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4796A - User interface device of wireless terminal with touch screen - Google Patents

User interface device of wireless terminal with touch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4796A
KR19990084796A KR1019980016798A KR19980016798A KR19990084796A KR 19990084796 A KR19990084796 A KR 19990084796A KR 1019980016798 A KR1019980016798 A KR 1019980016798A KR 19980016798 A KR19980016798 A KR 19980016798A KR 19990084796 A KR19990084796 A KR 19990084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wireless terminal
keyboard
flip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67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60751B1 (en
Inventor
류경윤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6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0751B1/en
Publication of KR19990084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47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751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e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ngs.

구비한 무선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a user interface of a wireless terminal provided.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I. The technical problem that the invention is trying to solve.

키 입력과 자동 다이얼링이 용이한 무선단말기를 구현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terminal that facilitates key input and automatic dialing.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All. Summary of the Solution of the Invention.

무선단말기의 플립에 터치스크린을 설치하고, 터치스크린에 표시할 자판을 다수 개로 나누어 필요에 의해 표시하며, 플립을 열었을 경우 이름과 전화번호로 구성된 전화번호부를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전화번호나 상기 이름이 터치되면 자동 다이얼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stall the touch screen on the flip of the wireless terminal, divide the number of keyboards to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o display as necessary, if the flip is opened, the phone book consisting of the name and phone number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he phone number When the name is touched, the auto dial function is performed.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la. Important use of the invention.

휴대폰과 같은 무선단말기 등에 이용된다.It is used in wireless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무선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User interface device of wireless terminal with touch screen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사용한 무선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상에 많은 자판을 효율적으로 표시하고, 자동 다이얼 기능을 쉽게할 수 있는 무선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interface of a wireless terminal using a touch scre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er interface device of a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efficiently displaying a large number of keyboards on a touch screen of a wireless terminal and facilitating an automatic dialing function.

통상적으로, 터치스크린을 사용한 무선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살펴보면 터치스크린의 장점을 살리기 위하여 기존의 키입력부와 액정표시부(Liquid Crystal Display)로 이루어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대신하여 터치스크린으로 데이터를 표시하고 데이터를 입력받았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무선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가 증가되면서 다수의 데이터 입력을 요구하게되고, 입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터치스크린에 좀더 많은 자판의 표시가 필요하게 되었다. 더욱이 무선단말기가 단순히 무선단말기 기능뿐 아니라 전자수첩 기능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동작시키려면 좀더 많은 자판의 표시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요구에도 불구하고, 무선단말기는 소형화되면서 터치스크린의 크기도 작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무선단말기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부에 입력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려면 여러 번의 동작을 통해서 원하는 전화번호를 찾고 다이얼링을 수행함으로써 번거롭게 여러 번 동작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when looking at the user interface of a wireless terminal using a touch screen,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the touch screen, the data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data is entered instead of the user interface consisting of a conventional key input unit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unit. received. However, this method requires a plurality of data inputs due to an increase in data services of wireless terminals, and it is necessary to display more keyboards on the touch screen to facilitate the input. Moreover, in order to operate not only a wireless terminal function but also various functions such as an electronic notebook function, more keyboard display is required. However, in spite of these demand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ize of the touch screen is also reduced as the wireless terminal becomes smaller. In order to make a call to a phone number input to a phone book using a conventional wireless terminal, there is a problem that a cumbersome operation must be performed by searching for a desired phone number through multiple operations and performing dialing.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립 부분에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무선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interface device of a wireless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on the flip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스크린에 표시할 자판을 다수 개로 나누어 필요에 의해 표시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무선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interface device of a wireless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for dividing into a plurality of keyboards to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s need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플립을 열었을 때에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초기 화면에 이름과 전화번호로 구성된 전화번호부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무선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interface device of a wireless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that displays a phone book composed of a name and a phone number on an initial scree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when a user opens a flip.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이 세로축 방향 혹은 가로축 방향으로 표시가 가능한 무선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interface device of a wireless terminal in which a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can be displayed in a vertical axis direction or a horizontal axis direction.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의 상부 하우징 윗면 상단에 위치한 액정표시부와, 상기 액정표시부 하단에 위치한 제 1 터치스크린과, 상기 제 1 터치스크린을 덮는 플립의 안쪽 면에 위치한 제 2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표시부와, 다수의 자판 데이터와, 상기 자판들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적응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이름과 전화번호로 구성된 전화번호부와 일반적인 무선전화기의 키패드를 나타내는 키패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와 상기 터치스크린과 상기 액정표시부에 연결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조작을 감지하여 상기 자판들을 적응적으로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며, 프로그램 수행에 따른 표시 데이터와 무선단말기의 상태를 액정표시부에 표시하고, 플립이 열림과 동시에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상기 키패드와 상기 전화번호를 표시하며, 가로축으로 표시 명령이 있으면 표시부를 통하여 가로축 방향으로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이름 또는 전화번호가 터치되면 자동 다이얼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quid crystal display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an upper housing of a wireless terminal, a first touch screen positioned on a lower sid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and an inner surface of a flip covering the first touch screen. A display unit composed of a second touch screen, a plurality of keyboard data, a program for adaptively displaying the keyboards on the touch screen, a phone book composed of a name and a telephone number, and keypad data representing a keypad of a general wireless telephone. A memory to be stored, and connected to the memory, the touch screen,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to detect an operation from the touch screen to adaptively display the keyboards on the touch screen, and display data according to a program execu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The status is displayed on the LCD, and the flip is opened And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the keypad and the phone number on the touch screen, displaying display data in the horizontal axis direction if there is a display command in the horizontal axis, and performing an automatic dialing function when the name or the phone number is touched. It is characterized b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초기화면3 is an initial screen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메뉴화면4 is a menu screen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메뉴화면5 is a menu screen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한글 자판 화면6 is a Hangul keyboard display of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영문 자판 화면7 is an English keyboard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계산기 자판 화면8 is a calculator keyboard screen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다른 영문 자판 화면9 is another English keyboard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무선단말기 110 : 액정표시부100: wireless terminal 110: liquid crystal display

