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7652A - Device and process for transmitting sound - Google Patents

Device and process for transmitting sou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7652A
KR19990087652A KR1019980707112A KR19980707112A KR19990087652A KR 19990087652 A KR19990087652 A KR 19990087652A KR 1019980707112 A KR1019980707112 A KR 1019980707112A KR 19980707112 A KR19980707112 A KR 19980707112A KR 19990087652 A KR19990087652 A KR 19990087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frequency
transmitting
transmiss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71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미카엘 록크
Original Assignee
오트 칼-하인츠
미카엘 록크
지버링 토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996109554 external-priority patent/DE19609554C1/en
Priority claimed from DE29604457U external-priority patent/DE29604457U1/en
Application filed by 오트 칼-하인츠, 미카엘 록크, 지버링 토마스 filed Critical 오트 칼-하인츠
Publication of KR19990087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652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04R5/023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in a chair, pill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Abstract

사람에 의하여 지각(知覺)될 수 있는 음향 신호(sound signal)를 보내는 하나 이상의 음향 전송 요소(sound-transmission element)의 도움으로, 음향을 전송하는 과정(process)과 장치(device)를 개선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며, 그래서 기술(技術)적으로 단순하고 그러므로 비싸지 않은 방식으로, 매우 효과적으로 중간 주파수 음향 신호(mid-frequency sound signal)와 더 높은 주파수 음향 신호(higher-frequency sound signal)뿐 아니라 저-주파수 음향 신호등을 전송하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음향 전송 요소에서 유스타키오관(Eustachian tube)을 통하여 청각 소골(auditory ossicle)까지의 직접적인 음향 전송 경로(direct sound-transmission path)를 만들도록, 듣는 사람 신체에 하나 이상의 음향 전송 요소(sound-transmission element)를 설치하는 것을 제안한다.With the aid of one or more sound-transmission elements that send sound signals that can be perceived by humans, improving the process and device of transmitting sound is essentia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in a technically simple and therefore inexpensive manner, it is very effective not only to lower the mid-frequency sound signal and the higher-frequency sound signal, but also to lower it. Make sure to transmit frequency acoustic signals. To this end, one or more sound transmission elements (eg, to the listener's body) are created to create a direct sound-transmission path from the sound transmission element through the Eustachian tube to the auditory ossicle. It is suggested to install a sound-transmission element.

Description

음향을 전송하는 과정과 장치Device and process for transmitting sound

예를 들면, 마이크로폰에 의하여 입수되는, 또는 기록 매체에서 기록되어지는 음악의 전송에 있어서, 상기 과정은 이용된다. 상기와 관련하여, 음향 전송 수단(sound transmitting means)은 고막을 통하여 듣는 사람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음향 신호(sound signal)를 보내는 확성기(loudspeaker), 또는 헤드폰(headphone) 등이다. 방(room) 또는 헤드폰(headphone) 등에 설치된 확성기를 통하여, 개인의 내부 청각 기관에 의하여 차례대로 처리되는 상기 음향 신호는 고막을 진동시킨다. 특별하게, 상기 들어오는 신호는 청각 통로로 들어가고, 상기 들어오는 신호는 고막과 접촉하며, 고막은 진동 운동(vibration motion)으로 설정되며, 진동 운동은 중이(中耳)의 추골(hammer), 침골(anvil) 및 등골(stirrup bone) 등으로 넘겨지며, 달팽이관(cochlea)에 의하여 더욱 더 처리된다.For example, in the transmission of music obtained by a microphone or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the above process is used. In this regard, the sound transmitting means is a loudspeaker, a headphone or the like which sends a sound signal in such a manner as to be connected to the listener through the eardrum. Through a loudspeaker installed in a room or a headphone or the like, the acoustic signal processed in turn by the individual internal auditory organs vibrates the eardrum. Specifically, the incoming signal enters the auditory passageway, the incoming signal contacts the eardrum, the eardrum is set to vibration motion, and the vibrating motion is in the middle ear's hammer and anvil. ) And stirrup bone and the like, and are further processed by the cochlea.

공지된 청각 과정에 있어서 불확정한 사항은, 약 700 ㎐ 이하의 주파수를 가지는 음향 신호(acoustic signal)이다. 사람 청각이 700 ㎐ 와 6000 ㎐ 사이에서의 주파수에 특별하게 민감하기 때문에, 상기 범위에서 음향은 지각(知覺)될 수 있는 알맞은 강도만을 가질 필요가 있다. 상기와 비교하여, 700 ㎐ 보다 더 낮은 주파수를 지각(知覺)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높은 볼륨을 필요로 한다. 더 낮은 주파수(700 ㎐ 보다 낮음)를 확실하게 억제하는 경우에서처럼, 음악을 전송하는 것에 관하여 사람 청각의 특징은 그 자체가 특별한 불리함을 갖추고 있다.An uncertainty in the known auditory process is an acoustic signal having a frequency of about 700 Hz or less. Since human hearing is particularly sensitive to frequencies between 700 Hz and 6000 Hz, the sound in this range only needs to have a reasonable intensity that can be perceived. In comparison with the above, in order to perceive frequencies lower than 700 kHz, a quite high volume is required. As in the case of reliably suppressing lower frequencies (lower than 700 kHz),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hearing in terms of transmitting music have their own particular disadvantages.

