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174U - 천정기중기의 통스변형 방지용 충격 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천정기중기의 통스변형 방지용 충격 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174U
KR20000000174U KR2019980009462U KR19980009462U KR20000000174U KR 20000000174 U KR20000000174 U KR 20000000174U KR 2019980009462 U KR2019980009462 U KR 2019980009462U KR 19980009462 U KR19980009462 U KR 19980009462U KR 20000000174 U KR20000000174 U KR 2000000017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lower beams
support bar
bar
overhead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94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엽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800094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0174U/ko
Publication of KR200000001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174U/ko

Links

Landscapes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정기중기의 통스가 슬라브를 이송하기 위하여 작동되는 경우, 작동시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통스의 하부빔 낙하속도와 거리를 제한함으로서 통스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변형을 방지하며, 설비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수 있도록 개선된 천정기중기의 통스변형방지용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고정식의 상부빔과 이동식의 하부빔을 갖추고, 상기 상,하부빔의 양측에 위치되어 링크식으로 동작하는 텐션바와 크로스 암 등을 갖추며, 중앙에는 상기 상,하부빔을 연결하도록 키이와 죠를 장착한 어태칭 바가 위치하여 슬라브를 이송하기 위한 천정기중기의 통스에 있어서, 상단이 상부빔을 관통하여 연장되고,상,하부빔사이에 위치되며, 상,하부빔의 양측에 인접하여 각각 위치되는 지지바; 상기 지지대의 하단과 하부빔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체인; 및, 상기 지지바의 상단과 상부빔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지지바가 상부빔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기중기의 통스변형방지용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천정기중기의 통스변형방지용 충격흡수장치
본 고안은 천정기중기의 통스가 슬라브를 이송하기 위하여 작동되는 경우, 작동시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통스의 하부빔 낙하속도와 거리를 제한함으로서 통스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변형을 방지하며, 설비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수 있도록 개선된 천정기중기의 통스변형방지용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정기중기의 통스(Tongs)장치(100)는 도 1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업현장에서 슬라브(slab) 등의 중량물을 들어서 운반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통스장치는 슬라브(S)를 정확하게 집어서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켜야 하지만, 이러한 과정에서 슬라브 집기가 불량하게 되면, 슬라브가 하부로 추락하여 큰 설비사고를 유발할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천정기중기의 통스(100)는 고정식의 상부빔(110)과 이동식의 하부빔(115)을 갖추고, 상기 상,하부빔(110)(115)의 양측에 위치되어 링크식으로 동작하는 텐션바(120)와 크로스 암(122) 등을 갖는다. 그리고 중앙에는 상기 상,하부빔(110)(115)을 연결하도록 키이(125)와 죠(127)를 장착한 어태칭 바(130)가 위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통스(100)에서 상기 키이(125)와 죠(127)가 정확하게 걸리지 않아서 키이(125)에서 죠(127)가 이탈하게 되면, 상기 하부 빔(115)이 순간적으로 하부로 낙하하면서 하부 빔(115)의 자체하중이 통스(100)의 각부에 전달됨을 물론, 통스(100)의 양측 슈(135)가 서로 충돌하여 강한 충격력이 통스(100) 전체에 미침으로서 각 부분의 변형 및 파손이 발생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통스(100)의 양측에 위치되는 텐션 바(120)와 크로스 암(122) 및 어태칭 바(130) 등에 집중적으로 충격이 가해져서 통스(100)의 파손은 물론 설비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텐션 바(120)와 크로스 암(122) 및 어태칭 바(130) 등의 변형은 통스(100)로 하여금 슬라브(S) 등을 정확하게 집기가 불가능하게 만듬으로서 설비사고의 위험성을 더욱 크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통스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각종 부품의 파손및 변형을 방지하며, 설비의 보수비용을 절감하고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수 있도록 개선된 천정기중기의 통스변형방지용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천정기중기의 통스부분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스부분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천정기중기의 통스변형방지용 충격흡수장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가 천정크레인의 통스에 장작된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지지바 20..... 체인
25..... 버켓 30..... 스프링
