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2692A -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erasing letters on an water cleaning board - Google Patents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erasing letters on an water cleaning 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2692A
KR19990082692A KR1019990001847A KR19990001847A KR19990082692A KR 19990082692 A KR19990082692 A KR 19990082692A KR 1019990001847 A KR1019990001847 A KR 1019990001847A KR 19990001847 A KR19990001847 A KR 19990001847A KR 19990082692 A KR19990082692 A KR 19990082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writing surface
erasing
blackboard
wip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18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창호
Original Assignee
장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창호 filed Critical 장창호
Priority to US09/288,141 priority Critical patent/US6370720B1/en
Priority to AU31725/99A priority patent/AU3172599A/en
Priority to PCT/KR1999/000171 priority patent/WO1999053466A2/en
Publication of KR19990082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692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06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motor-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18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with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21/00Blackboard or slate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세정액을 사용하여 칠판의 판서면에 기록되어 있는 분필기록층을 세척·소거하는 워터크리닝칠판의 소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cleaning blackboard era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nd erasing a chalk recording layer recorded on a board writing surface of a blackboard using a predetermined cleaning liquid.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발명의 창작사상은, 칠판의 한쪽끝에서 다른 쪽끝까지 왕복운동 하도록 된 소거장치(본원에서는 브러시 및 와이퍼부재를 포함한 크리닝수단을 의미함)가 왕로(往路)에서 칠판의 판서면을 따라서 1회의 소거작용을 마친다음 재차 귀로(歸路)에서도 왕로(往路)와 똑같은 조건하에서 소거작용을 실시할수 있는 왕복주행시스템을 실시하는데 있다.The most important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erasing device (here, means cleaning means including a brush and a wiper member) reciprocating from one end of the board to the other end of the board is the board of the board in the road. After completing one erase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written letter, it is to implement a round trip driving system that can perform the erase operation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the back road.

예컨대 소거장치의 주행방향이 바뀔 때 마다 판서면과 밀착하는 접촉부를 비접촉상태로 바꾸고 또 비접촉부는 접촉상태로 바꾸어주는 가변접촉수단을 통하여 소거장치가 왕복운동을 할때의 소거환경을 동일하게 형성한다.For example, whenever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erasing device is changed, the contacting part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riting surface is changed to the non-contacting state, and the non-contacting part forms the same erasing environment when the erasing device reciprocates through the variable contact means. .

즉, 본 발명에서는 브러시가 먼저 판서면에 기록되어 있는 분필기록층을 세척·소거하고 나면 그 뒤를 와이퍼부재가 따라가면서 칠판의 판서면에 남아있는 잔류세정액을 말끔하게 제거시키기 위하여 주행방향에서 볼 때 전방에 브러쉬가 위치되고 후방에 와이퍼부재가 위치되도록 한 소거장치로서 상기 구성은 소거장치가 왕복로(往復路) 어느방향으로 진행하더라도 항상 같은방향에 위치되어 작동된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rush first washes and erases the chalk recording layer recorded on the writing surface, the wiper member follows the back, and when viewed from the driving direction to remove the remaining cleaning liquid remaining on the writing surface of the blackboard. The erasing device in which the brush is located in the front and the wiper member is located in the rear, and the configuration is always operated in the same direction even if the erasing device proceeds in either direction of the reciprocating path.

한편 왕로(往路)에서만 세척·소거작용을 실시하고 귀로(歸路)에서는 소거장치를 무소거귀환행정(無消去歸還行程) 하도록 동작시퀀스를 설정하는 경우에도, 상기 브러시와 와이퍼부재를 둘다 모두 칠판의 판서면으로부터 소정간격 만큼 후퇴시켜 격리귀환시키므로써 브러시와 와이퍼부재에 묻어있는 오염액이 재차 판서면을 더럽히는 일이 없도록, 칠판의 2차오염을 완벽하게 방지하는데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이 있다.On the other hand, both the brush and the wiper member may be used for cleaning and erasing only on the road and setting the sequence of operation to remove the return device from the return path.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mpletely prevent secondary contamination of the board so that the contaminants on the brush and the wiper member do not contaminate the writing surface again by retreating from the writing surfac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

이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판서면에 대하여 1차적으로 세척·소거작업을 실시하는 브러시와, 이 브러시의 뒤를 추종하면서 판서면에 남아있는 잔류세정액을 말끔하게 제거시키는 와이퍼부재를 별개의 동작체로 구성하지 않고 하나의 소거장치안에 포함하여 함께 응동(應動)시키는 가운데 왕로(往路)만의 편도(片道)에 한정시켜 세척·소거작업을 실시할 수도 있고 또는 왕복로(往復路) 모두 세척·소거작업을 실시할 수도 있는 워터크리닝칠판의 소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ush which performs cleaning and erasing operations on the writing surface firstly and the wiper member which cleanly removes the residual cleaning liquid remaining on the writing surface while following the back of the brush are not constituted by separate moving bodies. It is possible to perform cleaning and erasing operation by limiting to one way only in the royal road while being included in the scavenging device of the exhaust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erasing a water-cleaning blackboard and a device thereof.

Description

워터크리닝칠판의 소거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ERASING LETTERS ON AN WATER CLEANING BOARD}Method of erasing water cleaning blackboard and its device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ERASING LETTERS ON AN WATER CLEANING BOARD}

본 발명은 크리닝칠판의 소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erasing a cleaning blackboard and an apparatus thereof.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칠판의 판서면(기록면)에 문자(文字)나 숫자(數字) 또는 도형(圖形), 기호(記號) 등의 여러가지 형태로 기재되어 있는 분필기록층을 세정액으로 소거하는 워터크리닝칠판의 소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the water for erasing the chalk recording layer described in various forms such as letters, numbers, figures, symbols, etc. on the writing surface (recording surface) of the board with a cleaning liquid. A method of erasing a cleaning blackboard and an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의 소거방법 및 그장치는 분필입자를 미세한 요철면으로부터 박리시켜야 하는 칠판(Chalk Board)에 한정시켜서 적용하기로 한다. 백판의 경우에 있어서는 판서면이 평활하고 필기매체가 휘발성 잉크인 까닭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간단히 문질러주는 것만으로도 판서된 기록들을 쉽게 지울 수 있으므로 굳이 본 발명에 의한 소거방법 및 그장치를 적용할 필요성이 없다.The eras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lied to a chalk board in which chalk particles are to be peeled off from a fine uneven surface. In the case of the white board, since the writing surface is smooth and the writing medium is a volatile ink, the written records can be easily erased simply by rubbing in a conventional manner, so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erase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종래 칠판표면에 판서된 분필기록층을 지워 없애는데는 통상적으로 천조각을 봉제(縫製)하여 만든 천 지우개를 사용하였다.Conventionally, a cloth eraser made by sewing a piece of cloth was used to erase the chalk recording layer written on the surface of the blackboard.

