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6706A - 성토 경사면의 녹화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성토 경사면의 녹화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6706A
KR19990086706A KR1019980019818A KR19980019818A KR19990086706A KR 19990086706 A KR19990086706 A KR 19990086706A KR 1019980019818 A KR1019980019818 A KR 1019980019818A KR 19980019818 A KR19980019818 A KR 19980019818A KR 19990086706 A KR19990086706 A KR 19990086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soil
loam
gabion
gab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9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9284B1 (ko
Inventor
김혜주
Original Assignee
허태학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태학,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허태학
Priority to KR1019980019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9284B1/ko
Publication of KR19990086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6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9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9284B1/ko

Link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강우로 인한 침식의 우려가 큰 경사면, 특히 성토 경사면을 조기에 그리고 항구적으로 녹화할 수 있는 성토 경사면의 녹화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성토 경사면을 정지하고, 그 하단의 지면에 경사면 쪽으로 적당히 기운 자갈층을 조성하여 흙으로 덮고, 이 흙에 생나무가지를 꽂은 다음에 흙 위에 기층 돌망태를 올려놓고, 경사면과 기층 돌망태 사이의 공간에 기층 돌망태 보다도 약간 높게 양토를 채워다지며, 양토에 2층 생나무가지를 꽂은 다음 양토 위에 기층 돌망태와는 계단을 이루도록 2층 돌망태를 쌓고, 경사면과 2층 돌망태 사이에 양토를 채워 다지는 방법으로 경사면을 따라 최상위 지점까지 반복 시행한 다음에 돌망태에 초본류종자를 접착제와 파이버 혼합물로 붙이는 것이다.

