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144A - 전자기기의 기능선택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기능선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144A
KR20000000144A KR1019990040824A KR19990040824A KR20000000144A KR 20000000144 A KR20000000144 A KR 20000000144A KR 1019990040824 A KR1019990040824 A KR 1019990040824A KR 19990040824 A KR19990040824 A KR 19990040824A KR 20000000144 A KR20000000144 A KR 20000000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function
electronic device
words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환
Original Assignee
김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환 filed Critical 김시환
Priority to KR1019990040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0144A/ko
Publication of KR20000000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14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Abstract

목적 : 본 발명은 단어를 입력하여 전자기기의 기능 선택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 것으로서, 기능선택을 의미하는 단어를 입력할 때, 기능선택에 해당되는 단어와 비슷한 의미를 가진 단어를 입력해도 기능선택이 되어, 기능 수행이 되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구성 : 전자기기의 기능선택을 하기 위해,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단어를 입력하면, 입력된 단어가 단어들의 리스트에 있는가를 찾아서, 입력된 단어가 단어들의 리스트에 있으면, 입력된 단어를 미리 정해진 코드로 변환한다. 이렇게 코드로 변환되면, 이 변환된 코드에 의해 기능선택이 이루워져서 전자기기의 기능 수행이 이루워지도록 한다. 이때 이러한 기능선택의 알고리즘은 롬(Rom)과 중앙처리장치(CPU)에 의해 제어된다.
효과 :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 사용방법을 충분히 숙지하지 않아도 복잡한 전자기기의 사용이 가능하고, 궁극적으로는 전자기기의 기능 선택을 할 때,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에 대한 개념을 단어로 입력하므로서 기능선택을 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자기기의 기능선택 방법{.}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기능 선택의 방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단어로서 입력하여 전자기기의 기능선택을 하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전자기기가 발달됨에 따라 전자기기의 기능이 다양해 지고 복잡해지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기기의 기능을 제대로 사용하려고 하면, 전자기기의 조작 방법을 충분히 숙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바쁜 현대인들이 복잡하고 다양한 전자기기의 조작 방법을 충분히 숙지하여 사용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또한, 하나의 전자기기의 기능과 조작 방법을 숙지하였다고 해도, 전자기기의 발달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새로운 기종은 계속 출시되고 그때마다, 새로운 전자기기의 조작 방법을 새롭게 익힌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전자기기를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기들이 소유한 전자기기의 기능 중 일부만을 제대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전자기기의 기능을 화면에 메뉴 방식으로 표시하여 기능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있으나, 충분한 실효를 거두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 결과로,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상당수의 사람들은 전자기기의 기능을 충분히 사용하였을 때 얻게되는 편리함을 얻지 못하게되므로서, 첨단의 전자기기를 사용함에 따른 실직적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앞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단어를 입력하여 전자기기의 기능 선택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 것으로서, 기능선택을 의미하는 단어를 입력할 때, 기능선택에 해당되는 단어와 비슷한 의미를 가진 단어를 입력해도 기능선택이 되어, 기능 수행이 되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자기기의 기능을 나타내는 단어들의 리스트를 만들고 이들 단어들을 코드화한 후에, 전자기기의 기능을 나타내는 단어들과 비슷한 단어들 또한 단어들의 리스트를 만든다. 그리고 단어들의 리스트에 있는 비슷한 단어들은 모두 동일한 코드로 코드화를 한다. 상기와 같이 비슷한 단어들을 동일한 코드로 코드화를 한 후에, 전자기기의 메모리(Memory)등의 기억장치에 기억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설명상의 편의를 위해서, 전자기기의 기능을 나타내는 단어들의 리스트를 제 1 단어 리스트(List)라고 명명하고, 전자기기의 기능을 나타내는 단어들과 비슷한 단어들의 리스트를 제 2 단어 리스트라고 명명하기로 하자.