35..... 케이싱 110.... 상부빔
115.... 하부빔 120.... 텐션 바아
122.... 크로스 암 125.... 키이
130.... 어태칭 바 135.... 슈
S...... 슬라브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고정식의 상부빔과 이동식의 하부빔을 갖추고, 상기 상,하부빔의 양측에 위치되어 링크식으로 동작하는 텐션바와 크로스 암 등을 갖추며, 중앙에는 상기 상,하부빔을 연결하도록 키이와 죠를 장착한 어태칭 바가 위치하여 슬라브를 이송하기 위한 천정기중기의 통스에 있어서, 상단이 상부빔을 관통하여 연장되고,상,하부빔사이에 위치되며, 상,하부빔의 양측에 인접하여 각각 위치되는 지지바; 상기 지지대의 하단과 하부빔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체인; 및, 상기 지지바의 상단과 상부빔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지지바가 상부빔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기중기의 통스변형방지용 충격흡수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천정기중기의 통스변형방지용 충격흡수장치(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식의 상부빔(110)과 이동식의 하부빔(115)을 갖추고, 상기 상,하부빔(110)(115)의 양측에 위치되어 링크식으로 동작하는 텐션바(120)와 크로스 암(122)등을 갖추며, 중앙에는 상기 상,하부빔(110)(115)을 연결하도록 키이(125)와 죠(127)를 장착한 어태칭 바(130)가 위치하여 슬라브(S)를 이송하기 위한 천정기중기의 통스(100)에 장착되며, 상,하부빔(110)(115)사이에는 긴 봉형상의 한쌍의 지지바(10)가 상부빔(110)을 관통하여 연장되고, 상,하부빔(110)(115)의 양측에 인접하여 각각 위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10)의 하단과 하부빔(115)사이를 각각 연결하도록 한쌍의 체인(20)이 장착되며, 상기 지지바(10)의 상단에는 상부빔(110)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지지바(10)가 상부빔(110)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한쌍의 스프링(30)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하부빔(110)(115)은 지지바(10), 체인(20) 및 스프링(30)에 의해서 각각 양측이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체인(20)이 하부빔(115)에 연결되는 부분에는 체인(20)의 늘이짐이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버켓(25)이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30)이 장착된 부분에는 스프링(30)을 내부에 감싸도록 케이싱(35)이 고정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충격흡수장치(1)는 이송하고자 하는 슬라브(S)의 최소폭(W)보다 50 내지 100mm 적은 지점에서 통스의 슈(135)가 그 사이 길이를 좁히려고 하부빔(115)이 하강할 때 스프링(30)이 탄성적으로 지지바(10)를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바(10)와 체인(20)의 길이가 설정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철소의 연주설비는 주조특성상 폭 770mm 이하의 슬라브(S)는 주조되고 있지 않다. 대부분 생산되는 소재 슬라브(S)는 770 내지 1300mm의 폭을 갖추며, 열간 슬라브(S)(hot slab)의 경우 대부분이 폭 850mm 이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슬라브(S)에 대하여 본 고안의 장치는 슬라브(S) 최소폭을 기준하여 통스(100)의 양측 슈(135)사이거리가 -50mm 내지 - 100mm( 이는 50mm 내지 100mm 폭이 적다는 의미임 ) 인 지점에서 스프링(30)이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된다. 즉, 슬라브(S)의 폭 범위에서 최소 폭인 770 mm를 기준으로 하여 통스(100)의 양측 슈(135)우 거리가 대략 670mm 내지 720mm 사이인 경우에는 통스의 슈(135)가 그 사이 거리를 좁히려고 자중에 의해서 하부 빔(115)이 낙하하려 하여도, 하부빔(115)의 낙하는 체인(20)을 통하여 지지바(10)를 당기게 되고, 이는 지지바(10)의 상단에 위치된 상기 스프링(30)이 지지바(10)에 의하여 상부빔(110)과의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하부빔(115)의 하강속도를 줄이고 통스(100)의 슈(135)사이의 충돌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천정기중기의 통스(100)가 슬라브(S)를 이송하는 중에 집기 불량으로 인하여 슬라브(S)가 낙하하거나, 또는 키이(125)와 죠(127)의 걸림불량으로 인하여 하부빔(115)이 순간적으로 하부로 낙하하는 경우, 상기와 같이 통스(100)의 양측 슈(135) 거리가 대략 670mm 내지 720mm 로 좁혀지면 지지바(10)와 체인(20)이 팽팽하게 당겨져서 스프링(30)이 압축되도록 사전에 지지바(10)와 체인(20)의 길이가 본 고안의 충격흡수장치(1)에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체인(20)에 하부빔(115)의 하중이 전달되면서, 지지바(10)가 상단의 스프링(30)을 압축하면서 하부로 내려간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스프링(30)이 하부빔(115)의 하강속도를 1차적으로 현저히 감소시키고, 충격을 흡수하며, 상기 지지바(10), 체인(20)의 합산 길이가 하부빔(115)의 낙하거리를 제한하여 상기 상,하부빔(115)사이를 연결하는 텐션 바(120), 크로스암(122), 어태칭 바(130)의 변형방지는 물론, 통스(100) 양측 슈(135)사이의 충돌을 방지하여 통스(100) 각부분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통스(100)의 양측 슈(135) 거리가 대략 670mm 내지 720mm 인 경우에 스프링(30)이 지지바(10)에 의하여 압축되면서 하부빔(115)의 하강속도를 줄이고 통스(100)의 슈(135)사이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동작함으로서, 통스(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각종 부품의 파손및 변형을 방지할수 있고, 설비의 보수비용을 절감하며,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수 있도록 개선된 실용상의 효과를 얻는 것이다.