Description

성토 경사면의 녹화시공방법
본 발명은 강우로 인한 침식의 우려가 큰 경사면, 특히 성토 경사면을 조기에 그리고 항구적으로 녹화할 수 있게 한 성토 경사면의 녹화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절토 경사면이든 성토 경사면이든간에 훼손된 경사면을 녹화하는 주된 이유는 인간이 파괴한 자연을 부분적이나 보상하려는데 있다. 이를 두고 인공적 환경복원이라고 하는데, 경사면의 인공적 녹화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경사면의 안정화이다. 경사면의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은 녹화는 환경복원이 이루어졌다고 말하기 곤란하며, 경사면의 복구경관이 자연상태에 가깝지 않다면 이또한 성공적인 환경복원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따라서 녹화공법을 선택함에 있어서의 선행조건은 경사면의 안정성이 보장되는 공법의 적확한 선택이다.
경사면의 녹화공법은 기존의 토목재료를 이용하는 토목공법과 살아있는 식물을 이용하는 생물공학적 공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생물공학적 녹화시공방법이 기존의 일반 녹화방법과 구별되는 것은 경관성 보다는 식물의 공학적 기능성(근계조직과 인장력)을 이용한다는 점과 특정 식물의 선택으로 파괴된 환경을 복원시킨다는 점이다. 생물공학적 녹화시공방법의 적용범위는 절토면, 성토면을 비롯하여 공학적, 생태적 기능이 요구되는 자연환경과 인위적으로 조성된 도시공간에 널리 활용할 수 있다.
주지하다시피 경사면은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자연 경사면과 인간에 의해 빚어진 인위적 경사면이 있다. 자연 경사면은 기온, 태양광, 물, 물리적·화학적 요소들의 영향을 받아 저절로 이뤄진데 대하여 인위적 경사면은 대부분 토목공사 로 인한 절토 경사면과 특정목적으로 조성된 성토 경사면이 있고, 생물공학적 녹화공법의 적용대상은 주로 인위적 경사면이다. 경사면을 성공적으로 녹화하기 위해서는 절토면 또는 성토면의 구성물질을 명확히 밝혀내고 거기에 적합한 녹화공법을 적용해야 한다. 부드러운 경조토(硬操土), 층구조를 가짐으로써 풍화되기 쉬운 바위와 층이 없고 풍화되기 어려운 바위에 적용할 녹화공법이 같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풍화가 진행중인 경사면이나 급경사면은 토양의 구성물이 가볍고 부드럽기 때문에 침식의 우려가 특히 높아서 경사면의 기울기는 적어도 1:2 이상으로 조성하는 것이 원칙이다. 또한 경사면의 안전성과 생태적, 경관적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라면 S형 경사면, 폭우 때 지표면의 배수가 원활히 이뤄지게 하기 위한 경조토의 유실방지용 둔덕의 조성, 기울기가 다르게 계단식으로 조정하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여하튼 지금까지 알려진 성토 경사면의 토사가 강우로 인하여 세굴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방법중 녹화방법은 기껏해야 잔디와 초본류, 뿌리가 깊고 넓게 뻗어나는 수목을 심는 것이다.
문제는 잔디와 수목의 이식만으로는 토사의 유실로 인한 세굴현상을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기울기가 큰 성토면, 모래함량이 높아 침식가능성이 높은 성토 경사면, 원지반이 지하수의 배수가 원활하지 못한 토성으로 된 지면에 성토한 경우, 상위의 절리암이나 큰 돌 혹은 바위에 대한 안정성확보에 의문이 가는 하위 지대의 성토 경사면 등이다.
이런 토사 성토 경사면에 대해서는 지금까지와는 다른 생물공학적 녹화공법을 통하여 점성이 부족하면 인장강도를 높이는 등의 방법으로 토성을 안정시켜 침식을 예방하고, 조기에 확실하게 더구나 항구적으로 녹화하며, 상층 구조에 대한 하층 성토 경사면의 지탱력을 확보하는 등의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될 것으로 본다.
본 발명은 기울기가 큰 성토면, 모래함량이 높아 침식가능성이 높은 성토 경사면, 원지반이 지하수의 배수가 원활하지 못한 토성으로 된 지면에 성토한 경우, 상위의 절리암이나 큰 돌 혹은 바위에 대한 안정성확보에 의문이 가는 하위 지대의 토사 성토 경사면 등을 주변녹지의 수목과 조화되도록 조기에 항구적으로 녹화시킬 수 있는 성토 경사면의 녹화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성토 경사면을 정지하고, 그 하단의 지면에 경사면 쪽으로 적당히 기운 자갈층을 조성하여 흙으로 덮고, 이 흙에 생나무가지를 꽂은 다음에 흙 위에 기층 돌망태를 올려놓고, 경사면과 기층 돌망태 사이의 공간에 기층 돌망태 보다도 약간 높게 보충하여 다지고, 양토에 2층 생나무가지를 꽂은 다음 양토 위에 계단식으로 2층 돌망태를 쌓고, 경사면과 2층 돌망태 사이에 양토를 보충하는 방법으로 최상위 지점까지 축조한 다음에 돌망태에 초본류종자를 접착제와 파이버로 접착하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단계 녹화시공도
