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4311B1 -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4311B1
KR100744311B1 KR1020010049266A KR20010049266A KR100744311B1 KR 100744311 B1 KR100744311 B1 KR 100744311B1 KR 1020010049266 A KR1020010049266 A KR 1020010049266A KR 20010049266 A KR20010049266 A KR 20010049266A KR 100744311 B1 KR100744311 B1 KR 100744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d
input
input signa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2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15503A (en
Inventor
최재구
김향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9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4311B1/en
Publication of KR20030015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5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3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 입력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표시부와, 메뉴 선택을 위한 메뉴 기능 영역과 터치 드래그 입력에 따라 데이터를 제공하는 상하좌우 방향키 기능영역을 구비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전용 영역들을 포함하는 터치패드와, 상기 터치 패드에서 수행하는 기능과 중첩되지 않는 기능들을 수행하는 키들로 구성된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와 상기 터치 패드의 조작으로 인해 입력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화면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two dedicated areas including a display unit, a menu function area for menu selection, and up, down, left and right arrow key function areas for providing data according to a touch drag inpu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keypad comprising a touch pad, keys configured to perform functions that do not overlap with a function performed by the touch pad, and when an input signal is transmitted due to manipulation of the keypad and the touch pad,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is displayed. It is comprised by the control part which controls to display on a display part.