상기 억제의 결과로써, 리듬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음향 신호는 뒤쪽으로 밀림으로써, 전송되는 음악은 덜 활기차다(less live). 상기 상황을 반전시킬 목적으로, 가청(可聽) 저주파 신호(low-frequency audio signal)의 음압(sound pressure)에 있어서 효과적인 증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다양한 과정은 공지되어 있다.As a result of the suppression, the acoustic signal used to perform the rhythm is pushed backwards so that the transmitted music is less live. For the purpose of reversing this situation, various procedures are known which can enable an effective increase in the sound pressure of an audible low-frequency audio signal.

예를 들면 하나의 공지된 절차는, 음악의 전송되는 가청주파수 파동(波動)에서 볼륨의 일반적인 증가를 포함한다. 이 결과, 음압을 증가시키면서 억제 곡선은 더 편평해지기 때문에, 중간 범위의 신호와 더 높은 범위의 신호 등과 결합하여, 저-주파수 신호는 더 커진다.One known procedure, for example, involves a general increase in volume in the transmitted audio frequency wave of music. As a result, the suppression curve becomes flatter while increasing the sound pressure, so that the low-frequency signal becomes larger, in combination with the middle range signal, the higher range signal and the like.

하지만, 상기 과정에서 이롭지 못한 점은, 중간-범위 가청주파수 신호와 높은-범위 가청주파수 신호 등에서, 더 높은 파동 압력이 나타나고, 동시에 극단적인 경우에 사람의 한계 고통에 도달하거나 초과할 정도로 높은 상당히 더 높은 볼륨이 나타난다. 이것은 고막의 과로를 일으키고, 결국에는 청각 손상을 일으킨다.However, the disadvantage of this process is that in mid-range audio frequency signals and high-range audio frequency signals, etc., higher wave pressures appear, and at the same time considerably more high enough to reach or exceed human limit pain in extreme cases. High volume appears. This leads to overwork of the eardrum and eventually hearing damage.

또 하나의 공지된 절차에서, 중간 주파수 신호와 더 높은 주파수 신호, 또는 어느 하나의 주파수 대역과 비교하여, 더 낮은 주파수를 특별하게 증폭시킨다. 중간 주파수 범위와 더 높은 주파수 범위 등에서, 한계 고통에 도달하지 않는 이점을 가진다. 하지만, 여기에서 불리한 점은, 성공적이더라도 상기 절차는 다양한 증폭 용량(약 1 에서 10,000,000 의 증폭 인자)을 가지는 복잡한 증폭기를 필요로 하며, 이 복잡한 증폭기는 특별하게 복잡하고 따라서 비용이 많이 들고, 추가로 상당한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게다가, 상기 시스템은 예를 들면 커다란 확성기와 같은 복잡한 음향 전송 수단(sound transmitting means)을 필요로 하며, 상기 복잡한 음향 전송 수단(sound transmitting means)은 그 복잡성과 커다란 크기 때문에, 상당히 힘써서 운반될 수 있다.In another known procedure, the lower frequency is specifically amplified in comparison to th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nd the higher frequency signal, or any one frequency band. In the middle frequency range, higher frequency range, etc., there is an advantage of not reaching the limit pain. However, a disadvantage here is that even if successful, the procedure requires a complex amplifier with varying amplification capacity (amplification factor of about 1 to 10,000,000), which is particularly complex and therefore expensive and additionally It requires a lot of energy. In addition, the system requires complex sound transmitting means, for example large loudspeakers, which can be carried with great effort because of their complexity and large size. have.

EP 0 553 525 A1 은 음향을 전송하는 장치를 발표하는데, 여기서 음향 전송 수단(sound transmitting means)이 사람의 복-부(腹-部)(abdominal region)나 등-부(部)(dorsal region) 등에 설치된다. 특별하게, 수단이 복-부(腹-部)뿐만 아니라 등-부(部)에 위치될 때, 상대적으로 높은 정도의 음향 흡수는, 짧은 거리, 피부, 직물, 그리고 극단적으로 좋은 흡수 특징을 가지는 음향 전송 수단(sound transmitting means)의 밑에 놓인 신체의 다른 부분 등에서 이미 생긴다.EP 0 553 525 A1 discloses a device for transmitting sound, wherein the sound transmitting means is a human abdominal region or a dorsal region. It is installed on the back. In particular, when the means are located not only in the abdomen but also in the dorsal part, a relatively high degree of sound absorption has short distances, skin, textiles, and extremely good absorption characteristics. It already occurs in other parts of the body, such as under sound transmitting means.