Claims (2)

  1. 고정식의 상부빔(110)과 이동식의 하부빔(115)을 갖추고, 상기 상,하부빔(110)(115)의 양측에 위치되어 링크식으로 동작하는 텐션바(120)와 크로스 암(122) 등을 갖추며, 중앙에는 상기 상,하부빔(110)(115)을 연결하도록 키이(125)와 죠(127)를 장착한 어태칭 바(130)가 위치하여 슬라브(S)를 이송하기 위한 천정기중기의 통스에 있어서, 상단이 상부빔(110)을 관통하여 연장되고,상,하부빔(110)(115)사이에 위치되며, 상,하부빔(110)(115)의 양측에 인접하여 각각 위치되는 지지바(10); 상기 지지바(10)의 하단과 하부빔(115)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체인(20); 및, 상기 지지바(10)의 상단과 상부빔(110)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지지바(10)가 상부빔(110)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스프링(3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기중기의 통스변형방지용 충격흡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10)와 체인(20)의 길이는 이송하고자 하는 슬라브(S)의 최소폭(W)보다 50 내지 100mm 적은 지점에서 스프링(30)이 탄성적으로 지지바(10)를 지지하도록 그 길이가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기중기의 통스변형방지용 충격흡수장치.
KR2019980009462U 1998-06-03 1998-06-03 천정기중기의 통스변형 방지용 충격 흡수장치 KR2000000017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462U KR20000000174U (ko) 1998-06-03 1998-06-03 천정기중기의 통스변형 방지용 충격 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462U KR20000000174U (ko) 1998-06-03 1998-06-03 천정기중기의 통스변형 방지용 충격 흡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174U true KR20000000174U (ko) 2000-01-15

Family

ID=69517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9462U KR20000000174U (ko) 1998-06-03 1998-06-03 천정기중기의 통스변형 방지용 충격 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017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632B1 (ko) * 2006-11-07 2008-03-21 김성식 축류 지지용 회전체인
CN111395521A (zh) * 2020-02-20 2020-07-10 东莞市联泰钢构有限公司 一种钢结构建筑用转角稳固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632B1 (ko) * 2006-11-07 2008-03-21 김성식 축류 지지용 회전체인
CN111395521A (zh) * 2020-02-20 2020-07-10 东莞市联泰钢构有限公司 一种钢结构建筑用转角稳固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45074C (zh) 悬挂导轨,尤其是悬挂式输送机或起重机的行驶导轨的装置
KR20000000174U (ko) 천정기중기의 통스변형 방지용 충격 흡수장치
WO1997041056A1 (en) Loader
CA1042472A (en) Spring box assembly for use in clamping mechanisms of the over-center type
KR100318643B1 (ko) 파킹 브레이크 장치
KR100917035B1 (ko) 교량 측면 경사 방지 및 교량 방향 슬라이딩이 가능한 교량받침
KR200171718Y1 (ko) 원료처리설비 슈트 하부의 캐리어롤러 교체가 용이한 완충형캐리어스탠드
CN109264596B (zh) 拉杆固定装置、起重臂和起重机
KR100507668B1 (ko) 유동력이 구비된 롤러 스탠드
CA2109151A1 (en) Material Handling Machine with Force-Isolating Support Link
CN219384703U (zh) 一种伸缩臂防撞调节机构
KR101819705B1 (ko) 크레인용 중추 스트라이커
SU168606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оединени звеньев штанги гидротехнического затвора
CN212334364U (zh) 一种公路路面中分带防撞墙安装装置
CN115849216A (zh) 起重机臂架装置和起重机
US3722846A (en) Connecting means
CN220513302U (zh) 一种钢结构施工安全带系挂装置
CN209618707U (zh) 一种龙门吊防拖曳系统
CN218201739U (zh) 一种小曲线预制梁吊装结构
CN210127029U (zh) 一种用于高位物流输送设备的吊装结构
KR102334708B1 (ko) 단축 제매기용 인양장치
CN211692556U (zh) 一种用于煤矿井斜巷的机械摆杆式挡车装置
KR200267341Y1 (ko) 굴삭기 암의 완충장치
KR0173624B1 (ko) 버스의 프런트 범퍼 장착용 지그
US1526339A (en) Forging ham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