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353A - 웹페이지를 이용한 화면 보호 방법 - Google Patents

웹페이지를 이용한 화면 보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353A
KR20000000353A KR1019990044538A KR19990044538A KR20000000353A KR 20000000353 A KR20000000353 A KR 20000000353A KR 1019990044538 A KR1019990044538 A KR 1019990044538A KR 19990044538 A KR19990044538 A KR 19990044538A KR 20000000353 A KR20000000353 A KR 20000000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user
input
screen protection
web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4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찬호
Original Assignee
송찬호
주식회사 컴퓨터와춤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찬호, 주식회사 컴퓨터와춤을 filed Critical 송찬호
Priority to KR1019990044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0353A/ko
Publication of KR20000000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35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06F16/9566URL specific, e.g. using aliases, detecting broken or misspelled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모니터의 화면 보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터넷상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접속된 웹사이트로부터 웹페이지를 전송받아 화면 보호를 위하여 전송받은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화면 보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면 보호 모드로 전환하는 제 1 단계와, 화면 보호 모드에서 웹페이지를 전송받아 보호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제 2 단계와, 화면 보호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화면 보호 모드 해제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화면 보호 모드를 해제하고, 화면 보호 모드 전환 전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사용자에 의한 신호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와, 판단 결과, 신호 입력이 없으면 보호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이후의 경과 시간을 계산하여, 경과 시간이 웹사이트 전환 시간에 도달함에 따라 URL을 변경하여 상기 제 2 단계부터 반복 수행하는 제 5 단계 및 판단 결과, 신호 입력이 있으면, 접속된 웹사이트로부터 신호 입력에 따른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웹페이지를 이용한 화면 보호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웹페이지를 이용한 화면 보호 방법{Screen saver using the web page}
본 발명은 컴퓨터 모니터의 화면 보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터넷상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접속된 웹사이트로부터 웹페이지를 전송받아 화면 보호를 위하여 전송받은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화면 보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시스템을 켜 놓은 상태에서는 화면의 상태가 오랫동안 변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다 하더라도 여전히 동일한 정보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로 남아 있게 된다.
화면 보호기(screen saver)는 이처럼 화면의 정보가 이용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도 정보가 계속 출력됨으로써 모니터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또는 컴퓨터 시스템의 사용자가 작업하던 비밀 정보가 타인에게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면의 상태를 변경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운영체제에 구비된 소프트웨어이다.
일반적인 화면 보호기는 컴퓨터 시스템이 대략 1 ~ 10분 정도의 소정의 시간동안 동일한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보호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아예 화면 디스플레이를 중단하는 등 화면보호 상태로 들어간다.
이러한 화면 보호기는 본래의 화면 보호 목적외에도 여러가지 다른 사용 목적을 같는다. 즉, 화면 보호기는 교육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또한 오락적이고 마음을 누르러뜨리며 긴장을 완화시키는 이미지들을 사용하여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특히, 최근에 인터넷 사용이 증가되면서 컴퓨터 사용자가 일정 시간동안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고 컴퓨터를 켜놓는 경우에 지정된 인터넷의 웹사이트에 자동으로 접속하여 접속된 웹사이트의 웹페이지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 보호기의 개발이 요청되어 왔다.