이동통신 단말기, 터치패드, 터치 및 터치 드래그Mobile terminal, touchpad, touch and touch drag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 입력 장치 및 방법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Mobile terminal input device and method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터치 패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2 is a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a touch pad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입력 제어 흐름도.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nput control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put device and method.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표적인 일 예인 휴대폰은 단순한 통화기능을 넘어서 100여 개의 전화번호들과 전화번호들에 대응된 사용자 이름들을 기억하는 전화번호부 기능을 가지며, 사용자가 입력한 중요 일정을 저장 및 관리하는 일정관리 기능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단문메시지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도 제공하고 있다. 요즈음에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조된 복합 무선 단말기 형태로 개발되어 감에 따라 화상 처리에 관련한 기능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도 등장하고 있다. The mobile phone,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phone book function that stores more than 100 phone numbers and user names corresponding to the phone numbers, beyond a simple call function, and stores and manages important schedules input by a user. It provides services such as management functions. It also provides a short message service (SMS). In recent years,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veloped as a complex wireless terminal emphasizing a multimedia func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 function service related to image processing has also emerged.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표시창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또한 많은 기능이 추가되고 있는 반면 단말기의 크기는 한정적(소형화 추세)이므로 메뉴를 선택을 할 수 있는 기능키(방향키 등)의 크기 또한 소형화될 수 없는 실정이다. 그에 따라 키 버튼 크기의 한계가 드러나고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해 작은 기능키를 사용하는 것이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었다.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s a multimedia service, the size of the display window increases and many functions are added. However, since the size of the terminal is limited (miniaturization trend), a function key (direction key, etc.) for selecting a menu is available. The size of the also can not be miniaturized. As a result, the limitation of the key button size is revealed, and the use of a small function key to select a desired menu has caused inconvenience to user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put device and method that can eliminate the inconvenience in use as described above.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표시부와, 메뉴 선택을 위한 메뉴 기능 영역과 터치 드래그 입력에 따라 데이터를 제공하는 상하좌우 방향키 기능영역을 구비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전용 영역들을 포함하는 터치패드와, 상기 터치 패드에서 수행하는 기능과 중첩되지 않는 기능들을 수행하는 키들로 구성된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와 상기 터치 패드의 조작으로 인해 입력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화면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put device, at least two dedicated areas having a display unit, a menu function area for menu selection and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 key function area for providing data according to the touch drag input A keypad including a touch pad including a touch pad, keys configured to perform functions not overlapping with a function performed by the touch pad, and an input signal transmitted due to manipulation of the keypad and the touch pa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터치 패드를 이용한 입력 방법에 있어서, 메뉴 선택을 위한 메뉴 기능 영역과 상하좌우 방향키 기능영역을 구비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전용 영역들을 포함하는 터치 패드로부터 입력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메뉴 기능 영역에 대응되는 입력신호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메뉴 기능영역에 대응되는 입력신호이면,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항목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패드의 상하좌우 방향키 기능영역에 대응되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된 복수 개의 항목들 중 특정 항목을 구별되게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터치 패드를 이용한 입력 방법에 있어서, 터치 패드로부터 입력신호가 전달되면, 메뉴선택을 위한 메뉴 기능 영역에 대응되는 입력신호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메뉴 기능영역에 대응되는 입력신호이면,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항목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과, 터치 드래그 입력에 따른 데이터를 제공하는 상기 터치 패드의 상하좌우 방향키 기능영역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된 복수 개의 항목들 중 특정 항목을 구별되게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put method using a touch pa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n input signal is transmitted from a touch pad including at least two dedicated areas having a menu function area for menu selection and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 key function area, Determining whether the input signal corresponds to the menu function region; if the input signal corresponds to the menu function region; displaying a plurality of items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on a display; and up, down, left, and right arrow keys of the touch pad. When a signal corresponding to a functional area is input, the method may include distinguishing a specific item from among the displayed plurality of item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put method using a touch pa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f the input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touch pad, determining whether the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enu function area for menu selection, and corresponding to the menu function area If the input signal is a signal, a process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items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on the display unit, and when a signal is input from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 key function region of the touch pad providing data according to the touch drag inpu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cess of distinguishing between the specific items of the item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in the figure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 1의 터치 패드(108)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touch pad 108 of FIG.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도 1의 MPU(102)와 메모리(110), 인터페이스(112), 듀플렉서(duplexer)(116), RF(Radio Frequency) 송,수신부(114,118), 코덱(CODEC: Coder-Decoder)(120)은 도 2의 메인바디(130)에 내장된다. 도 1의 듀플렉서(116)는 안테나(128)를 통해 송수신되는 송,수신신호를 분리한다. RF 송신부(114)는 인터페이스(112)를 통해 MPU(Main Processor Unit: 102)로부터 입력되는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RF신호를 듀플렉서(116) 및 안테나(128)를 통해 송신하고, RF 수신부(118)는 안테나(128) 및 듀플렉서(116)를 통해 수신되는 RF신호를 복조하여 인터페이스(112)를 통해 MPU(102)로 출력한다. MPU(102)에 연결된 코덱(CODEC: Coder-Decoder)(120)과, 코덱(120)에 접속된 마이크로폰(124) 및 스피커(122)는 전화 통화 및 음성 녹음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MPU(102)와 메모리(110)는 기본적으로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전화 통화나 데이터 통신과 정보 단말 기능을 처리 및 제어하는 블록에 대응된다. Referring to FIG. 1 and FIG. 2, the MPU 102 and memory 110, the interface 112, the duplexer 116, the RF (Radio Frequency) transmitter, receiver 114, 118, and the codec CODEC (Coder-Decoder) 120 is embedded in the main body 130 of FIG. The duplexer 116 of FIG. 1 separates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128. The RF transmitter 114 modulates a signal to be transmitted from the MPU 102 through the interface 112 to transmit an RF signal through the duplexer 116 and the antenna 128, and the RF receiver 118. ) Demodulates the RF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128 and the duplexer 116 and outputs the demodulated RF signal to the MPU 102 through the interface 112. A coder-decoder (CODEC) 120 connected to the MPU 102 and a microphone 124 and a speaker 122 connected to the codec 120 are voice input / output blocks used for telephone calls and voice recording. The MPU 102 and the memory 110 basically correspond to a block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elephone calls, data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terminal functions in a typic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U(102)는 ADC(Analog-to-Digital Convertor)(109)로부터 출력되는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며 입력 데이터 처리에 따른 화상정보를 LCDC(Liquid Crystal Display Controller)(104)를 통해 LCD(106)에 디스플레이시킨다. LCD(106)는 도 2에 도시된 일 예에서와 같이 서브바디(140)상에 내측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른 텍스트 및/또는 화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LCDC(104)는 디스플레이 콘트롤러로서, MPU(102)에 의해 제어되며 LCD(106)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The MPU 102 processes input data output from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109 and transmits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put data processing to the LCD 106 through the liquid crystal display controller (LCDC) 104. Display. The LCD 106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n the subbody 140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 and displays text and / or image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LCDC 104 is a display controller, controlled by MPU 102 and controlling the display of LCD 106.

