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1114U - 입체적인 결합형상과 모양을 갖는 메모용지 - Google Patents

입체적인 결합형상과 모양을 갖는 메모용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1114U
KR20000001114U KR2019980010744U KR19980010744U KR20000001114U KR 20000001114 U KR20000001114 U KR 20000001114U KR 2019980010744 U KR2019980010744 U KR 2019980010744U KR 19980010744 U KR19980010744 U KR 19980010744U KR 20000001114 U KR20000001114 U KR 200000011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memo paper
memo
paper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07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오
Original Assignee
김성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오 filed Critical 김성오
Priority to KR20199800107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1114U/ko
Publication of KR200000011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114U/ko

Link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일측에 다양한 형상과 모양이 결합된 다발의 메모용지에서 그 첫장과 끝장을 부착하게 하므로써 특정한 형상과 모양이 입체적으로 나타나도록 하는 결합형상과 모양을 갖는 메모용지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접착부(11)가 도포되고, 타측에 일정한 형상부(14)와 그 형상부(14)상에 모양인쇄부(15)가 형성되어 180°로 돌려 펼쳤을 때 특정모양 및 입체형상이 형성되는 다발의 메모용지(10)와, 상기 메모용지(10)를 180°로 돌려 펼치면서 형성되는 접착부(11)의 끼움부(16)에 끼워 메모용지(10)의 위치를 고정하는 지지브래킷(20)으로 구성하여 된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입체적인 결합형상과 모양을 갖는 메모용지
본 고안은 입체적인 결합형상과 모양을 갖는 메모용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에 다양한 형상과 모양이 결합된 다발의 메모용지에서 그 첫장과 끝장을 부착하게 하므로써 특정한 형상과 모양이 입체적으로 나타나도록 하는 결합형상과 모양을 갖는 메모용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모용지의 형식은 여러 가지이다.
이는 보통 다발의 메모용지의 일측에 고리를 끼워 메모를 연속적으로 하여 사용하는 형식과 다발의 메모용지의 일측으로 접착제를 도포하여 낱장씩 메모를 하는 형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판매용이나 판촉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메모용지는 단지 필기를 위한 방편으로만 여겨졌기 때문에 별다른 형상없이 사각형상을 기본으로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이러한 단조로운 감을 보완하기 위해 딱딱한 선형에서 외각 테두리부를 일정한 형상을 갖는 유선형을 채택하는 경우도 있기도 하다.
어떠한 제품이 소비자의 구매의욕을 불러 일으키기 위해서는 재질보다 디자인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예컨데, 메모용지의 경우, 재질은 거의 차이가 없거나 동일하기 때문에 차별성을 갖는 디자인에 의해 판매되는 양상이 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메모용지는 단지 필기만을 목적으로 하였기 때문에 단조로운 사각형태가 대부분이었고, 메모용지의 외곽을 특정한 형상의 유선형으로 형성하였다고 하더라도 평면적이었기 때문에 사각형태보다는 특이한 디자인이지만 단조로운 느낌은 여전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일측에 다양한 형상과 모양이 결합된 다발의 메모용지에서 그 첫장과 끝장을 부착하게 하므로써 특정한 형상과 모양이 입체적으로 나타나도록 하는 결합형상과 모양을 갖는 메모용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일측에 접착부가 도포되고, 타측에 일정한 형상부와 그 형상부상에 모양인쇄부가 형성되어 180°로 돌려 펼쳤을 때 특정모양 및 입체형상이 형성되는 다발의 메모용지와, 상기 메모용지를 180°로 돌려 펼치면서 형성되는 접착부의 끼움부에 끼워 메모용지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브래킷으로 구성하여 된 특징을 갖는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구성요소가 결합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구성요소가 결합되기 바로 전의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메모용지, 11: 접착부,
12: 판재, 13: 이형지,
14: 형상부, 15: 모양인쇄부,
16: 끼움부, 20: 지지브래킷,
21: 지지봉, 22: 베이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구성요소가 결합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을 결합하기 바로 전의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는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구성에서 주된 구성요소는 크게 일측이 접착제로 도포된 첩착부(11)가 형성되고 낱장이 모여 한 다발의 유니트가 되는 메모용지(10)와, 그 메모용지(10)를 고정하는 지지수단 즉, 지지브래킷(20)이다.
일측에 접착부(11)가 형성된 한 다발의 메모용지(10)의 첫장과 끝장은 종이가 아니라 딱딱한 재질의 판재(12)로 구성, 접착되어 있고, 상기 각 판재(12)의 외측면에는 그 전면으로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판재(12)에 도포된 접착제는 만약 사용자가 직접 조립해야 하는 분리된 상태에서 판매되는 경우에는 이 접착제의 점성을 보호하기 위해 이형지(13)가 덧대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용지(10)를 180°로 돌려 각 판재(12)끼리 서로 접착할 수 있도록 상기 접착부(11)를 유연성을 갖는 접착제로써 도포해야 하며, 상기 메모용지(10)의 접착부(11) 반대측은 그 메모용지(10) 낱장마다 동일한 일정형상을 갖도록 형상부(14)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형상부(14)에는 메모용지(10)가 180°로 돌려지면서 만들어지는 형상부(14)의 입체적인 구성과 더불어 특정 모양이 만들어지게 컬러무늬의 모양인쇄부(15)가 구성되어 있다.
물론 메모용지(10)를 좌,우 대칭되게 180°로 돌려 각 판재(12)끼리 서로 접착시킬 때 낱장의 메모용지는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서 촘촘히 떨어질 수 있게 유연성있는 접착부(11)를 구성하여 입체감을 더욱 증대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메모용지의 형상과 모양은 도 1 내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구공으로 형성할 수 있고,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무, 야구공, 축구공 뿐만 아니라 좌, 우가 대칭되는 형상과 모양이면 어떤 것이든 가능하다.
이렇게 구성할 수 있는 다발의 메모용지(10)를 180°로 돌려 접착하면서 접착부(11)에는 원형으로 된 수직길이방향의 끼움부(16)가 형성된다.
또한, 앞서 기술한 바와같이 이 끼움부(16)로 끼움구성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고 장식적인 측면에서 메모용지를 거치하는 지지브래킷(20)이 구성되는데, 상기 지지브래킷(20)은 구체적으로 그 끼움부(16)에 끼움결합되는 수직방향의 지지봉(21)과, 그 지지봉(21)을 안정성있게 지지하는 베이스(22)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발의 메모용지(10)의 접착부(11)를 중심으로 180°로 돌려 메모용지(10) 첫장의 판재(12a)와 끝장의 판재(12b)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접착한다.
물론 각 판재(12a)(12b)의 각 외측에는 접착제가 전면으로 도포되어 있고, 이 접착제의 점성을 보호하기 위해 이형지(13)가 덧대어 있기 때문에 각 판재(12a)(12b)끼리의 접착때는 이형지(13)를 떼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상기 메모용지(10)를 180°로 돌려 접착할 때 접착부(11)에는 원형의 공간부인 끼움부(16)가 만들어지게 되는 한편, 상기 접착부(11)의 반대측에 형성된 메모용지(10)의 형상부(14)는 낱장의 메모용지가 일정한 등간격을 가지면서 구(球)형상으로 만들어지게 되고, 또한 형상부(14)에는 펼쳐졌을 때 도 4a 내지 도 4c 에 도시된 바와같이 축구공, 농구공, 야구공등 다양한 모양의 모양인쇄부(15)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완전한 입체적인 형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메모용지(10)의 형상부(14)는 앞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구(球)형상뿐 아니라 나무, 타원형의 럭비공, 하트등 매우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게 되면, 메모를 위한 본래의 목적은 물론 특정한 입체적인 물품형상이 표현되어 장식효과를 낼 수 있는 장점이 추가되므로써 소비자로 하여금 구매의욕을 더욱 고취시킬 수 있는 매우 바람직한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2)