이러한, 화면 보호기는 일정한 목적을 위하여 구현된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웹페이지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화면 보호기처럼 단지 화면의 보호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실시간의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하며, 최근의 화면 보호기의 개발추세인 실용성에 부합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요청에 부응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일정시간동안 입력이 없을 경우에, 인터넷상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접속된 웹사이트로부터 웹페이지를 전송받아 전송받은 웹페이지를 화면 보호를 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보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상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접속된 웹사이트로부터 웹페이지를 전송받아 전송받은 웹페이지를 화면 보호를 위하여 디스플레이하는데 있어서, 다수의 웹사이트에 순차적으로 그리고 순환적으로 접속하여 접속된 웹사이트로부터 전송받은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화면 보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를 이용한 화면 보호 방법에서 망 접속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를 이용한 화면 보호 방법에서 제공되는 보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를 이용한 화면 보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를 이용한 화면 보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사용자 컴퓨터 120 : 인터넷
130a~130n : 서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사용자의 최후 입력 후에 경과된 시간이 화면 보호 대기 시간에 도달함에 따라 화면 보호 모드로 전환하는 제 1 단계; 화면 보호 모드에서 설정된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웹페이지를 전송받아 보호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제 2 단계; 화면 보호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화면 보호 모드 해제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화면 보호 모드를 해제하고, 화면 보호 모드 전환 전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2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에 의한 웹서비스 요구 신호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의 판단 결과, 웹서비스 요구 신호 입력이 없으면 보호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이후의 경과 시간을 계산하여, 경과 시간이 웹사이트 전환 시간에 도달함에 따라 URL을 변경하여 상기 제 2 단계부터 반복 수행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의 판단 결과, 웹서비스 요구 신호 입력이 있으면, 접속된 웹사이트로부터 신호 입력에 따른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사용자의 최후 입력 후에 경과된 시간이 화면 보호 대기 시간에 도달함에 따라 화면 보호 모드로 전환하는 제 1 단계; 화면 보호 모드에서 설정된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웹페이지를 전송받아 보호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제 2 단계; 화면 보호 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한 화면 보호 모드 해제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화면 보호 모드를 해제하고, 화면 보호 모드 전환 전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2 단계 이후에, 사용자에 의한 웹서비스 요구 신호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의 판단 결과, 사용자에 의한 웹서비스 요구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보호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이후의 경과 시간을 계산하여, 경과 시간이 웹사이트 전환 시간에 도달함에 따라 URL을 변경하여 상기 제 2 단계부터 반복 수행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의 판단 결과, 사용자에 의한 웹서비스 요구 신호가 입력되면 화면 보호 모드를 해제한 후에, 접속된 웹사이트로부터 웹서비스 요구 신호에 따른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제, 도 1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를 이용한 화면 보호 방법에서 망 접속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를 이용한 화면 보호 방법에서 망 접속 상태는, 사용자 컴퓨터(110)가 인터넷(120)을 통하여 다수의 서버(130a~130n)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 컴퓨터(110)는 사용자로부터 일정 시간동안 입력이 없을 경우에 화면 보호 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화면 보호 모드에서 인터넷(120)을 통하여 특정 서버(130a)에 접속하여 웹페이지를 전송받아 화면 보호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컴퓨터(110)는 특정 서버(130a)로부터 전송받은 웹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한 후에, 일정시간이 경과하여도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없어 화면 보호 모드를 유지하여야 할 경우에는, 다른 서버(130b~130n)에 순차적으로 접속하여 웹페이지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에서 서버(130a~130n)에 대한 접속 순서는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알고 있는 웹사이트중에서 랜덤하게 선택하여 접속하도록 할 수도 있고, 일정 갯수까지는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그 이후에는 랜덤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는 유즈넷 뉴스그룹에 포스팅된 