도 2는 본 발명의 2단계 녹화시공도
도 3은 녹화시공이 완료된 후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성토 경사면 2(a-n): 돌망태
3 : 자갈층 4 : 흙
5(a-n) : 생나무가지 6 : 양토
7 : 초본류종자·접착제·파이버 혼합물
성토 경사면을 고르는 한편으로 적정 수의 돌망태를 제작하고 식재할 수목과 흙, 양토, 초본류 종자, 접착제, 파이버를 준비한다.
본 발명을 적용할 성토 경사면은 기울기가 큰 성토면, 모래함량이 높아 침식가능성이 높은 성토 경사면, 원지반이 지하수의 배수가 원활하지 못한 토성으로 된 지면에 성토한 경우, 상위의 절리암이나 큰 돌 혹은 바위에 대한 안정성확보에 의문이 가는 하위 지대의 토사 성토 경사면 등이다.
성토 경사면(1)의 하단 지면에 두께 20cm 정도의 자갈층(3)을 축조할 돌망태의 자세안정을 도모하기 위하여 경사면 쪽으로 10% 가량 기울도록 조성하여 기반을 다진다. 자갈층(3) 위에 흙(4)을 깔고 흙(4) 위에 돌망태(2)를 놓는다. 돌망태(2)는 이미 조성된 자갈층(3)의 기울기대로 자연스레 놓인다.
돌망태(2)는 육면체, 구체적으로는 축조작업성과 축조 후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형 철망에 굵은 자갈 또는 돌을 담아 봉한 것이다. 철망은 내식성과 인장강도가 우수한 철망이다. 돌망태(2)의 규격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기계에 의한 운반성, 축조작업성 등을 두로 감안할 때, 길이 150cm, 폭 50cm, 높이 50cm가 알맞다. 철망은 입을 오무려서 동여매서 기중기나 포크레인으로 들어올리기 편한 와이어 로우프를 가진 것이다. 자갈층(3)위 후반부에 10∼15cm 두께의 흙(4)을 깔고 여기다 생나무가지(5)를 가로로 꽂는다.
생나무가지(5)는 발근과 맹아력이 왕성한 수종이며, 이런 수목에는 버드나무류가 단연 으뜸간다. 길이 80cm, 지름 1.5cm 이상의 것이 적당하고 앞끝은 15cm 정도 겉으로 나오도록 가급적 깊숙이 꽂는다.
경사면(1)과 돌망태(2)의 이면 공간에 흙과 자갈이 섞인 양토(6)로 채워 다진다. 양토(6)는 기층 돌망태(2) 위로 약간 돌출되도록 보충해 다져서 이후에 심어지는 생나무가지가 2층 돌망태에 짓눌려 압사당하지 않도록 한다.
기층 돌망태(2) 위에 2층 생나무가지(5a)를 꽂고 2층 돌망태(2a)를 놓는다.
2층 돌망태(2a)는 앞 뒤 폭의 1/3 가량 후반부가 경사면(1)쪽으로 향하도록 기층 돌망태(2)와 같은 기울기로 비스듬히 놓는다. 경사면(1)과 2층 돌망태(2a) 사이에 양토(6)를 채우고 다진다. 이런 요령으로 최상위 돌망태(2n)까지 쌓은 후에 각 돌망태(2,2a,-n)에 다년생 초본류 종자와 인공토양 등의 접착제와 파이버 혼합물(7)을 부착한다. 인장력강화목적으로 사용하는 파이버는 시공 후에 경시적으로 자연부패되어 밑거름이 될 수 있는 천연 파이버가 바람직하다.
돌망태는 아주 강력한 세굴방지용 자재로서, 유실우려가 큰 지역에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돌망태만으로는 생물공학적 녹화를 이룰수 가 없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돌망태에 식물체를 혼합하여 죽은 돌망태를 살아숨쉬는 돌망태로 변경시키는 것이다.
생나무가지는 주수종과 부수종으로 구분하고 상황에 따라 혼합식재하면 조경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아래 표는 주수종과 부수종을 섞어서 심는 경우의 일례를 표시한다.
관: 관목류 버드나무 2종, 교: 교목류 버드나무1,2
녹화가 완료된 직후 부터 생나무가지는 왕성하게 성장하여 순식간에 돌망태를 뒤덮어 흉한 모습을 완전히 감출테고, 돌망태의 돌틈에는 파종한 초본류의 종자가 발아되어 번성하면서 건조무미한 환경에 적합한 식물만 남아 서서히 건조 비오톱을 조성하므로서 이후 더욱 효과적으로 녹화가 이뤄질 것으로 추정된다.
또, 돌망태의 돌틈과 거기서 자라는 초본류는 곤충 서식처를 제공하게 되므로 식재된 수종 이외의 다른 수종의 번식을 도모하는 등 생태적 가치를 높여준다.
육면체형 돌망태는 접지안정성이 높아 축조후에 튼튼한 경사면 보호막을 구축하게 되고, 식재한 생나무가지와 파종한 초본류 종자는 이후 성장과 생장하여 푸른 숲을 가꿔서 무생물체인 돌망태를 살아있는 돌망태로 바꿔서 조경효과를 갖게 하며, 이들 효과가 합쳐서 성토 경사면을 조기녹화하고, 이것이 항구적으로 존속되어 주변녹지와 자연스레 조화를 이뤄 푸른 숲으로 가꿀 있다. 푸른 숲은 결국 경사면의 유실방지에 기여하게 될 것임은 두 말할 필요도 없다.