120 : 제 1 터치스크린 130 : 제 2 터치스크린120: first touch screen 130: second touch screen

140 : 안테나 150 : 스피커140: antenna 150: speaker

160 : 상부 하우징 170 : 하부 하우징160: upper housing 170: lower housing

180 : 마이크 190 : 플립180: microphone 190: flip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specific details appea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ich is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matters. Will be self-eviden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무선단말기 100은 상부 하우징 160과 하부 하우징 170으로 구성된 본체와, 상기 상부 하우징 160의 하단에 도시하지 않은 지지암으로 연결되어 개폐되는 플립 190과, 상기 상부 하우징 160의 윗면 상단에 위치한 스피커 150과, 상기 스피커 150의 하단에 위치한 액정표시부 110과, 상기 액정표시부 110의 하단에 위치한 제 1 터치스크린 120과, 상기 제 1 터치스크린 120 하단에 위치한 마이크 180과, 상기 플립 190의 안쪽 면에 위치한 제 2 터치스크린 130과, 상기 상부 하우징 160과 하부 하우징 170의 우측 상단에 연결된 안테나 140으로 구성된다.The wireless terminal 100 includes a main body consisting of an upper housing 160 and a lower housing 170, a flip 190 connected to and opened by a support arm (not shown)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housing 160, a speaker 150 loc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160, A liquid crystal display 110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peaker 150, a first touch screen 120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110, a microphone 180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touch screen 120, and a second located at an inner side of the flip 190. The touch screen 130 includes an antenna 140 connected to an upper right side of the upper housing 160 and the lower housing 17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터치스크린 120과 상기 제 2 터치스크린 130이 동등한 크기를 가지고 있으나 다르게도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터치스크린 120과 상기 제 2 터치스크린 130은 본 발명에 따른 각종 표시 데이터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 1 터치스크린 120과 상기 제 2 터치스크린 130은 무선단말기의 키패드가 담당하는 키 값의 입력과 프로그램의 수행에 따른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는 동작을 한다. 상기 액정표시부 110은 무선단말기 100의 상태와 프로그램 수행에 따른 표시 데이터를 표시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touch screen 120 and the second touch screen 130 have the same size but may be implemented differently. The first touch screen 120 and the second touch screen 130 display various display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first touch screen 120 and the second touch screen 130 operate to display a display data according to the input of a key value of the keypad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The liquid crystal display 110 displays the state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display data according to program execu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 200은 무선단말기 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 2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제 1 터치스크린 120과 제 2 터치스크린 130으로 이루어진 터치스크린용 표시부 240은 제어부 200의 제어를 받아 동작한다. 램 220은 제어부 200에 의해 무선단말기 100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상기 롬 210은 도 3에 나타난바와 같은 전화번호부와 일반적인 무선단말기의 키패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롬 210은 바둑판 메뉴와, 상기 메뉴에 나타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무선단말기 100의 상태를 표시하는 데이터와, 한글 자판 데이터와, 영문 자판 데이터와, 계산기 자판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롬 210은 상기 터치스크린용 표시부 240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상기 바둑판식 메뉴는 예로서 도 4에 나타남과 같이 전화번호부, 계산기, 워드, 메모장, 사전, 통신, 달력, 스케줄, 단말기 설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액정표시부 110에는 현재 이용중인 메뉴에 대한 표시가 이루어지며, 프로그램 수행 시에는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을 표시한다. 전송용 콘넥터 230은 외부 기기와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부 250은 제어부 200에 의해 제어되며, 마이크 180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조하고, 수신부 260을 통해 수신한 무선 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 150을 통해 음성 신호로 출력한다. 또한 수신부 260은 제어부 200의 제어를 받아 듀플렉서 270으로부터 출력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송신부 280은 오디오부 250으로부터의 변조된 무선 신호를 듀플렉서 270으로 송신한다. 듀플렉서 270은 안테나 140을 통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여 송신부 280으로부터의 신호가 안테나 140을 통해 기지국으로 송출되도록 한다. 