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502A - Dual-tone detecting device - Google Patents

Dual-tone detec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502A
KR20000000502A KR1019990047659A KR19990047659A KR20000000502A KR 20000000502 A KR20000000502 A KR 20000000502A KR 1019990047659 A KR1019990047659 A KR 1019990047659A KR 19990047659 A KR19990047659 A KR 19990047659A KR 20000000502 A KR20000000502 A KR 20000000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
band
pass filter
output
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76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13478B1 (en
Inventor
이장규
서민호
현민호
Original Assignee
이장규
서민호
현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규, 서민호, 현민호 filed Critical 이장규
Priority to KR1019990047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3478B1/en
Publication of KR20000000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5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3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3478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8Indicating faults in circuits or apparatus
    • H04M3/10Providing fault- or trouble-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8Compa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 dual-tone detecting device is provided to greatly reduce talk-down and talk-off error by deciding whether or not the signal size of respective tone is greater than prescribed valu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ones is less than prescribed value and deciding whether or not the positive band composite of respective tone is greater than peripheral frequency. CONSTITUTION: The dual-tone detecting device comprises: a upper tone positive band-pass filter(430) for upper tone; a upper tone upper band-pass filter(420) for upper tone; a upper tone lower band-pass filter(440) for upper tone; a upper tone positive-upper band comparator(450); a upper tone positive-lower band comparator(460); a lower tone positive band-pass filter for lower tone; a lower tone upper band-pass filter for lower tone; a lower tone lower band-pass filter for lower tone; a lower tone positive-upper band comparator; a lower tone positive-lower band comparator; and a dual-tone detecting decision unit.

Description

듀얼톤 검출장치{.}Dual Tone Detection Device {.}

듀얼톤 신호(dual-tone signal)는 각각 다른 주파수를 갖는 두 개의 톤이 동일한 크기 혹은 서로 다른 크기로 혼합되어 들어오는 신호이다. 이러한 듀얼톤 신호의 한 종류인 경보신호(alerting signal)는 콜러아이디(callerID)라고도 불리는 발신자 번호표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신호로서, 그 용도는 전화기를 통해 통상의 음성대화가 이루어지는 도중에 교환기로부터 발신자의 번호정보가 전화기 측으로 전송될 때에 이러한 발신자 번호정보의 전송이 시작됨을 알려주는 신호이다. 이에 대해, 도1과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에서 구간(100, 110)은 사용자가 전화기를 통하여 통상의 음성대화를 수행하는 시간을 나타낸다. 교환기로부터 전화기로 전송되는 신호와 전화기로부터 교환기로 전송되는 신호는 둘 다 음성신호로 구성된다. 이렇게 통상의 음성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도중에 사용자에게 발신자의 번호정보를 제공하려고 할 때, 교환기는 진행중인 음성신호의 전송을 중단하고 전화기로 소정의 경보신호(120)를 전송한다. 이 경보신호(12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듀얼톤으로서 전형적으로 6 데시벨(dB) 이내의 편차를 갖는 2750Hz와 2130Hz 신호의 혼합신호로 표시한다. 도2는 이 경보신호(120)의 주파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보신호(120)를 검출한 전화기는 음성신호(110)의 전송을 중단하고 이 경보신호(120)에 대한 애크신호(acknowledge signal : 130)를 교환기로 전송한다. 이 애크신호(130)를 수신한 교환기는 전화기에 대하여 발신자에 대한 소정의 정보(140)를 전송하고, 이러한 정보의 전송이 종료되면 교환기와 전화기 사이에 다시 통상의 음성신호(150, 160)의 교환이 재개된다. 전술한 빙식으로 발신자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은 전화기는 사용자에 대하여 주지의 방법으로 이러한 정보를 표시할 것이다.A dual-tone signal is a signal in which two tones having different frequencies are mixed in the same size or different sizes. One kind of dual tone signal is an alarming signal, which is used in a caller ID system called a caller ID, and its purpose is to call the caller's number from the exchange during a normal voice conversation through a telephone. When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telephone side, it is a signal indicating that transmission of such caller number information is started.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In Fig. 1, the intervals 100 and 110 represent the time when the user performs a normal voice conversation through the telephone.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change to the telephone and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lephone to the exchange are both composed of voice signals. When attempting to provide the caller's number information to the user during the normal voice conversation, the exchange stops the transmission of the voice signal in progress and transmits the predetermined alarm signal 120 to the telephone. The alarm signal 120 is a dual tone as described above, typically represented by a mixed signal of 2750 Hz and 2130 Hz signals with a deviation within 6 decibels (dB). 2 shows the frequency configuration of this alarm signal 120. As shown in FIG. The phone detecting the alarm signal 120 stops transmitting the voice signal 110 and transmits an acknowledgment signal 130 for the alarm signal 120 to the exchange. The exchange receiving the acknowledgment signal 130 transmits predetermined information 140 to the caller to the telephone, and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information is completed, the exchange of the normal voice signals 150 and 160 is performed again between the exchange and the telephone. The exchange is resumed. The telephone, which has received the information about the caller in the above-mentioned manner, will display this information in a known manner to the user.

