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3738A - 수평연속식이단가속원심분리기 - Google Patents

수평연속식이단가속원심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3738A
KR19990083738A KR1019990027904A KR19990027904A KR19990083738A KR 19990083738 A KR19990083738 A KR 19990083738A KR 1019990027904 A KR1019990027904 A KR 1019990027904A KR 19990027904 A KR19990027904 A KR 19990027904A KR 19990083738 A KR19990083738 A KR 19990083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cone
bowl
shaft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7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천
Original Assignee
박재덕
윤종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덕, 윤종천 filed Critical 박재덕
Priority to KR1019990027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3738A/ko
Publication of KR19990083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373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9/00Drives specially designed for centrifug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ransmission gearing; Suspending or balancing rotary bowls
    • B04B9/10Control of the drive; Speed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2Casings;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9/00Drives specially designed for centrifug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ransmission gearing; Suspending or balancing rotary bowls
    • B04B9/08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ransmission gearing ; Couplings; Brak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7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by centrifug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04B1/2016Driving control or mechanisms; Arrangement of transmission gearing
    • B04B2001/2025Driving control or mechanisms; Arrangement of transmission gearing with drive comprising a planetary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 연속식 이단가속 원심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로 구성되어지는 2단 프레임의 상.하를 방진장치로 연결 조립된 상 프레임 상단 양측에 메인 베어링 블록이 고정, 조립되고, 메인 베어링 블록에는 제1회전축이 양단에 베어링으로 구동토록 조립하고, 제1회전축에는 외동보올의 침강부와 2단 원추보올이 일체로 구성되어 외동보올 침강부 선단 측면에는 분리액 배출구가 구비된 제1회전 대경축이 끼움 조립되고, 외동보올 원추 1단 보울 후단 일측에는 분리된 고형물 배출구가 수개 설정되어져 측면 스크류가 형성되고, 상기 탈수 고형물 이송 스크류 외주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원추 2단 보올이 삽입, 장착되어 보올 원추 일측에는 탈수 케이크 토출구가 안배되고, 타측에는 탈리액 배출구가 수개 형성되어지고, 2단 원추보올은 제1회전 소경축 외주면과 베어링으로 구동토록 조립되고, 기어박스의 증속 유성 기어의 안내로 1단 원추보올 주회전보다 증속 구동되어지며, 상기 외동보올 내주에는 내동스크류가 작은 간격으로 삽입되어 내동스크류 양측 구동지지면에 제2회전축이 끼움조립되어 제1회전축 내면중심에 베어링으로 장착 조립되고, 상기 내동스크류 샤프트 평행부 선단중심에는 투입물 분배분산구가 수개 