그러나 이처럼 천지우개를 사용하여 칠판을 지우는 일은 칠판을 지울 때 분필가루가 비산하므로 코의 점막(粘膜)을 자극하거나 호흡기 계통의 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칠판면을 지우는 과정에서 지우개에 옮겨붙은 분필가루를 다시 털어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clearing the blackboard using a celestial eraser will not only irritate the mucous membranes of the nose and cause diseases of the respiratory system as the chalk is scattered when the blackboard is erased. There was a problem to shake off the chalk again.

그런 까닭에 칠판을 항상 사용해야 하는 학교교사나 학원강사는 물론이거니와 피교육자인 학생이나 수강생들에게 좋지 않은 교육환경이 조성될 수 밖에 없었다.For this reason, it was inevitable to create an unfavorable educational environment not only for school teachers and instructors who should always use the blackboard, but also for students and students who are trainees.

그리고 무엇보다도 칠판의 표면은 완전한 평활면이 아니라 분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표면거칠기(Surface roughness)를 보유하고 있는 까닭에 그위에 분필로 글씨를 쓰게되면 분필입자가 판서부재의 미세한 요철부분에 끼이게 되므로 천으로 된 분필지우개로서는 깨끗하게 지우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지워낸 흔적이 뿌옇게 남게되어 좋지 않았다.And most of all, the surface of the board is not a perfect smooth surface, but has a constant surface roughness to prevent the sliding of the chalk, so if you write with chalk on it, the chalk particles will appear on the minute irregularities of the writing member. Because of the pinch, the cloth eraser was not only difficult to erase cleanly, but it was not good because the trace was erased.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1998년 국내 특허등륵 출원 제 6688호를 선행기술로서 제시한 바 있다.In order to alleviate this drawback,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the domestic patent application No. 6688 as prior art in 1998.

상기한 특허출원 제 98-6688호는, 일정한 축간거리를 갖는 복수개의 로울러에 유연성이 큰 벨트형상의 엔드리스 보오드(Endless Board)를 감아서 구동시키는, 칠판본체나 또는 복수개의 로울러에 상기 보오드의 양단(兩端)을 각각 한쪽씩 권취시키고 여기에 전자클러치와 같은 동력차단장치를 개재시켜서 한쪽 로울러에서 보오드를 감을 때 다른 한쪽의 로울러에는 동력이 차단되어 보오드를 풀어내도록 구성된 칠판본체에 비교적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지움부재(구체적으로는 브러시)가 칠판본체와 슬라이딩 접촉상태로 양동(兩動)하면서 보오드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분필층을 소거하도록 되어 있다.The above-mentioned patent application No. 98-6688 is a board body or a plurality of rollers, both ends of which are wound around a plurality of rollers having a constant interaxial distance and driven by winding a belt-shaped endless board having high flexibility. Each coil is wound one by one and a power shut-off device such as an electronic clutch is interposed thereon to wind the board at one roller, and the other side of the roller is turned off to release the board at a relatively high speed. The rotating erasing member (specifically, the brush) is moved in sliding contact with the blackboard body to erase the chalk layer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board.

상기한 특허출원 제 98-6688호에 의한 선행기술은Prior art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atent application No. 98-6688

① 보오드를 장타원 형상으로 연결하여 벨트형상으로 구성시킨 엔드리스보오드의 경우에는 연결공정에서 가공오차 및 조립오차 등이 합쳐진 합성오차가 생길 수 있다.① In the case of the endless boards in which the boards are connected in a long ellipse shape and formed in a belt shape, there may be a combined error in which the machining and assembly errors are combined in the connecting process.

이러한 보오드의 합성오차는 선행기술과 같이 칠판면이 움직이는 칠판본체주행방식에 있어서는 매우 불리하다.Synthetic error of the board is very disadvantageous in the way of driving the blackboard body, such as the prior art board moving surface.

즉 칠판보오드를 엔드레스 형상으로 연결하여 상기한 가공오차 및 조립오차등이 발생하는 경우에 있어서 실제구동시에 보오드가 칠판의 상부 또는 하부의 어느한쪽으로 편향(偏向)하려는 성질을 나타내기가 쉽다.That is, when the board board board is connected in an endless shape and the above processing errors and assembly errors occur, it is easy to show the property of the board to be biased toward either the top or the bottom of the board during actual driving.

이러한 보오드의 편향성을 바로잡기 위하여서는 별도의 조향장치(調向裝置)를 설치해야만 한다.In order to correct the deflection of the board, a separate steering device must be installed.

② 이와 같은 본체직접구동방식의 칠판에 있어서는 어느정도 크기이상의 직경을 갖는 구동로울러의 외부에 유연성 보오드를 감아서 이를 칠판후레임의 중공부 내에 내장시키게 되므로 모든 구동장치가 전부 칠판본체 내부로 집약되게 된다. 따라서 칠판후레임의 두께가 지나치게 커지게 되고, 칠판 전체가 중량화(重量化)되어 취급성이 나빠지게 되는 결점이 있다.② In the blackboard of the main body direct drive method, the flexible board is wound around the outside of the driving roller having a diameter of a certain size and embedded in the hollow part of the blackboard frame, so all the driving devices are all concentrated inside the blackboard body. Therefore, there is a drawback that the thickness of the blackboard frame becomes excessively large, and the entire blackboard is weighted, resulting in poor handling.

