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557A - 정보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정보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557A
KR20000000557A KR1019980020231A KR19980020231A KR20000000557A KR 20000000557 A KR20000000557 A KR 20000000557A KR 1019980020231 A KR1019980020231 A KR 1019980020231A KR 19980020231 A KR19980020231 A KR 19980020231A KR 20000000557 A KR20000000557 A KR 20000000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information
polyethylene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0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규일
한준희
김성원
Original Assignee
장용균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균,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용균
Priority to KR1019980020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0557A/ko
Publication of KR20000000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55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 G11B7/245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a polymeric component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층 및 기록층을 포함하는 정보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기록층이 결정성 폴리머인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수분, 자외선 등에 대한 내환경성, 반복사용에 따른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가공성 및 내열성이 양호하다.

Description

정보기록매체
본 발명은 정보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기로는 내환경성, 내구성, 내마모성, 가공성 및 내열성이 개선된 정보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신기술, 콤퓨터 및 자동제어기술이 점차 발달됨에 따라, 정보전달매체의 정보처리속도가 점차 빨라지고 있고, 기억용량도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문자, 영상, 음성신호 등과 같은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기록매체로는, 지지층 상부에 자성층을 형성하고, 자성층위에 정보를 기록하는 자기기록매체와, 광자기 재료 또는 상변화 재료로 된 기록층 표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기록하고, 조사된 레이저 빔의 반사에 의하여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광기록매체와, 전류나 열에 의하여 배열 특성이 변화되는 액정 폴리머를 이용한 기록매체 등이 있다. 이밖에, 고충실도의 정보를 재생할 수 있어서 최근 들어 매우 큰 각광을 받고 있는 정보기록매체로서, 신호를 2진숫자 즉, 0과 1의 패턴에 해당하는 일련의 펄스로 변환한 다음, 자기테이프나 광디스크의 표면에 기록해서 재생하는 DAT, DVC, CD-ROM, DVD-ROM 등의 디지털 기록매체가 있다.
상술한 기록매체중 자기기록매체와 광기록매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인체에 유해한 유기용매를 사용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불량할 뿐만 아니라 환경보호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둘째, 사용수명이 짧고 조그마한 흠집이나 오염에도 기록이 쉽게 지워진다.
셋째, 자성체, 상변화재료, 광자기재료 등의 원료물질이 비싸서 제품의 단가가 높은 편이다.
한편, 액정 폴리머를 이용한 정보기록매체는 기록속도 특성이 우수하고 박막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액정 폴리머의 배향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에너지 공급이 항상 수반되어야 하며, 충격에 매우 약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의 정보기록매체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결정성 폴리머로 된 기록층을 포함하는 정보기록매체가 제안되었다. 이 기록매체는 결정성 폴리머의 결정화에 따른 빛투과율을 제어함으로써 정보의 기록 및 재생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자기기록매체 및 광기록매체에 비하여 수명이 길고, 제조단가가 저렴하고 환경보호측면에서도 바람직하다.
상기 결정성 폴리머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 폴리아세탈,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과 같은 폴리에스테르 등을 사용한다. 그 중에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은 가공성이 우수하고 제조단가가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내열성과 내마모성이 불량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 상기 결정성 폴리머중에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등은 내열성은 우수하지만 가공성이 나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내환경성,내구성, 내마모성, 가공성 및 내열성이 개선된 정보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지지층 및 기록층을 포함하는 정보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층이 결정성 폴리머인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선택되며, 상기 올레핀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또한, 지지층 및 기록층을 포함하는 정보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층이 제1결정성 폴리머인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이미드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2결정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정보기록매체는 결정성 폴리머로서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을 사용하고, 폴리올레핀의 부족한 내열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를 함께 사용한다. 또한 결정성 폴리머로서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에틸렌옥사이드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사용하고, 이러한 폴리머의 가공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폴리올레핀과 폴리에스테르의 혼합비나 또는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에틸렌옥사이드중에서 선택된 하나와, 폴리에스테르의 혼합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가능하다.