US 4 641 345 은 음향을 전송하는 장치를 기술(記述)하는데, 여기서 음향 전송 수단(sound transmitting means)은 수송 수단 좌석의 뒤쪽에 설치된다. 이 경우에는, 신체로 음향의 전송은 상당하게 흡수된다. 이 경우에, 피부, 직물, 신체의 다른 부분뿐만 아니라, 추가로 운전자 좌석의 흡수 특징에 의하여, 흡수 효과(dampening effect)를 생성시킨다.US 4 641 345 describes a device for transmitting sound, wherein sound transmitting means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seat.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of sound to the body is considerably absorbed. In this case, the absorbing characteristics of the driver's seat, as well as the skin, the fabric and other parts of the body, create a dampening effe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음향 전송 수단(sound transmitting means)에 의하여 음향을 전송하는 과정(process)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사람에 의하여 지각(知覺)할 수 있는 음향 신호(sound signal)를 보낸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for transmitting sound by one or more sound transmitting means, wherein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sound signal that can be perceived by a perso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라서 음향을 전송하기 위한 과정(process)의 순서도를 도식적으로 보여준다 ;1 diagrammatically shows a flow chart of a process for transmitting soun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서 음향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를 보여준다.2 shows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sound according to the invention.

* 부호 설명* Code Description

10 ... 음향 입수 장치(sound pickup device)10 ... sound pickup device

음향 전송 장치(sound transmission device)Sound transmission device

11 ... 신호 라인(signal line) 20 ... 저역 통과(low pass)11 ... signal line 20 ... low pass

30 ... 고역 통과(high pass) 25, 35 ... 증폭기(amplifier)30 ... high pass 25, 35 ... amplifier

27, 37 ... 확성기(loudspeaker) 40 ... 음향-원(源)(sound source)27, 37 ... loudspeaker 40 ... sound source

50 ... 분산 수단(distribution means)50 ... distribution means

60 ... 고막(eardrum) 70 ... 흉골(breastbone)60 ... eardrum 70 ... breastbone

80 ... 내이(內耳)80 ... inner ea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술(記述)된 범주의 가청주파수 신호 전송(audio signal transmission)의 과정을 개선함으로써, 중간 가청주파수 파동과 더 높은 가청주파수 파동 등을 따라서, 또한 가청(可聽) 저주파 파동(low-frequency audio wave)은 경제적으로 전송될 수 있고, 기술(技術)적으로 이야기한다면, 쉽게, 결과적으로 극단적인 효과로, 그리고 무엇보다 흡수 손실(dampening loss) 없이 전송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process of audio signal transmission in the described rang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follow the audible low frequency wave, the higher audible frequency wave, and the like. Low-frequency audio waves can be transmitted economically and, if technically speaking, can be easily and consequently transmitted as extreme effects and, above all, without dampening losses.

처음부터 기술(記述)되었듯이 음향을 전송하는 과정(process)에서, 저주파 음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특히 음향 전송 수단이 사람의 가슴-부(部)(chest region)에, 사람의 흉골(breastbone)의 근방에 설치됨으로써, 음향 전송 수단에서 유스타키오관(Eustachian tube)을 통하여 사람 중이(中耳)의 뼈(middle ear bone)까지의 직접적인 전송 경로(direct transmission path)를 얻는다는 사실에 의한 본 발명에 따라서, 주장되는 목적은 달성된다.As described from the outset,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sound, in order to transmit low frequency sound signals, in particular in the chest region of a person, the means for transmitting the breastbone of a person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direct transmission path from the acoustic transmission means to the middle ear bone of the human middle ear is obtained through the Eustachian tube. In accordance with this, the claimed object is achieved.

유스타키오관을 통하여 중이(中耳)의 뼈로, 사람 흉골의 근방에 위치한 음향 전송 수단에 의한 가청(可聽) 저주파 파동의 특별한 전송은, 고막, 그러므로 고막의 흡수 효과를 우회(迂廻)한다는 특별한 이점(利點)을 공급한다. 따라서, 사람 청각에 적합하게 적용되는 방식으로 가청(可聽) 저주파 신호의 전송을 달성할 목적으로, 예를 들면 다양한 가청(可聽) 주파수 증폭과 같은 것에 의한, 흡수 효과의 보상(벌충)에 대한 필요성은 없다.The special transmission of an audible low-frequency wave by means of an acoustic transmission means located near the human sternum through the Eustachian tube, bypasses the absorption effect of the tympanum and, therefore, the tympanic membrane. Supply advantage. Therefore, for the purpose of achieving the transmission of an audible low frequency signal in a manner suitably applied to human hearing, for example, to compensate for the absorption effect (compensation), such as by amplifying various audible frequencies. There is no need for it.