자료들을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컴퓨터(110)는 사용자로부터 보호 화면에 구비된 종료 버튼을 통한 화면 보호 모드 해제 신호가 감지되면, 일반적인 화면 보호기와 같이 화면 보호 모드를 해제하고 화면 보호 모드 전환 전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물론 이때에 보호 화면에 종료 버튼을 따로 구비하도록 하지 않고 키보드로부터 입력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에, 화면 보호 모드를 해제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마우스를 통한 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일반적인 화면 보호 모드를 해제하지 않고, 보호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와의 접속 상태가 계속 유지되도록 하며, 웹페이지도 계속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마우스로부터 입력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화면 보호 모드를 해제하지 않는다는 의미는 보호 화면 창을 계속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말하며, 보호 화면 창의 웹페이지를 확대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물론 또 다른 실시예로서 마우스를 통한 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일반적인 화면 보호 모드를 해제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때에도 화면 보호 모드 설정전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화면 보호 모드 상태에서 접속을 설정하였던 웹사이트에 계속 접속을 유지하도록 하고, 유지된 웹사이트의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며, 디스플레이된 웹페이지 상의 마우스 입력에 따른 웹서비스가 수행되도록 한다. 즉, 화면 보호 모드 설정전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는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를 이용한 화면 보호 방법에서 제공되는 보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를 이용한 화면 보호 방법에서 제공되는 보호 화면은, 웹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웹페이지(210)를 포함하며, 특정 웹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뉴스 채널, 증권 채널, 컴퓨터 채널, 소프트웨어 채널, 생활/문화 채널, 연애/오락 채널, 스포츠 채널, 여행 채널을 구비하고 있는 채널창(220)을 포함하고, 동호회 관련 메시지가 기록되어 있는 동호회 메모창(230)을 포함하며, 상기 웹페이지(210)의 우측에 위치한 뉴스그룹(24)을 포함하고, 화면 보호 모드를 해제할 수 있는 종료 버튼(250)을 구비하고 있다.
사용자가 마우스를 조작하여 다수의 채널(220)중에서 정보를 얻기를 원하는 채널을 클릭하면 그에 따라 제공되는 채널 메뉴들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화면 보호 모드를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채널 메뉴들이 디스플레이 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된 채널 메뉴에서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하면, 웹브라우져가 활성화되어 선택된 메뉴에 따른 웹서비스가 제공된다. 이때, 보호 화면상의 웹페이지(210)의 크기를 확대하지 않고 선택된 메뉴에 따른 웹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화면 보호 모드를 해제하여 웹페이지를 확대함으로써 웹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화면 보호 모드에서 마우스를 조작하여 제공된 웹페이지(210)에서 일정한 영역을 클릭하면 클릭된 부분과 링크된 웹페이지가 제공되도록 한다. 이때에도, 웹페이지(210)의 크기를 확대하지 않고 보호 화면에 있어서의 크기를 유지하면서 웹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그와 달리 화면 보호 모드를 해제하고 웹페이지(210)를 확대하여 웹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접속하는 웹사이트는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함으로서 고정적으로 제공되는 웹사이트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그외 웹사이트는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미 저장되어 있는 웹사이트와 랜덤하게 접속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선택된 웹사이트는 바람직하게는 5개 정도가 적절하며 이때 1개는 이미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고, 나머지 3개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그외 1개는 랜덤하게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를 이용한 화면 보호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화면 보호 모드 상태에서 마우스 등으로부터 웹서비스 요구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화면 보호 모드를 해제하지 않고 웹브라우져를 활성화하여 웹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 컴퓨터가 구동되면 사용자로부터 최후 입력 후 경과 시간을 계산한 후에(단계 S101), 경과 시간이 화면 보호 대기 시간보다 큰지를 판단한다(단계 S102). 이때, 화면 보호 대기 시간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판단 결과, 화면 보호 대기 시간보다 크지 않으면 사용자로부터 최후 입력후 경과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S101부터 반복 수행하고, 대기 시간보다 크면 화면 보호 모드로 전환한다(단계 S103).
다음으로 화면 보호 모드 상태에서 설정된 웹사이트와 접속한 후에(단계 S110), 접속된 웹사이트로부터 웹페이지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111).
이때, 접속하여야 할 웹사이트의 설정은 사용자에 의하도록 할 수도 있고, 프로그램의 설치와 동시에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다수개 중에서 랜덤하게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그와 동시에 화면 보호 모드 상태에서 뉴스 그룹에 접속하여(단계 S130), 뉴스 그룹에 포스팅된 자료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단계 S131).