터치 패드(108)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인바디(130)상에 숫자키가 구비된 상부측에 구비되며, 상하 좌우 방향키 기능 등을 포함하는 기능키 역할을 담당한다. 터치패드(108)는 주로 많이 사용되는 기능키를 구현하기 위한 전용 영역이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하면 터치패드(108)의 하부 좌측에는 메뉴키에 대응된 메뉴기능 영역(150)이 있으며 터치패드(108)의 하부 우측에는 검색키에 대응된 검색기능 영역(152)이 있다. ADC(109)는 터치 패드(108)로부터 사용자의 패드 터치에 따라 발생되는 입력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MPU(102)에 인가한다. 키패드(126)는 숫자키 및 통화키 등을 구비하며 사용자의 키입력에 대응하는 키데이터를 MPU(102)로 제공한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touch pad 108 is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which a numeric key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13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cludes up, down, left, right direction keys, and the like. Functions as a function key. The touch pad 108 has a dedicated area for implementing a function key that is commonly used. Referring to the example illustrated in FIG. 2, a menu function area 150 corresponding to a menu key is provided on the lower left side of the touch pad 108. There is a search function area 152 corresponding to the search key on the lower right side of the touch pad 108. The ADC 109 converts an input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a user's pad touch from the touch pad 108 into digital data and applies it to the MPU 102. The keypad 126 includes a numeric key and a call key, and provides key data corresponding to a user's key input to the MPU 102.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터치패드(108)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시켜 방향키 및 기능키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기존에 구비되어 있던 상하좌우 방향키 및 메뉴, 검색 등을 포함하는 기능키들을 삭제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터치패드(108)는 숫자키, 통화키, 종료키 등이 있는 키패드(126)가 차지하는 면적을 고려해 볼 때 이해의 편리를 위해 많은 면적을 차지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실제로는 적은 면적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키 버튼이 점점 소형화되는 추세를 감안할 때 터치패드(108)는 사용자의 메뉴사용 조작성을 높여주고 편리하게 해준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pad 108 is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erform functions such as direction keys and function keys. You can delete the keys. The touch pad 108 shown in FIG. 2 is shown to occupy a large area for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when considering the area occupied by the keypad 126 including the numeric key, the call key, and the end key. May also be implemented.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 trend toward the miniaturization of the key button, the touch pad 108 increases the user's menu operation operability and makes it convenient.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입력 제어 흐름도로서, 터치패드(108)를 사용할 경우에 대한 제어 동작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 2의 터치패드(108)상의 일부를 차지하고 있는 메뉴기능 영역(150)이나 검색기능 영역(160)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서도 해당 기능이 표시 제어되고, 나머지 영역 즉 메인 영역은 상하좌우 방향키에 대응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상하좌우 터치 드래그(touch drag)에 의해서만 상하좌우 방향키 선택에 대응된 해당 기능이 표시 제어됨을 이해하여야 한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put control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control operation when a touch pad 108 is us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nu function area 150 or the search function area 160 occupying a part of the touch pad 108 of FIG. In order to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up, down, left, and right arrow key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rresponding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up, down, left, and right arrow keys is displayed and controlled only by a user's touch drag.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입력 제어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put contro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지금 사용자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터치패드(108)를 사용하여 터치패드 입력을 하게 되면 MPU(102)는 도 3의 200단계에서 이를 판단하고 202단계로 진행한다. MPU(102)는 2O2단계에서 터치패드(108)의 입력이 메뉴기능 영역(150)이나 검색기능 영역(152)에 대한 터치인지를 판단하고 만약 그에 대한 터치이면 208단계로 진행한다. 208단계에서 MPU(102)는 해당 기능 내용을 LCD(106)상에 화면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된 화면이 다수개의 항목들을 가지고 있으면 디폴트(default)로 선정된 항목이 강조 표시, 예컨대 하이라이트(highlight)된다. When the user makes a touch pad input using the touch pad 108 shown in FIGS. 1 and 2, the MPU 102 determines this in step 200 of FIG. 3 and proceeds to step 202. The MPU 102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of the touch pad 108 is a touch to the menu function area 150 or the search function area 152 in step 2O2, and proceeds to step 208 if it is a touch. In step 208, the MPU 102 displays the function content on the LCD 106. At this time, if the displayed screen has a plurality of items, the item selected as the default is highlighted, for example, highlighted.