구비되어지고, 제1회전 대경축 선단에는 주구동풀리가 장착되어 주모터풀리와 V 벨트로 연결하고, 상기 제1회전 대경축 중심에는 구멍이 제2회전축까지 연통되어 투입물 분배분산구까지 연통되고, 상기 구멍에는 고정프레임에 고정된 투입물과 약품수 투입구가 형성된 피드파이프가 간격을 두고 분배분산구까지 삽입, 조립되어져 있고, 상기 제1회전 소경축 선단에는 기어박스의 내접기어 어셈블리가 장착되어 중심회전하는 외동보올 회전과 내동스크류 회전을 감속 유성 기어를 통해 상이한 회전으로 감속차를 일으키게 하고 외동보올과 2단 원추보올 회전을 증속 유성 기어가 상이하게 증속회전하고, 상기 기어박스 일측에 돌출되는 조절태양기어 축암에 조절풀리가 조립되어 조절모터 풀리와 V 벨트로 연결하여 증,감속회전을 조절케하고, 사익 외동보올 외곽 양측에는 분리액 포집 배출구와 탈리액 배출구, 케이크 배출구가 구비된 외곽케이싱이 상 프레임에 고정되어 덮혀지게 구비하고, 운전하는 수평형 더블 보올가속 원심분리기를 구성하여 안전운전과 처리용도에 따라 한공정, 한기계로 선택 대응토록하여 자동운전으로 다양한 성상의 화학, 식품, 환경, 수처리 등에서 발생되는 유기물과 무기물 슬럿지를 농축 슬럿지 생산 또는 건조한 탈수 케이크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여 처리효율과 처리능력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였음은 물론이고, 시설비와 운전비를 절감토록하고, 안전운전과 분리기술의 신뢰도를 높이는 수평 연속식 이단가속 원심분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평연속식 이단가속 원심분리기 {HORIZONTAL SERIES-TYPE DOUBLE ACCELERATION CENTRIFUGAL}
본 발명은 수평 연속식 이단가속 원심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로 구성되어지는 2단 프레임의 상.하를 방진장치로 연결 조립된 상 프레임 상단 양측에 메인 베어링 블록이 고정, 조립되고, 메인 베어링 블록에는 제1회전축이 양단에 베어링으로 구동토록 조립하고, 제1회전축에는 외동보올의 침강부와 2단 원추보올이 일체로 구성되어 외동보올 침강부 선단 측면에는 분리액 배출구가 구비된 제1회전 대경축이 끼움 조립되고, 외동보올 원추 1단 보울 후단 일측에는 분리된 고형물 배출구가 수개 설정되어져 측면 스크류가 형성되고, 상기 탈수 고형물 이송 스크류 외주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원추 2단 보올이 삽입, 장착되어 보올 원추 일측에는 탈수 케이크 토출구가 안배되고, 타측에는 탈리액 배출구가 수개 형성되어지고, 2단 원추보올은 제1회전 소경축 외주면과 베어링으로 구동토록 조립되고, 기어박스의 증속 유성 기어의 안내로 1단 원추보올 주회전보다 증속 구동되어지며, 상기 외동보올 내주에는 내동스크류가 작은 간격으로 삽입되어 내동스크류 양측 구동지지면에 제2회전축이 끼움조립되어 제1회전축 내면중심에 베어링으로 장착 조립되고, 상기 내동스크류 샤프트 평행부 선단중심에는 투입물 분배분산구가 수개 구비되어지고, 제1회전 대경축 선단에는 주구동풀리가 장착되어 주모터풀리와 V 벨트로 연결하고, 상기 제1회전 대경축 중심에는 구멍이 제2회전축까지 연통되어 투입물 분배분산구까지 연통되고, 상기 구멍에는 고정프레임에 고정된 투입물과 약품수 투입구가 형성된 피드파이프가 간격을 두고 분배분산구까지 삽입, 조립되어져 있고, 상기 제1회전 소경축 선단에는 기어박스의 내접기어 어셈블리가 장착되어 중심회전하는 외동보올 회전과 내동스크류 회전을 감속 유성 기어를 통해 상이한 회전으로 감속차를 일으키게 하고 외동보올과 2단 원추보올 회전을 증속 유성 기어가 상이하게 증속회전하고, 상기 기어박스 일측에 돌출되는 조절태양기어 축암에 조절풀리가 조립되어 조절모터 풀리와 V 벨트로 연결하여 증,감속회전을 조절케하고, 사익 외동보올 외곽 양측에는 분리액 포집 배출구와 탈리액 배출구, 케이크 배출구가 구비된 외곽케이싱이 상 프레임에 고정되어 덮혀지게 구비하고, 운전하는 수평형 더블 보올가속 원심분리기를 구성하여 안전운전과 처리용도에 따라 한공정, 한기계로 선택 대응토록하여 자동운전으로 다양한 성상의 화학, 식품, 환경, 수처리 등에서 발생되는 유기물과 무기물 슬럿지를 농축 슬럿지 생산 또는 건조한 탈수 케이크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여 처리효율과 처리능력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였음은 물론이고, 시설비와 운전비를 절감토록하고, 안전운전과 분리기술의 신뢰도를 높이는 수평 연속식 이단가속 원심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수평형 원신분리기는 수평부 보올과 한개의 원추보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체적확보와 원추보올의 경사각 설정에 따라 처리대상물이 구분되어지고, 원심가속도조절과 차동조절을 운전중에 수시로 