다른 방향에서, 흉골의 근방에서 음향 전송 수단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진동은 전체 가슴 구멍(chest cavity)으로 전송되며, 흉골(breastbone)은 늑골(rib)에 연결되고, 늑골(rib)을 통하여 흉막(pleura)에 연결된다. 다음에는 가슴 구멍(chest cavity)은 폐(lung)의 폐엽(lobe)에서 공기를 진동으로 설정한다. 폐엽(lob)에서 인두(咽頭)-관(pharyngeal tube)을 통하여 유스타키오관으로 진동은 전파하고, 유스타키오관에서 중이(中耳)의 뼈로 전파한다. 전체 가슴 구멍(chest cavity)이, 공지된 서브-저음 전용 스피커(sub-woofer)와 비슷한 대역 통과 필터와 같은 형(型)을 형성하는 공진기(resonator)로써 이용된다는 것은, 상기 설치의 이점(利點)이다. 그것에 의하여, 고막을 우회(迂廻)하면서, 가청(可聽) 저주파 신호를 특별하게 전송하는 이점(利點)을 얻는다.In the other direction, by installing sound transmission means in the vicinity of the sternum, vibrations are transmitted to the entire chest cavity, where the breastbone is connected to the ribs and through the ribs (pleura). The chest cavity then sets the air into vibrations in the lungs of the lungs. Vibration propagates from the lobe to the eustachian tube through the pharyngeal tube, and from the eustachian tube to the bones of the middle ear. The advantage of the installation is that the entire chest cavity is used as a resonator to form a band-pass filter similar to a known sub-woofer sub-woofer. I). Thereby, the advantage of specially transmitting an audible low frequency signal while bypassing the eardrum is obtained.

과정(process)은 단순한 기술(技術) 수단(technical means)으로 실현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낮은 에너지만을 요구한다. 따라서, 움직이는 장치(mobile device)에서 과정(process)은 효과가 있을 수 있다.Process can be realized by simple technical means and requires only relatively low energy. Therefore, the process may be effective in a mobile device.

상기에서 기술(記述)된 가청(可聽) 주파수 파동의 전체 주파수 스펙트럼을 전송할 목적으로, 음향 신호를 사람 고막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헤드폰의 확성기와 같은 또 하나의 음향 전송 수단을 통하여 가청(可聽) 주파수 신호를 추가로 전송한다는 것을, 과정(process)의 특별하게 이점이 있는 실시예는 공급한다.For the purpose of transmitting the entire frequency spectrum of the audible frequency waves described above, an audible signal is provided via another sound transmission means, such as a loudspeaker of a headphone, which makes it possible to connect an acoustic signal to the human eardrum. A particularly advantageous embodiment of the process provides for the further transmission of the frequency signal.

특히 중간 주파수 파동과 더 높은 주파수 파동, 또는 어느 하나의 파동이 고막으로 종래의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지만, 동시에 이것에 독립하는 방식으로, 예를 들면 사람의 흉골 영역에 놓일 수 있는 음향 전송 수단(sound transmission means)을 통하여 특별하게 효과가 있는 방식으로 더 낮은 주파수 파동을 추가로 전송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termediate and higher frequency waves, or any one of the waves, may be transmitted in a conventional manner to the eardrum, but at the same time independent of it, for example acoustic transmission means that can be placed in the human sternum area ( Sound transmission means can further transmit lower frequency waves in a particularly effective manner.

음향 전송 수단(sound transmission means)은, 모두 공지된 확성기, 또는 공진기 및 유사 장치가 될 수 있다.Sound transmission means can all be known loudspeakers, or resonators and similar devices.

또한 주장되는 목적은 하나 이상의 음향 전송 수단을 갖춘 음향을 전송하는 장치에 의한 본 발명에 따라서 이루어지는데, 하나 이상의 음향 전송 수단은 사람의 가슴-부(部)(chest region)에, 흉골(brestbone)의 근방에 설치됨으로써, 음향 전송 수단에서 유스타키오관(Eustachian tube)을 통하여 사람 중이(中耳)의 뼈(middle ear bone)까지의 직접적인 전송 경로를 얻을 수 있다.A claimed object is also achieved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on by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sound with one or more sound transmission means, wherein the one or more sound transmission means is in the chest region of the person, in the sternum. By being installed near, the direct transmission path from the sound transmission means to the middle ear bone of the human middle can be obtained through the Eustachian tube.

특별하게 사람 흉골의 근방에서 상기 방식으로 놓인 음향 전송 수단을 통하여 전송되는 가청(可聽) 주파수 신호의 선택에 있어서, 음향 신호를 분산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분산 장치(distribution device)는 하나 이상의 음향 전송 수단의 다음에 오는 것이 특별한 이점(利點)이 있다.In the selection of an audible frequency signal, which is transmitted in particular through the sound transmission means laid in this manner in the vicinity of the human sternum, the one or more distribution devices for distributing the sound signal may comprise one or more sound transmission means. The following is a special advantage.

원칙(原則)으로 말하면, 분산 장치(distribution device)의 대부분의 다양한 구조는 이용될 수 있으며 ; 하나 이상의 분산 장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필터 장치(frequency filter device)를 포함하는 것이 이점(利點)이 있다.In principle, most of the various structures of a distribution device can be used; It is advantageous for one or more distributed devices to include one or more frequency filter devices.

