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003U - 농.축산용 간접방식 열풍기 - Google Patents

농.축산용 간접방식 열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003U
KR20000000003U KR2019980014063U KR19980014063U KR20000000003U KR 20000000003 U KR20000000003 U KR 20000000003U KR 2019980014063 U KR2019980014063 U KR 2019980014063U KR 19980014063 U KR19980014063 U KR 19980014063U KR 20000000003 U KR20000000003 U KR 200000000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heat exchanger
hot water
heat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0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9130Y1 (ko
Inventor
박찬열
Original Assignee
박찬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열 filed Critical 박찬열
Priority to KR20199800140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130Y1/ko
Publication of KR200000000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0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1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130Y1/ko

Links

Landscapes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일러를 통해 가열된 온수를 실내공기와 열교환시키고, 열교환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배출시키는 열교환부의 간접 열교환 방식을 통하여 청정 열풍을 실내에 고루 분포시킴으로서, 실내 전체의 온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폐가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하나의 기기로 넓은 면적의 실내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시켜 연료의 절감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농.축산용 간접방식 열풍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축산용 간접방식 열풍기
본 고안은 농.축산용용 열풍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채소류의 촉성 재배 또는 열대 식물 등과 같은 농작물의 재배를 위하여 비닐로 만든 온상인 비닐하우스와, 소, 돼지, 닭 등과 같은 가축을 사육하는 축사의 내부는 계절에 따라 적정한 상태로 온도가 유지되어야 채소류 또는 열대 식물 등과 같은 가축의 성장이 원활하게 된다.
이러한 실내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동절기에 이용되는 종래의 열풍기는 기름을 연소시켜 발생하는 열을 직접 토출시켜 실내온도를 상승시키는 직접방식 열풍기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직접방식 열풍기는 오일탱크(10)의 상부에 오일을 강제로 펌핑시켜 분사시키는 송풍부(11)가 안착되고, 송풍부(11)의 전방에는 강제로 분사되는 오일을 점화시켜 화염을 발생시키는 연소부(12)가 구성되며, 이 연소부(12)에는 외부로 직접 통하는 토출구(13)가 구성된다. 이러한 직접방식 열풍기는 실내를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이동식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직접방식 열풍기는, 오일을 연소시켜 발생하는 열풍과 폐가스가 동시에 실내로 토출됨으로서 실내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의 건강을 해치게 될 뿐만 아니라 농작물 등에 폐가스가 직접 유입되어 성장에 지장을 초래하고 토양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토출구를 통해 직접 토출되는 열풍의 범위가 열풍기와 근접한 위치의 온도는 필요 이상으로 높고, 열풍기와 멀리 떨어진 위치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실내 전체의 온도 조절이 불가능함에 따라 열풍기를 계속 가동시켜야 함으로서 연료의 소비가 가중되고, 실내의 난방 효율을 높이기 위해 여러대의 열풍기를 설치하여야 함으로서 기기 자체의 비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연료의 소비가 많은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간접 열교환 방식을 통하여 발생한 청정 열풍을 실내에 고루 분포되도록 토출시키고, 실내 전체의 온도 조절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폐가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고, 하나의 기기로 넓은 면적의 실내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시켜 연료를 절감할 수 있는 농.축산용 간접방식 열풍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열풍기는, 보일러를 통해 가열된 온수를 실내공기와 열교환시키고, 열교환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배출시키는 열교환부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열교환부는, 보일러의 상부에서 인출된 온수배출관을 상부로 통하여 연결하고 보일러의 하부에서 인출된 온수유입관을 하부에 연결한 열교환기가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이 열교환기의 상부에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를 통해 송풍시키는 흡입용 송풍기가 장착되며, 열교환기의 하부 양측에는 열교환기를 통해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용 송풍기가 장착되고, 토출용 송풍기의 외측에는 비닐로 된 토출관을 연결하는 토출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직접 토출방식 열풍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보일러 30: 열교환부