또한, 화면 보호 모드 상태에서 종료 버튼으로부터 화면 보호 모드 해제 신호가 입력되면(단계 S140), 화면 보호 모드를 해제하고(단계 S141), 화면 보호 모드 설정전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단계 S142). 여기에서 화면 보호 모드가 해제되었음으로 화면 보호를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최후 입력 후 경과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S101부터 반복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여기에서 화면 보호 모드를 해제하기 위하여 종료 버튼으로부터 입력 신호가 요구되도록 하였으나, 달리 키보드로부터 입력 신호가 있으면 화면 보호 모드를 해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화면 보호 모드 상태에서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하여(단계 S150), 접속한 웹사이트로부터 동호회 메모장을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151).
한편, 화면 보호 모드에서 설정된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웹페이지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뉴스 그룹에 접속하여 뉴스 그룹에 포스팅된 자료를 디스플레이하고, 설정된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동호회 메모장을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한 후에는 마우스 등으로부터 웹서비스 요구 신호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112).
판단 결과, 사용자에 의한 마우스 등을 통한 웹서비스 요구 신호의 입력이 없으면, 디스플레이한 이후의 경과 시간을 계산하여(단계 S113), 경과 시간이 웹사이트 전환 시간보다 큰가를 판단한다(단계 S114).
판단 결과, 크지 않으면 사용자에 의한 마우스 등을 통한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S112부터 반복 수행하고, 크면 설정된 URL을 변경하고(단계 S115), 변경된 URL에 따른 웹사이트에 접속한 후에(단계 S116), 웹페이지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S111부터 반복 수행한다. 이때, URL변경은 이미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도 있고, 랜덤하게 할 수도 있으며, 순환적으로 진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에 의한 마우스 등으로부터 웹서비스 요구 신호의 입력이 있는지의 판단 결과, 마우스로부터 입력이 있으면, 그 입력이 이루어진 영역에 따라 다음 동작은 결정된다.
따라서, 입력된 영역이 뉴스 그룹 영역이면 웹브라우져를 활성화하여(단계 S117) 마우스 입력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한다(단계 S118). 이때, 화면 보호 모드는 해제하지 않으며 보호 화면 창의 크기는 그대로 유지한다.
다음으로, 입력된 영역이 웹페이지 영역이면 웹브라우져를 활성화하여(단계 S121), 접속된 웹사이트로부터 마우스 입력에 따른 웹서비스를 제공한다(단계 S122). 이때, 화면 보호 모드는 해제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보호 화면 창의 크기는 그대로 유지된다.
또한, 입력된 영역이 채널 영역이면 채널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단계 S119), 디스플레이한 메뉴 중에서 사용자가 접속을 원하는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단계 S120), 웹브라우져를 활성화하여(단계 S121), 접속된 웹사이트로부터 마우스 입력에 따른 웹서비스를 제공한다(단계 S122). 이때, 화면 보호 모드는 해제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보호 화면 창의 크기는 그대로 유지된다.
또한, 입력된 영역이 메모창 영역이면 웹브라우져를 활성화하여(단계 S121), 접속된 웹사이트로부터 마우스 입력에 따른 웹서비스를 제공받는다(단계 S122).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를 이용한 화면 보호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 컴퓨터가 구동되면 사용자로부터 최후 입력 후 경과 시간을 계산한 후에(단계 S201), 경과 시간이 화면 보호 대기 시간보다 큰지를 판단한다(단계 S202). 이 때, 화면 보호 대기 시간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판단 결과, 화면 보호 대기 시간보다 크지 않으면 사용자로부터 최후 입력 후 경과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S201부터 반복 수행하고, 대기 시간보다 크면 화면 보호 모드로 전환한다(단계 S203).
다음으로, 화면 보호 모드 상태에서 설정된 웹사이트와 접속한 후에(단계 S210), 접속된 웹사이트로부터 웹페이지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211).