주파수 필터 수단(frequency filter means)에 관하여, 대부분의 다양한 구조는 상상(想像) 가능하며 ; 기술(技術)적으로 말하면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는 쉽게 구현될 수 있는 저역 통과이다.With regard to frequency filter means, most of the various structures are conceivable; Technically speaking, a frequency filter is a low pass that can be easily implemented.

하지만, 또한 주파수 필터 장치(frequency filter device)는 주파수 스위치, 저역 통과뿐만 아니라 고역 통과 등을 포함하며 - 사람 고막에 연결된 신호를 보내는 또 하나의 전송 수단을 통하여, 고역 통과를 통하여 지나가는 중간 주파수 파동과 고-주파수 파동 등을 전송한다.However, the frequency filter device also includes a frequency switch, a low pass as well as a high pass-and an intermediate frequency wave passing through the high pass through another transmission means for sending a signal connected to the human eardrum. Transmits high-frequency waves, etc.

여기에서 고려될 수 있는 음향 전송 장치(sound transfer device)는 대부분의 다양한 구현을 포함한다. 기술적으로 간단한 구현은 확성기(loudspeaker)와 공진기(resonator), 또는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Sound transfer devices that may be considered herein include most of the various implementations. A technically simple implementation can be a loudspeaker and a resonator, or either.

본 발명의 덧붙여지는 상세함과 이점 등은, 도면에 관하여 다음의 기술(記述)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Further details, advantages, and the lik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plained in more detai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음향의 전송에 관한 본 발명은, 도 1 에 근거하여 기술(記述)되어 있다. 도 1 에서 볼 수 있듯이, 음향-원(源)(40)(sound source)에서 분산 수단(50)(distri- bution means)으로 음향 신호(sound signal)를 전송한다. 원칙(原則)적으로 분산 수단(50)으로써의 이용에 관하여 다수의 장치는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파수 필터 수단(frequency filter means) 또는 주파수 스위치(frequency switch) 등이 고려될 수 있으며, 게다가 이 장치들은 예를 들면 저역 통과(20)(low pass)와 고역 통과(30)(high pass) 등을 통하여 실현될 수 있는 있다. 그것에 의하여 더 높은 주파수 음향 신호(higher-frequency sound signal)는 고막(60)(eardrum)을 통하여 내이(內耳)(80)로 전송되며, 반면(反面)에 더 낮은 주파수 음향 신호는 흉골(70)(breastbone)을 통하여 내이(內耳)(80)로 전송된다. 예를 들면 전송은 확성기(27, 37)(loudspeaker)를 통하여 효과가 있는데, 저역 통과와 결합되는 결과적으로 스위치가 일어나는 확성기(27)(loudspeaker)는 흉골(70)의 근방에 설치되며, 반면(反面)에 예시(例示)로써 고역 통과와 결합되는 확성기(37)(loudspeaker)는 헤드폰의 형(型)으로 제시된다. 더 낮은 주파수 음향 신호는 추가로 확성기(37)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ing to sound transmission is described based on FIG. 1. As can be seen in FIG. 1, a sound signal is transmitted from a sound source 40 to a dispersion bution means 50. In principle, a number of devices can be considered with regard to use as the distributing means 50. For example, frequency filter means or frequency switches can be considered, and furthermore, these devices can, for example, be low pass 20 and high pass 30, for example. Can be realized. Thereby a higher-frequency sound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eardrum 60 to the inner ear 80, while the lower-frequency soun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ternum 70 It is transmitted to the inner ear 80 through a breastbone. For example, transmission is effected through loudspeakers 27 and 37, where a loudspeaker, which is coupled with a low pass, resulting in a switch, is installed near the sternum 70, while ( The loudspeaker 37 coupled with the high pass as an example to the rear is presented in the form of a headphone. Lower frequency acoustic signals may further be transmitted through loudspeaker 37.

음향 전송을 위한 상기 설치의 도 2 에서 주어진 예(例)는, 저역 통과(20)의 형(型)으로, 고역 통과(30)의 형(型)으로 주파수 필터 수단(frequency filter means)으로 신호 라인(11)(signal line)을 통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예를 들면 활성 증폭기(activated amplifier)를 갖춘 테이프 리코더(tape recorder) 또는 마이크로폰(microphone) 등과 같은, 음향 입수 장치(10)(sound pickup device)또는 음향 전송 장치(10)(sound transmission device)를 포함한다.The example given in FIG. 2 of the installation for sound transmission is in the form of a low pass 20, in the form of a high pass 30 in a frequency filter means. Sound pickup device 10, such as a tape recorder or microphone with an activated amplifier for transmitting signals over a signal line 11, for example. Or a sound transmission device 10.

더 낮은 주파수 음향 신호만이 저역 통과(20)를 통하여 지나가며, 700 ㎐ 보다 더 낮은 음향 신호만이 저역 통과(20)를 통하여 지나갈 수 있도록 저역 통과(20)를 구성하며, 반면(反面)에 동시에 700 ㎐ 의 위쪽에 있는 중간 주파수 음향 신호(mid-frequency sound signal)와 더 높은 주파수 음향 신호(higher-frequency sound signal) 등은 저역 통과(20)와는 달리 여과된다.Only the lower frequency acoustic signal passes through the low pass 20 and configures the low pass 20 so that only acoustic signals lower than 700 kHz can pass through the low pass 20, while At the same time, mid-frequency sound signals, higher-frequency sound signals, and the like, which are above 700 kHz, are filtered unlike the low pass 20.

