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5236A - 목질배지가 충진된 초화 및 엽채류 목분재배용기와 양액재배용고형배지 - Google Patents

목질배지가 충진된 초화 및 엽채류 목분재배용기와 양액재배용고형배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5236A
KR19990085236A KR1019980017516A KR19980017516A KR19990085236A KR 19990085236 A KR19990085236 A KR 19990085236A KR 1019980017516 A KR1019980017516 A KR 1019980017516A KR 19980017516 A KR19980017516 A KR 19980017516A KR 19990085236 A KR19990085236 A KR 19990085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cultivation
medium
mesh
particle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0837B1 (ko
Inventor
방극수
박희준
Original Assignee
방극수
박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극수, 박희준 filed Critical 방극수
Priority to KR1019980017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0837B1/ko
Publication of KR19990085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8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2031/006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with means for recycling the nutritive solu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입도가 10 내지 200메쉬인 목분과 접착성수지를 중량비 60 대 40 내지 80 대 20으로 혼합한 후, 용기형상으로 성형 열압하여 제조된 재배용기에 입도가 10 내지 100메쉬인 또 다른 목분에 유기질 및 무기질 영양분을 흡착 숙성시킨 목질배지가 충진된 초화 및 엽채류 목질재배용기와,
입도가 10 내지 300메쉬인 목분과 천연접착제를 중량비 60 대 40 내지 80 대 20으로 혼합한 후, 평판형상으로 성형 열압하여 제조된 양액재배용 고형배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목질배지가 충진된 초화 및 엽채류 목분재배용기와 양액재배용 고형배지
본 발명은 목재폐기물을 활용한 초화 및 엽채류 재배용기와 여기에 충진될 목질배지, 그리고 양액재배용 고형배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톱밥, 대패밥 등과 같은 목재가공시 발생되는 부산물을 원재료로 하여 여러 형상의 재배용기 및 이에 충진될 식물필수영양소가 첨가된 목질배지 그리고 종래 암면배지를 대체할 수 있는 양액재배용 고형배지에 관한 것이다. 상기 초화 및 엽채류류 재배용기는 주로 관상초등 각종 초화 및 엽채류를 심어서 가꾸는 용도로 사용되는 용기이며, 목질배지는 상기 재배용기내에 충진되어 종자 또는 모종이 파종되어질 매체이며 기존의 배양토와 같은 기능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초화 및 엽채류 목질 재배용기는 내부에 목질배지가 포함된 용기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고형배지는 양액재배, 특히 암면재배에서 이용되는 농업용 암면(rockwool) 배지의 기능을 대체하는 배지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초화 및 엽채류 재배용기인 화분은 합성수지로서 성형하거나 점토등으로 빚어서 구워만든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화분은 보온 보습효과를 갖고 있지 못하여 내부에 충진된 배양토등이 쉽게 건조되고 배양토 온도가 외부기온에 따라 쉽게 변화되어 식물의 성장환경에 필요한 여러조건을 충분히 유지시켜 주기 힘들었으며, 특히 그 재질이 합성수지인 화분은 파손되면 그 폐기물을 처리하기 곤란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그 재질이 점토등인 화분은 외부충격에 쉽게 파손되는 등 강도가 우수하지 못하여 약한 내구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상기 종래의 재배용기 내부에 충진되는 재배용 배양토는 실내에서 관리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예를 들면, 미숙퇴비로 처리된 배양토가 사용되는 경우 악취 뿐만 아니라 각종 미생물의 오염으로 실내 위생상 큰 문제가 되었다.
본 발명자는 목질계 부산물이 보습 및 보온특성이 있으며, 목질계 부산물이 일정부피를 형성하면 큰 공극율을 가지고 있어 산소공급이 원활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영양생식에 필요한 식물필수영양분을 목질부산물에 흡착시킨다면 종래 배양토를 대체할 생육배지인 목질배지를 제조할 수 있음을 발명하였다. 또한, 상기 목질특성을 재배용기 제조시 응용한다면, 식물성장 환경에 적합한 재배용기를 제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목재폐기물 활용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인식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 목질특성은 양액재배에서 사용되는 암면을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일반적으로 암면재배라 함은, 토양질을 사용하지 않고 인공배지인 농업용 암면(rockwool)을 이용하여 배양액을 공급시켜 재배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상기 암면은 공극율이 95%내외이므로 수분이 과잉공급되면 배수가 불량하며 작물뿌리가 부폐하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특히 암면은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을 뿐 아니라, 암면은 토양중에 부폐되지 않으므로 폐기물처리에 많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자는 암면을 대체할 고형배지로서 톱밥등 목재부산물의 사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목질계 부산물과 전분접착제와 같은 천연산 접착제를 이용하여 공극율이 60% 내지 90% 내외인 양액 재배용 고형배지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목질계 부산물을 이용하여 초화 및 엽채류 재배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목질계 부산물을 이용하여 종래 배양토를 대체할 목질배지를 제공하는 것이며, 또 다른 목적은 목질계 부산물을 이용하여 종래 암면을 대체한 양액재배용 고형배지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목재폐기물을 유용하게 활용하는 것이다.