앞의 설명에서, 발신자에 대한 정보의 전송은 주파수편이-키잉(FSK) 방식이나 듀얼톤 다주파수(dual-tone multi-frequency : DTMF) 방식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방식의 신호는 음성신호와 같은 잡음에 민감하므로 정보를 정확히 전송하기 위해서는 발신자 정보가 전송되기 전에 전화기는 음성신호를 차단해야 하고, 이를 위해 전화기는 음성신호가 혼재하는 상황(110)에서 교환기로부터 인입되는 경보신호를 검출하여야 한다. 경보신호에 대한 사항을 포함한 발신자 번호표시 장치에 대한 산업표준은 벨코어(Bellcore)의 TR-NWT-000030과 SR-TSV-002476, 그리고 ETSI의 ETS 300 778-1과 ETS 300 778-2이다.In the foregoing description,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to the sender is performed using a frequency shift-keying (FSK) method or a dual-tone multi-frequency (DTMF) method, and the signal of this method is a voice signal. In order to transmit the information accurately, the phone must block the voice signal before transmitting the caller information. For this purpose, the phone must detect the alarm signal coming from the exchange in the situation where the voice signal is mixed. do. The industry standards for caller ID, including alarm signals, are Bellcore's TR-NWT-000030 and SR-TSV-002476, and ETSI's ETS 300 778-1 and ETS 300 778-2.

경보신호는 그 속성상 음성신호와 혼재되어 전화기로 입력되도록 되어 있으며[도1의 구간(110, 120) 참조], 이로 인해 경보신호를 검출하는 과정에서 음성신호(110)에 의해 전화기가 경보신호를 검출되지 못하는 경우[토크다운(talk-down)]이나 반대로 경보신호가 존재하지 않음에도 음성신호가 경보신호로 잘못 검출되는 경우[토크오프(talk-off)] 등의 오류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오류상황의 발생 개연성은 경보신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듀얼톤의 주파수(예컨대, 2130Hz와 2750Hz)가 가청주파수(20∼20000Hz)에 포함되는 것으로부터도 용이하게 상상할 수 있다. 전술한 벨코어 규격에서는 발신자 번호표시 시스템의 경보신호 검출에 있어서 이러한 토크다운 및 토크오프 오류에 대한 최소한의 규격을 규정해 놓았으며, 따라서 발신자 번호표시 시스템과 같은 시스템을 개발함에 있어서는 경보신호와 같은 듀얼톤 신호를 정확히 검출해 내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The alarm signal is mixed with the voice signal due to its property and input to the phone (refer to the sections 110 and 120 of FIG. 1). As a result, the alarm signal is generated by the voice signal 110 in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alarm signal. In the case of not detecting the [talk-down] or in the case where the voice signal is incorrectly detected as the alarm signal [talk-off] even when the alarm signal does not exist, an error situation may occur. .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such an error situation can be easily imagined from the fact that the dual tone frequencies (for example, 2130 Hz and 2750 Hz) commonly used in the alarm signal are included in the audible frequency (20 to 20000 Hz). The above-mentioned Belcore standard stipulates a minimum standard for such a torque down and a torque-off error in detecting an alarm signal of the caller ID system. Therefore, in developing a system such as a caller ID system, an alarm signal may be used. It is very important to accurately detect the dual tone signa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듀얼톤 검출장치로서 입력신호에 각 톤의 신호크기가 소정의 값 이상이고 톤간의 크기 차이가 소정의 값 이하인지를 판단함과 동시에 각 톤의 정대역 성분이 주변 주파수의 성분보다 더 많은지를 판단함으로써 듀얼톤 검출에 있어서 토크다운 및 토크오프 오류의 발생율이 획기적으로 작은 듀얼톤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al tone detection apparatus that determines whether the signal size of each ton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the difference in size between the tones is small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al tone detection device in which the occurrence rate of torque down and torque off errors in the dual tone detection is remarkably small by determining whether the component is more than the component of the surrounding frequency.