③ 이러한 본체직접구동방식의 칠판은 상기한 바와 같이 칠판본체가 지움부 재의 전부가 칠판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까닭에 칠판의 판서면을 동작시키는 칠판본체구성과 이 판서면의 세척·소거시키는 지움부재의 서로다른 2개의 기술구성이 상호간섭되는 것을 피하기 어렵다.③ As described above, the blackboard of the main body direct drive method is constructed so that the entire board material is installed inside the frame of the board, and thus the board body structure that operates the board's writing surface and the cleaning and erasing of the writing surface are erased. It is difficult to avoid the mutual interference of two different technical configurations of the members.

이처럼 서로 별개의 기술구성이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설계는 유지보수면에 있어서 매우 바람직하지 못하며 어느 특정의 부품 교환시에도 그 부근에 장치되어 있는 다른 주변시설물(周邊施設物)을 우선적으로 해체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등의 불편이 뒤따르게 된다.Such a design in which mutually separate technical configurations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is not very desirable in terms of maintenance, and in the case of any particular parts replacement, work by first dismantling other peripheral facilities installed nearby. This is accompanied by inconvenience, such as the need to secure space.

상기한 바와 같은 특허출원 제 98-6688호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평판형상의 움직이지 않는 평면칠판에 대하여 소정의 세정액 공급수단에 의하여 세정액을 공급받는 지움부재 및 이 지움부재의 뒤를 추종(追從)하는 잔류세정액 제거부재(이하 와이퍼부재로 칭함)가 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에서 좌. 우로 수평 이동하면서 칠판의 판서면(보오드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분필층을 소거하는 기술을 창작하였다.In order to solve the drawbacks of the above-mentioned patent application No. 98-6688, the present inventors follow the erasing member and the back of the erasing member which are supplied with the cleaning liquid by a predetermined cleaning liquid supplying means with respect to the flat plate-shaped non-moving flat blackboard ( 잔류) Residual cleaning liquid removal memb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wiper member) is left in contact or non-contact state. By moving horizontally to the right, he created a technique to erase the chalk layer attached to the board's writing surface (the board's surface).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발명창작사상은The most important invention creation idea in this invention is

① 칠판의 한쪽끝에서 다른쪽 끝까지 수평왕복 이동하도록 된 지움부재 및 와이퍼부재가 왕로(往路)에서 수평이동을 하면서 1회의 지움작용을 종료한 후 귀로(歸路)에서 다시 지움작용을 실시하기 위한 소거조건(消去條件)으로 자동전환 되도록 하는 것.① Erasing member and wiper member moving horizontally from one end of the board to the other end move horizontally on the road and finish the one erasing operation. To be automatically switched to elimination conditions.

즉 왕복로(往復路)의 어떤 경우에 있어서도 세정액을 공급받는 지움부재가 먼저 칠판의 판서면에 작용하여 분필층을 소거시킨 후 곧 와이퍼부재가 상기 지움부재의 뒤를 추종하면서 칠판의 판서면에 남아 있는 잔류세정액을 말끔하게 제거하도록 되는 이른바 선(先)지움부재-후(後)와이퍼부재의 전후불변구성(前後不變構成)이 항상 성립하도록 이루어진 특허사상을 이 발명의 원칙적인 창작사상으로 한다.That is, in any case of the reciprocating path, the erasing member supplied with the cleaning liquid first acts on the writing surface of the blackboard to erase the chalk layer, and then the wiper member is left on the writing surface of the blackboard while following the erasing member. The principle of creation of this invention is the patent idea that the so-called pre-clearing member and the post-wiper member's front and rear inertia are always established to cleanly remove any residual cleaning solution. .

② 다음으로 중요한 또 다른 본 발명의 발명창작사상은 분필기록층이 부착되어 있는 칠판본체의 판서면에 대하여 지움부재와 와이퍼부재가 순차적으로 작용하면서 왕로(往路)에서만 소거작용을 수행하고 원래위치로 되돌아오는 귀로(歸路)에서는 이 지움부재와 와이퍼부재가 모두 판서면으로부터 소정간격 만큼 이간(離間)된 상태하에서 원래위치로 귀환하도록 하므로써 칠판의 판서면에 대한 2차오염을 완벽하게 방지하면서 칠판의 판서면에 부착된 분필층을 소거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② Next, another important invention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the erasing action only in the royal road while the erasing member and the wiper member sequentially act on the writing surface of the blackboard body to which the chalk recording layer is attached. In the returning return path, both the eraser and the wiper member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writing surfa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y completely preventing secondary contamination on the writing surface of the blackboard.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erasing the chalk layer attached to the writing surface of the.

이를 다시 상세하게 설명하면, 칠판사용자가 칠판의 판서면에 분필로 기록한 분필기록의 전부(全部)를 칠판의 1차오염이라 정의할 때, 2차오염이란 지움부재나 와이퍼부재와 같이 칠판의 판서면에 부착된 분필기록층을 직접 지우는 소거장치가세척소거가 끝난후에도 불필요하게 판서면과 계속 접촉하므로써 지움부재나 와이퍼부재에 묻어있는 오염된 세정액이 칠판의 판서면을 재차 오염시키는 오염형태를 말한다.In detail, when the board user defines the entire chalk record written in chalk on the writing surface of the board as the first pollution of the board, the second pollution is the board of the board like the erase member or the wiper member. It refers to a form of contamination in which the contaminated cleaning liquid on the eraser member or wiper member contaminates the board writing surface again because the erasing device that directly erases the chalk recording layer attached to the writing keeps contacting the writing surface unnecessarily even after cleaning is finished. .

위에 기재한 바와같이 왕로(往路)에서만 세척ㆍ소거작업을 실시하고 귀로(歸路)에서는 무소거귀환(無消去歸還)하는 실시예의 형태는 상용(常用)의 세척ㆍ소거방법으로는 다소 바람직하지 않는 것처럼 생각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in which the washing and erasing operation is carried out only in the west road and the mute return-free in the return road is not preferable as a commercial washing and erasing method. It may be thought that it does not.

그러나 이와같은 본 발명의 편도소거방식(片道消去方式)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인 왕복소거방식에서 통상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소거장치의 복수구성을 배제할 수 있는 까닭에 기술구성을 상대적으로 단순화시킬수 있다.However, the one-way eli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ify the technical configuration relatively, since it is possible to exclude a plurality of components of the erasing apparatus conventionally employed in the reciprocating erase method,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따라서 소거장치도 그만큼 콤팩트(Compact)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소규격(小規格)의 칠판에 적용할 때 바람직하다는 장점을 갖는다.Therefore, the erasing device also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desirable when applied to a small board because it is possible to compact (Compact).