듀플렉서 270은 안테나 140을 통해 수신한 신호가 수신부 260으로 수신되도록 한다.The controller 2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200 performs a user interface function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creen display unit 240 including the first touch screen 120 and the second touch screen 130 oper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0. The RAM 220 stores data input and output and various data processed when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is performed by the controller 200. In particular, the ROM 210 stores data indicating a phone book and a keypad of a general wireless terminal as shown in FIG. 3. Also, the ROM 210 stores a checkerboard menu, a program for performing an operation shown in the menu, data indicating a state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Korean keyboard data, English keyboard data, and calculator keyboard data. The ROM 210 stores a program for performing a user interface function using the display unit 240 for the touch screen. The tiled menu may be made of a phone book, a calculator, a word, a memo pad, a dictionary, a communication, a calendar, a schedule, a terminal setting, and the like as shown in FIG. 4. The LCD 110 displays a menu currently being used, and displays the progress of the program when the program is executed. The transmission connector 23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by connecting to an external device. The audio unit 25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200, modulates a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180 into a wireless signal, demodulates the wireles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260, and outputs the voice signal through the speaker 150. In addition, the receiver 260 receives a radio signal output from the duplexer 27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0. The transmitter 280 transmits the modulated radio signal from the audio unit 250 to the duplexer 270. The duplexer 270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antenna 140 to transmit a signal from the transmitter 280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antenna 140. The duplexer 270 allows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140 to be received by the receiver 260.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초기화면이다.3 is an initial screen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메뉴 화면이다.4 and 5 are menu screens of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한글 자판 화면이다.6 is a Hangul keyboard display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영문 자판 화면이다.7 is an English keyboard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계산기 자판 화면이다.8 is a calculator keyboard screen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다른 영문 자판 화면이다.9 is another English keyboard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 ~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기 100은 액정표시부 110과, 제 1 터치스크린 120과, 제 2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다. 사용자가 상기 무선단말기 100을 사용하기 위하여 무선단말기 100의 플립 190을 열면, 도 1에 도시됨과 같은 모양을 하게된다. 이때 제어부 200은 액정표시부 110과, 제 1 터치스크린 120과, 제 2 터치스크린 130을 통해 도 3에 나타남과 같이 표시하게 한다. 액정표시부 110은 현재 시간, 베터리 상태, 수신 가능 등의 무선단말기 100의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제 1 터치스크린 120은 도 3에 표시된 것과 같이 기존의 무선단말기 키패드와 같은 자판을 표시하게된다. 또 제 2 터치스크린 130은 도 3에 표시됨과 같이 전화번호부를 표시하게된다. 상기 전화번호부는 도 3에 나타남과 같이 이름과 그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로 구성된다. 제어부 200은 상기 제 2 터치스크린 130에 표시된 이름이나 전화번호가 터치되면, 해당 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 한다. 또 제어부 200은 제 1 터치스크린 120에 표시된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전화번호의 값에 따라서 수동으로 다이얼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1 to 9,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The wireless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user interface including a liquid crystal display 110, a first touch screen 120, and a second touch screen. When the user opens the flip 190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in order to use the wireless terminal 100, the shape is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00 displays the liquid crystal display 110, the first touch screen 120, and the second touch screen 130 as shown in FIG. 3. The liquid crystal display 110 displays the state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such as a current time, a battery state, and a reception possibility. As shown in FIG. 3, the first touch screen 120 displays a keyboard, such as a keypad of a conventional wireless terminal. In addition, the second touch screen 130 displays a phone book as shown in FIG. 3. The phone book is composed of a name and a corresponding phone number as shown in FIG. When the name or the phone number displayed on the second touch screen 130 is touched, the controller 200 automatically dials the corresponding number. In addition, the controller 200 may manually perform a dialing operation according to a value of a telephone number input through a keypad displayed on the first touch screen 120.