변환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농축공정에 있어 분리액 배출수면과 농축고형물 배출 수면경계조정을 해야하고, 원추부의 경사면 확보로 인해 체적감소와 가속력에 의한 전단력 증가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고, 탈수공정에서는 상기에서와 같이 원추부의 경사면이 반정도 수면위로 설정되어야 탈수케이크를 얻을 수 있고, 경사면의 각도가 크면 분리 고형물의 전단력이 커져서 이송에 곤란한 문제가 있고, 처리물에 따라 고형물 처리량과 성능이 일정 한계점에서 운전되는 단점이 있고, 농축공정과 탈수공정을 별도로 시설하여야 하므로 시설비와 유지관리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는 것입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전운전을 이루고 처리용도에 따라 한공정, 한기계로 선택 대응토록하여 자동운전으로 다양한 성상의 화학, 식품, 환경, 수처리 등에서 발생되는 유기물과 무기물 슬럿지를 농축 슬럿지 생산 또는 건조한 탈수 케이크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여 처리효율과 처리능력을 향상시키고, 시설비와 운전비를 절감토록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로 구성되어지는 2단 프레임의 상.하를 방진장치로 연결 조립된 상 프레임 상단 양측에 메인 베어링 블록이 고정, 조립되고, 메인 베어링 블록에는 제1회전축이 양단에 베어링으로 구동토록 조립하고, 제1회전축에는 외동보올의 침강부와 2단 원추보올이 일체로 구성되어 외동보올 침강부 선단 측면에는 분리액 배출구가 구비된 제1회전 대경축이 끼움 조립되고, 외동보올 원추 1단 보울 후단 일측에는 분리된 고형물 배출구가 수개 설정되어져 측면 스크류가 형성되고, 상기 탈수 고형물 이송 스크류 외주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원추 2단 보올이 삽입, 장착되어 보올 원추 일측에는 탈수 케이크 토출구가 안배되고, 타측에는 탈리액 배출구가 수개 형성되어지고, 2단 원추보올은 제1회전 소경축 외주면과 베어링으로 구동토록 조립되고, 기어박스의 증속 유성 기어의 안내로 1단 원추보올 주회전보다 증속 구동되어지며, 상기 외동보올 내주에는 내동스크류가 작은 간격으로 삽입되어 내동스크류 양측 구동지지면에 제2회전축이 끼움조립되어 제1회전축 내면중심에 베어링으로 장착 조립되고, 상기 내동스크류 샤프트 평행부 선단중심에는 투입물 분배분산구가 수개 구비되어지고, 제1회전 대경축 선단에는 주구동풀리가 장착되어 주모터풀리와 V 벨트로 연결하고, 상기 제1회전 대경축 중심에는 구멍이 제2회전축까지 연통되어 투입물 분배분산구까지 연통되고, 상기 구멍에는 고정프레임에 고정된 투입물과 약품수 투입구가 형성된 피드파이프가 간격을 두고 분배분산구까지 삽입, 조립되어져 있고, 상기 제1회전 소경축 선단에는 기어박스의 내접기어 어셈블리가 장착되어 중심회전하는 외동보올 회전과 내동스크류 회전을 감속 유성 기어를 통해 상이한 회전으로 감속차를 일으키게 하고 외동보올과 2단 원추보올 회전을 증속 유성 기어가 상이하게 증속회전하고, 상기 기어박스 일측에 돌출되는 조절태양기어 축암에 조절풀리가 조립되어 조절모터 풀리와 V 벨트로 연결하여 증,감속회전을 조절케하고, 사익 외동보올 외곽 양측에는 분리액 포집 배출구와 탈리액 배출구, 케이크 배출구가 구비된 외곽케이싱이 상 프레임에 고정되어 덮혀지게 구비하고, 운전하는 수평형 더블 보올가속 원심분리기를 구성하면 된다.
도1은 본 발명 수평연속식 이단가속 원심분리기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정명도
도2는 본 발명의 요부인 이단원추보올과 이송스크류 컨베이어의 확대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유성 증,감속 기어박스의 확대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부분절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외동보올 101 : 메인 베어링 블록
102 : 피드 파이프 고정프레임 103 : 외곽 케이싱
104 : 2단 상 프레임 105 : 방진 스프링
106 : 2단 하 프레임 107 : 제1회전축
108 : 베어링 109 : 분리액 배출 올림프스 후랜지
110 : 외동원추 1단 보올 111 : 분리 고형물 배출구
112 : 케이크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 113 : 외동원추 2단 보올
114 : 2단 소경축 115 : 케이크 배출 마찰방지링
116 : 텅스텐 카바이트 립 117 : 내동스크류
118 : 제2회전축 119 : 투입물 분배 분산구
120 : 피드 파이프 121 : 주구동풀리
122 : 주구동 모터 123 : 유탈로이 융착부
124 : 증속 유성 기어 125 : 고정아답터
126 : 감속 유성 기어 127 : 로터리원판