31: 열교환기 32: 흡입용 송풍기
33: 배출용 송풍기 34: 토출구
35: 토출관 36: 외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 일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 간접방식 열풍기는, 통상에서와 같이 물을 가열하여 순환시키는 보일러(20)가 구성되고, 상기 보일러(20)를 통해 가열되어 순환되는 온수를 실내 공기와 열교환시키고, 열교환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열교환부(30)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보일러(20)는, 스테인레스 스틸 연소로(미도시)가 내장된 원통형의 온수 보일러가 이용되며, 이 보일러(20)의 상부에는 연소로를 통해 가열된 온수가 배출되는 온수배출관(21)이 구비되며, 이 온수배출관(21)에는 자동으로 급수가 제어되는 급수기(22)가 상부로 연결된다. 또한 보일러(20)의 하부에는 상기 온수배출관(21)을 통해 배출된 온수가 강제로 순환되도록 펌핑시키는 펌프(23)가 연결되어 연소로의 하부에 연결한 온수유입관(24)이 인출된다.
상기 열교환부(30)는, 일측에 유입분배기(311)를 구성하고 타측에 배출분배기(312)를 구성하며, 그 사이에 다수의 휜(313)을 나열시켜 이에 상기 유입분배기(311)와 배출분배기(312)로 통하는 파이프(314)를 지그재그 상태로 배치한 열교환기(31)가 구비되어 외체(36)의 상부 내측에 수평으로 설치한다. 또한 보일러(20)의 상부로 인출된 온수배출관(21)을 상기 유입분배기(311)로 통하게 연결하고, 하부에서 인출된 온수유입관(24)을 연장하여 열교환기(31)의 배출분배기(312)로 통하도록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31)의 상부에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용 송풍기(32)가 하향으로 송풍력이 작용되도록 장착되며, 열교환기(31)의 하부 양측에 열교환된 더운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용 송풍기(33)가 보호망(37)에 장착되고, 이 토출용 송풍기(33)의 외측에는 비닐로 된 토출관(35)을 연결하는 토출구(34)가 외체(36)의 측벽에 구성된다.
이러한 열교환부(30)는 열교환기(31)와, 토출용 송풍기(33)와, 토출관(35)을 각각 하나씩 설치하거나, 양측 대향하게 한 쌍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도 2내지 도 4는 한 쌍으로 설치된 예를 보인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간접방식 열풍기는 도 4에 되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토출공(351)이 형성된 토출관(35)을 별도로 구비하여 열풍기의 설치조건에 따라 그 길이 등을 결정하여 토출구(34)에 연결한다. 상기 토출관(35)은 비닐과 같이 플레시블한 재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열풍기에 의해 실내를 난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급수기(22)를 통해 급수된 물이 보일러(20)와 열교환기(31)에 차있는 상태에서 보일러(20)가 가동되면 가열된 온수가 온수배출관(21)으로 배출되어 열교환기(31)의 유입분배기(311)를 통해 파이프(314)로 유입된다.
이때, 흡입용 송풍기(32)에 의해 외체(36)의 내부로 실내공기가 유입되면 이와 동시에 유입된 공기는 토출용 송풍기(33)의 흡입력에 의해 열교환기(31)의 휜(313) 사이를 통과함과 동시에 높은 온도와 열교환된 후 가이드(38)에 의해 양측으로 안내되어 보호망(37)과 토출구(34)를 통해 토출관(35)을 경유한다. 이렇게 토출관(35)을 경유하는 열기는 토출관(35)의 적당한 장소에 통공된 토출구(34)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열교환기(31)를 통과하면서 흡입된 실내 공기와 열교환된 온수는 온수유입관(24)을 경유하여 연소로 측으로 강제 유입되어 가열된 후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열교환기(31)로 반복 순환되어 연속적으로 열교환되며, 보일러(20)에서 기름을 연소시킬 때 발생하는 배기가스는 배기관(25)을 경유하여 실외로 배출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보일러를 통해 가열된 온수를 실내공기와 열교환시키고, 열교환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배출시키는 열교환부의 간접 열교환 방식을 통하여 청정 열풍을 실내에 고루 분포시킴으로서, 실내 전체의 온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폐가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하나의 기기로 넓은 면적의 실내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시켜 연료의 절감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1)