Claims (1)

  1. 성토 경사면을 정지하고, 그 하단의 지면에 경사면 쪽으로 적당히 기운 자갈층을 조성하여 흙으로 덮고, 이 흙에 생나무가지를 꽂은 다음에 흙 위에 기층 돌망태를 올려놓고, 경사면과 기층 돌망태 사이의 공간에 기층 돌망태 보다도 약간 높게 보충하여 다지고, 양토에 2층 생나무가지를 꽂은 다음 양토 위에 계단식으로 2층 돌망태를 쌓고, 경사면과 2층 돌망태 사이에 양토를 보충하는 방법으로 최상위 지점까지 축조한 다음에 돌망태에 초본류종자를 접착제와 파이버 혼합물로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토 경사면의 녹화시공방법.
KR1019980019818A 1998-05-29 1998-05-29 성토 경사면의 녹화시공방법 KR100279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9818A KR100279284B1 (ko) 1998-05-29 1998-05-29 성토 경사면의 녹화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9818A KR100279284B1 (ko) 1998-05-29 1998-05-29 성토 경사면의 녹화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6706A true KR19990086706A (ko) 1999-12-15
KR100279284B1 KR100279284B1 (ko) 2001-01-15

Family

ID=65899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9818A KR100279284B1 (ko) 1998-05-29 1998-05-29 성토 경사면의 녹화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92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29623A (zh) * 2019-04-09 2019-07-19 广东水利电力职业技术学院(广东省水利电力技工学校) 一种连锁砌框内填植生袋绿化的仰斜式挡墙及其施工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29623A (zh) * 2019-04-09 2019-07-19 广东水利电力职业技术学院(广东省水利电力技工学校) 一种连锁砌框内填植生袋绿化的仰斜式挡墙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9284B1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03843B (zh) 防治干热河谷矿山排土场水土流失的植被配置方法
Evette et al. History of bioengineering techniques for erosion control in rivers in Western Europe
CN103362135B (zh) 防崩岗、护水土的网草护坡
Kraebel Erosion control on mountain roads
CN210031857U (zh) 一种生态路堤边坡构造
CN107165176A (zh) 一种加强崩岗沟口土谷坊或拦沙坝拦沙蓄水的方法
KR100279284B1 (ko) 성토 경사면의 녹화시공방법
JP4232960B2 (ja) 埋設固化層緑化工法
Schiechtl FAO watershed management field manual: vegetative and soil treatment measures
Andreu et al. Ecotechnological solutions for unstable slopes: Ground bio-and eco-engineering techniques and strategies
KR100279285B1 (ko) 경사면의 녹화시공방법
CN114215081B (zh) 一种露天矿山边坡生态修复施工方法
KR100279286B1 (ko) 경사면의 녹화시공방법
Osman et al. Soils on steep slopes
KR101152356B1 (ko) 흙 블록과 흙 블록 제작에 의해 생성된 토지를 활용하는 방법
Faiz et al. Climate resilient slope stabilization for transport infrastructures
Currie Designing and building bio-engineered structures
Elamon et al. Ecosystem-based Disaster Risk Reduction A Handbook For Practitioners
JP4520810B2 (ja) 裸地の植生復元方法
Yañez Schuster Slope Landscape Management Plan Revisited: A re-design plan for a steep slope restoration project in the Pacific Northwest
KR200172846Y1 (ko) 환경친화형 사면녹화대
KR100306392B1 (ko) 토사경사면의녹화공법
KR100547476B1 (ko) 인장재와 뿌리식물에 의한 성토사면에서의 식생지반보강공법
KR100892080B1 (ko) 식생 가능한 사면 보호공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구조물 및 시공 방법
JPS62182316A (ja) 法面緑化保護工における丸太伏せ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