128 : 조절 태양기어 129 : 조절유성기어
130 : 내접기어 어셈블리 131 : 기어박스
132 : 1단 소경축 133 : 조절 내접기어
134 : 2단 원추보올 지지베어링 135 : 케리어 어셈블리
136 : 조절모터 137 : 조절풀리
138 : 분리액, 배출 포집 슈우트 139 : 케이크 배출 슈우트
140 : 탈리액 배출 슈우트 141 : 함수 조절 후랜지
142 : 분리액 배출 자켓 파이프 143 : 증속 내접기어
144 : 감속내접기어 145 : 증,감속 태양기어
146 : 스플라인 샤프트 147 : 미끄럼방지 빗살홈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외동보올(100) 회전체를 지지하고 있는 메인베어링 블록(101)과 피드 파이프 고정프레임(102), 외곽 케이싱(103)이 일체로 구성, 조립되는 2단 상프레임(104)이 수개의 방진스프링(105)으로 받쳐지게 하는 2단 하프레임(106)이 기초와 고정되고, 상기 메인베어링블록(101)에는 제1회전축(107)이 양단에 베어링(108)으로 회전구동토록 조립되고, 제1회전축(107)의 대경축 후랜지 일측면에는 분리액 배출구의 올림프스 후랜지(109)가 댐 깊이 조절이 가능토록 장착하고, 후랜지에는 외동보올(100) 수평부 일측에 끼움, 조립되고, 타측에는 외동원추 1단 보올(110) 일측이 끼움 연결 조립하고, 상기 외동원추 1단보올(110) 원주내면에는 수개의 고형물 이송 미끄럼방지 빗살홈(147)이 일정 크기로 설정되고 타측 일면 바깥 원주에는 분리고형물 배출구(111) 수개가 세라믹 붓싱으로 삽입, 조립, 형성되고, 상기 타측 밑면에는 제1회전축(107) 1단 소경축 후랜지면과 끼움 고정 조립하고, 외동원추 1단보올(110) 외면에는 케이크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12) 블레이드가 수평보올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케이크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12) 바깥에는 간격을 두고 외동원추 2단보올(113)이 삽입장착되고, 일측면에는 제1회전축(107) 2단소경축(114)이 끼움조립되어 2단 소경축(114) 후랜지면 원주에는 함수 조절후랜지(141)가 수개 장착되고 베어링(108)으로 상이하게 회전토록 조립되어진다. 외동원추 2단보올(113)의 원주가 큰 타측 원주면에는 케이크 마찰 방지링(115)이 교환 가능토록 조립되어진다. 외동원추 2단 보올(113)의 원주내면에는 수개의 케이크 미끄럼방지 빗살홈(147)이 일정크기로 설정되고 원주가 큰 타측 원주면에는 케이크 마찰 방지링(115)이 교환 가능토록 수개 장착, 조립되고, 끝단에는 2단 원추보올지지 베어링(134)이 조립되고, 상기 케이크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12)의 블레이드 선단에는 텅스텐 카바이트 팁(116)으로 마찰마모를 방지토록 교체 가능하게 부착하고, 상기 외동보올(100) 드럼 내면에는 내동스크류(117) 컨베이어가 일정간격을 두고 삽입되어 제2회전축(118)의 일측과 타측이 제1회전축(107) 후랜지 중심내면 구멍에 베어링(108)으로 구동되게 지지 조립되고, 내동스크류(117) 일측 중심샤프트 선다에는 투입물 분배실 분산구(119)가 원주를 따라 수개 설정되고, 샤프트 외면 우너주에는 수개의 분래액 배출 자켓파이프(142)가 분리액 배출 올림프스 후랜지(109)왕 연통으로 설정되고, 제2회전축(118) 일측과 제1회전축(107)의 대경축 중심구멍을 연통케하여 피드 파이프(120)에 일정간격을 두고, 분배실 분사구(119)에서 제1회전축(107) 대경축 중심구멍 바깥으로 삽입되고, 상기 피드 파이프(120)는 피드 파이프 고정프레임(102)를 통해 2단 상프레임(104)에 고정 조립하고, 상기 제1회전축(107) 대경축 선단 외면에는 주구동 풀리(121)가 장착되어 V 벨트로 주구동모터(122)와 연결되어지게하고, 상기 내동스크류(117) 내동스크류(117) 컨베이어 블레이드 선단에는 유탈로이 융착부(123)가 안배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1회전축(107) 2단 소경축(114) 외면중심에는 메인 베어링블록(101)이 베어링(108)으로 조립 장착되고, 2단 소경축(114) 끝단에는 고정 아답터(125)가 끼움 조립되고, 상기 고정아답터(125) 후랜지면에는 기어박스(131) 보디 일측 후랜지면과 고정하여 상기 기어박스(126)와 보디의 회전연결은 증속내접기어(143), 증속 유성기어(124), 내접기어 어셈블리(130)와 중심회전하는 제1회전 소겨축과 조립하여 외동원추 2단보올(113)을 중심회전보다 수회전 증속회전케하고, 상기 중심회전과 연결되는 내접기어 어셈블리(130)의 감속 내접기어(144)에 감속유성기어(126)을 조립하고, 상기 감속유성기어(126) 케리어 어셈블리(135)와 내동스크류(117)을 스플라인 샤프트(146)로 연결하여 내동스크류(117) 회전을 중심회전보다 수회전 감속회전케 한다.