  1. 연소로에서 가열된 온수를 외부로 배출하여 열교환시킨 후 연소로 측으로 다시 순환시키는 보일러(20)에서 가열된 후 배출되어 순환되는 온수와 실내공기를 열교환시켜 그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농.축산용 간접방식 열풍기에 있어서,
    일측에 유입분배기(311)를 구성하고 타측에 배출분배기(312)를 구성하며 그 사이에 다수의 휜(313)을 나열시켜 이에 상기 유입분배기(311)와 배출분배기(312)로 통하는 파이프(314)를 지그재그 상태로 배치한 열교환기(31)가 외체(36)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유입분배기(311)에 보일러(20)의 상부로 인출된 온수배출관(21)이 통하게 연결되며, 하부에서 인출된 온수유입관(24)이 연장되어 열교환기(31)의 배출분배기(312)로 통하게 연결되고, 상기 열교환기(31) 상부에 하향으로 송풍력을 작용하도록 흡입용 송풍기(32)가 장착되며, 상기 열교환기(31)의 하부 측방에 외향으로 송풍력을 작용시키는 토출용 송풍기(33)가 장착되고, 이 토출용 송풍기(33)의 외측에 토출구(34)가 구성되며, 이 토출구(34)에 다수의 토출공(35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토출관(35)이 소정 길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용 간접방식 열풍기.
KR2019980014063U 1998-07-29 1998-07-29 농.축산용 간접방식 열풍기 KR2002091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063U KR200209130Y1 (ko) 1998-07-29 1998-07-29 농.축산용 간접방식 열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063U KR200209130Y1 (ko) 1998-07-29 1998-07-29 농.축산용 간접방식 열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003U true KR20000000003U (ko) 2000-01-15
KR200209130Y1 KR200209130Y1 (ko) 2001-01-15

Family

ID=69516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063U KR200209130Y1 (ko) 1998-07-29 1998-07-29 농.축산용 간접방식 열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13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397A (ko) * 2002-06-17 2002-09-09 일 준 박 식물 재배용 공조룸을 위한 공기조화시스템
KR101308648B1 (ko) * 2011-10-26 2013-09-23 신영서 풍향 조절이 가능하면서 양방향 열풍 공급이 가능한 농업용 열풍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397A (ko) * 2002-06-17 2002-09-09 일 준 박 식물 재배용 공조룸을 위한 공기조화시스템
KR101308648B1 (ko) * 2011-10-26 2013-09-23 신영서 풍향 조절이 가능하면서 양방향 열풍 공급이 가능한 농업용 열풍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130Y1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1718B1 (ko) 버섯 재배용 환기 장치
KR102151951B1 (ko) 버섯 재배용 수분 공급 장치
KR101511993B1 (ko) 축사 및 식물 재배용 송풍히터
KR200205340Y1 (ko) 농·축산용간접방식열풍기
KR200263476Y1 (ko) 농축산물 하우스용 냉난방 공기 조화 장치
KR200209130Y1 (ko) 농.축산용 간접방식 열풍기
KR20080092206A (ko) 지하공기를 이용한 축사의 냉난방장치
KR20120111067A (ko) 퇴비를 이용한 시설하우스용 난방시스템
CN214129548U (zh) 一种养殖场烘干消毒设施
KR200275991Y1 (ko) 농.축산용 간접방식 열풍기
KR20140104879A (ko) 농축산 생육시설의 내부환경 조절 시스템
KR101556446B1 (ko) 온풍, 온수, 냉풍 및 냉수 공급이 가능한 다기능 냉난방 기기
KR102087400B1 (ko) 축사용 환기 냉/난방 제어시스템
KR101297775B1 (ko) 농업용 전기 온열기
KR101767189B1 (ko) 폐열 회수 순환 난방기
KR20200089773A (ko) 온실용 공기조화 시스템
KR200341149Y1 (ko) 보온시설물용 내부 공기조화장치
KR102512572B1 (ko)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
KR200154358Y1 (ko) 농업용 열풍기의 풍향 조절장치
JP2006204161A (ja) 栽培施設の暖房装置
JPH0334568Y2 (ko)
KR0120603Y1 (ko) 농업용 온풍난방기의 연소실구조
KR200404661Y1 (ko) 시설하우스 난방장치
KR200211773Y1 (ko) 공기를 이용한 폐열교환기
KR200159700Y1 (ko) 비닐하우스용 냉난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