이와같은 편도소거방식도 본 발명의 창작개념인 선(先)지움부재-후(後)와이퍼 부재라는 소거작업시의 기본 루울(role)를 확실하게 지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움부재와 와이퍼부재라는 2개의 구성요소가 마치 1개의 물체처럼 상호 응동(應動)한다는 점에서 볼 때 본 발명의 권리범위안에 포함된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This one-way elimination method reliably protects the basic role during the erasing operation of the pre-erase member and the post-wiper member, which is the inventiv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erase member and the wiper member. There is no doubt that the two compon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they interact with each other as if they were one object.

이처럼 귀로(歸路)에서 소거작업을 실시하지 않고 단순귀환하는 실시예에서지움부재와 와이퍼부재 모두가 칠판의 판서면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간되어야 한다는 점은 앞서 설명한 2차오염의 방지 차원에서 반드시 필요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simply returning without performing the erase operation in the return path,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secondary pollution mentioned above that both the erasing member and the wiper member should b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riting surface of the board. Do.

더욱이 지움부재와 와이퍼부재중 어느 하나라도 칠판의 판서면과 접촉상태로귀환할 경우에는 과도한 접촉마찰로 인하여 부재와 칠판표면의 마모가 촉진됨은 물론이거니와, 상대접촉으로 인한 저항이 모터구동에 과부하로 전달되어 모터소손의 원인이 되기도 하므로 이의 방지를 위해서도 지움부재와 와이퍼부재가 다함께 이간귀환(離間歸還) 하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Furthermore, when either of the eraser and the wiper memb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ard surface of the board, excessive contact friction promotes abrasion of the member and the board surface, and the resistance due to relative contact is transmitted to the motor drive by overload. Since it may cause damage to the motor,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return member together with the wiper member to prevent this.

본 출원의 발명자는 칠판의 판서면에 부착되어 있는 분필층을 가장 효과적으로 세척·소거하는 지움부재로서 수많은 실험을 거쳐서 원통형상의 브러시(이하 간단하게 브러시라 칭함)를 선택하였다.The inventor of the present application selected a cylindrical brush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brush) through numerous experiments as an erasing member that most effectively washes and erases the chalk layer attached to the writing surface of the board.

이 브러시의 구성 예로서는 원통형상으로 된 로울러지지축의 외주에 짧고 치밀하게 식모(植毛)된 벨트를 권취시켜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this brush, it is preferable to wind and form the short, dense-finished belt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ylindrical roller support shaft.

한편 본 발명자는 실험적으로 와이퍼부재가 일부지지 일부자유(一部支持, 一部自由)의 구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ors have experimentally concluded that it is most appropriate to have the wiper member have a configuration of partial free support.

즉 유연성을 가지면서 표면은 잘 마모되지 않도록 표면처리한 합성고무로 형성시킨 와이퍼부재의 지지측은 접촉면적을 넓게하고 두께를 상대적으로 크게하여 블럭내의 지지홈 내에 고정 삽입되고, 상기 지지측에 연장된 가느다란 넥(Neck)의 선단에 삼각꼴의 자유측이 지지홈 밖으로 자유롭게 돌출되도록 구성하므로써 칠판의 판서면에 대하여 선단부가 유연하게 젖혀지면서 빗자루로 쓸어내는 것처럼 칠판의 판서면에 묻어있는 잔류세정액을 완벽하게 훑어 내릴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support side of the wiper member formed of synthetic rubber surface-treated with flexibility to prevent the surface from being worn well is fixedly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in the block by widening the contact area and making the thickness relatively large, and extending to the support side. By configuring the free side of the triangle to protrude out of the supporting groove freely at the tip of the neck, the residual cleaning liquid on the board's writing surface is perfect as if the tip is flipped on the board's writing surface and sweeped with a broom. Be able to skim down.

본 발명에서 칠판의 판서면(Board)의 소재로는 스틸부재나 합성수지시이트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steel member, a synthetic resin sheet, or the like as the material of the board surface of the board.

브러시에 대한 청소방법으로는, 브러시의 식모(植毛)길이와 회전속도를 실험을 통해 적정값을 정하므로써 브러시 스스로 자기정화(自己淨化)하는 방법을 선택하므로써 무난히 해결하였는데 상세한 설명은 후술키로 한다.As a cleaning method for the brush, the brush hair length and rotational speed of the brush were determined by an appropriate value through experiments, and the brush was self-purified by selecting a method of self-cleaning.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made later.

도 1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1 to 8b are views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주행케이싱의 내부를 보인 크리닝칠판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 cleaning blackboard showing the inside of a running casing;

도 2는 주행케이싱과 칠판본체의 결합관계를 표시한 측단면도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running casing and the blackboard body

도 3은 주행케이싱 내부의 구성요부를 보인 평단면도3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of the running casing;

도 4는 가변접촉수단의 동력전달계통도4 is a power transmission system diagram of the variable contact means

도 5a는 소거장치가 중립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도5A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erasing device maintains a neutral state

도 5b는 소거장치가 우밀착상태임을 나타내는 도면5B is a view showing that the erasing device is in a close contact state.

도 5b는 소거장치가 좌밀착상태임을 나타내는 도면5B shows that the erasing device is in a close contact state.

도 6은 브러시구동수단과 가변접촉수단에 포함되는 기어군(群)의 배열상태도6 is an arrangement state of the gear group included in the brush driving means and the variable contact means;

도 7은 브러시구동수단의 동력전달계통도7 is a power transmission system of the brush drive means

도 8a 내지 도 8b는 소거장치의 설계변경을 도시한 예시도8A to 8B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design change of the erasing device.

도 9a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9A to 10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는 소거장치가 좌밀착상태임을 나타내는 도면9A shows that the erasing device is in a close contact state.

도 9b는 소거장치가 우밀착상태임을 나타내는 도면9B shows that the erasing device is in a close contact state.