이때, 접속하여야 할 웹사이트의 설정은 사용자에 의하도록 할 수도 있고, 프로그램의 설치와 동시에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다수개 중에서 랜덤하게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그와 동시에 화면 보호 모드 상태에서 뉴스 그룹에 접속하여(단계 S230), 뉴스 그룹에 포스팅된 자료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단계 S231).
또한, 화면 보호 모드 상태에서 종료 버튼으로부터 화면 보호 모드 해제 신호가 입력되면(단계 S240), 화면 보호 모드를 해제하고(단계 S241), 화면 보호 모드 설정전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단계 S242). 여기에서 화면 보호 모드가 해제되었음으로 화면 보호를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최후 입력 후 경과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S201부터 반복 수행하여야 한다. 여기에서는 종료 버튼으로부터 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하였으나, 키보드로부터 신호가 있는 경우에 화면 보호 모드를 해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화면 보호 모드 상태에서 설정된 웹사이트와 접속하여(단계 S250), 동호회 메모장을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251).
한편, 화면 보호 모드에서 설정된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웹페이지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뉴스 그룹에 접속하여 뉴스 그룹에 포스팅된 자료를 디스플레이하고,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동호회 메모장을 전송받아 디스플레이 한 후에는 마우스로부터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212).
판단 결과, 마우스로부터 입력이 없으면, 디스플레이한 이후의 경과 시간을 계산하여(단계 S213), 경과 시간이 웹사이트 전환 시간보다 큰가를 판단한다(단계 S214).
판단 결과, 크지 않으면 마우스로부터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S212부터 반복 수행하고, 크면 설정된 URL을 변경하고(단계 S215), 변경된 URL에 따른 웹사이트에 접속한 후에(단계 S216), 웹페이지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S211부터 반복 수행한다. 이때, URL의 변경은 이미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도 있고, 랜덤하게 진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마우스로부터 입력이 있는지의 판단 결과, 마우스로부터 입력이 있으면, 입력된 영역이 어디인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확인 결과, 뉴스 그룹 영역에서 마우스에 의한 웹서비스 요구 신호의 입력이 있었으면, 화면 보호 모드를 해제한 후에(단계 S217), 마우스 입력에 따른 웹서비스를 제공한다(단계 S218).
이때 화면 보호 모드가 해제되었음으로 화면 보호를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최후 입력 후 경과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S201부터 반복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웹페이지 영역에서 마우스에 의한 웹서비스 요구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화면 보호 모드를 해제한 후에(단계 S219), 웹브라우져를 활성화하여(단계 S222), 접속된 웹사이트로부터 마우스 입력에 따른 웹서비스를 제공한다(단계 S223). 이때에도, 화면 보호 모드가 해제되었음으로 화면 보호를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최후 입력 후 경과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S201부터 반복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마우스의 입력 영역이 채널인 경우에는 채널 메뉴를 디스플레이 한 후에(단계 S220),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화면 보호 모드를 해제하고(단계 S221), 웹브라우져를 구동하여(단계 S222), 접속된 웹사이트로부터 마우스 입력에 따른 웹서비스를 제공한다(단계 S223). 물론 이때에도, 화면 보호 모드가 해제 되었음으로 화면 보호를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최후 입력 후 경과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S201부터 반복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메모창 영역인 경우에는 화면 보호 모드를 해제한 후에(단계 S224), 웹브라우져를 활성화하여(단계 S222), 접속된 웹사이트로부터 마우스 입력에 따른 웹서비스를 제공한다(단계 S223).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르면, 모니터의 보호와 정보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보호 화면으로서 인터넷상 웹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컴퓨터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정보가 제공되도록 하고, 종래 보호 화면과 달리 컴퓨터 사용자에게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면 보호를 위하여 제공되는 웹페이지를 전송하는 웹사이트에 대한 접속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사용자의 최후 입력 후에 경과된 시간이 화면 보호 대기 시간에 도달함에 따라 화면 보호 모드로 전환하는 제 1 단계;
    화면 보호 모드에서 설정된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웹페이지를 전송받아 보호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제 2 단계;
    화면 보호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화면 보호 모드 해제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화면 보호 모드를 해제하고, 화면 보호 모드 전환 전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2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에 의한 웹서비스 요구 신호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의 판단 결과, 웹서비스 요구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보호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이후의 경과 시간을 계산하여, 경과 시간이 웹사이트 전환 시간에 도달함에 따라 URL을 변경하여 상기 제 2 단계부터 반복 수행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의 판단 결과, 웹서비스 요구 신호가 입력되었으면, 접속된 웹사이트로부터 신호 입력에 따른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웹페이지를 이용한 화면 보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의 상기 URL을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URL을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다수개의 URL중에서 랜덤하게 선택된 URL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를 이용한 화면 보호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의 상기 URL을 변경하는 과정은,
