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964U - 드럼세탁기의 압력방출장치 - Google Patents

드럼세탁기의 압력방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964U
KR20000000964U KR2019980010568U KR19980010568U KR20000000964U KR 20000000964 U KR20000000964 U KR 20000000964U KR 2019980010568 U KR2019980010568 U KR 2019980010568U KR 19980010568 U KR19980010568 U KR 19980010568U KR 20000000964 U KR20000000964 U KR 200000009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water
fixing tank
tank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05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105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0964U/ko
Publication of KR200000009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964U/ko

Links

Landscapes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조 내부 압력의 상승이 방지되어 정확한 수위감지가 이루어지도록 고정조의 상부에 마련된 압력방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고정조의 상단부에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는 압력방출구가 형성되고, 압력방출구에는 내부공기 및 수증기가 본체케이스의 외부로 방출되도록 안내하는 압력방출관이 연결되었다. 따라서, 삶는 세탁기능을 수행할 때 고정조의 내부온도와 압력이 상승된다 하더라도 상기 압력방출구를 통해 압력이 방출되게 되어, 고정조의 내부압력이 상승되지 않게 되므로, 수압을 감지하여 내부 수위를 판단하는 수위감지센서가 늘 정확히 수위를 감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드럼세탁기의 압력방출장치
본 고안은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조 내부 압력의 상승이 방지되어 정확한 수위감지가 이루어지도록 고정조의 상부에 마련된 압력방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세탁기는 드럼형상으로 마련된 회전조의 회전으로 생긴 낙차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로,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세탁과 헹굼, 탈수와 건조 행정을 자동적으로 수행한다. 특히, 드럼세탁기는 세탁물을 빨래방망이로 두드려주는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되어 세탁효과가 크고, 세탁물의 손상이 적은 세탁기이다.
이러한 드럼세탁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세탁수가 담수되는 원통상의 고정조(30)가 구비되고, 본체케이스(10)의 전면에는 고정조(30)를 개폐하는 도어(11)가 설치된다. 고정조(30)의 내측에는 원통상으로 마련되며 벽면에 다수의 탈수공이 형성된 회전조(12)가 설치된다. 회전조(12)는 본체케이스(10)의 저부에 설치된 구동모터(13)에 의해 구동된다. 그리고 고정조(30)의 내측 하부에는 삶는 세탁이 가능하도록 세탁수를 가열시키는 가열히터(14)가 마련된다.
또한, 고정조(30)의 상측에는 고정조(30)의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밸브(15) 와 복수의 급수관(16)으로 구성된 급수장치가 마련되며, 이 급수장치에는 고정조(30)의 내부로 세탁수가 공급될 때 세제를 용해시켜 공급할 수 있도록 세제용해장치(17)가 설치된다.
그리고, 고정조(30)의 하측에는 행굼과정이나 탈수과정에서 세탁수의 배수가 가능하도록 배수관(18), 배수필터(19), 배수펌프(20) 등이 설치된다. 또한, 배수필터(19)의 일측에는 고정조(30) 내부의 수압을 감지하여 수위를 판단할 수 있도록, 본체케이스(1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21)로부터 연장이 된 압력관(22)이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드럼세탁기는 사용자가 회전조(12)의 내부에 세탁물을 넣고 세탁코스를 선택한 상태에서 작동시키게 되면, 급수밸브(15)가 열려 고정조(30)의 내부에 적정량의 세탁수가 채워지고, 구동모터(13)가 가동되어 회전조(12)가 회전되면서 세탁행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삶는 기능을 선택했을 경우에는 세탁행정을 수행하기 앞서서 고정조(30)의 내측 하부에 마련된 가열히터(14)가 작동되어 세탁수를 가열시키게 된다.
그리고 세탁행정이 완료되면 고정조(30)의 내부의 세탁수를 배수시키고, 새로운 물을 고정조(30)의 내부에 채우는 과정을 수회 반복하면서 헹굼행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수위감지센서(21)는 고정조(30) 내부의 수압을 감지하여 수위를 판단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급수밸브(15)와 배수모터(20) 등을 제어함으로써 고정조(30) 내부의 적정 수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드럼세탁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세탁수를 가열시키게 되면, 고정조(30) 내부의 압력이 상승되게 되고, 수위감지센서(21)는 상승된 압력을 감지하게됨에 따라 고정조(30)의 내부 수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어 급·배수과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즉, 헹굼행정은 세탁행정 이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헹굼행정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고정조(30)의 내부는 가열히터(14)의 가열에 의해 이미 높은 온도와 압력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헹굼행정을 위해 세탁수가 다시 채워질 때, 수위감지센서(21)가 상승된 내부 압력을 감지하기 때문에, 고정조(30)의 내부 수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 적정량의 세탁수가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정조의 상단부에 고정조의 내부 압력을 방출시키는 압력방출구와 압력방출관 등을 마련하여, 세탁수가 가열되더라도 고정조의 내부 압력이 상승되지 않는 드럼세탁기의 고정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드럼세탁기의 내부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내부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드럼세탁기 고정조의 구조 및 압력방출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본체케이스, 50: 고정조, 51:압력방출구,
52: 압력방출관, 60: 도어, 61: 회전조,
62: 구동모터, 64: 현가스프링, 65: 완충기,
66: 가열히터, 67: 급수밸브, 68a,b: 급수관,
70: 세제용해장치, 80: 배수관, 81: 배수필터,
82: 배수모터, 83: 수위감지센서, 84: 압력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세탁수가 담수되는 고정조와, 상기 고정조에 채워진 세탁수의 수압을 통해 수위를 감지하도록 상기 고정조의 하부 내측과 연통되게 연결된 압력관의 단부에 설치되는 수위감지센서와, 상기 고정조 내에 채워진 세탁수를 가열시키도록 상기 고정조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가열히터를 구비하는 드럼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가열히터의 가동시 상기 고정조 내부의 압력 상승이 방지되어 상기 수위감지센서가 항상 정확한 수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조의 상부에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게 형성되는 압력방출구와, 상기 압력방출구를 통해 방출되는 공기 및 수증기를 상기 본체케이스의 외측으로 안내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압력방출구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본체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압력방출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내부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드럼세탁기 고정조의 구조 및 압력방출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40)의 내부에 세탁수가 채워지며, 세탁물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원통상의 고정조(50)가 구비되고, 본체케이스(40)의 전면에는 고정조(50)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60)가 설치된다.