각각의 유성 기어는 세개를 한셋트로 삼등분하여 어셈블리는 베어링(108)으로 각각의 보디캡과 조립하고 회전가능토록 케리어 어셈블리(135)에 조립하고, 상기 각각의 유성기어 외주에는 내접기어를 자전케하고, 상기 증속 내접기어(143)와 조절 내접기어(133)는 기어박스보디(131)에 고정 회전토록하고, 상기 감속내접기어(144)는 중심회전하는 내접기어 어셈블리(130)에 고정 회전케하고, 증속유성기어(124)와 감속 유성기어(126) 중심에는 조절유성기어(129)의 케리어 어셈블리(135) 중심 일측에 조립된 증,감속태양기어(145)가 각각 연결되고 조절유성기어(129) 중심에는 조절태양기어(128)가 베어링(108)으로 조립되어 조절태양기어(128) 샤프트 일측이 보디캡 바깥으로 돌출되게 하고 조절풀리(136)가 장착되고, 감속조절모터(136)와 벨트로 연결하여 회전조절하게 되면 외동보올(100)의 중심회전에서 외동원추 2단보올(113)의 회전은 수회전 증속하고, 내동스크류(117) 회전은 수회전 감속하게 된다.
이와같이 회전체를 외곽 케이싱(103)으로 덮혀지게 하여 2단 상프레임(104)에 볼트로 고정시키게 하고 상기 외곽 케이싱(103) 일측의 제1회전축(107)의 부닐액 배출 올림프스 후랜지(109) 장착측 하단에는 분리액 포집배출 슈우트(138)가 설정되고, 외동원추 2단보올(113) 케이크 배출마찰 방지링(115)이 위치하는 하단에는 케이크 배출 슈우트(139)가 안배되고, 또한 외동원추 2단 보올(113) 일측 하단에는 탈리액 배출슈우트(140)가 각각 설정, 구성되고 작동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구동모터(122)에 전원이 인가되면 외동보올(100)이 주회전하게 되고, 기어박스(131)의 증속 유성기어(124)에 의해 같은 방향으로 외동원추 2단보올(113)이 외동보올(100)보다 조금 빠른 회저능로 증속되어지고, 감속 유성기어(126) 작동으로 외동보올(100)과 내동스크류(117)가 같은 방향으로 연동회전하면서, 상이한 속도로 감속회전하게 되고, 조절모터(136)의 회전수 조절에 따라 증속차와 감속차가 설정치로 조정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투입물을 피드파이프(120)를 통해 내동스크류(117) 선단에 위치한 투입물 분배분산구(119)에 투입되고, 또한 처리물에 따라 투입물과 같이 약품수 또는 첨가물이 동시에 피드파이프(120)를 통해 투입하게 되며, 또한 처리물에 따라 투입물과 같이 약품수 또는 첨가물이 동시에 피드파이프(120)를 통해 투입하게 되며, 투입물은 분배분산구(119)에서 각각 토출되면 상기의 작동으로 각각이 연동으로 정회전을 이루는 외동보올(100)과 내동스크류(117) 선단에 위치한 투입물 분배 분산구(119)에 투입되고, 또한 처리물에 따라 투입물과 같이 약품 수 또는 첨가물이 동시에 피드파이프(120)를 통해 투입하게 되며, 투입물은 분배분산구(119)에서 각각 통출되면 상기의 작동으로 각각이 연동으로 정회전을 이루는 외동보올(100)과 내동스크류(117) 일측선단의 침강부로 회전하는 외동보올(100)의 원심력에 의해 투입물의 용전 고형물 또는 입자 고형물이 약품수와 반응하여 플록이 형성되면 비중차에 의해 고형물이 원심가속을 받아 고형물이 약품수와 반응하여 플록이 형성되면 비중차에 의해 고형물이 원심가속을 받아 외동보올(100) 내면으로 침강되고, 분리 상등수는 회전중심으로 차오르게 된다. 