    제1 소정 횟수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URL로 변경하고, 제2 소정 회수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다수개의 URL중에서 랜덤하게 선택된 URL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를 이용한 화면 보호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의 상기 URL을 변경하는 과정은,
    설정된 다수의 URL을 정해진 순서에 따라 순환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를 이용한 화면 보호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면 보호 모드에서 뉴스 그룹에 접속하여 뉴스 그룹에 포스팅된 자료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제 7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에 의한 웹서비스 요구 신호의 입력이 있으면 웹서비스 요구 신호에 따른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8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웹페이지를 이용한 화면 보호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화면 보호 모드에서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동호회 메모장을 전송받아 화면 상단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9 단계; 및
    상기 제 9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에 의한 웹서비스 요구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웹서비스 요구 신호에 따른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10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웹페이지를 이용한 화면 보호 방법.
  7. 사용자의 최후 입력 후에 경과된 시간이 화면 보호 대기 시간에 도달함에 따라 화면 보호 모드로 전환하는 제 1 단계;
    화면 보호 모드에서 설정된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웹페이지를 전송받아 보호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제 2 단계;
    화면 보호 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한 화면 보호 모드 해제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화면 보호 모드를 해제하고, 화면 보호 모드 전환 전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2 단계 이후에, 사용자에 의한 웹서비스 요구 신호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의 판단 결과, 사용자에 의한 웹서비스 요구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보호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이후의 경과 시간을 계산하여, 경과 시간이 웹사이트 전환 시간에 도달함에 따라 URL을 변경하여 상기 제 2 단계부터 반복 수행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의 판단 결과, 사용자에 의한 웹서비스 요구 신호가 입력되면 화면 보호 모드를 해제한 후에, 웹브라우져를 활성화하여 웹사이트로부터 웹서비스 요구 신호에 따른 웹사이트 정보를 제공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웹페이지를 이용한 화면 보호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의 상기 URL을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URL을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다수개의 URL중에서 랜덤하게 선택된 URL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를 이용한 화면 보호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의 상기 URL을 변경하는 과정은,
    제1 소정 횟수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URL로 변경하고, 제2 소정 회수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다수개의 URL중에서 랜덤하게 선택된 URL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를 이용한 화면 보호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의 상기 URL을 변경하는 과정은,
    설정된 다수의 URL을 정해진 순서에 따라 순환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를 이용한 화면 보호 방법.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면 보호 모드에서 뉴스 그룹에 접속하여 뉴스 그룹에 포스팅된 자료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제 7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에 의한 웹서비스 요구 신호의 입력이 있으면 화면 보호 모드를 해제한 후에, 웹브라우져를 구동하여 웹서비스 요구 신호에 따른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8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웹페이지를 이용한 화면 보호 방법.
  12. 제 7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면 보호 모드에서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동호회 메모장을 전송받아 화면 상단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제 7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에 의한 웹서비스 요구 신호가 입력되면, 화면 보호 모드를 해제한 후에, 웹브라우져를 활성화하여 입력된 웹서비스 요구 신호에 따른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8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웹페이지를 이용한 화면 보호 방법.