도 10은 칠판본체와 주행케이싱을 조립시킨 상태의 측단면도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blackboard body and the running casing in a state assembled;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11 to 12 are views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소거장치의 요부를 표시하는 평면도11 is a plan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the erasing apparatus;

도 12는 도 11에 따른 정면도12 is a front view according to FIG.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in the drawings

100 - 칠판본체 101 - 판서면100-Chalkboard Body 101-Writing Board

130 - 주행케이싱 139, 239, 339 - 타이밍벨트130-Drive casing 139, 239, 339-Timing belt

140 - 소거장치(크리닝수단) 141 - 브러시140-Cleaning device 141-Brush

142 - 와이퍼부재 150 - 세정액공급수단142-wiper member 150-cleaning liquid supply means

160 - 위치감지수단 170 - 주행안내수단160-Position sensing means 170-Driving guidance means

172 - 이동부재 180 - 브러시구동수단172-Moving member 180-Brush driving means

181 - 브러시구동모터 190 - 가변플레이트181-Brush Drive Motor 190-Variable Plate

200 - 가변접촉수단 210 - 상부플레이트200-Variable contact means 210-Upper plate

214 - 진퇴모터 260 - 블럭체214-Retreat Motor 260-Block Body

264 - 안내장공 270 - 편심축264-Circular guide 270-Eccentric shaft

282 - 센서.독(sensor dock) 283 - 근접센서282-Sensor dock 283-Proximity sensor

284 - 나사축 285 - 나사블럭284-Screw Shaft 285-Screw Block

286 - 지지블럭286-Support Block

본 발명은 판서면의 외곽을 감싸도록 지지하는 칠판보호후레임(105)상에 소거방향(消去方向)을 따라서 소정의 주행안내수단(170)이 형성되어 있는 칠판본체(100)와,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lackboard main body 100 in which a predetermined driving guide means 170 is formed along an erasing direction on a blackboard protection frame 105 supporting the outer surface of a writing surface,

이 부동(不動)의 칠판본체(100)의 판서면(101)에 대하여 외접 상태로 슬라이딩 회전하면서 소정의 세정액 공급수단(150)으로부터 세정액을 공급받아 판서면(101)에 부착되어 있는 분필층을 세척·소거하는 브러시(141L),(141R)와,The chalk layer adhered to the writing surface 101 is supplied with the cleaning liquid from the predetermined cleaning liquid supply means 150 while slidingly rotating in a circumferential state with respect to the writing surface 101 of the floating blackboard body 100. Brush (141L), (141R) to wash and erase,

상기 브러시의 뒤를 항상 추종(追從)하면서 판서면(101)에 묻어있는 잔류세정액을 아래로 훑어서 떨어뜨리는 와이퍼부재(142L),(142R)와,The wiper members 142L and 142R which sweep down the remaining cleaning liquid buried on the writing surface 101 while always following the back of the brush, and

상기 브러시(141L),(141R)와 와이퍼부재(142L),(142R)를 다같이 제어하거나 또는 어느 한가지만을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칠판본체(100)의 판서면에 대한 접촉 또는 비접촉 부분을 결정하도록 브러시와 와이퍼부재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가변접촉수단(2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By controlling the brush 141L, 141R and the wiper members 142L, 142R together or controlling only one of them, the brush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contact or non-contac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writing surface of the blackboard body 100. And a variable contact means 200 for varying the position of the wiper member.

우선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장치의 모든 실시예에 공통된 구성부분을 설명한다.First, the components common to all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면부호 101은 스틸 또는 합성수지의 보오드(Board)로 된 칠판의 판서면이고, 105는 이 판서면(101)이 평판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오드(101)를 외곽에서 감싸도록 지지하는 칠판보호틀체이다.Reference numeral 101 denotes a writing surface of a board made of steel or synthetic boards, and 105 denotes a board protection frame that supports the board 101 to be wrapped around the outside so that the writing surface 101 maintains a flat plate shape. .

이 판서면(101)과 칠판보호틀체(105)를 포함하여서 칠판본체(100)라고 규정한다.Including this writing surface 101 and the blackboard protective frame 105, the board body 100 is defined.

이 칠판보호틀체(105) 상에는 도 1에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는 판서면의 소거방향(消去方向)을 따라서 소정의 주행안내수단(170)의 고정부(Fixing part)가 형성되게 된다.A fixing part of the predetermined travel guide means 170 is formed on the board protection frame 105 along the erasing direction of the writing surface shown by an arrow in FIG. 1.

본 발명에서 이 주행안내수단의 고정부는 랙기어(171)를 채택하고 있으며 이랙기어와 맞물리는 주행안내수단의 구동부(Moving part)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피니언기어(174)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portion of the travel guide means employs a rack gear 171, and the driving part of the travel guide means engaged with the rack gear is the pinion gear 174 shown in FIG.

엄밀하게 말하면, 이 랙기어(171)와 맞물리면서, 판서면(101)상에 부착되어 있는 분필층을 세척·소거하는데 필요한 소거장치의 전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주행케이싱(130)은 상기 피니언기어(174)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다.Strictly speaking, the traveling casing 130, which engages with the rack gear 171 and accommodates all of the erasing apparatus necessary for cleaning and erasing the chalk layer attached to the writing surface 101, has the pinion gear ( 174) therein.

따라서 이 피니언기어(174)가 칠판보호틀체(105)상에 형성되어 있는 랙기어(171)와 맞물리면서 주행케이싱(130)을 판서면(101)의 소거방향(도 1의 화살표방향)으로 수평주행시키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inion gear 174 is engaged with the rack gear 171 formed on the board protection frame 105, and the traveling casing 130 is driven horizontally in the erasing direction of the writing surface 101 (arrow direction in Fig. 1). It is to be made.

이러한 수평주행에 필요한 동력은 주행모터(173)가 제공한다.The driving motor 173 provides the power required for this horizontal driv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공통적으로 상기 주행안내수단(170)으로 랙기어(171)와 피니언기어(174)의 조합을 채택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상기 랙기어의 위치에 로울러체인을, 피니언기어의 위치에 체인스프로켓을 대체 설치하여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내에 속할 것이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bination of the rack gear 171 and the pinion gear 174 is commonly used as the driving guide unit 17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roller chain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of the rack gear. Even if the chain sprocket is installed in the position of the gear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항상 부동상태(不動狀態)를 유지하는 칠판본체(100)쪽에는 주행안내수단의 고정부를 형성하고, 소정의 소거구간을 주행하는 주행케이싱(130) 쪽에는 주행부를 각각 배치하면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fixed portion of the driving guide means is formed on the blackboard main body 100 which always maintains a floating state, and the traveling portions may be disposed on the traveling casing 130 side that travels a predetermined erasing section.