이때 길게 형성된 침강부를 이송하면서 연속적으로 분리되고 고형물은 외동보올(100)과 내동스크류(111)의 가속차에 의해 내동스크류(117) 플레이트를 길잡이로하여 외동보올(100) 외동원추 1단보올(100)쪽으로 이송되면서 입자고형물들이 연속 침강하면서 원추부의 경사면으로 이송하고, 상기 침강 고형물과 원추부로 이송되면서 내동스크류(117) 주샤프트 외면으로 차오른 분리상등수는 침강부 끝단까지 설정된 내동스크류(117)의 주샤프트 외면 원주에 설정된 분리액 배출 쟈켓 파이프(142)를 통해 원심 압밀력에 의해 연속으로 분리액 배출 자켓 파이프(142)를 통해 원심 압밀력에 의해 연통된 분리액 배출 올림프스 후랜지(109)로 연속 배출하여 외곽케이싱(103)의 분리액 배출 포집 슈우트(138)로 배출되어지게 되고, 상기 침강고형물이 외동원추 1단 보올 원주내면의 고형물 미끄럼방지 빗살홈(147)에 밀착되어 경사각을 통과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전단력과 압밀력, 압착력을 동시에 받아 1차적으로 액과 고형물의 분리, 농축이 이루어져 외동원추 1단보올(110) 끝단의 분리고형물 배출구(세라믹 붓싱)(111)로 연속배출이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의 고형물 농축층 형성은 분리액 배출 올림프스 후랜지(109)로 외동보올 1단보올(110)의 최대 경사면에서 약간 낮은 높이까지 차오르도록 외동보올(100)내의 침강 POOL 깊이를 조정하여 긴 체류시간을 확보하고 고형물층과 액층을 내동스크류(117)의 감속차회전을 외동보올(100)과 회전조정을 통하여 농축고형물로 액층을 차단하여 외동 원추1단 보올(110)의 경사부에서 농축 고형물을 1차로 탈수토록 조정하게 되며, 상기 분리고형물 배출구(111)로 1차 탈수된 고형물이 연속적으로 외동원추 2단보올(113)의 내면 일측에 토출되면 외동 원추1단 보올(110)보다 원심력이 크게 작용하게 되고, 기어박스(131)의 증속유성기어(124)의 작용으로 외동원추 1단보올(110) 원주외면에 고정된 케이크 이송 스크류컨베이어(112) 회전보다 동일 회전선상에서 외동원추 2단보올(113)이 조금 빠르게 회전되므로 상기 케이크 이송스크류 컨베이어(112)가 길잡이가 되어 큰 원심력의 전단력과 압밀력, 압착력의 원심 3대 작용이 빠르게 일어나 1차 탈수된 고형물을 외동원추 2단보올(113) 원주 내면에 설정된 케이크 미끄럼방지 빗살홈(147)에 밀착되어 직선으로 경사진 케이크 배출방지링(115)쪽으로 이송하면서 더욱더 건조한 케이크로 탈수하여 상기 케이크 배출 방지링(115)에서 외곽 케이싱(103)의 케이크 배출슈우트(139)에 포집 배출되어지고, 상기 작용에서 탈수된 탈수액은 2단 소경축(114) 후랜지면에 설정된 함수 조절 후랜지(141)을 통해 설정조정치 높이에서 연속 배출되어 외곽케이싱(103)의 탈리액 배출 슈우트(140)로 포집 배출되어지고, 또한 상기 농축 고형물 배출에 있어 처리공정의 화학, 식품, 환경 등의 생산조건에 따라 2차 탈수공정으로 그치지 않고, 농축 고형물 생산의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함수조절 후랜지(141)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목적에 따라 농축공정과 탈수공정을 수행하도록 하여 안전운전과 자동운전으로 각종 하수, 분뇨, 축산처리장 등에 발생하는 폐수 슬럿지를 처리하는 공정과 식품, 화학약품 등의 생산공정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수평 연속식 이단가속 원심분리기에 있어서,
    프레임이 상하 2단으로 형성되며 그 중간에 장착된 방진스프링(105)과,
    상기 2단으로 형성된 상프레임(104) 상단양측에 고정된 메인 베어링블록(101)과,
    상기 메인 베어링블록(101)에는 제1회전축(107)이 양측에 베어링(108)으로 구동토록 하고,
    상기 제1회전축(107)에는 일체로 형성되는 외동보올(100)의 침강부와 경사부의 1,2단 원추보올(113)이 연결조립되고,
    상기 외동보올(100)의 침강부 선단측면에는 분리액 배출 올림프스 후랜지(109)가 수개 구비된 제1회전 대경축(107)이 조립되고,
    상기 외동보올(100) 원추 1단보올(113)의 끝단 원주를 따라 분리고형물 배출구(111)가 수개 설정되어져 제1회전축(107)의 소경축과 끼움 조립되어지고,