이하, 여러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1)
목질재배용기 제조
90% 이상 건조된 입도가 10 내지 100메쉬인 톱밥과 요소수지를 중량비 80 대 20으로 혼합한 후, 종래의 성형압체기를 이용하여 기존 화분형태로 성형하고 열압하여(압력: 40kgf/cm2, 온도: 150℃, 가공시간: 10분) 목질 재배용기를 제조하였다.
목질원료로는 톱밥 뿐 아니라 대패밥 또는 수피를 이용할 수 있으며, 10 내지 100 메쉬의 입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 혼합비율은 재배용기 전중량에 대하여 40%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상 접착제수지의 혼용은 환경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실시예 2)
90%이상 건조된 입도가 10 내지 200메쉬인 목재파티클과 페놀수지를 중량비 70 대 15으로 혼합한 후, 상기 실시예1의 열압조건으로 목질재배용기를 제조하였다.
접착제수지로는 요소수지 또는 페놀수지 등의 합성수지 접착제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분질등 천연접착제를 합성수지 접착제와 혼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목질 재배용기에 관한 것이며, 이에 의해 제조된 재배용기는 목질특성상 외부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충격강도가 높아지고, 보온보습효과를 가져오므로 내부에 충진된 토양 또는 이하에서 설명될 목질배지가 쉽게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적정습도를 유지시켜 주게 됨에 따라 식물의 생장에 적절한 최선의 조건을 부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목질특성이 또한 종래 배양토를 대체할 수 있음에 주목하였다.
(실시예 3)
재배용기내에 충진되는 목질배지 제조
90% 이상 건조된 입도가 10 내지 100메쉬인 목분에 고형 질소질, 인산질 및 칼리질의 영양분 3요소를 혼합하여 24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40℃내지 50℃에서 숙성하였다. 그후 상온에서 고형 무기질 영양분을 첨가하고 다시 40℃ 내지 50℃에서 하루이상을 재숙성하여 목질배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무기질 영양분은 황, 마그네슘, 칼슘파우더 및 망간, 철 및 붕소파우더를 포함한다. 숙성과정중 약간의 물을 첨가하여 목분에 의한 영양분의 흡착을 향상시킬 수도 있으나,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 아니다.
이상과 같이 10 내지 100메쉬의 목분으로 목질배지를 제조하여 일정공간에 무리하지 않게(통상 종래의 토양토를 충진하는 경우와 같이) 충진하는 경우 공극율은 약 30%내외로 유지될 수 있으며 산소공급 정도에도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자는 실시예 3에 의해서 목질분으로 톱밥을 이용하였으나 10 내지 100메쉬 입도를 가지는 전제하에서는 그외 목질원료도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식물 영양분은 상용화된 비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목질계 원료는 사전에 살균처리단계를 행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질배지를 실시예 1 또는 2에서 제조된 초화 및 엽채류 재배용기에 충진한 초화 및 엽채류 목분 재배용기를 본 발명의 특징으로 청구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자는 양액재배에 이용되는 암면(rockwool)을 대체할 양액재배용 고형배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양액재배용 고형배지
95% 이상 건조된 입도가 10내지 200메쉬인 톱밥과 액상인 전분질 접착제를 중량비로 70 대 30으로 혼합하여, 두께 7.5mm, 폭 20mm의 양액재배용 배지를 성형한 후, 열압(압력 : 30kgf/cm2, 온도 :35℃, 열압가공경과시간 : 24시간)하여 고형배지를 완성하였다. 상기 톱밥은 목질계분을 대표하는 것으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종류의 목분을 혼합사용할 수 있다. 전분질접착제는 천연접착제를 대표하는 것이며,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접착제 비율이 40% 이상을 넘지 아니하는 것이며, 또한 10% 이상이어야 한다. 목질분입도는 최소 10, 최대 300의 범위내에 있어야 한다.
상기 고형배지의 절단 공극율은 50% 내외로 유지되며, 열압조건에 따라 또는 톱밥입도에 따라 조정될 수도 있다. 상기 공극율 50%는 암면 공극율 95%내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공극비율이라고 평가된다.