상기 칠판보호후레임(105)의 양단과, 이와 대응하는 주행케이싱(130)의 양측에는 이 주행케이싱(130)의 왕복주행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위치감지수단(160)이 구비되어 있다.Both ends of the board protection frame 105 and both sides of the traveling casing 130 corresponding thereto are provided with position sensing means 160 for limiting the reciprocating range of the traveling casing 130.

이 위치감지수단(160)은 칠판보호후레임(105)상에 설치되는 접촉부재(162)와 주행케이싱(130)에 설치되는 리미트스윗치(161)를 포함한다.The position detecting means 160 includes a contact member 162 provided on the board protection frame 105 and a limit switch 161 provided on the traveling casing 130.

상기 주행케이싱(130)은 칠판의 판서면(101)에 부착되어 있는 분필층을 세척·소거 하기 위한 브러시, 와이퍼부재, 가변접촉수단 및 그 밖의 모든 세척·소거장치를 외부에서 감싸서 보호하고 있는데 이 주행케이싱(130)이 판서면(101)의 한쪽끝에서 다른쪽 끝에 걸쳐서 상기 기재의 세척·소거장치를 일정속도로 정숙하게 동작시킬 수 있어야 하는 것은 기본에 속한다.The driving casing 130 wraps and protects a brush, a wiper member, a variable contact means and all other cleaning and erasing devices from the outside for cleaning and erasing the chalk layer attached to the writing surface 101 of the blackboard. It is essential that the traveling casing 130 be able to quietly operate the cleaning / erasing device of the substrate at one speed from one end to the other of the writing surface 101 at a constant speed.

이에 더하여 상기 주행케이싱(130)은 칠판의 한쪽 끝에서 다른쪽 끝까지 수평으로 주행하면서 칠판의 소거구간을 벗어나지 않도록 소정의 위치감지수단(160)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raveling casing 130 needs to be controlled by a predetermined position detecting means 160 so as not to leave the erase section of the blackboard while traveling horizontally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blackboar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감지수단(160)으로서 리미트스윗치를 채택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근접센서를 사용하거나 타이머를 부착하여서 모터구동시간을 구속하는 방법으로 케이싱의 왕복주행범위를 제한하여도 무방하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limit switch is adopted as the position detecting means 16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reciprocating driving range of the casing is limited by using a proximity sensor or by attaching a timer to restrain the motor driving time. It may be limited.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1 to 8 show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실시예는 복수(復數)인 편심축(270)의 변위개시점(A)의 위치를 서로다른회전궤적의 좌표상에 설정하므로써 1쌍의 소거장치의 전후 진퇴거리를 서로 부등상태(不等狀態)가 되도록 제어하여 한쪽을 접촉부로 다른쪽을 비접촉부로 번갈아가면서 교환하도록 이루어져 있다.The first embodiment sets the positions of the displacement start points A of the plurality of eccentric shafts 270 on the coordinates of different rotational trajectories so that the forward and backward distances of the pair of erasing apparatuses are uneven. 되도록) so that it is controlled so as to be exchanged by alternating one side with a contact and the other with a non-contact.

도 3은 제 1실시예에서 소거장치의 케이싱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asing of the erasing apparatus in the first embodiment.

햇칭표시한 도면부호 130이 주행케이싱이다.A hatching symbol 130 denotes a running casing.

이 주행케이싱은 합성수지제의 사출물로 성형할 수도 있고 알미늄 등의 경량금속재로 압출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The traveling casing may be molded into an injection molded product made of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by extruding it into a lightweight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대략 원통형의 브러시(141)와 와이퍼부재(142)를 포함하여 크리닝수단(또는 소거장치)으로 호칭하는데, 이 실시 예에서 크리닝수단(140)은 블럭체(260)에 의하여 구속되게 되어 있다.It include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brush 141 and a wiper member 142 is called a cleaning means (or erasing device), in this embodiment the cleaning means 140 is constrained by the block body 260.

상기 블럭체(260)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가변접촉수단(200)에 의하여 칠판본체(100)의 판서면(101)에 대하여 접촉·비접촉이 결정되는 좌.우측브러시(141L),(141R)와 와이퍼부재(142L),(142R)를 판서면(101)과 마주보도록 끼워 넣을 수 있는 삽입홈(261),(26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block body 260 has left and right brushes 141L in which contact and non-contact are determined with respect to the writing surface 101 of the blackboard body 100 by the variable contact means 200 described later. , 141R, wiper members 142L, and 142R are formed with insertion grooves 261 and 262 which can be fitted to face the writing surface 101, respectively.

상기 브러시(141L),(141R)의 삽입홈(261)은 브러시의 외경보다 약간 커다란동심원상의 원호를 안경테 모양처럼 둥그렇게 돌려서 내벽을 형성하되, 그 전방부(前方部)를 개방시켜서 브러시가 이 개방부를 통하여 칠판의 판서면(101)과 슬라이드 접촉하면서 분필층을 소거할 수 있도록 한다.The insertion grooves 261 of the brushes 141L and 141R rotate the concentric circular arc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brush to form an inner wall to form an inner wall, and open the front part thereof to open the front part. It is possible to erase the chalk layer while sliding contact with the writing surface 101 of the blackboard through the opening.

상기 좌.우측 브러시(141L),(141R)의 양옆에는 루버 블레이드(Rubber Blade)형상으로 된 와이퍼부재(142L),(142R)를 판서면(101)과 마주보도록 설치할 수 있는삽입홈(262)이 형성되게 된다.On both sides of the left and right brushes 141L and 141R, the wiper members 142L and 142R in the shape of a louver blade can be installed to face the writing surface 101. Will be formed.