비교하여, 700 ㎐ 의 위쪽에 있는 중간 주파수 음향 신호(mid-frequency sound signal)와 더 높은 주파수 음향 신호(higher-frequency sound signal), 또는 어는 한쪽의 주파수는 고역 통과(30)를 통하여 지나가며, 반면(反面)에 700 ㎐ 보다 더 낮은 음향 신호는 고역 통과(30)의 음향 신호와는 달리 여과된다.In comparison, a mid-frequency sound signal and a higher-frequency sound signal, or one of the frequencies above 700 Hz, pass through the high pass 30, On the other hand, an acoustic signal lower than 700 Hz is filtered unlike the acoustic signal of the high pass 30.

고역 통과(30)뿐 아니라 저역 통과(20) 등에 관하여, 적당하게 조정된 증폭기(25, 35)(amplifier)는 그 할당된 주파수 범위에 대하여 결과적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 다음에 상기 주파수는 증폭기에 의하여 확성기(27, 37) 등으로 전송된다.With respect to the high pass 30 as well as the low pass 20 and the like, suitably tuned amplifiers 25 and 35 (amplifiers) can be operated as a result for their assigned frequency ranges-the frequency then being fed to the amplifier. By the loudspeakers 27, 37 and the like.

상기에서 기술(記述)된 것처럼, 확성기(27)는 사람 흉골(70)의 근방에 설치됨으로써, 확성기(27)에서 가슴 구멍(chest cavity)을 통하여 유스타키오관(Eustachian tube)으로, 그 다음에 중이(中耳)의 뼈(middle ear bone)까지의 직접적인 음향 전송 경로(direct sound transmission path)를 얻는다. 이 결과로써 사람의 가슴 구멍(chest cavity)은, 가청(可聽) 주파수 기술(技術)에서 저-주파수 음향 신호의 전송을 위하여 이용되는 신체와 비슷한 추가의 공진 신체(additional resonating body) -- 서브-저음 전용 스피커(sub-woofer)로써 작동한다.As described above, the loudspeaker 27 is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human sternum 70, whereby the loudspeaker 27 passes through a chest cavity into an Eustachian tube and then the middle ear. Obtain a direct sound transmission path to the middle ear bone. As a result, the chest cavity of a person has an additional resonating body--sub, similar to the body used for the transmission of low-frequency acoustic signals in an audible frequency technique. -Acts as a sub-woofer.

예를 들면 확성기(37)는 익히 알고 있는 확성기(familiar loudspeaker)일 수 있거나, 또는 상기에서 이미 기술(記述)한 것처럼 헤드폰(headphone) 또는 사람의 고막(60)을 통하여 음향 연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비슷한 어떤 것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loudspeaker 37 may be a familiar loudspeaker, or may enable an acoustic connection through headphones or a human eardrum 60 as already described above. It can be something similar.

상기 기술(技術) 장치를 통하여, 사람 고막(60)의 이용에 의하여 이미 공지된 방식으로 중간 주파수 음향 신호(mid-frequency sound signal)와 더 높은 주파수 음향 신호(higher-frequency sound signal) 등을 전송할 수 있으며, 반면(反面)에 더 낮은 주파수 음향 신호는 가슴 구멍(chest cavity)과 유스타키오관(Eustachian tube) 등을 통하여 사람 중이(中耳)의 뼈(80)(middle ear bone)로 실질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결과로써, 특별하게 현실적으로 음향의 전송을 달성하고, 특히 음악의 전송을 달성한다.Through the technical device, the mid-frequency sound signal, the higher-frequency sound signal, and the like are transmitted in a known manner by the use of the human eardrum 60. On the other hand, lower frequency acoustic signals are transmitted substantially through the chest cavity and the Eustachian tube to the middle ear bones 80 of the human middle ear. Can be. As a result, the transmission of sound is particularly realistically achieved, in particular the transmission of music.

상기 기술(技術) 장치는 단순한 기술(技術) 수단에 근거하여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가볍고, 소형이고, 휴대 가능하고, 따라서 어는 곳에서든지 어느 때라도 이용 가능하다. 특히 휴대용 장치인 경우에, 카세트 리코더(cassette recorder) 또는 CD-플레이어(CD-player)일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시스템은 매우 적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심지어는 전지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시스템은 외부의 에너지-원(源)에 대하여 독립적이다. 마지막으로 앞서의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시스템은 또한 제조에 대하여 경제적이고, 따라서 사용자에 대하여 또한 알맞은 가격이다.The technical device can be realized on the basis of simple technical means. The system is light, compact, portable and therefore available anytime anywhere. Especially in the case of a portable device, it may be a cassette recorder or a CD-player. In addition, the system requires very little energy and can even be driven by a cell, where the system is independent of external energy-sources. Finally,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ystem is also economical to manufacture and therefore also affordable to the user.