도1은 종래기술의 발신자 번호표시 프로토콜에 따른 신호들의 타이밍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1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timing of signals in accordance with a prior art caller ID protocol.

도2는 종래기술의 발신자 번호표시 프로토콜에 따른 경보신호의 주파수 극성을 도시하는 도면.2 is a diagram showing the frequency polarity of an alarm signal according to the caller ID protocol of the prior art;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톤 신호의 주파수 분석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frequency analysis structure of a dual tone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톤 검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one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톤 검출부에 양호하게 사용될 수 있는 괴첼필터 (Goertzel filter)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Goertzel filter which can be favorably used in the tone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톤 검출장치의 구성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dual tone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톤 검출장치를 발신자 번호표시 장치에 적용하여 구성한 경보신호 검출장치 구성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n alarm signal detection device configured by applying the dual ton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caller ID display devic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420 : 상대역 통과필터420: relative reverse pass filter

430 : 정대역 통과필터430: forward pass filter

440 : 상대역 통과필터440: relative reverse pass filter

450 : 상대역·정대역 비교기450: relative station, forward band comparator

460 : 정대역·하대역 비교기460: forward band and lower band comparator

620 : 상위톤 검출부620: upper tone detection unit

640 : 하위톤 검출부640: low tone detection unit

660 : 듀얼톤 판단부660: dual tone determination unit

770 : 트위스트 검출부770: twist detection uni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톤 신호의 주파수 분석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3에서 주파수 영역(310, 360)은 전술한 경보신호와 같은 듀얼톤 신호가 사용하는 하위톤 및 상위톤 주파수 영역을 나타낸다. 이러한 주파수 영역은 이 듀얼톤 신호를 적용하고자 하는 응용 분야에 따라서 각각 규정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전술한 발신자 번호표시 시스템에 관한 벨코어 규격에서는 하위톤(L0)을 2130Hz로, 상위톤(H0)을 2750Hz로 규정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하고자 하는 하위톤 및 상위톤 주파수 영역을 각각 상대역(upper-side band : 320, 370), 정대역(exact-side band : 310, 360), 그리고 하대역(lower-side band : 300, 350)으로 구분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상대역(320, 370)과 정대역(310, 360)의 교차점(L2, H2), 및 정대역(310, 360)과 하대역(300, 350)의 교차점(L1, H1)은 적용분야에 따른 규격(예컨대, 벨코어 규격)에서 규정하고 있는 하위톤과 상위톤에 대한 임계점(critical point)에 대응한다. 즉, 예를 들어 벨코어 규격에 따르면 검출해야 하는 하위톤과 하위톤의 범위는 각각 2119Hz∼2141Hz와 2736Hz∼2764Hz로 정의되어 있으므로 도3에서 L1=2119Hz, L2=2141Hz, H1=2736Hz, H2=2764Hz이 되도록 상대역(320, 370), 정대역(310, 360), 및 하대역(300, 350)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도3에 도시된 주파수 분석 구조는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상대역과 정대역, 그리고 정대역과 하대역이 서로 반드시 교차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3 schematically illustrates a frequency analysis structure of a dual tone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3, the frequency regions 310 and 360 indicate the low tone and high tone frequency areas used by the dual tone signal such as the alarm signal described above. These frequency ranges are respectively defin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field to which the dual tone signal is to be applied. For example, in the Belcore standard for the caller ID system described above, the low tone (L0) is 2130 Hz and the high tone (H0) It is specified as 2750Hz.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lower- and upper-tone frequency regions to be detected are respectively represented by a relative band (upper-side band: 320, 370), an exact-side band (310, 360), and a lower band. (lower-side band: 300, 350). Preferably, the intersection points L2 and H2 of the above-described relative bands 320 and 370 and the forward bands 310 and 360, and the intersection points L1 and H1 of the forward bands 310 and 360 and the lower bands 300 and 350, respectively. ) Corresponds to the critical points for the lower and upper tones, as defined in the application-specific specifications (eg, Belcore specifications). That is,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Belcore standard, the range of subtones and subtones to be detected is defined as 2119 Hz to 2141 Hz and 2736 Hz to 2764 Hz,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o set the relative bands 320 and 370, the forward bands 310 and 360, and the lower bands 300 and 350 to be 2764 Hz. However, the frequency analysis structure shown in FIG. 3 is not absolute, and for example, the relative band, the forward band, and the forward band and the lower band do not necessarily cross each other.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톤 검출부(tone detector : 4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4의 톤 검출부(400)는 상위톤이나 하위톤의 어느 한 톤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설명의 편이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상위톤을 검출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하위톤을 검출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다. 상위톤에 관련된 영역을 상대역(370), 정대역(360), 및 하대역(350)으로 구분한 것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톤 검출부(400)는 상위톤의 상대역(370)에 대한 대역통과 필터인 상대역 통과필터(420), 상위톤의 정대역(360)에 대한 대역통과 필터인 정대역 통과필터 (430), 상위톤의 하대역(370)에 대한 대역통과 필터인 하대역 통과필터(440), 상대역 통과필터(420)의 출력(A)과 정대역 통과필터(430)의 출력(B)을 비교하기 위한 상대역·정대역 비교기(450), 정대역 통과필터(430)의 출력(B)과 하대역 통과필터 (440)의 출력(C)을 비교하기 위한 정대역·하대역 비교기(460), 및 상대역·정대역 비교기(450)의 출력(D1)과 정대역·하대역 비교기(460)의 출력(D2), 그리고 정대역 통과필터(430)의 출력(B)으로부터 톤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톤검출 판단부(470)로 구성된다.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one detector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ne detector 400 of FIG. 4 is used to detect any one of the upper tones and the lower tone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nly the case of detecting the upper tones will be described herein. The case of detecting a low tone can be easily considered from description of this specification. A region related to the upper tones is divided into a relative station 370, a forward band 360, and a lower band 350 as shown in FIG. The tone detector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lative band pass filter 420 which is a bandpass filter for the relative band 370 of the upper tone, and a band pass filter 430 which is a band pass filter for the forward band 360 of the upper tone. ), The lower band pass filter 440 which is a band pass filter for the lower band 370 of the upper tone, and the output A of the relative pass filter 420 and the output B of the forward pass filter 430 are compared. A relative band forward band comparator 450, a forward band pass band comparator 460 for comparing the output B of the forward pass filter 430 and the output C of the lower pass filter 440, And whether the tone signal is input from the output D1 of the relative band forward band comparator 450, the output D2 of the forward band lower band comparator 460, and the output B of the forward band pass filter 430. Tone detection determining unit 470 for determining the.