만일 사용자가 무선단말기를 전화기로 사용하지 않고, 기타의 동작을 수행하려면, 사용자는 제 1 터치스크린 120의 상단에 위치한 "MENU" 버튼을 터치한다. 이때 제어부 200은 제 1 터치스크린 120에서 터치된 영역의 값이 "MENU"를 나타내는 값이면, 도 4에 나타남과 같은 메뉴를 액정표시부 110과, 제 1 터치스크린 120과, 제 2 터치스크린 130에 표시한다. 제어부 200은 액정표시부 110을 통해 메뉴의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제 1 터치스크린 120과 제 2 터치스크린 130을 통해 메뉴를 표시한다. 상기 메뉴는 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계산기, 워드, 메모장, 사전, 통신, 달력, 가로축으로 표시, 단말기 설정 등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워드"라는 메뉴를 선택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제어부 200은 롬 210에 저장된 해당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도 5에 나타남과 같이 표시한다. 제어부 200은 액정표시부 110을 통해 프로그램의 메뉴를 표시하고, 기타 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표시 데이터를 표시한다. 제어부 200은 제 1 터치스크린 120과 제 2 터치 스크린 130을 통해 "워드" 메뉴의 하위 메뉴를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가 문서를 작성하기 위하여 "작성"이라는 메뉴를 선택했다고 가정하면, 제어부 200은 액정표시부 110과, 제 1 터치스크린과, 제 2 터치스크린을 통해 도 6에 나타남과 같이 한글 자판을 표시한다. 이때 액정표시부 110은 제 1 터치스크린 120과 제 2 터치스크린 130을 통해 터치된 값에 해당하는 문자를 표시한다. 문서 작성 중 사용자가 한글 자판을 영문 자판으로 바꾸길 원하면, 사용자는 제 2 터치스크린 130의 하단 오른편에 표시된 것과 같은 기 설정된 한영 변환 표식을 터치하면 된다. 이때 제어부 200은 상기 한영 변환 표식에 해당하는 영역이 터치되면 도 7에 나타남과 같이 영문 자판을 표시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 200은 도 4의 메뉴에서 "계산기" 메뉴가 선택되면, 제 1 터치스크린 120과 제 2 터치스크린 130을 통해 도 8에 나타난 것과 같이 계산기 자판을 표시한다. 또한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어부 200은 도 4의 "가로축으로 표시"에 해당하는 영역이 터치되면 도 9에 나타남과 같이 영문 자판을 가로축으로 표시한다. 마찬가지로 도 6의 한글자판과 도 8의 계산기 자판도 도 9와 같이 자판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액정표시부 110에 표시되는 표시 데이터도 가로축으로 표시할 수 있다.If the user does not use the wireless terminal as a telephone and performs other operations, the user touches the "MENU" button located at the top of the first touch screen 120. In this case, if the value of the area touched on the first touch screen 120 is “MENU,” the controller 200 displays a menu as shown in FIG. 4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110, the first touch screen 120, and the second touch screen 130. Display. The controller 200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a menu state through the liquid crystal display 110, and displays a menu through the first touch screen 120 and the second touch screen 130. The menu may be configured, for example, a phone book, a calculator, a word, a memo pad, a dictionary, a communication, a calendar, a horizontal axis display, a terminal setting, and the like. Assume that the user selects a menu called "word". Then, the controller 200 executes the corresponding program stored in the ROM 210 and displays the same as shown in FIG. 5. The controller 200 displays a menu of a program through the liquid crystal display 110, and displays display data necessary for performing other programs. The controller 200 displays a submenu of the “word” menu through the first touch screen 120 and the second touch screen 130. 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the user selects a menu called “Create” to create a document. The controller 200 displays the Korean keyboard as shown in FIG. 6 through the liquid crystal display 110, the first touch screen, and the second touch screen. . In this case, the liquid crystal display 110 displays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value touched through the first touch screen 120 and the second touch screen 130. If the user wants to replace the Hangul keyboard with the English keyboard while writing the document, the user may touch a preset Han-Young conversion marker as shown on the bottom right of the second touch screen 130. In this case, whe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Korean-English conversion mark is touched, the controller 200 displays an English keyboard as shown in FIG. 7. In addition, when the “calculator” menu is selected in the menu of FIG. 4, the controller 200 displays the calculator keyboard as shown in FIG. 8 through the first touch screen 120 and the second touch screen 130. 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when the area corresponding to “display on the horizontal axis” of FIG. 4 is touched, the controller 200 displays the English keyboard on the horizontal axis as shown in FIG. 9. Similarly, the Korean keyboard of FIG. 6 and the calculator keyboard of FIG. 8 may display keyboards as shown in FIG. 9. In addition, the display data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110 may be displayed on the horizontal axis.

