효율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저수조(20)의 물을 펌프의 구동에 의해 세탁조(30)의 상방으로 급수시키는 순환 장치가 불필요해져 세탁기의 구성이 단순해지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펄세이터에 의하면, 몸체의 하면에 형성되는 삼각 형상의 날개들이 펄세이터의 하방으로 물을 밀어 세탁조의 상방으로 많은 양의 물을 급수시키게 되므로, 물의 순환 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물의 수위가 낮은 경우에도 물의 순환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져 세탁 효율의 저하가 효율적으로 방지되는 것이다.

Claims (1)

  1. 캐비닛의 내부에 세탁물의 세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저수조와 세탁조가 설치되고, 상기 세탁조의 내주면 양쪽에 수로를 갖는 가이드 필터가 장착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30)의 바닥에 모터(4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물살을 일으키도록 설치되는 대략 원판 형상의 몸체(72)를 가지며,
    상기 몸체(72)의 하면에는 상기 몸체(72)의 하방으로 물을 밀어주도록 대략 삼각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날개(76)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날개(76)들은 상기 몸체(72)의 하면으로부터 대략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면(76a)과, 이 수직면(76a)의 끝에서 상기 몸체(72)의 하면을 향하여 그 폭이 점진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되는 만곡면(76b)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세탁기의 펄세이터.
KR2019980011606U 1998-06-30 1998-06-30 세탁기의 펄세이터 KR2000000180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606U KR20000001803U (ko) 1998-06-30 1998-06-30 세탁기의 펄세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606U KR20000001803U (ko) 1998-06-30 1998-06-30 세탁기의 펄세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803U true KR20000001803U (ko) 2000-01-25

Family

ID=69518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1606U KR20000001803U (ko) 1998-06-30 1998-06-30 세탁기의 펄세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180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543A (ko) * 2000-06-12 2001-12-19 윤종용 세탁기용 펄세이터
CN109136121A (zh) * 2017-06-15 2019-01-04 财团法人食品工业发展研究所 乳杆菌、使用其制备色素的方法、乳杆菌培养物与包括其的色素组合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543A (ko) * 2000-06-12 2001-12-19 윤종용 세탁기용 펄세이터
CN109136121A (zh) * 2017-06-15 2019-01-04 财团法人食品工业发展研究所 乳杆菌、使用其制备色素的方法、乳杆菌培养物与包括其的色素组合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00736B1 (en) Washing machine
CN101333746B (zh) 提高洗涤效率的洗衣机
KR100403029B1 (ko) 드럼세탁기
KR20000001803U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20040006218A (ko) 식기세척기의 입체분사장치
KR200319432Y1 (ko) 세탁기의 샤워장치_
KR100280343B1 (ko) 세탁기
KR20000001807U (ko) 세탁기의 물살 발생장치
KR200155295Y1 (ko) 세탁기의 세탁물 부상방지장치
KR100741806B1 (ko) 세탁기의 헹굼 방법
KR200158916Y1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100283660B1 (ko) 세탁기의가이드워터플로워
KR20000014459U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20000001802U (ko) 세탁기
KR100283659B1 (ko) 세탁기의가이드워터플로워
KR0126676Y1 (ko) 측면 수류발생 세탁기
KR19980085152A (ko) 세탁기의 교반장치
KR100268271B1 (ko) 세탁기의 가이드 워터 플로워
KR20000009822U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JP2012065866A (ja) 洗濯機
KR19980022724U (ko) 식기세척기의 분사노즐
KR20000007671U (ko) 세탁기의 수로 구조
KR100347946B1 (ko) 순환분출세탁이 가능한 세탁기
KR200155302Y1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19980015507U (ko) 전자동 세탁기의 세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