이하,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톤 검출부(400)의 동작을 설명한다. 톤 검출부(400)로 입력되는 신호(X)는 일반적으로 검출대상인 톤 신호가 아닌 다른 신호(예컨대, 음성신호)가 함께 존재하며, 본 발명의 톤검출부(400)는 이러한 다른 신호가 존재하는 도중에 톤 신호가 인입하면 이 톤 신호의 출현을 검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입력신호(X)를 세 개의 필터(420, 430, 440)를 병렬적으로 통과시킨다. 이들은 각각 도3에 도시된 상위톤의 상대역(370), 상위톤의 정대역(360), 그리고 상위톤의 하대역(370)에 대한 대역통과 필터이다. 그리고 나서, 상대역·정대역 비교기(450)에서는 입력신호(X)에서 정대역 성분(B)이 상대역 성분(A)보다 많은지 비교하고 정대역·하대역 비교기(460)에서는 입력신호(X)에서 정대역 성분(B)이 하대역 성분(C)보다 많은지를 비교하여 각각 그 결과(D1, D2)를 출력한다. 톤검출 판단부(470)는 이러한 비교결과(D1, D2)와 정대역 통과필터 (430)의 출력(B)을 입력받아 비교결과(D1, D2)가 모두 참(true)이고 필터출력(B)이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에 입력신호(X)로부터 톤 신호(즉, 상위톤 신호)가 검출되었다고 판단하고 그 결과(Y)를 출력한다. 톤 검출부(400)의 결과출력(Y)은 단순히 특정 톤의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만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그 이외의 정보, 예컨대 정대역 성분(B)의 값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3 and 4, the operation of the tone detector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signal X input to the tone detector 400 is generally present with a signal (eg, a voice signal) other than the tone signal to be detected, and the tone detector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 while such other signals are present. When the tone signal comes in, one wants to detect the appearance of the tone signal. First, the input signal X is passed through three filters 420, 430, and 440 in parallel. These are bandpass filters for the relative band 370 of the upper tones, the forward band 360 of the upper tones, and the lower band 370 of the upper tones, respectively, shown in FIG. Then, in the reverse band forward band comparator 450, the input signal X compares whether the forward band component B is larger than the counter band component A, and in the forward band lower band comparator 460, the input signal X The forward band component B is compared with the lower band component C, and the results D1 and D2 are output, respectively. The tone detection determining unit 470 receives the comparison results D1 and D2 and the output B of the forward pass filter 430, and the comparison results D1 and D2 are both true and the filter output B is true. Is larg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tone signal (i.e., the upper tone signal) has been detected from the input signal X, and the result Y is output. The result output Y of the tone detector 400 may simply include whether there is a signal of a specific tone, but may include other information, for example, information on the value of the forward band component B. FIG.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톤 검출부(400)의 대역통과 필터(420, 430, 440)로서 양호하게 사용될 수 있는 괴첼필터(Goertzel filter)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괴첼필터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를 얻기 위한 무한임펄스응답(infinite impulse response : IIR) 형태의 필터로서 그 필터방정식(filter equation) 은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Goertzel filter that can be preferably used as the bandpass filter 420, 430, 440 of the tone detector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oechel filter is an infinite impulse response (IIR) type of filter for obtaining energy in a specific frequency band. The filter equation is