당연히 단어코드는 제 1,2 단어코드 리스트를 모두 합한 것이며, 이들 중에서 비슷한 의미를 가진 단어들에 동일한 코드를 부여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자기기의 기능선택을 하기 위해,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단어를 입력하면, 입력된 단어가 단어들의 리스트에 있는가를 찾아서, 입력된 단어가 단어들의 리스트에 있으면, 입력된 단어를 미리 정해진 코드로 변환한다. 이렇게 코드로 변환되면, 이 변환된 코드에 의해 기능선택이 이루워져서 전자기기의 기능 수행이 이루워지도록 한다. 이때 이러한 기능선택의 알고리즘은 롬(Rom)과 중앙처리장치(CPU)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와 같은 기능선택을 하므로서, 본 발명의 사용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전자기기의 기능을 나타내는 단어와 의미가 같은 단어를 입력하면, 전자기기의 기능선택이 이루워져서, 전자기기의 사용방법을 충분히 숙지하지 않아도 전자기기의 기능선택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 사용방법을 충분히 숙지하지 않아도 복잡한 전자기기의 사용이 가능하고, 궁극적으로는 전자기기의 기능 선택을 할 때,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에 대한 개념을 단어로 입력하므로서 기능선택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휴대 단말기의 회로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능 선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의 기능선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휴대 단말기의 회로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통상 휴대 단말기의 기능이 강화됨으로서, 통신기능에 각종 전자 수첩의 기능과 사전의 기능을 첨가함은 물론 인터넷과의 연결도 이루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렇게 기능이 다양하고 복잡해짐에 따라, 무선 휴대 단말기의 사용법 또한 복잡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단말기의 복잡한 기능을 제대로 숙지하여 사용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러나 본 발명을 적용하면, 복잡한 기능을 가진 무선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용이하게 이루워 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된 무선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전원공급부(10)를 통해 전원을 연결한 다음, 입력부(9)를 통해 선택하고자 하는 기능을 의미하는 단어를 입력한다.
그러면, 중앙처리장치(1) 및 롬(4)에서는 정해진 알고리즘에 의해, 메모리 (3)에 저장된 제 1,2 단어 리스트에서, 입력된 단어와 같은 단어를 찾는다. 이렇게 단어를 찾으면, 이 찾은 단어를 정해진 알고리즘에의해 코드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코드에 의해 전자기기의 기능 선택이 이루워지게 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기능선택이 이루워지면, 제 1 단어 리스트에서, 입력된 단어와 동일한 코드를 갖는 단어를 선택하여, 해당 단어를 디스프레이 구동회로를 통해 디스프레이에 구동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 1 단어 리스트에 선택된 단어가 나타내는 기능이 선택되면, 중앙처리장치 및 롬에서는 정해진 알고리즘에 의해, 선택된 기능에 맞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때 도 1의 블럭도에 도시된 입력부(9)는, 키보드 입력 장치, 펜 입력장치, 터치 패널 혹은 음성 입력장치 등을 포괄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음성인식 장치의 경우는 사용자가 전자기기에 부착된 마이크를 통해 단어를 음성으로서 인식하면, 인식된 음성 단어를 단어로 바꾸어 주고, 그 이후에는 상기와 같이 설명된 본 고안의 발명에 따르면 기능선택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저장장치(2)는 메모리 카드나 메모리 칩 등의 각종 저장장치를 포괄한다. 또한 송신부(7)와 수신부(8)는 전파를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상의 장치를 의미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기능선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기능선택을 나타내는 순서도를 설명하기 전에 단어 코드와 단어 리스트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 1 단어 리스트는 전자기기의 기능을 나타내는 단어들의 리스트이다. 그리고 이들 단어들을 리스트화하고 코드화를 하여, 단어와 함께 해당 코드를 전자기기의 메모리에 저장시킨다. 그리고 롬에 저장된 알고리즘 및 중앙처리장치는 전자기기의 기능을 나타내는 단어가 선택되면, 해당 단어에 맞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전자기기의 기능을 나타내는 단어는 한개 이상일 경우가 많게 된다. 따라서 전자기기의 기능을 의미하는 단어들과 비슷한 단어들 또한 리스트화 하여 제 2 단어 리스트를 만든다. 제 2 단어들의 리스트에 있는 단어들도 코드화를 하며 코드화를 할 때, 제 1 단어 리스트와 같은 의미를 가진 단어는 제 1 단어 리스트의 단어와 동일한 코드를 부여한다.
예를들어, 전자기기에 덧셈 기능이 있다면, 제 1 단어 리스트에 "덧셈" 이라는 단어를 올려 놓는다. 그리고 "덧셈" 이라는 단어의 코드가 "PL" 이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제 1 단어 리스트에는 "덧셈" 과 "PL" 이 저장되게 된다. 하지만 실제적으로는 "덧셈" 과 비슷한 단어로서 "더하기" , "프러스" , "합산" 등의 단어가 있게된다. 그러면 제 2 단어 리스트에는 "더하기" , "프러스" , "합산" 의 단어를 올려 놓고, 이들 단어들의 코드도 모두 "PL" 로 한다.