실시예 4의 양액재배용 배지는 정식재배용 뿐 아니라 이식재배용으로도 활용가능하다. 여기서 정식재배란 종자를 파종한 상태에서 성장추수하기까지 식물이 한자리에서 자라나게 하는 것을 말하며, 이식재배는 종자를 파종하여 새순이 발아한 후 어느정도까지 자란상태에서 다른자리로 옮겨심는 것을 의미하고, 통상 고추, 가지 토마토 등의 과채류는 이식재배하며 고구마, 당근 등의 근채류는 정식재배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고형배지는 자연친화적인 목질 및 천연접착제로 제조되었으므로 배지상에 발아된 새순만을 별도로 이식하는 것이 아니고 고형배지 자체를 이식할 수 있어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자는 상기 실시예의 기술을 통하여 목질 폐기물을 이용한 초화 및 엽채류 재배용기와 여기에 충진될 목질배지를 상세히 설명하였고, 또한 목질 폐기물을 응용한 양액재배용 고형배지를 설명하였다.
상기 초화 및 엽채류 목분 재배용기 및 양액재배용 고형배지는 순수한 천연자원으로 제조 성형되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보온보습 및 적정공극율을 제공함에 따라 최적의 식물성장조건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목분으로 제조된 양액재배용 고형배지는 이식재배하는 경우 직접 토양에 배지자체를 옮겨 재배함이 가능하여 노동력 절감을 통한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종래 양액재배용 암면은 전량 외국에서 수입되는 실정이어서 본 발명에 의한 양액재배용 고형배지는 수입대체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Claims (4)

  1. 입도가 10 내지 200메쉬인 목분과 접착성수지를 중량비 60 대 40 내지 80 대 20으로 혼합한 후, 용기형상으로 성형 열압하여 제조된 재배용기에 입도가 10 내지 100메쉬인 또 다른 목분에 유기질 및 무기질 영양분을 흡착 숙성시킨 목질배지가 충진된 초화 및 엽채류 목질재배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수지는 요소수지 또는 페놀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화 및 엽채류 목질재배용기.
  3. 입도가 10 내지 300메쉬인 목분과 천연접착제를 중량비 60 대 40 내지 80 대 20으로 혼합한 후, 평판형상으로 성형 열압하여 제조된 양액재배용 고형배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접착제는 전분질계 또는 단백질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재배용 고형배지.
KR1019980017516A 1998-05-15 1998-05-15 목질배지가충진된초화및엽채류목분재배용기와양액재배용고형배지 KR100370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516A KR100370837B1 (ko) 1998-05-15 1998-05-15 목질배지가충진된초화및엽채류목분재배용기와양액재배용고형배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516A KR100370837B1 (ko) 1998-05-15 1998-05-15 목질배지가충진된초화및엽채류목분재배용기와양액재배용고형배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236A true KR19990085236A (ko) 1999-12-06
KR100370837B1 KR100370837B1 (ko) 2003-03-28

Family

ID=37416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516A KR100370837B1 (ko) 1998-05-15 1998-05-15 목질배지가충진된초화및엽채류목분재배용기와양액재배용고형배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08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1988A (ko) 2017-02-06 2018-08-17 이영주 재배공이 형성된 배지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0837B1 (ko) 200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56551C2 (ru) Конструкции субстратов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на основе мха sphagnum и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CN101356889B (zh) 用于栽植蓝莓的专用培养土及其制备方法
Kitir et al. Peat use in horticulture
Aklibasinda et al. Effects of different growing media on Scotch pine (Pinus sylvestris) production.
CN101297629A (zh) 一种植物生长容器的制作及栽培方法
MX2013003809A (es) Medio de crecimiento de plantas.
CN106831206A (zh) 一种供农作物幼苗发育的凹凸棒营养土及其制备方法
CN106888851B (zh) 机插水稻无盘育秧营养基质育秧板及育秧方法
CN102187777A (zh) 植栽土壤及其制备方法
CN104303857A (zh) 一种利用轻型基质培育油茶嫁接扦插苗的方法
EP1207741B1 (en) A substrate for growing seedling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blocks on which to grow seedlings
Sachin et al. Use of alternative growing media in ornamental plants
CN111972257A (zh) 一种可塑性园艺栽培基质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972254A (zh) 一种利用蔬菜秸秆堆肥生产育苗基质的方法
CN107409833A (zh) 一种可降解种植容器的制备方法
CN104446757A (zh) 一种含发酵木屑的轻型基质及其制备方法
KR20130068290A (ko) 화단용 국화의 식재를 위한 매트 시스템
KR101548212B1 (ko) 작물 재배용 배양토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작물의 재배 방법, 상기 배양토 조성물을 포함하는 재배포트, 벽면 녹화 유닛, 유기질 비료, 펠렛 연료 및 상기 배양토 조성물을 사용한 재배포트의 제조 방법.
KR100989552B1 (ko) 식물 재배용 포트
KR100370837B1 (ko) 목질배지가충진된초화및엽채류목분재배용기와양액재배용고형배지
PL231010B1 (pl) Podłoże do bezglebowej uprawy roślin
CN105123313A (zh) 一种可降解花盆
CN1821185A (zh) 粒状培养土
GB2269378A (en) Fibrous growth media
PL236220B1 (pl) Biodegradowalna doniczka do hodowli rośl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