과 같다. 괴첼필터는 주어진 조건에 대하여 필터 계수(filter coefficients)를 용이하게 구할 수 있으며 필터 차수(filter order)에 비해 높은 Q-값(quality factor value)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톤 검출부(400)에 사용되는 대역통과필터 (420, 430, 440)로서는 임의의 필터가 사용될 수 있으나,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과대역을 갖도록 하며 특히 각각의 통과대역의 교차점(L1, L2; H1, H2)이 원하는 소정의 값이 되도록 대역통과 필터를 설계하는 데에는 전술한 괴첼필터가 효과적이다. 도5는 괴첼필터의 필터방정식을 재귀형 구조를 갖는 2차 무한임펄스응답 필터 (a second order recursive IIR filter)와 유사한 형태로 구성한 것이다.Same as The Götzel filter can easily obtain filter coefficients for a given condition and provides a high quality factor value compared to the filter order. As the band pass filter 420, 430, 440 used in the tone detector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filter may be used, but as shown in FIG. 3, the filter has a pass band, and in particular, an intersection point of each pass band ( The above-described Goechel filter is effective for designing a bandpass filter such that L1, L2; H1, H2) are desired desired values. FIG. 5 illustrates a filter equation of the Goechel filter in a form similar to a second order recursive IIR filter having a recursive structure.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톤 검출장치(600)의 구성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의 듀얼톤 검출장치(600)는 입력신호에 상위톤(higher-tone)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상위톤 검출부(620), 입력신호에 하위톤(lower-tone)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하위톤 검출부(640), 및 상위톤 검출부 (620)의 출력과 하위톤 검출부(640)의 출력에 기초하여 입력신호에 듀얼톤(상위톤과 하위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듀얼톤 판단부(660)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듀얼톤 판단부(660)에서 수행되는 듀얼톤 존재여부 판단의 기준에는 단순히 상위톤 검출부(620)의 출력과 하위톤 검출부(640)의 출력으로부터 상위톤과 하위톤이 모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것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듀얼톤 검출장치를 적용하려고 하는 적용분야에 따라서 추가적으로 검사하여야 할 소정의 기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이 실현가능하다는 사실은 앞의 도4에 대한 설명에서 톤 검출부(620, 640)의 결과출력이 단순히 특정 톤의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 그 이외에 기타 소정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으로부터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듀얼톤 검출장치를 발신자 번호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발신자 번호표시 장치에 관한 산업표준인 벨코어 규격에 따르면 경보신호의 경우 하위톤인 2130Hz 대역의 신호와 상위톤인 2750Hz 대역의 신호 간의 강도차이가 6 dB 이하여야 한다는 조건이 있는 바, 전술한 듀얼톤 판단부(660)에서 수행하는 판단 대상에는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포함한다.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dual tone detection apparatus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ual tone detection apparatus 600 of FIG. 6 includes an upper tone detector 620 for detecting whether a higher-tone exists in an input signal, and whether a lower-tone exists in the input signal. Determining whether dual tones (upper tones and lower tones) are present in the input signal based on the output of the lower tone detector 640 and the output of the upper tone detector 620 and the output of the lower tone detector 640. The dual tone determination unit 660 is configured. 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ual tone exists in the dual tone determination unit 660 is whether the upper tone and the lower tone exist from the output of the upper tone detector 620 and the output of the lower tone detector 640. In addition to the inspec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predetermined criterion to be additionally inspected according to an application to which the dual tone det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pplied. The fact that this determination is feasible indicates that the result output of the tone detectors 620 and 640 in the above description of FIG. 4 may simply include other predetermined information as to whether a signal of a specific tone exists. Can be. For example, when the dual tone de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alling party numb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Belcore standard, which is an industry standard for the calling party number display device, the alarm signal is a lower tone and a higher tone signal of the 2130 Hz band. Since there is a condition that an intensity difference between signals in a 2750 Hz band should be 6 dB or less, the determination target performed by the dual tone determination unit 660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he condition is satisfied.