브러시의 삽입홈(261)과 와이퍼부재의 삽입홈(262)은 대략 브러시와 와이퍼부재의 길이와 비슷하게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The insertion groove 261 of the brush and the insertion groove 262 of the wiper member are form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length of the brush and the wiper member.

상기 블럭체(260)에서 원호형상의 브러시 삽입홈(261)은 브러시(141L),(141R)의 세척·소거작용시 물살을 맴돌이(Spin Round) 시켜서 세척효과를 높인다.An arc-shaped brush insertion groove 261 in the block body 260 increases the cleaning effect by circulating the water when the brush 141L, 141R is washed and erased.

이와 같이 칠판의 판서면과 마주 직면하는 선단부에 브러시와 와이퍼부재의 삽입홈(261),(262)이 형성되어 있는 블럭체(260)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소정의 편심축을 편심회전제어 시킴에 따라 그 편심거리 만큼 칠판의 판서면에 대하여 진퇴하면서 소거필요조건(消去必要條件)을 얻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lock body 260 having the insertion grooves 261 and 262 of the brush and the wiper member formed at the distal end facing the writing surface of the blackboard controls the predetermined eccentric shaft as described above. As a result of this eccentricity, the board's writing advances and the elimination requirement is obtained.

위에 언급한 소거필요조건을 우선적으로 대략 설명하므로써 이 실시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하기로 한다.The above-mentioned erasure requirements are first outlined to provide a general understanding of this embodiment.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럭체(260)의 후부 양측에는 소정의 편심거리를 갖는 좌.우 편심축(270L),(270R)이 끼워져 설치되고, 이 편심축의 편심회전의 변위에 따라 블럭체(260)가 앞뒤로 진퇴동작하게 되는데, 상기 좌.우편심축(270L),(270R)은 도 4에서 처럼 브러시(141)의 축을 지지하는 가변플레이트(190)에 끼워져서 이 가변 플레이트(190)를 역시 구속하기 때문에 블럭체(260)가 진퇴동작을 함에 따라서 상기 가변 플레이트(190)도 똑같이 앞뒤로 진퇴동작을 하면서 브러시(141)를 판서면(101)에 대하여 진퇴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3, left and right eccentric shafts 270L and 270R having predetermined eccentric distances are fitted to both rear sides of the block body 260, and the block body is displaced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eccentric rotation of the eccentric shaft. 260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left and right core axles 270L and 270R are fitted to the variable plate 190 supporting the axis of the brush 141 as shown in FIG. As the restraint block 260 moves forward and backward, the variable plate 190 also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the same manner so that the brush 141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writing surface 101.

상기 편심축(270L),(270R)은 도 3에 도시한 센서독(sensor dog)(282)과 이 센서독(282)을 감지하는 근접센서(283)에 의하여 3가지의 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로 제어되게 되는데, 이를 도 4 내지 도 5에 의하여 다시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eccentric shafts 270L and 270R are in three contact or non-contact states by a sensor dog 282 shown in FIG. 3 and a proximity sensor 283 that detects the sensor dog 282. It will be controlled,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gain with reference to FIGS.

본 발명에 의한 소거방법 및 그 장치가 브러시가 먼저 판서면(101)에 대하여 세척·소거를 실시하고 그 뒤를 와이퍼가 따라가면서 판서면에 묻어있는 물기를 훑어내리는 형태라는 것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erasing method and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 the form that the brush is first cleaned and erased on the writing surface 101 and then wipes off the moisture on the writing surface while the wiper follows.

그리고 상기 브러시와 와이퍼부재가 왕복 주행하면서 소거작업을 계속 실시하기 위해서는 브러시와 와이퍼부재를 다같이, 그렇지 않으면 와이퍼부재 만이라도 위와 같은 소거작업에 필요한 선행조건으로 다시 회복시켜 주어야 한다는 점도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In addition, in order to continue the erasing operation while the brush and the wiper member reciprocate, the brush and the wiper member must be restored to the preconditions necessary for the above erasing operation even if the brush and the wiper member are not all together.

즉 왕로(往路)의 소거작업이 끝나고 귀로(歸路)의 주행방향으로 소거작업의 시퀀스가 바뀌었을 때, 왕로(往路)에서 칠판의 판서면과 밀착되는 접촉부가 좌(左)브러시-우(友)와이퍼부재 이었다고 가정하면 귀로(歸路)에서는 좌(左)와이퍼부재-우(右)브러시로 위치관계를 바꾸어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erasing operation of the path is completed and the sequence of erasing operation is changed i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return path, the contact portion which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riting surface of the board in the path is left brush-right ( Assuming that it is a wiper member,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ositional relationship to the left wiper member-right brush in the return path.

이 실시예에서 도 3 또는 도 5a 내지 도5c에 도시한 것처럼 브러시와 와이퍼부재를 한쌍의 소거장치(크리닝수단)로 정하고, 이를 블럭체(260)의 좌우측에 대칭적으로 배치구성 하므로써 위와 같은 위치관계의 변환문제를 해결하였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or Figs. 5A to 5C, the brush and the wiper member are defined as a pair of erasing devices (cleaning means), and the positions as described above are symmetrically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lock body 260. We solved the problem of transforming relationships.

이러한 위치관계의 해결수단을 본 발명에서는 가변접촉수단(200)이라고 정의한다.Means for solving such a positional relationship are defined as variable contact means 200 in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이러한 가변접촉수단(200)의 구동매카니즘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the driving mechanism of the variable contact means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변접촉수단(200)에 포함하는 기어군(群)은 편의상도트(dot)로 점표시 하므로써 다른기어와 구별하기 쉽게 배려하였으며 이러한 표시방법을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키로 한다.As shown in FIG. 4, the gear group included in the variable contact means 200 is easily considered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gears by dot-dotting for convenience. Such a display method is equally applicable to other embodiments. We do with key.

진퇴모터(214)의 동력은 대기어(231) → 상단피니언기어(232) → 하단피니언기어(233) → 중간기어(234) →피니언기어(235)의 순서로 단계적으로 전달된다.Power of the retraction motor 214 is transmitted stepwise in the order of the standby gear 231 → the upper pinion gear 232 → the lower pinion gear 233 → the intermediate gear 234 → the pinion gear 235.