고정조(50)의 내측에는 원통상으로 마련되며 벽면에 다수의 탈수공(61a)이 형성된 회전조(61)가 설치된다. 회전조(61)는 본체케이스(40)의 저부에 설치된 구동모터(62)에 의해 구동되는데, 회전조(61)의 후방에는 회전조(61)를 회전시키기 위한 풀리(미도시)가 설치되고, 이 풀리는 구동모터(62)와 밸트(63)를 매개로 연결된다.
고정조(50)의 상측에는 고정조(50)가 본체케이스(40)의 내측에 탄력 지지되도록 복수의 현가스프링(64)이 설치되며, 고정조(50)의 하부에는 세탁시의 진동을 흡수하도록 고정조(50)를 완충 지지해 주는 완충기(65)가 설치된다. 그리고, 고정조(50)의 내측 하부에는 삶는 세탁이 가능하도록 세탁수를 가열시키는 가열히터(66)가 마련된다.
또한, 고정조(50)의 상측에는 고정조(50)의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밸브(67)와 복수의 급수관(68a,b)으로 구성된 급수장치가 마련되며, 이 급수장치에는 고정조(50)의 내부로 세탁수가 공급될 때 세제를 용해시켜 공급할 수 있도록 세제용해장치(70)가 설치된다.
고정조(50)의 하측에는 행굼과정이나 탈수과정에서 세탁수의 배수가 가능하도록 배수관(80)과 배수필터(81)가 설치되고, 배수관(80)의 중도에는 세탁수를 강제배수 시키는 배수펌프(82)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배수펌프(82)의 토출구와 연결된 배수관(80)은 본체케이스(40)의 내측 상부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게 된다.
그리고, 배수필터(81)의 일측에는 고정조(50) 내부의 수압을 감지하여 수위를 판단할 수 있도록, 본체케이스(4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83)로부터 연장이 된 압력관(84)이 연결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고정조(50)의 내부에 설치된 가열히터(66)가 가동될 때, 고정조(50)의 내부압력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조(50)의 상단부에 내부의 공기 및 수증기가 배출되는 압력방출구(51)가 형성되고, 이 압력방출구(51)에는 압력방출관(52)이 연결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압력방출구(51)는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는 작은구멍으로 형성되고, 압력방출구(51)가 형성된 고정조(50)의 외면에는 압력방출구(51)를 통해 방출되는 내부공기를 안내하는 압력방출관(52)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그리고 이 압력방출관(52)의 타단부는 압력방출구(51)를 통해 방출되는 내부공기 및 수증기가 본체케이스(40)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본체케이스(40)의 외부로 연장이 된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회전조(61) 내에 세탁물을 투입한 후, 세탁코스를 선택하여 가동시키면, 본체케이스(40)의 상부에 마련된 급수밸브(67)가 열려 고정조(50)의 내부로 적정량의 세탁수가 공급되게 된다. 이때, 급수밸브(67)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는 사용자가 선택한 세탁코스에 따라 냉수나 온수, 또는 냉·온수가 혼합된 세탁수가 공급되게 된다. 또한, 이 세탁수는 급수관(68a)을 통해 연결된 세제용해장치(70)를 경유하면서 세제를 용해시킴으로써 고정조(50)의 내부로 세제가 공급될 수 있게 한다.
고정조(50)에 세탁수가 채워지면, 구동모터(62)의 정회전과 역회전 구동에 의해 회전조(61)가 회전되면서 세탁행정을 수행하게 되고, 세탁행정이 완료되면 고정조(50)의 내부의 세탁수를 배수시키고, 새로운 물을 고정조(50)의 내부에 채우는 과정을 수회 반복하면서 헹굼행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수위감지센서(83)는 고정조(50) 내부의 수압을 감지하여 수위를 판단하게 되고, 이를 통해 급수밸브(67)와 배수모터(82) 등을 제어함으로써 고정조(50) 내부의 적정 수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세탁코스를 선택할 때, 삶는 기능을 선택했을 경우에는 세탁행정을 수행하기 앞서서 고정조(50)의 내측 하부에 마련된 가열히터(66)가 가동되어 세탁수를 가열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처럼 세탁수를 가열하게 되면, 고정조(50)의 내부온도 및 내부압력이 상승되게 되고, 또한 수증기가 발생되게 되는데, 이때에는 고정조(50)의 상부에 마련된 압력방출구(51)를 통해 내부압력이 방출되어, 고정조(50)의 내측과 외측이 늘 압력 평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압력방출구(51)를 통해 방출되는 수증기는 압력방출관(52)을 따라 본체케이스(40)의 외측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삶는 세탁을 수행하더라도 고정조(50)의 상부에 마련된 압력방출구(51)로 내부공기 및 수증기가 방출되게 되므로 고정조(50)의 내부 압력 상승이 방지 되게 된다. 따라서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83)에는 고정조(50)의 수위에 따라 정확한 수압이 전해지게 되므로, 수위를 항상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고정조(50)의 내부에 적정량의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고정조의 상단부에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는 압력방출구가 형성되고, 압력방출구에는 내부공기 및 수증기가 본체케이스의 외부로 방출되도록 안내하는 압력방출관이 연결되었다. 따라서, 삶는 세탁기능을 수행할 때 고정조의 내부온도와 압력이 상승된다 하더라도 상기 압력방출구를 통해 압력이 방출되게 되어, 고정조의 내부압력이 상승되지 않게 되므로, 수압을 감지하여 내부 수위를 판단하는 수위감지센서가 늘 정확히 수위를 감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세탁수가 담수되는 고정조와, 상기 고정조에 채워진 세탁수의 수압을 통해 수위를 감지하도록 상기 고정조의 하부 내측과 연통되게 연결된 압력관의 단부에 설치되는 수위감지센서와, 상기 고정조 내에 채워진 세탁수를 가열시키도록 상기 고정조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가열히터를 구비하는 드럼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가열히터의 가동시 상기 고정조 내부의 압력 상승이 방지되어 상기 수위감지센서가 항상 정확한 수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조의 상부에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게 형성되는 압력방출구와, 상기 압력방출구를 통해 방출되는 공기 및 수증기를 상기 본체케이스의 외측으로 안내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압력방출구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본체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압력방출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압력방출장치.
KR2019980010568U 1998-06-18 1998-06-18 드럼세탁기의 압력방출장치 KR2000000096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568U KR20000000964U (ko) 1998-06-18 1998-06-18 드럼세탁기의 압력방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568U KR20000000964U (ko) 1998-06-18 1998-06-18 드럼세탁기의 압력방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964U true KR20000000964U (ko) 2000-01-15