본 발명에 따른 듀얼톤 검출장치(600)로 입력되는 신호는 일반적으로 듀얼톤 신호 이외에 다른 신호가 혼재되어 있다. 보다 전형적으로는 통상에는 듀얼톤 신호 이외의 다른 신호가 주로 존재하다가 일시적으로 듀얼톤 신호가 존재하며, 본 발명의 듀얼톤 검출장치는 듀얼톤 신호가 이렇게 일시적으로 존재할 때 그 존재를 검출해내는 역할을 담당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듀얼톤 검출장치를 발신자 번호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입력신호는 통상 음성신호로 구성되며 일시적으로 듀얼톤 신호인 경보신호(alerting signal)가 존재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듀얼톤 검출장치는 이렇게 일시적으로 존재하는 경보신호의 존재를 검출해내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Signals input to the dual tone detection device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generally mixed with signals other than the dual tone signal. More typically, a signal other than the dual tone signal is usually present, and then a temporary dual tone signal exists, and the dual tone de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presence of the dual tone signal when it is temporarily present. In charge of. For example, when the dual tone de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aller ID display device, an input signal is usually composed of an audio signal, and an alarm signal (dual tone signal), which is a dual tone signal, temporarily exists. The dual tone detection device is responsible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such a temporary alarm signal.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톤 검출장치를 발신자 번호표시 장치에 적용하여 구성한 경보신호 검출장치(700)의 구성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의 경보신호 검출장치(700)는 음성신호와 경보신호가 혼재되어 이루어진 전화신호에 경보신호가 존재할 때 이 경보신호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력신호에 상위톤(higher-tone)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상위톤 검출부(740), 입력신호에 하위톤(lower-tone)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하위톤 검출부 (780), 상위톤의 정대역 신호(BH)와 하위톤의 정대역 신호(BL) 사이의 신호강도 차이가 소정의 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트위스트 검출부(twist detector ; 785), 및 상위톤 검출부(740)의 출력과 하위톤 검출부(780)의 출력, 그리고 트위스트 검출부(785)의 판단결과로부터 입력신호에 경보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경보신호 판단부(790)로 구성된다. 경보신호 검출장치(700)의 상위톤 검출부(740)와 하위톤 검출부(780)는 도4에 도시된 본 발명의 톤 검출부(40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발신자 번호표시 장치에 관한 산업표준인 벨코어 규격에 따르면 경보신호의 경우 하위톤 대역의 신호와 상위톤 대역의 신호 간의 강도차이가 6dB 이하여야 한다는 조건이 있는 바, 경보신호 검출장치(700)에서는 트위스트 검출부(785)가 이 조건의 만족여부를 검사한다.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alarm signal detecting apparatus 700 constructed by applying the dual tone de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caller ID display apparatus. The alarm signal detecting apparatus 700 of FIG. 7 i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alarm signal when the alarm signal exists in the telephone signal in which the voice signal and the alarm signal are mixed, and a higher-tone is applied to the input signal. An upper tone detector 740 for detecting whether there is a lower tone, a lower tone detector 780 for detecting whether a lower-tone exists in the input signal, a forward band signal (BH) and a lower tone of the upper tone The twist detector 785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ifference in signal strength between the forward band signals BL of the ton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the output of the upper tone detector 740 and the lower tone detector 780 And an alarm signal determination unit 790 for determining whether an alarm signal exists in the input signal from the output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twist detection unit 785. The upper tone detector 740 and the lower tone detector 780 of the alarm signal detection apparatus 700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tone detector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here. do.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elcore standard, the industry standard for the calling party number display device, there is a condition that an intensity difference between a signal of a lower tone band and a signal of an upper tone band should be 6 dB or less in the case of an alarm signal. In the apparatus 700, the twist detector 785 checks whether this condition is satisfied.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듀얼톤 검출장치에 따르면 적은 하드웨어 비용과 저소비전력으로 듀얼톤 검출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토크다운, 토크오프 발생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ual tone det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dual tone detection performance can be dramatically improved (torque down, torque off occurrence rate reduced) with low hardware cost and low power consumption.