KR1019990044538A 1999-10-14 1999-10-14 웹페이지를 이용한 화면 보호 방법 KR200000003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538A KR20000000353A (ko) 1999-10-14 1999-10-14 웹페이지를 이용한 화면 보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538A KR20000000353A (ko) 1999-10-14 1999-10-14 웹페이지를 이용한 화면 보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353A true KR20000000353A (ko) 2000-01-15

Family

ID=19615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4538A KR20000000353A (ko) 1999-10-14 1999-10-14 웹페이지를 이용한 화면 보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0353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4981A (ja) * 1996-03-06 1997-09-19 Sony Corp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送受信装置および送受信方法
US5819284A (en) * 1995-03-24 1998-10-06 At&T Corp. Personalized real time information display as a portion of a screen saver
JPH1166001A (ja) * 1997-08-25 1999-03-09 Nec Corp 情報表示方法及び情報表示装置
KR19990054595A (ko) * 1997-12-26 1999-07-15 윤종용 메시지 관리기능을 갖는 화면보호기 및 그 방법
KR19990078557A (ko) * 1999-04-20 1999-11-05 주진용 스크린세이버를이용한광고방법
KR19990079202A (ko) * 1998-04-02 1999-11-05 윤종용 화면보호기 및 화면보호기 설정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9284A (en) * 1995-03-24 1998-10-06 At&T Corp. Personalized real time information display as a portion of a screen saver
JPH09244981A (ja) * 1996-03-06 1997-09-19 Sony Corp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送受信装置および送受信方法
JPH1166001A (ja) * 1997-08-25 1999-03-09 Nec Corp 情報表示方法及び情報表示装置
KR19990054595A (ko) * 1997-12-26 1999-07-15 윤종용 메시지 관리기능을 갖는 화면보호기 및 그 방법
KR19990079202A (ko) * 1998-04-02 1999-11-05 윤종용 화면보호기 및 화면보호기 설정방법
KR19990078557A (ko) * 1999-04-20 1999-11-05 주진용 스크린세이버를이용한광고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5879B1 (ko) 웹 페이지의 적시 업데이트
Erwin et al. Macrophage-derived cell lines do not express proinflammatory cytokines after exposure to Bacillus anthracis lethal toxin
US20060085263A1 (en) User demographic profile driven advertising targeting
US8930460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d sharing a user&#39;s web presence
US8667130B2 (en) Monitoring application for automatically requesting content
US8365188B2 (en) Content management
US20070112735A1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monitoring user specific information on websites
US201100827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net advertising service
US20070130327A1 (en) Browser system and method for warning users of potentially fraudulent websites
WO2012125799A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web link usage
CN104541298A (zh) 服务器装置及服务器程序
JP2003162616A (ja) 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タの機能をサーバが実行可能及び実行不可能にするためのマーケティングサーバシステム及びマーケティング方法、並びに、マーケティング方法を備えた記録媒体
US200802288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ocating Application Monitoring Reports with Web Applications
US20030154200A1 (en) Method and system for issuing information over a communications network
KR20000000353A (ko) 웹페이지를 이용한 화면 보호 방법
US20070032889A1 (en) A Method and a computer system to calculate material requirements for multi-stepped technological processes defined on a table of mixes and ingredients
WO20040537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information
US20030030675A1 (en) Entry panel processing system
AU75101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over a computer network
KR20010027906A (ko) 인터넷용 광고 및 정보시스템
KR20070091729A (ko) 웹브라우저 주소창 광고방법
KR20000059107A (ko) 오류 페이지에서의 광고 방법
CN106657024A (zh) 防cookie被篡改的方法及装置
KR20010084461A (ko) 바탕화면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20010096762A (ko) 인터넷 게임을 이용한 배너 광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