    상기 외동원추 2단 보올(113)과 1단 원추보올 외주면에는 케이크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12)가 나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나선 외주에는 일정간격으로 유지되는 원추 2단보올(113)이 삽입 장착되어 원추2단 보올 원주 축소측에는 케이크 배출 마찰방지링(115)과 2단 원추 보올지지 베어링(134)이 안배되고,
    타측 2단 소경축(114) 후랜지면에는 함수 조절 후랜지(141)가 수개 구비되어지고 2단 원추보올(113)과 제1회전(107) 소경축과는 기어박스(131)의 증속유성기어(124)의 작용으로 연동상태에서 증속 구동되어지며,
    상기 외동보올(100) 내주에는 내동스크류(117)가 작은 간격으로 삽입되어 양측 구동지지가 제2회전축(118)이 끼움 조립되어 제1회전축(107) 후랜지 내면 중심구멍에 베어링(108)으로 장착 조립되어 감속유성기어(126)의 작용으로 외동보올(100)보다 느린속도로 상이하게 회전하고,
    상기 내동 스크류(117) 샤프트 평행부 선단중심에는 투입물 분배분산구(107)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2단 상프레임(104) 상단에 고정된 피드파이프 고정프레임(102)에 장착된 피드파이프(120)가 선단외측에 약품수 공급 플랜지가 구비되어 상기 투입물 분배분산구(117)까지 깊숙히 간격을 두고 삽입되게 하고,
    상기 외동보올(100)의 주회전과 내동스크류(117)의 감속과 주회전 외동보올(100)과 외동원추 2단보올(113)의 증속회전차를 각각 발생케하는 기어박스(131)와 상기 기어박스(131) 보디캡 중심으로 조절태양기어(128)가 돌출되는 암에 감속조절풀리(137)가 장착되어 조절모터(136)와 V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 조절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연속식 이단가속 원심분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동보올(100)과 연결 조립되는 외동원추 1단보올(100)내면 원주에는 일정크기의 고형물이송 미끄럼방지 빗살홈(147)이 수개 설정되고 외면 원주에는 케이크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12)플레이트가 설정되고 바깥외주에 일정간격을 두고 외동원추 2단보올(113)내면 원주에 일정크기로 케이크 이송 미끄럼방지 빗살홈(147)이 수개 설정되어 장착되고,
    축소된 원추면 일측에 케이크 배출 마찰방지링(115)과 2단 원추보올 지지베어링(134)이 장착되고 확대 원추면에는 함수 조절후랜지(141)가 구비된 2단 소경축(114)이 연결 장착되어 제1회전축(107)의 소경축과 베어링(108)으로 구동토록 하여 2단 소경축(114) 선단외면에 기어박스(124)를 장착하여 외동보올(110)과 외동원추 2단보올(113)의 회전을 연동선상에서 상이한 증속회전으로 구동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연속식 이단가속 원심분리기.
  3. 제 1항에 있어서,
    제1회전축(107) 대경축 측면 후랜지에 분리액 배출 올림프스 후랜지(109)가 수개 장착되어 POOL 깊이를 조절토록 하여 고형물 함수율을 조절토록하는 것과,
    상기 외동원추 1단보올(110)의 축소된 원주에 수개의 분리 고형물 배출구(111)가 구비되어 마찰마모를 방지토록 하고,
    상기 외동원추 2단보올(113)과 조립되는 2단소경축(114) 후랜지면에 함수조절 후랜지(141)가 구비되는 것과,
    상기 유성기어박스(131)에 있어 증속유성기어(124)와 감속유성기어(126) 외주에 각각의 내접기어를 구성하고 중심에 더블 증,감속태양기어(145)를 조립하여 하나의 유성기어 어셈블리로 중심회전에서 증속과 감속을 이루어지게 하는 기어박스(131)장치로 구성되어 처리대상물에 따라 자동적으로 증,감속회전차를 조절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연속식 이단가속 원심분리기.