상기 결정성 폴리머는 저온에서는 비결정성 폴리머 형태로 딱딱하고 깨지기 쉬운 유리와 같은 성질을 갖고 있다가, 유리전이온도에 이르면 유리고무전이가 일어나서 분자들간의 활발한 운동이 시작된다. 이후, 유리전이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폴리머 사슬들이 가장 안정된 상태로 배열되는 현상, 즉 결정화가 일어난다. 이보다 더욱 더 높은 온도에서는 분자간의 자유에너지가 증가하여 분자간의 결합이 끊어짐에 따라 결정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전이된다. 그리고, 액체 상태로 전이된 결과물을 급냉시키면 다시 비결정성 폴리머로 변화된다. 이러한 결정성 폴리머의 성질을 이용하여 정보의 기록, 재생 및 소거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결정성 폴리머는 결정화도가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결정성 폴리머의 결정화도가 50% 미만이면, 광 또는 열에 의한 결정화 진행이 충분치 않기 때문에 빛투과율을 제어하기가 어려워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정보기록매체에 있어서 정보의 기록, 재생 및 소거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결정성 폴리머를 용융시켜 투명하면서 비정질 상태의 시트 또는 필름 형태로 제조한다. 여기에서 시트 및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압출성형, 사출성형, 용액캐스팅, 압축성형 등의 방법이 있다.
상기 시트 또는 필름 표면의 소정영역에 광 또는 열을 가해주면, 폴리머의 결정화가 진행되어 백탁현상이 관찰된다. 여기에서 백탁현상은 비등방성 형태의 결정질 부분과 비정질 부분의 굴절율 차이에 의하여 시트나 필름이 뿌옇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백탁현상에 의하여 원하는 부위를 투명하게 또는 불투명하게 하는 방법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다.
정보의 재생시에는, 광센서가 장착된 헤드를 결정성 폴리머로 된 기록층 상부로 주행하면서 빛을 투과시킨다. 빛의 투과 여부에 따라서 디지털 방식의 2진수(0과 1) 패턴으로 기록된 정보를 재생시킨다. 즉, 광센서가 부착된 헤드를 주행시켜 빛이 투과하면 1, 투과되지 않으면 0을 인식하게 하여 기록된 정보를 재생한다.
또한, 기록된 정보를 소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기록시 사용된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결정구조를 해체한 후 급냉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기록된 정보를 소거하고 다시 기록할 수 있으므로 본원 발명에 따른 정보기록매체는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포름알데히드 30중량부, 트리옥산 30중량부 및 에틸렌 옥사이드 50중량부의 혼합물을 공중합하여 아세탈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아세탈 공중합체를 건조한 다음, 이를 압축기를 통하여 회전하는 냉각드럼에 밀착시켜 무정형 시트를 얻었다. 이렇게 얻은 무정형 시트의 소정영역을 200℃로 가열하여 결정화를 진행시켜 불투명해진 가열영역에 정보를 기록하였다.
광센서가 부착된 헤드를 주행시켜 빛이 투과되면 1, 빛이 투과되지 않으면 0을 인식하게 하여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였다.
<실시예 2>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100부, 에틸렌글리콜 70부 및 초산칼슘 0.05부를 혼합한 다음, 이 혼합물로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4시간동안 실시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혼합물에 탄산칼슘 5중량부, 트리메틸포스페이트 0.06부 및 삼산화안티몬 0.04부를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5시간동안 중합하여 결정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얻었다.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70중량부에 폴리아세탈 30중량부를 블랜딩하였다. 이를 압축기를 통하여 회전하는 냉각드럼에 밀착시켜 무정형 시트를 얻었다.
이렇게 얻은 무정형 시트의 소정영역을 200℃로 가열하여 결정화를 진행시켜 불투명해진 가열영역에 정보를 기록하였다.
광센서가 부착된 헤드를 주행시켜 빛이 투과되면 1, 빛이 투과되지 않으면 0을 인식하게 하여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였다.
<비교예>
폴리아세탈 공중합체 대신 무정형 폴리머인 폴리메타크릴산 메틸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성능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1) 빛의 투과율
무라카미 갈라(주) 클라러리메테 티.엠-1디로 측정한다.
기록매체의 빛투과율은 무정형 상태에서는 90% 이상이고, 광 또는 열을 가하여 결정화가 일어난 상태에서는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2) 결정화도 및 결정화속도
측정용기에 시편 10㎎을 넣은 다음, 시차주사열량계(DSC)에 장착하였다. 용융온도±20℃까지 승온시킨 다음, 급냉시켜 시편을 무정형 상태로 만든다. 이어서, 결정화온도(Tcc)에서 등온결정화시킨 다음, 어브라미(Avrami)식 [ln(1-X)=-kn]을 사용하여, 결정화속도 k를 계산한다. 상기식에서, X는 결정화도이고, k는 결정화속도이고, n은 결정화지수로서 양의 정수이다. 여기에서 결정화도는 50% 이상, 결정화속도는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3) 내마모성
시편위에 금속 헤드를 면압 1.5kg/㎠, 마찰선속도 60㎝/sec로 주행시키면서 마모량을 측정한다.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정보기록매체의 빛투과율, 결정화속도, 결정화도 및 내마모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빛투과율(%) 결정화속도(k) 결정화도(X)(%) 내마모성
열처리전 열처리후
실시예 1 90 70 0.23 0.68
실시예 2 92 55 0.24 0.58
비교예 90 90 0.92 0.08 ×
상기 표 1로부터, 아세탈과 에틸렌 옥사이드 공중합체로 된 기록층을 갖는 정보기록매체(실시예 1)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아세탈으로 된 기록층을 갖는 정보기록매체(실시예 2)의 내마모성은 폴리메타크릴산 메틸로 된 기록층을 갖는 정보기록매체(비교예)의 경우에 비하여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정보기록매체는 종래의 기록매체에 비하여 수분, 자외선 등의 노출에 따른 내환경성, 반복사용에 따른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개선되는 동시에 가공성 및 내열성이 향상된다.