상기 한글 자판과, 영문 자판, 계산기 자판은 프로그램의 수행에 의해 적응적으로 터치스크린용 표시부 24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 200은 상기 자판 중 하나를 선택하여 터치스크린용 표시부 240에 표시하는 명령어가 발생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용 표시부 240에 상기 선택한 자판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6의 제 2 터치스크린 130의 오른쪽 하단에 위치한 "한영" 변환키 혹은 사용자가 메뉴에서 계산기를 터치함에 따라서 한글 자판 또는 영문 자판 혹은 계산기 자판을 표시한다. 또한 프로그램 수행에 따라서 터치스크린용 표시부 240은 액정표시부 110과 같은 역할로서, 프로그램의 진행과 메뉴의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The Korean keyboard, the English keyboard, and the calculator keyboard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for the touch screen adaptively by executing the program. That is, the controller 200 selects one of the keyboards and displays the selected keyboard on the touch screen display 240 when a command for displaying the touch screen 240 is generated. For example, a Korean-English conversion key located at the lower right of the second touch screen 130 of FIG. 6 or a Korean keyboard, an English keyboard, or a calculator keyboard is displayed as the user touches the calculator on the menu. In addition, as the program is executed, the display unit 240 for the touch screen plays the same role as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10 and displays the progress of the program and the menu state.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단말기의 플립 안쪽 면에 터치스크린을 더 구비하고, 한글 자판과, 영문 자판, 계산기 자판을 적응적으로 표시하고 가로축으로 표시가 가능하여 데이터의 입력이 용이하며, 플립을 열었을 때 일반 무선단말기의 키패드와 전화번호부를 함께 표시하여 자동 다이얼 기능의 동작을 용이하게 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 touch screen is further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flip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Hangul keyboard, the English keyboard, and the calculator keyboard can be displayed adaptively, and the horizontal axis can be used to easily input data. There is an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autodial function by displaying the keypad and the phone book of the general wireless terminal together.