이렇게 하면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사용자가, 덧셈의 기능선택을 할 때는, 덧셈이라는 단어 이외에, 더하기, 프러스, 합산의 단어중에서 임의의 단어를 입력하여도, 전자기기의 기능 선택은 덧셈이 되게 된다. 즉 덧셈을 의미하는 4개의 단어중에서 임의의 단어를 입력하여도, 이들 4 개의 단어코드는 모두 "PL" 이고 이 코드에 의해 기능 선택이 이루워지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은 원리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순서도를 설명하겠다. 전원 인가등 초기화를 하는 시작 단계(30)와, 입력된 데이터가 있는 가를 스캔(Scaning)하는 단계(31)가 포함된다. 만일 전자기기의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최초의 메뉴중에서 단어 입력 선택(32)을 하면 단어 입력 선택의 단계(32)가 이루워지고, 단어 입력 단계(33)가 이루워지게 된다. 그리고 입력된 단어가 단어 리스트에 있는가를 판별하는 단계(43)가 이루워지게 된다. 입력된 단어가 단어 리스트에 있으면, 단어 코드 변환 단계(35)가 이루워지고, 입력된 단어가 단어 리스트에 없으면 단어 코드 변환 단계(35)가 이루워질 때까지 단어 입력을 재시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단어코드로의 변환 단계가 이루워지면, 기능 선택 단계(36)가 이루워지는 것이고, 선택된 기능을 단어로서 디스프레이에 표시(41)함과 아울러 전자기기의 기능 수행 단계(37)가 이루워 지게 된다. 여기서 단어로서 디스프레이에 표시될 때, 단어 이외에 기능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그림으로도 표시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기능선택 후 기능을 의미하는 단어를 디스프레이에 표시(41 단계)되는 단어는 제 1 단어 리스트에 있는 전자기기의 기능을 나타내는 단어이다.
이때 본 발명의 전자기기 사용자가 단어 입력 선택을 하지 않으면, 통상의 전자기기에서 사용되는 방식과 마찬가지로 전자기기의 기능이 디스프레이 화면에 표시되고(39 단계) 표시된 기능을 선택(40 단계)하면, 전자기기의 기능 선택이 이루워지고 기능이 수행되게 된다. 즉 종래의 메뉴 선택방식이 제공되게 된다.
본 발명의 기능 선택 방법은 전자기기 내부에 있는 중앙처리장치와 롬에 저장된 알고리즘과 메모리에 저장된 단어 리스트에 의해 각각 제어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의 기능 선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입력된 단어가 단어 리스트에 없을 경우에는, 단어 리스트에 있는 단어를 입력할 때까지, 단어 입력을 계속하여 재시도하는 경우의 실시예이다. 하지만 단어 입력자가 철자등을 다소 틀리게 입력할 경우도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도 3의 실시예는 이러한 경우를 보완한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어 입력단계(33)에서 단어 입력을 하면, 입력된 단어가 단어코드 리스트에 있는 가를 확인하고, 단어 코드 리스트에 있으면, 단어 코드로 변환되고(34, 35 단계), 기능선택 단계(36)가 이루워지면, 선택된 기능을 나타내는 단어가 디스프레이에 표시되는 단계(44)를 거쳐 기능수행(37)이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단어코드 리스트에 입력된 단어가 없으면, 단어코드 리스트에서 입력된 단어와 비슷한 철자를 가진 단어들을 선택하는 단계(40)가 이루워지게 된다. 이러한 선택의 방법은 한글 자모나 알파벳의 소팅(Sorting)에 의한 통상의 프로그램에 의한다. 그리고 선택된 단어들을 화면(디스프레이)에 표시하는 단계(41)가 이루어지면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단어들 중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을 의미하는 단어를 선택한다.(42 단계) 이러한 단어의 선택이 이루어지면, 선택된 단어는 화면에 표시되고(43 단계), 기능선택 단계(36)와 선택된 기능을 나타내는 단어를 디스프레이에 표시하는 단계(44)를 거쳐 기능수행 단계(37)가 이루워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기능선택 방법에 있어서, 기능을 나타내는 단어가 1 개 이상으로 이루워진 경우가 있게된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의 "전화번호 입력" 의 기능을 사용한다고 할 때,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단어는 "전화번호" 와 "입력" 의 두개가 된다. 이렇게 두개 이상의 단어로 이루워 질 때는, 이들 단어들을 모두 코트화하면 된다. 하지만 두개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코드화를 한 다음에 코드들의 순서를 정하여, 순서에 맞게 코드들을 배열해야 한다.