Family

ID=69517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0568U KR20000000964U (ko) 1998-06-18 1998-06-18 드럼세탁기의 압력방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096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55340B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003359B1 (ko) 드럼세탁기 및 그 세탁방법
US7406737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003358B1 (ko) 세탁기
KR100781274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US8312582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696066A2 (en)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KR100789824B1 (ko) 세탁 장치
JP2006239401A (ja) 洗濯機及びその泡除去方法
KR100848908B1 (ko) 세탁 장치
KR20050015691A (ko) 드럼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1252175B1 (ko) 세탁기의 헹굼 방법
KR100606801B1 (ko) 세탁 장치의 리프레쉬 운전을 위한 제어 방법
JP5377189B2 (ja) 洗濯機
KR20060081043A (ko) 세탁기 및 그 급수제어방법
KR100271169B1 (ko) 드럼세탁기의 압력방출장치
KR100690650B1 (ko) 드럼 세탁기의 세탁방법
KR100271171B1 (ko) 드럼세탁기의 고정조
KR20000000964U (ko) 드럼세탁기의 압력방출장치
KR102047693B1 (ko)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730941B1 (ko) 드럼 세탁기의 거품 제거 장치 및 거품 제거 방법.
RU2590130C2 (ru) Способ загрузки моющей жидкости в стиральную машину
KR20190131000A (ko)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698214B1 (ko) 세탁 방법
KR101165013B1 (ko) 드럼 세탁기의 세제 용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