Claims (11)

사람에 의하여 지각(知覺)될 수 있는 음향 신호(sound signal)를 보내는 하나 이상의 음향 전송 수단(27, 37)(sound transmitting means)에 의하여 음향을 전송하며, 하나 이상의 음향 전송 수단(27)은 사람의 신체에 위치하는 과정(process)에 있어서,Sound is transmitted by one or more sound transmitting means (27, 37) which transmit a sound signal that can be perceived by a person, the one or more sound transmitting means (27) In the process of being located in the body of 음향 전송 수단(27)이 사람의 가슴-부(部)(chest region)에, 사람의 흉골(70)(breastbone)의 근방에 설치됨으로써, 음향 전송 수단(27)에서 유스타키오관(Eustachian tube)을 통하여 사람 중이(中耳)의 뼈(middle ear bone)까지의 직접적인 음향 전송 경로(direct sound transmission path)를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전송하는 과정(process).The sound transmission means 27 is installed in the chest region of the human being and near the breastbone of the human breast 70 so that the Eustachian tube is transferred from the sound transmission means 27. A process of transmitting sou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letes a direct sound transmission path to the middle ear bone of a human through. 제 1 항에 있어서, 사람의 고막(60)(eardrum)으로 음향 신호를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덧붙여지는 음향 전송 수단(37)을 통하여 음향 신호를 추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전송하는 과정(process).The transmission of sound as claimed in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sound signal is further transmitted via an additional sound transmission means (37) which makes it possible to connect the sound signal to the eardrum (eardrum) of the person. Process. 제 1 항 또는 제 2 항 등에 있어서, 음향 전송 수단(27, 37) 등은 확성기(loudspeak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전송하는 과정(process).A process as claimed in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sound transmitting means (27, 37) and the like are loudspeakers. 제 1 항 또는 제 2 항 등에 있어서, 음향 전송 수단(27, 37) 등은 공진기(resona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전송하는 과정(process).A process as claimed in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sound transmitting means (27, 37) or the like is a resonator. 하나 이상의 음향 전송 수단(27, 37)(sound transmitting means)에 의하여 음향을 전송하는 장치(device)에 있어서,In a device for transmitting sound by one or more sound transmitting means (27, 37), 하나 이상의 음향 전송 수단(27)이 사람의 가슴-부(部)(chest region)에, 사람의 흉골(70)(breastbone)의 근방에 설치됨으로써, 음향 전송 수단(27)에서 유스타키오관(Eustachian tube)을 통하여 사람 중이(中耳)의 뼈(middle ear bone)까지의 직접적인 음향 전송 경로(direct sound transmission path)를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전송하는 장치(device).One or more sound transmission means 27 are installed in the chest region of the person and in the vicinity of the breastbone of the person 70 so that the Eustachian tube in the sound transmission means 27. A device for transmitting sou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letes a direct sound transmission path to the middle ear bone of the human middle ear). 제 5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분산 수단(50)(distribution means)은 하나 이상의 음향 전송 수단(27, 37) 등의 다음에 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전송하는 장치(device).6. A device as claimed in claim 5,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or more distribution means follows the one or more sound transmission means (27, 37) and the like. 제 5 항 또는 제 6 항 등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분산 수단(50)은 하나 이상의 주파수 필터 수단(frequency filter mea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전송하는 장치(device).7. A device as claimed in claim 5 or 6, characterized in that the at least one distributing means (50) is at least one frequency filter means. 제 7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주파수 필터 수단은 저역 통과(20)(low pas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전송하는 장치(device).8. Device according to claim 7, characterized in that the at least one frequency filter means is a low pass (20). 제 7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주파수 필터 수단은 저역 통과(20)(low pass)뿐만 아니라 고역 통과(30)(high pass) 등을 포함하고, 사람의 고막과 관련하여 덧붙여지는 음향 전송 수단(37)을 통하여, 고역 통과를 통하여 지나가는 중간 주파수 음향 신호(mid-frequency sound signal)와 더 높은 주파수 음향 신호(higher-frequency sound signal) 등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전송하는 장치(device).8. Acoustic transmission means (37)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one or more frequency filter means comprise a low pass as well as a high pass (30) and the like, which are added in connection with the human eardrum. A device for transmitting sound,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a mid-frequency sound signal and a higher-frequency sound signal passing through the high pass. . 제 5 항 내지 제 9 항 등의 하나의 항에 있어서, 음향 전송 수단(27, 37) 등은 확성기(loudspeak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전송하는 장치(device).10. Device according to one of the claims 5 to 9, characterized in that the sound transmitting means (27, 37) or the like is a loudspeaker. 제 5 항 내지 제 9 항 등의 하나의 항에 있어서, 음향 전송 수단(27, 37) 등은 공진기(resona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전송하는 장치(device).10. A device according to one of claims 5 to 9, characterized in that the sound transmitting means (27, 37) or the like is a resonator.
KR1019980707112A 1996-03-12 1997-03-06 Device and process for transmitting sound KR1999008765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6109554 DE19609554C1 (en) 1996-03-12 1996-03-12 Transmission of tape-recorded music and speech to a listener
DE29604457.1 1996-03-12
DE29604457U DE29604457U1 (en) 1996-03-12 1996-03-12 Device for transmitting sound
DE19609554.9 1996-03-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652A true KR19990087652A (en) 1999-12-27