즉. 어떤 기능을 나타내는 K가 5개의 단어로 되어 있고, 5개 단어의 코드가 각각 AB-2456, AZ-3456, AB-6789, VG-8976, GH-0089이라고 하자. 그러면 기능 K 는 AB-2456, AZ-3456, AB-6789, VG-8976, GH-0089 들의 코드로 나타낼 수가 있다. 그리고 이들 코드를 무순서로 배열하는 것이 아니라, 알파벳이나 아라비아 숫자 혹은 한글 자모의 순서로 다시 배열이 가능하다. 그러면 기능 K는 AB-2456,, AB-6789,, AZ-3456,, GH-0089,, VG-8976의 코드로 치환이 가능하다.
이렇게 입력 단어들을 정해진 방법에 의해 코드화를 함에 있어서, 한개 이상의 단어일 경우에는 코드들의 순서를 정하게 된다. 그런다음 기능을 나타내는 단어가 한개인 경우에서 수행한 기능선택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기능선택을 하여 기능을 수행하면 된다.
즉 입력된 단어를 단어코드로 변환한 다음, 변환된 단어 코드를 정해진 순서에 맞게 배열한다. 그리고 변환한 코드에 의해 기능선택이 이루워지도록 한 다음 전자기기의 기능 수행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 단어 코드는 "TN" 이고 "입력" 의 단어 코드는 "SA" 라고 할 때, 그리고 "저장" 의 단어 코드도 "SA" 라고 할 때, 사용자는 "전화번호 입력" 과 "전화번호 저장" 중 아무 것이나 입력을 해도 전자기기는 동일한 기능 수행을 하게 된다. "전화번호 입력" 과 "전화번호 저장" 의 단어 코드가 모두 "TN,, SA" 이기 때문이다.
또한 전자기기의 기능을 나타내는 단어가 두개 이상으로 이루워졌다면, 해당 기능을 나타내는 단어코드가 두개 이상이 되게 된다. 이때 기능을 나타내는 두개 이상의 단어 코드중에서 입력된 단어의 단어코드가 한개만 일치해도, 디스프레이에 표시되어, 전자기기의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화 번호"라는 단어를 입력해도 디스프레이에는 "전화번호 입력", "전화번호 검색", "전화번호 삭제" 등 전화번호와 관련된 기능이 디스프레이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표시된 기능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입력 단어를, 통일된 규칙에 의해 코드화를 하면, 전자기기 뿐아니라, 콤퓨터의 명령 수행, 정보나 자료의 검색 및 저장 등에 통일된 규칙으로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의 기능선택의 방법을 제공하므로서, 본 발명의 사용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전자기기의 기능을 나타내는 단어와 의미가 같은 단어를 입력하면, 전자기기의 기능선택이 이루워져서, 전자기기의 사용방법을 충분히 숙지하지 않아도 전자기기의 기능선택을 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 사용방법을 충분히 숙지하지 않아도 복잡한 전자기기의 사용이 가능하고, 궁극적으로는 전자기기의 기능선택을 할 때,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에 대한 개념을 단어로 입력하므로서 기능선택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입력 단어를, 통일된 규칙에 의해 코드화를 하면, 전자 기기 뿐아니라, 콤퓨터의 명령 수행, 정보나 자료의 검색 및 저장 등에 통일된 규칙으로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권리 내에서는 당업계의 통상적 지식에 의하여 다양한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8)

  1. 전자기기의 기능선택을 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어를 입력하여 전자기기의 기능선택을 함에 있어서, 기능선택을 의미하는 단어를 입력할 때, 기능선택에 해당되는 단어와 비슷한 의미를 가진 단어를 입력해도 기능선택이 되어, 전자기기의 기능 수행이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기능 선택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전자기기의 기능을 나타내는 단어들과 비슷한 단어들은 모두 동일한 코드로 코드화를 하고, 전자기기의 기억장치에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기능 선택 방법.