Claims (3)

입력신호로부터 상위톤과 하위톤으로 구성된 듀얼톤을 검출해내기 위한 듀얼톤 검출장치로서,A dual tone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a dual tone consisting of an upper tone and a lower tone from an input signal,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상위톤의 정대역을 통과시키기 위한 상위톤 정대역 통과필터;An upper tone forward band pass filter for passing the upper band forward band from the input signal;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상위톤의 상대역을 통과시키기 위한 상위톤 상대역 통과필터;An upper tone relative band pass filter for passing the relative band of the upper tone from the input signal;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상위톤의 하대역을 통과시키기 위한 상위톤 하대역 통과필터;An upper tone lower band pass filter for passing a lower band of the upper tone from the input signal; 상기 상위톤 정대역 통과필터의 출력이 상기 상위톤 상대역 통과필터의 출력보다 더 큰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위톤 정대역·상대역 비교기;An upper tone forward band / upper band comparator for determining whether an output of the upper tone forward band pass filter is greater than an output of the upper tone relative band pass filter; 상기 상위톤 정대역 통과필터의 출력이 상기 상위톤 하대역 통과필터의 출력보다 더 큰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위톤 정대역·하대역 비교기;An upper tone forward band lower band comparator for determining whether an output of the upper tone forward pass filter is greater than an output of the upper tone lower band pass filter;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하위톤의 정대역을 통과시키기 위한 하위톤 정대역 통과필터;A low-tone forward pass filter for passing the forward band of the lower tone from the input signal;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하위톤의 상대역을 통과시키기 위한 하위톤 상대역 통과필터;A lower tone relative band pass filter for passing the relative band of the lower tone from the input signal;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하위톤의 하대역을 통과시키기 위한 하위톤 하대역 통과필터;A lower tone lower band pass filter for passing the lower band of the lower tone from the input signal; 상기 하위톤 정대역 통과필터의 출력이 상기 하위톤 상대역 통과필터의 출력보다 더 큰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하위톤 정대역·상대역 비교기;A low tone forward band / upper band comparator for determining whether an output of the low tone forward band pass filter is greater than an output of the low tone relative band pass filter; 상기 하위톤 정대역 통과필터의 출력이 상기 하위톤 하대역 통과필터의 출력보다 더 큰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하위톤 정대역·하대역 비교기; 및A low tone forward band lower band comparator for determining whether an output of the low tone forward band pass filter is greater than an output of the lower tone low band pass filter; And 상기 상위톤 정대역 통과필터의 출력, 상기 하위톤 정대역 통과필터의 출력, 상기 상위톤 정대역·상대역 비교기의 비교결과 출력, 상기 상위톤 정대역·하대역 비교기의 비교결과 출력, 상기 하위톤 정대역·상대역 비교기의 비교결과 출력, 및 상기 하위톤 정대역·하대역 비교기의 비교결과 출력으로부터 상기 듀얼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듀얼톤 검출판단부An output of the upper tone forward band pass filter, an output of the lower tone forward band pass filter, an output of a comparison result of the upper tone forward band and an upper band comparator, an output of a comparison result of the upper tone forward band and a lower band comparator, and the lower tone Dual tone detec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ual tone is present from the comparison result output of the forward band and upper band comparator, and the comparison result output of the lower tone forward band and lower band comparato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톤 검출장치.Dual tone detection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톤 정대역 통과필터, 상기 상위톤 상대역 통과필터, 상기 상위톤 하대역 통과필터, 상기 하위톤 정대역 통과필터, 상기 하위톤 상대역 통과필터, 상기 하위톤 하대역 통과필터가 괴첼필터(Goertzel filter)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톤 검출장치.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pper tone forward band pass filter, the upper tone relative band pass filter, the upper tone lower band pass filter, the lower tone forward band pass filter, the lower tone relative band pass filter, the lower tone lower band pass. Dual tone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is composed of a Goertzel filter (Goertzel fil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톤 검출 판단부는 상기 상위톤 정대역 통과필터의 출력과 상기 하위톤 정대역 통과필터의 출력이 모두 소정의 크기 이상이 됨고 동시에 두 출력의 차이가 소정의 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결과를 듀얼톤 존재여부의 판단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톤 검출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ual tone detection determiner outputs the output of the upper-tone forward pass filter and the output of the lower-tone forward pass filter more than a predetermined size, and at the same tim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outputs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Dual tone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y determining whether to reflect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existence of the dual tone.
KR1019990047659A 1999-10-29 1999-10-29 Dual tone detector KR1003134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659A KR100313478B1 (en) 1999-10-29 1999-10-29 Dual tone det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659A KR100313478B1 (en) 1999-10-29 1999-10-29 Dual tone det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502A true KR20000000502A (en) 2000-01-15
KR100313478B1 KR100313478B1 (en) 2001-11-17