사용자가 터치패드(108)를 터치 드래그(상,하,좌,우중 하나로)하게 되면 MPU(102)는 도 3의 210단계에서 이를 판단하고 212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도 3의 214단계로 바로 진행한다. 212단계에서 MPU(102)는 상,하,좌,우중 하나인 해당 터치 드래그가 있게 되면 메뉴 또는 검색에 관련되며 해당 터치 드래그에 대응하는 표시제어를 수행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터치패드(108)를 아래쪽으로 터치 드래그를 하게되면 메뉴 또는 검색에 관련하여 현재 하이라이트된 항목의 아래쪽에 있는 항목을 하이라이트시키고, 위쪽으로 터치 드래그를 하게되면 현재 하이라이트된 항목의 위쪽에 있는 항목(항목 리스트들중 맨 나중에 있는 항목)을 하이라이트시키고, 우측으로 터치 드래그를 하게 되면 현재 하이라이트된 항목의 하위 항목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되게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터치패드(108)를 좌측으로 터치 드래그를 하게되면 현재 하이라이트된 항목의 상위 항목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When the user touch drags the touch pad 108 (up, down, left, or right), the MPU 102 determines this in step 210 of FIG. 3 and proceeds to step 212. Otherwise, the MPU 102 proceeds to step 212. Proceed directly to the step. In step 212, when there is a corresponding touch drag, which is one of up, down, left, and right, the MPU 102 is related to a menu or a search and performs display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touch drag.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drag the touchpad 108 downward, the item under the currently highlighted item is highlighted in relation to the menu or search, and when the user drags upward, the item is placed on the top of the currently highlighted item. Highlight an item (the last item in the list of items) and touch-drag to the right to display a list of subitems of the currently highlighted item. When the user touch-drags the touch pad 108 to the left, the upper item list of the currently highlighted item is displayed.

한편 사용자가 메뉴기능 영역(150)의 터치나 검색기능 영역(152)의 터치를 하지 않고 바로 상,하,좌,우중 하나로 터치 드래그를 하게 되면 MPU(102)는 도 3의 204단계에서 이를 판단하고 206단계로 진행한다. 206단계에서 MPU(102)는 상,하,좌,우중 하나인 해당 터치 드래그가 있게 되면 방향키에 관련된 해당 터치 드래그에 대응하는 표시제어를 수행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does not touch the menu function region 150 or touch the search function region 152 and drags one of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MPU 102 determines this in step 204 of FIG. 3. Proceed to step 206. In step 206, when there is a corresponding touch drag of up, down, left, or right, the MPU 102 performs display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touch drag related to the direction key.

사용자가 메뉴 또는 검색을 관련한 터치패드 터치(또는 터치 및 터치 드래그)나 방향키에 관련한 터치패드 터치 드래그를 수행한 후 선택에 대응하는 터치패드 터치 또는 키입력을 수행하게 되면, MPU(102)는 도 3의 214단계에서 이를 판단하고 21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터치패드 터치는 사용자가 터치패드를 손가락 등으로 톡 치는 경우를 일 예로 들 수 있으며, 키입력은 키패드에 구비된 키(예컨대, 통화 키)를 누르는 경우를 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 3의 214단계를 수행한 후 MPU(102)는 216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내용을 실행하게 된다. When a user performs a touch pad touch (or touch and touch drag) related to a menu or a search or a touch pad touch drag related to a direction key and then performs a touch pad touch or key input corresponding to a selection, the MPU 102 In step 214 of step 3, it is determined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16. For example, the touch pad touch may be a case in which the user taps the touch pad with a finger. The key input may be an example of pressing a key (for example, a call key) provided in the keypad. After performing step 214 of FIG. 3 as described above, the MPU 102 proceeds to step 216 to execute the contents.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 of claims and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방향키, 메뉴, 검색 등에 대응된 키를 대신하는 터치패드의 사용 및 다양한 활용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버튼이 점점 소형화되는 것을 감안할 때 사용자의 메뉴사용 조작성을 높여준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키 버튼의 사이즈를 소형화 추세에 따른 키 버튼 사이즈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키 조작을 편리하게 해준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touchpad in place of a key corresponding to a direction key, a menu, a search, etc.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various uses of the touch pad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miniaturiz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mproves menu operation. In addition, the size of the key button, which must be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relatively large compared to the key button size according to the miniaturization trend, and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key.