Claims (14)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플립형 무선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In the user interface device of the flip type wireless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상부 하우징 윗면에 위치한 제 1 터치스크린과,A first touch screen located on the upper housing; 상기 제 1 터치스크린을 덮는 상기 플립과,The flip cover covering the first touch screen; 상기 플립의 안쪽 면에 위치한 제 2 터치스크린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And a second touch screen positioned on an inner side of the flip.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부 하우징 윗면, 상기 제 1 터치스크린 상단에 액정표시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And a liquid crystal display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and an upper end of the first touch screen.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플립형 무선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In the user interface device of the flip type wireless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다수의 자판 데이터를 저장한 메모리와,Memory that stores a lot of keyboard data, 상기 다수의 자판 데이터 중에 특정 자판을 표시하는 값이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특정 자판을 독출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And a controller for reading a specific keyboard stored in the memory and displaying the specific keyboard on the touch screen when a value indicating a specific keyboard is input among the plurality of keyboard data.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자판 데이터는 한글 자판 데이터와, 영문 자판 데이터와, 계산기 자판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And a plurality of keyboard data stored in the memory are Korean keyboard data, English keyboard data, and calculator keyboard data.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터치스크린은,The touch screen, 무선단말기의 상부 하우징 윗면에 위치한 제 1 터치스크린과,A first touch screen loc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of the wireless terminal, 상기 제 1 터치스크린을 덮는 플립의 안쪽 면에 위치한 제 2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And a second touch screen position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lip cover that covers the first touch screen.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메모리는 이름과 전화번호로 구성된 전화번호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더 저장하고,The memory further stores data representing a phone book consisting of a name and a phone number, 상기 제어부는 플립을 열었을 때,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상기 전화번호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And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phone book through the touch screen when the flip is opened.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메모리는 일반적인 무선단말기의 키패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더 저장하고,The memory further stores data representing a keypad of a general wireless terminal, 상기 제어부는 플립을 열었을 때,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상기 키패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And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keypad through the touch screen when the flip is opened.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무선단말기는 상기 제 1 터치스크린 상단에 액정표시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The wireless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liquid crystal display on the top of the first touch screen.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화번호부의 이름 혹은 이름에 해당하는 전화번호 영역을 터치하면, 상기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And the controller automatically dials the telephone number when the telephone number area corresponding to the name or name of the telephone book is touched. 무선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In the user interface device of the wireless terminal, 표시부와,With display part, 가로축으로 표시하는 특정 값이 입력되면, 표시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가로축으로 표시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And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the display data on the horizontal axis through the display unit when a specific value displayed on the horizontal axis is input.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표시부는 액정표시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And the display unit is a liquid crystal display.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표시부는 터치스크린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And the display unit is a touch screen.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표시부는 터치스크린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The display unit further comprises a touch screen. 제 12 항 또는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상기 터치스크린은,The touch screen, 상부 하우징 윗면에 위치한 제 1 터치스크린과,A first touch screen located on the upper housing; 상기 제 1 터치스크린을 덮는 플립의 안쪽 면에 위치한 제 2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And a second touch screen position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lip cover that covers the first touch screen.
KR1019980016798A 1998-05-11 1998-05-11 User interface apparatus of wireless telephone set having touch screen KR1002607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798A KR100260751B1 (en) 1998-05-11 1998-05-11 User interface apparatus of wireless telephone set having touch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798A KR100260751B1 (en) 1998-05-11 1998-05-11 User interface apparatus of wireless telephone set having touch scre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4796A true KR19990084796A (en) 1999-12-06
KR100260751B1 KR100260751B1 (en) 2000-07-01

Family

ID=19537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6798A KR100260751B1 (en) 1998-05-11 1998-05-11 User interface apparatus of wireless telephone set having touch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075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016A (en) * 2001-04-17 2002-10-26 주식회사 로코스텍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method for installation thereof
KR101480451B1 (en) * 2007-12-14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having virtual keyboard converting function and converting method theref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016A (en) * 2001-04-17 2002-10-26 주식회사 로코스텍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method for installation thereof
KR101480451B1 (en) * 2007-12-14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having virtual keyboard converting function and converting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0751B1 (en) 200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3783A (en) Portable terminal
KR100540517B1 (en) Dual operating communication device
KR017598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istent user interface in a multiple application rersonal communications device
JPH11143604A (en) Portable terminal equipment
JPH0965436A (en) Portable terminal equipment
JP2007036544A (en) Portable terminal
JP3379476B2 (en) Mobile terminal with display
KR100334796B1 (en) Keypad device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ouch-screen
KR100238130B1 (en) United hand-held radio terminal with hand-held telephone and hand-held information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KR100260751B1 (en) User interface apparatus of wireless telephone set having touch screen
US7106857B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JP2000236376A (en) Portable telephone device
KR100312525B1 (en) Method for implementing user menu in portable telephone
KR100367550B1 (en) Folder type portable telephone with two displays
KR100744311B1 (en)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1268185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228906Y1 (en) Folder type portable telephone with two displays
KR100690292B1 (en)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using soft keyboard i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303300B1 (en) Method for displaying big dial number of mobile wireless phone
KR20040048496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and Thereof Operation Method
KR20030015472A (en) System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personal portable terminal wiht communication functionality
KR100806502B1 (en) Function menu search method through character input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JPH08181749A (en) Portable radio equipment
KR100360872B1 (e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KR1006300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key input interfa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