Family

ID=19617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7659A KR100313478B1 (en) 1999-10-29 1999-10-29 Dual tone det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347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572B1 (en) * 2000-11-13 2003-03-08 주식회사 텔레칩스 Dual-Tone Detecting Device
KR100463845B1 (en) * 2000-03-07 2004-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Of Dual Tone Multi Frequency Signaling Detecting In Switch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845B1 (en) * 2000-03-07 2004-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Of Dual Tone Multi Frequency Signaling Detecting In Switching System
KR100375572B1 (en) * 2000-11-13 2003-03-08 주식회사 텔레칩스 Dual-Tone Detec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3478B1 (en) 200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27047B2 (en) DTMF signal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69409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a telephone CPE alerting signal
US507052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l source identification
US606735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call waiting signal on a telephone line connected to a modem
US6229889B1 (en) Robust signaling tone frequency measurement
US9503568B1 (en) Detecting dial tone on a telephone line
US592654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ecking signals
KR100313478B1 (en) Dual tone detector
US6269160B1 (en) Communications device including an improved CPE alerting signal (CAS) detection system
US6587559B1 (en) Cross-frame dual tone multifrequency detector
EP0988758B1 (en) Tone detection with aliasing bandpass filters
US5123042A (en) Cordless telephone apparatus which avoids simultaneous connecting unit/cordless telephone call conflicts
US6381330B1 (en) False tone detect suppression using multiple frame sweeping harmonic analysis
US59109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customer premises equipment alert signal detectors to determine talkoff and talkdown error rates
US4022989A (en) Telephone receiver-off-hook-and-in-use detector
US6671252B1 (en) Robust signaling tone duration measurement
CA2242187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gnizing tones and sequences thereof
US60469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ignal misalignment
JPS6115453A (en) Circuit system detecting response of called party
JP3296768B2 (en) Telephone equipment
US6418209B1 (en) Telecommunications device equipped with in-call incoming call notification function and method for detecting in-call incoming signal notification
JPH0294743A (en) Dtmf signal receiver
JP2905333B2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JPS61252737A (en) Busy tone detector
KR0182638B1 (en) Abnormal signal detecting method for full electronic switch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