Family

ID=26023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7112A KR19990087652A (en) 1996-03-12 1997-03-06 Device and process for transmitting sound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EP (1) EP0886990B1 (en)
JP (1) JP2000506353A (en)
KR (1) KR19990087652A (en)
CN (1) CN1218603A (en)
AT (1) ATE185039T1 (en)
AU (1) AU722530B2 (en)
BG (1) BG102762A (en)
BR (1) BR9707983A (en)
CA (1) CA2248019A1 (en)
CZ (1) CZ287048B6 (en)
DE (1) DE59700475D1 (en)
EA (1) EA199800823A1 (en)
ES (1) ES2139453T3 (en)
GR (1) GR3032205T3 (en)
HU (1) HUP9901797A3 (en)
IL (1) IL126090A0 (en)
NO (1) NO984192L (en)
NZ (1) NZ331597A (en)
PL (1) PL329006A1 (en)
SK (1) SK125598A3 (en)
TR (1) TR199801820T2 (en)
TW (1) TW404145B (en)
WO (1) WO1997034441A1 (en)
YU (1) YU39898A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2754A (en) * 1972-05-19 1974-02-19 Hear Muffs Headphone assembly
DE2451977C2 (en) * 1973-11-05 1982-06-03 St. Louis University, St. Louis, Mo.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the sound generated by a person's voice
DE2608908A1 (en) * 1976-03-04 1977-09-08 Johannes Dipl Phys Dr Lensing Stereo headphones with third transducer on top of head - uses third transducer to induce sound waves in bones and avoid front location error
US4322585A (en) * 1980-05-05 1982-03-30 Liautaud James P Personal electronic listening system with an air and bone transducer mounted on the clothing collar
US4641345A (en) * 1983-10-28 1987-02-03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Body-sensible acoustic device
KR920002929Y1 (en) * 1990-02-17 1992-05-08 이정기 Spe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185039T1 (en) 1999-10-15
EA199800823A1 (en) 1999-02-25
TW404145B (en) 2000-09-01
YU39898A (en) 1999-09-27
TR199801820T2 (en) 1998-12-21
AU2379697A (en) 1997-10-01
CZ287048B6 (en) 2000-08-16
DE59700475D1 (en) 1999-10-28
CN1218603A (en) 1999-06-02
WO1997034441A1 (en) 1997-09-18
BG102762A (en) 1999-03-31
JP2000506353A (en) 2000-05-23
GR3032205T3 (en) 2000-04-27
HUP9901797A2 (en) 1999-09-28
EP0886990A1 (en) 1998-12-30
ES2139453T3 (en) 2000-02-01
IL126090A0 (en) 1999-05-09
CZ289198A3 (en) 1998-12-16
NO984192D0 (en) 1998-09-11
HUP9901797A3 (en) 2000-08-28
CA2248019A1 (en) 1997-09-18
BR9707983A (en) 2000-01-04
NZ331597A (en) 2000-01-28
NO984192L (en) 1998-09-11
PL329006A1 (en) 1999-03-01
SK125598A3 (en) 1999-04-13
AU722530B2 (en) 2000-08-03
EP0886990B1 (en) 1999-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8884B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sound reproducing system
CN104301838B (en) Earphone with noise reduction
US6387039B1 (en) Implantable hearing aid
US6631197B1 (en) Wide audio bandwidth transduction method and device
US5117461A (en) Electroacoustic device for hearing needs including noise cancellation
EP3528508B1 (en) Headphone with noise cancellation of acoustic noise from tactile vibration driver and method
JP2002522992A (en) headphone
US11202161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digitally processing a head related audio transfer function
CA2197661A1 (en) Directional ear device with adaptive bandwidth and gain control
WO1998031193B1 (en) Open ear canal hearing aid system
US10142735B2 (en) Dual mode headphone and method therefor
JP2019145962A (en) earphone
JP2022016340A (en) Earpiece, hearing device and system for active occlusion cancellation
WO2021126981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digitally processing a head related audio transfer function
JP5548790B1 (en) Open earphone with sound collecting microphone and hearing aid
RU2273966C2 (en) Headphone
KR20180090227A (en) Hearing aid offering diffraction andbone-conduction sound
WO2005004534A1 (en) The production of augmented-reality audio
KR19990087652A (en) Device and process for transmitting sound
MXPA98007332A (en) Process and device to transmit are
CN217363282U (en) Open type audio processing device
JPH067397A (en) Soundproof ear cover
JPS5775100A (en) Heaing aid
JP7255035B1 (en) sound equipment
JP2001245384A (en) Hybrid re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