  1. 일측에 접착부(11)가 도포되고, 타측에 일정한 형상부(14)와 그 형상부(14)상에 모양인쇄부(15)가 형성되어 180°로 돌려 펼쳤을 때 특정모양 및 입체형상이 형성되는 다발의 메모용지(10)와;
    상기 메모용지(10)를 180°로 돌려 펼치면서 형성되는 접착부(11)의 끼움부(16)에 끼워 메모용지(10)의 위치를 고정하는 지지브래킷(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적인 결합형상과 모양을 갖는 메모용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용지(10)는 180°로 돌려 펼칠 경우 좌,우가 서로 대칭되면서 모양과 형상이 결합된 다양한 입체형상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적인 결합형상과 모양을 갖는 메모용지.
KR2019980010744U 1998-06-20 1998-06-20 입체적인 결합형상과 모양을 갖는 메모용지 KR2000000111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744U KR20000001114U (ko) 1998-06-20 1998-06-20 입체적인 결합형상과 모양을 갖는 메모용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744U KR20000001114U (ko) 1998-06-20 1998-06-20 입체적인 결합형상과 모양을 갖는 메모용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114U true KR20000001114U (ko) 2000-01-25

Family

ID=69517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0744U KR20000001114U (ko) 1998-06-20 1998-06-20 입체적인 결합형상과 모양을 갖는 메모용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111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74460A1 (en) Cable management hub apparatus for organizing a physical workspace of a computer system
US20090233731A1 (en) Golf club
KR20000001114U (ko) 입체적인 결합형상과 모양을 갖는 메모용지
US5799980A (en) Posable book
GB2266759A (en) Computer mouse or trackball carrying advertising or decoration.
US20040197758A1 (en) Magnetically responsive imaging system with display
US20070015434A1 (en) Appendage Puppets
US5962087A (en) Book and figurine combination
KR101869428B1 (ko) 종이 볼펜대 및 이를 이용하는 종이 볼펜
US20190073927A1 (en) Card that stands perpendicular to a horizontal surface
KR200205719Y1 (ko) 고무자석판이 구비된 접착식 메모지
KR200393079Y1 (ko) 사진 앨범
JP2000079009A (ja) 簡易組立式うちわ
KR200237717Y1 (ko) 스티커 액자
CN201235997Y (zh) 一种产品的包装结构
KR200190205Y1 (ko) 노트용 표지
US20180220821A1 (en) Changeable placemat system
US20050130554A1 (en) Toy with sticky layer
JP3084947U (ja) メッセージカード
JP4603127B2 (ja) ポールスタンド
JP2582203Y2 (ja) 表示具
KR100519587B1 (ko) 북마크
KR20080056538A (ko) 지지대 구조체 및 그 지지대 구조체의 제조 방법
KR200289079Y1 (ko) 접기식 형상 모자
KR200314871Y1 (ko) 광고표시부를 구비한 책갈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