Claims (5)

  1. 지지층 및 기록층을 포함하는 정보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층이 결정성 폴리머인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4. 지지층 및 기록층을 포함하는 정보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층이 제1결정성 폴리머인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이미드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2결정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KR1019980020231A 1998-06-01 1998-06-01 정보기록매체 KR20000000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0231A KR20000000557A (ko) 1998-06-01 1998-06-01 정보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0231A KR20000000557A (ko) 1998-06-01 1998-06-01 정보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557A true KR20000000557A (ko) 2000-01-15

Family

ID=19538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0231A KR20000000557A (ko) 1998-06-01 1998-06-01 정보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05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741B1 (ko) * 2006-02-03 2007-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품질을 표시하는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741B1 (ko) * 2006-02-03 2007-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품질을 표시하는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144082A (ja) 光記録媒体と光記録媒体用保護膜
US5529864A (en) Optical recording medium having mask layer
JPH0452188A (ja) 光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8273832B2 (en) Block terpolymer with confined crystallization
US20030170564A1 (e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substrate for use therein
JPH0428239B2 (ko)
KR20000000557A (ko) 정보기록매체
JPS6392643A (ja) 光学部品成形用樹脂材料
KR20000000558A (ko) 정보기록매체
KR20000000563A (ko) 정보기록매체
KR20000000556A (ko) 정보기록매체
KR20000000562A (ko) 정보기록매체
KR20000000560A (ko) 정보기록매체
US5060222A (en) Method of overwriting information on recording medium
US5750049A (en) Chiral optical polymer based information storage material
US8647794B2 (en) Method of forming holograms in polymer composites with confined crystallization
WO2008065912A1 (fr) Élément optique en matière plastique, lentille pour capture optique utilisant celui-ci et dispositif de capture optique
JPS62154340A (ja) 光記録媒体
KR20000000561A (ko) 정보기록매체
JPS6032698A (ja) ポリエステル系高密度情報記録担体
KR20000000559A (ko) 정보기록매체
JP3832793B2 (ja) 情報記録媒体用基板
JP2639174B2 (ja) 光記録媒体
JPH02173953A (ja) 光記録媒体用基体
JPS63275654A (ja) 光ディ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