Claims (5)

삭제delete 이동통신단말기 입력장치에 있어서,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put device, 표시부와,With display part, 메뉴 선택을 위한 메뉴 기능 영역과 터치 드래그 입력에 따라 데이터를 제공하는 상하좌우 방향키 기능영역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전용 영역들을 포함하는 터치패드와,A touch pad including at least two dedicated areas including a menu function area for menu selection and up, down, left and right arrow key function areas providing data according to a touch drag input; 상기 터치 패드에서 수행하는 기능과 중첩되지 않는 기능들을 수행하는 키들로 구성된 키패드와,A keypad composed of keys for performing functions not overlapping with the functions performed by the touch pad; 상기 키패드와 상기 터치 패드의 조작으로 인해 입력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화면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입력장치.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an input signal is transmitted due to manipulation of the keypad and the touch pad. 삭제delete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터치 패드를 이용한 입력 방법에 있어서,In the input method using the touch pa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메뉴 선택을 위한 메뉴 기능 영역과 상하좌우 방향키 기능영역을 구비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전용 영역들을 포함하는 터치 패드로부터 입력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메뉴 기능 영역에 대응되는 입력신호인지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an input signal corresponds to the menu function area when an input signal is transmitted from a touch pad including at least two dedicated areas including a menu function area for menu selection and up, down, left and right arrow key function areas; 상기 메뉴 기능영역에 대응되는 입력신호이면,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항목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과,If the input signal corresponds to the menu function area, displaying a plurality of items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on a display unit; 상기 터치 패드의 상하좌우 방향키 기능영역에 대응되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된 복수 개의 항목들 중 특정 항목을 구별되게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터치 패드를 이용한 입력 방법.And when a signal corresponding to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 key function areas of the touch pad is input, displaying a specific item among the displayed plurality of items differently.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터치 패드를 이용한 입력 방법에 있어서,In the input method using the touch pa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터치 패드로부터 입력신호가 전달되면, 메뉴선택을 위한 메뉴 기능 영역에 대응되는 입력신호인지 판단하는 과정과,When the input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touch pad, determining whether the input signal corresponds to a menu function area for menu selection; 상기 메뉴 기능영역에 대응되는 입력신호이면,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항목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과,If the input signal corresponds to the menu function area, displaying a plurality of items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on a display unit; 터치 드래그 입력에 따른 데이터를 제공하는 상기 터치 패드의 상하좌우 방향키 기능영역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된 복수 개의 항목들 중 특정 항목을 구별되게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터치 패드를 이용한 입력 방법.When a signal is input from up, down, left, and right function key areas of the touch pad that provides data according to a touch drag input, a step of distinguishing a specific item from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ed items is inclu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put method using touch pad.
KR1020010049266A 2001-08-16 2001-08-16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443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266A KR100744311B1 (en) 2001-08-16 2001-08-16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266A KR100744311B1 (en) 2001-08-16 2001-08-16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503A KR20030015503A (en) 2003-02-25
KR100744311B1 true KR100744311B1 (en) 2007-07-30

Family

ID=27719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266A KR100744311B1 (en) 2001-08-16 2001-08-16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431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8270A (en) * 2005-05-16 2006-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1437972B1 (en) * 2007-10-04 2014-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KR101397080B1 (en) * 2007-10-05 2014-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having multi-function executing capability and executing method thereof
KR100915667B1 (en) * 2008-11-10 2009-09-07 (주) 민트패스 Portable mobile device with touch scre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8704A (en) * 1997-12-10 1999-07-05 윤종용 Handheld composite wireless terminal with mobile phone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8704A (en) * 1997-12-10 1999-07-05 윤종용 Handheld composite wireless terminal with mobile phone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503A (en) 2003-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9522B1 (en) Method for displaying icon and controlling direct link in wireless terminal
JP4584025B2 (en) Function display device and function display program
KR1015700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function in portable terminal
JP2007036544A (en) Portable terminal
US20080278454A1 (en) Method for setting touch sensitivity in portable terminal
KR100621852B1 (en) Method for displaying of information ba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10054523A (en) Keypad device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ouch-screen and keypad selection method
KR100744311B1 (en)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076057B1 (en) Portable radiotelephone device with a key having functions related to a prevailing state of the device
KR100678248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70023049A (en) User interface method for silver age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3596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of inputting signal in terminal
JPH0918931A (en) Portable terminal equipment
JP3695341B2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8605074B (en) Method and equipment for triggering voice function
KR100690292B1 (en)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using soft keyboard i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89547B1 (en) Method for selectively displaying menu items of mobile wireless handset
KR100260751B1 (en) User interface apparatus of wireless telephone set having touch screen
KR20080099107A (en) Mobile phone and method for optimizing touch sensitivity
KR100860685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task function in a wireless terminal with slide
KR100442593B1 (en) Method for serving call in wireless terminal
KR20030088795A (en) Inputting method of a key-data using a touch pad in mobile phone
KR100790119B1 (en) Method for inputting number in sli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H10112765A (en) Portable telephone set with facsimile function
KR100675124B1 (en) Method for efficient displaying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