KR1019990027904A 1999-07-10 1999-07-10 수평연속식이단가속원심분리기 KR199900837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904A KR19990083738A (ko) 1999-07-10 1999-07-10 수평연속식이단가속원심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904A KR19990083738A (ko) 1999-07-10 1999-07-10 수평연속식이단가속원심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738A true KR19990083738A (ko) 1999-12-06

Family

ID=54754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904A KR19990083738A (ko) 1999-07-10 1999-07-10 수평연속식이단가속원심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373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497B1 (ko) * 2009-09-30 2010-02-10 정용원 다단 원심 탈수장치
KR101459212B1 (ko) * 2013-02-19 2014-11-2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크류데칸터형 원심분리기
KR20160015690A (ko) * 2014-07-31 2016-02-15 김철오 탈수 및 농축 겸용 원심 분리기
CN117800431A (zh) * 2024-02-29 2024-04-02 山西绿泉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太阳能负压蒸发反渗透浓盐水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7144U (ko) * 1979-12-07 1981-07-13
JPH0966299A (ja) * 1995-08-31 1997-03-11 Mitsubishi Heavy Ind Ltd 二段薬注式遠心脱水機
KR19980033532A (ko) * 1998-04-23 1998-07-25 박재덕 원심력에 의한 기계농축과 탈수기
JPH10328580A (ja) * 1997-05-29 1998-12-15 Mitsubishi Kakoki Kaisha Ltd 液・固−液分離用スクリュウ型デカンター
KR100193352B1 (ko) * 1995-07-25 1999-06-15 박재덕 협잡물 처리용 원심분리 탈수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7144U (ko) * 1979-12-07 1981-07-13
KR100193352B1 (ko) * 1995-07-25 1999-06-15 박재덕 협잡물 처리용 원심분리 탈수기
JPH0966299A (ja) * 1995-08-31 1997-03-11 Mitsubishi Heavy Ind Ltd 二段薬注式遠心脱水機
JPH10328580A (ja) * 1997-05-29 1998-12-15 Mitsubishi Kakoki Kaisha Ltd 液・固−液分離用スクリュウ型デカンター
KR19980033532A (ko) * 1998-04-23 1998-07-25 박재덕 원심력에 의한 기계농축과 탈수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497B1 (ko) * 2009-09-30 2010-02-10 정용원 다단 원심 탈수장치
KR101459212B1 (ko) * 2013-02-19 2014-11-2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크류데칸터형 원심분리기
KR20160015690A (ko) * 2014-07-31 2016-02-15 김철오 탈수 및 농축 겸용 원심 분리기
CN117800431A (zh) * 2024-02-29 2024-04-02 山西绿泉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太阳能负压蒸发反渗透浓盐水系统
CN117800431B (zh) * 2024-02-29 2024-05-07 山西绿泉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太阳能负压蒸发反渗透浓盐水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7010A (en) Apparatus for the partial dehydration of sludge in the centrifuge field of a solid jacket centrifuge
KR100935819B1 (ko) 수평형 포트스크류 원심분리기
KR100916032B1 (ko) 축산폐수 침전 슬러지 탈수용 원심탈수기
US4042172A (en) Bowl centrifuge rotor
KR101663827B1 (ko) 멀티 스크류가 장착된 수평형 원심분리 농축 탈수기
RU2223151C2 (ru) Центрифуга с дополнительной секцией ротора
JPH04193363A (ja) デカンタ型遠心分離機
US5685819A (en) Centrifugal liquid separating machine using deceleration vanes
US3423015A (en) Continuous centrifugal separator with pool depth control
US7909173B2 (en) Combined centrifugal separator
KR20030067632A (ko) 협잡물과 슬러지 처리 복합 원심분리기
EP0868217B1 (en) Decanter centrifuge
KR200384169Y1 (ko) 배수 스크류가 장착된 디켄터 원심분리기
KR100974949B1 (ko) 감속기어 내장형 원심분리장치
KR19990083738A (ko) 수평연속식이단가속원심분리기
KR101383595B1 (ko) 수평원통형 원심분리 농축 탈수기
KR102509045B1 (ko) 내구성과 고형물 배출 조절장치가 구비된 수평형 원심분리농축탈수 시스템
KR100251596B1 (ko) 원심력에 의한 기계농축과 탈수기
CN201064739Y (zh) 立式自动卸料离心机
WO2022211292A1 (ko) 수직 연속형 고속 원심분리기
FI65766C (fi) Centrifug med tvao koncentriska trummor foer avvattning av slam
CN101306402A (zh) 立式离心机的固液分离装置
CN205379987U (zh) 一种用于离心脱水机的分料推送装置
KR200319149Y1 (ko) 미세한 분말상 고체의 분리가 가능한 스크류컨베이어-원통형 원심분리기
KR200353099Y1 (ko) 오물 처리용 원심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