  3. 제 1항 및 2항에 있어서, 전자기기의 기능선택을 하기 위해,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단어를 입력하면, 입력된 단어가 단어들의 리스트에 있는가를 찾아서, 입력된 단어가 단어들의 리스트에 있으면, 입력된 단어를 미리 정해진 코드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코드에 의해 기능선택이 이루워져서 전자기기의 기능 수행이 이루워지도록 하며, 이러한 기능선택의 알고리즘은 롬(Rom)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중앙처리장치(CPU)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기능 선택 방법.
  4. 제 1항 및 2항에 있어서, 전원 인가 등 초기화를 하는 시작 단계와, 입력된 데이터가 있는 가를 스캔하는 단계와, 단어 입력 선택의 단계와, 단어 입력 단계와, 입력된 단어가 단어 리스트에 있는가를 판별하는 단계와, 입력된 단어가 단어 리스트에 있으면 단어 코드 변환이 이루워지는 단계와, 기능선택의 단계와, 선택된 기능을 단어로서 디스프레이에 표시함과 아울러 전자기기의 기능 수행 단계가 이루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기능 선택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단어코드 리스트에 입력된 단어가 없으면, 단어코드 리스트에서 입력된 단어와 비슷한 철자를 가진 단어들을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단어들을 화면(디스프레이)에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단어들 중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을 의미하는 단어를 선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기능 선택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두개 이상의 단어로 이루워 질 때 이들 단어들을 모두 코트화함에 있어서, 코드들의 순서를 정하여, 순서에 맞게 코드들을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기능 선택 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전자기기의 기능을 나타내는 단어코드가 두개 이상의 단어코드로 되어 있을 때, 이들 기능을 나타내는 두개 이상의 단어 코드중에서 입력된 단어의 단어코드가 한개만 일치해도, 디스프레이에 표시되어, 전자기기의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기능 선택 방법.
  8. 제 2항 및 2항에 있어서, 입력 단어를 통일된 규칙에 의해 코드화를 하여 기능수행을 하도록 함에 있어서, 콤퓨터의 명령 수행, 정보나 자료의 검색 및 저장 등에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기능선택 방법.
KR1019990040824A 1999-09-21 1999-09-21 전자기기의 기능선택 방법 KR20000000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824A KR20000000144A (ko) 1999-09-21 1999-09-21 전자기기의 기능선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824A KR20000000144A (ko) 1999-09-21 1999-09-21 전자기기의 기능선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144A true KR20000000144A (ko) 2000-01-15

Family

ID=19612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824A KR20000000144A (ko) 1999-09-21 1999-09-21 전자기기의 기능선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014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61052C (zh) 在电子装置的用户界面中输入单词的方法及装置
US6864809B2 (en) Korean language predictive mechanism for text entry by a user
US6009444A (en) Text input device and method
KR10075190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저장 및 검색 방법
JP5098304B2 (ja) 特殊文字入力支援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電子機器
US7715882B2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program
MX2007005771A (es) Busqueda y provision de objetos usando comparacion byte por byte.
EP167637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compound words
JP2002333948A (ja) 文字選択方法及び文字選択装置
JP2006244506A (ja) 記号入力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通信端末機
JP2003015806A (ja) 文字入力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
CN101369209A (zh) 用于全混合输入的手写输入装置及其方法
US20100149190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n input order independent character input mechanism
GB2391654A (en) Portable information device
JP5320925B2 (ja) 情報検索方法、情報検索装置及び情報検索プログラム
KR100332830B1 (ko) 한글 메모리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의 한글 입력 및 검색방법
KR20000000144A (ko) 전자기기의 기능선택 방법
JP5723874B2 (ja) デュアル文字体系テキスト入力およびキーハイライト機能
CN104268131B (zh) 用于加速中文输入中的候选选择的方法
KR20000024794A (ko) 한글데이터검색방법
KR20090016041A (ko) 휴대용 네트워크 기기에서의 키보드 입력 모드 제공 장치및 방법
WO2005053173A1 (en)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having character input apparatus
KR1005818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 검색 방법
US20070078659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providing reliable voice-based web browsing
KR20020084739A (ko) 숫자입력을 이용한 인터넷 검색 및 접속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