상기 상단피니언기어(232)와 하단피니언기어(233)는 한 몸체로 되어 있으며, 중간기어(234)를 사이에 두고있는 하단피니언기어(233)와, 또다른 피니언기어(235)의 형상크기와 회전 방향은 동일하다.The upper pinion gear 232 and the lower pinion gear 233 are formed in one body, and the shape of the lower pinion gear 233 and the other pinion gear 235 having the intermediate gear 234 interposed therebetween. The direction of rotation is the same.

상기 상단피니언기어(232)의 가장자리에는 센서독(282)이 브라켓(281)에 의하여 지지되고, 진퇴모터(214)를 지지하고 있는 플레이트(210) 상에는 이 센서독(282)의 위치를 감지하는 3개의 근접센서(283)가 브라켓상에 지지되어 있다.On the edge of the upper pinion gear 232, a sensor dock 282 is supported by the bracket 281, and on the plate 210 that supports the retreating motor 214, the sensor dock 282 detects the position of the sensor dock 282. Three proximity sensors 283 are supported on the bracket.

상기 3개의 근접센서는 블럭체(260)의 삽입홈(261),(262)에 각각 설치되는 브러시와 와이퍼부재가 칠판의 판서면(101)에 대하여 어떠한 접촉상태를 갖게 되는 가를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도 3에서 시계진행방향으로보아 첫번째에 위치한 센서(283)가 상기 센서독(282)을 감지할 때가 우(右)밀착 상태이고, 두 번째 센서(283)가 센서독(282)을 감지할 때가 중립상태, 그리고 세 번째센서(283)가 센서독(282)을 감지할 때가 좌(左)밀착 상태가 된다.The three proximity sensors are very important for determining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brush and the wiper member installed in the insertion grooves 261 and 262 of the block body 260 with respect to the writing surface 101 of the board. It will play a role.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FIG. 3, when the first sensor 283 detects the sensor dock 282,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ensor 283, and when the second sensor 283 detects the sensor dock 282. The neutral state and when the third sensor 283 detects the sensor dock 282 is in a left close state.

여기서 우밀착 상태라 함은 서로 대칭되어 있는 1쌍의 크리닝수단(브러시와 와이퍼부재를 포함한 총칭으로 소거장치를 의미함) 중에서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는크리닝수단(140R)이 판서면에 깊숙하게 밀착하여 왼쪽을 향하여 주행(左進)할 준비가 완료된 상태를 의미하며, 이때 그 왼쪽에 있는 크리닝수단(140L)은 크리닝수단의 수평주행에 지장을 주지 않을 정도로 판서면(101)에 약간 접촉(브러시) 하거나 비접촉(와이퍼부재) 상태가 된다. 좌밀착상태는 상기 우밀착상태와 반대개념이다.Here, the right adhesion state means that the cleaning means 140R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pair of cleaning means (collectively, including the brush and the wiper member) is symmetrical with each other and adheres deeply to the writing surface. It means a state in which the preparation for traveling toward () is completed, wherein the cleaning means 140L on the left side is slightly in contact with the writing surface 101 (brush)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horizontal running of the cleaning means. It becomes a non-contact (wiper member) state. The close contact state is a concept opposite to the right close state.

이 실시예에서는 도면상으로 보아 우밀착상태나 좌밀착상태에서 비접촉부의 브러시가 판서면(101)과 접촉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판서면에 대하여 완벽하게 밀착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며 닿을 듯 말듯한 근접상태로서 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t is shown in the drawings that the brush of the non-contact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writing surface 101 in a close contact state or a left close contact state, but this is not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writing surface and is likely to touch. It can be seen as a proximity state.

이 실시예에서는 이처럼 소거장치중에서 판서면과 밀착상태로 소거작업을 실시하는 쪽을 접촉부라 하고 그 반대쪽을 비접촉부라고 이해하면 틀림이 없다.In this embodiment, the side of performing the erase opera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writing surface in the erasing apparatus is called a contact portion, and the opposite side must be understood as a non-contact portion.

중립상태에서는 상기 브러시(141L),(141R)와 와이퍼부재(142L),(142R)는 공히 칠판의 판서면과 일정간격 만큼 격리되는 비접촉상태를 유지한다.In the neutral state, the brushes 141L, 141R and the wiper members 142L, 142R all maintain a non-contact state separated from the writing surface of the bo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러한 중립상태, 우밀착 상태, 좌밀착 상태의 작용원리를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neutral state, the right close state, and the left close stat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5C.

도 5a는 이 실시예의 중립상태를 도시한다.5A shows the neutral state of this embodiment.

중립상태에서 좌.우 편심축(270L),(270R)은 도시한 바와 같이 좌편심축(270L)과 우편심축(270R)이 서로 대칭상태로 되어 있으며 좌(左)밀착, 즉 우진(右進)의 경우에는 이 편심축이 시계진행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우밀착, 즉 좌진(左進)의 경우에는 이 좌.우 편심축(270L),(270R)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In the neutral state, the left and right eccentric shafts 270L and 270R are symmetrical with the left axial shaft 270L and the post shaft 270R as shown in the figure. In this case, the eccentric shaft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in the case of close contact, that is, the left and right eccentric shafts 270L, 270R rotat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도 5a에서 도면부호 A는 중립상태에서 편심축의 변위개시점을 표시하며 C는 편심축(270)의 최대 변위점을 표시하고 있다.In FIG. 5A, reference numeral A denotes a starting point of displacement of the eccentric shaft in a neutral state, and C denotes a maximum displacement point of the eccentric shaft 270.

따라서 변위량은 A에서 C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C에서 A까지는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된 구조이다.Therefore, the amount of displacement gradually increases from A to C and gradually decreases from C to A.

중립상태에서 좌.우 브러시(141L),(141R)은 다같이 판서면(101)에 대하여 소정간격(t) 만큼 떨어져 있으며, 와이퍼부재는 판서면(101)에 대하여 소정간격(T) 만큼 떨어져 있다.In the neutral state, the left and right brushes 141L and 141R are all separated from the writing surface 101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 and the wiper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writing surface 101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 have.

여기서 T>t 라는 부등식이 성립한다.Here, the inequality T> t holds.

도 5(b)는 우밀착 상태, 즉 크리닝수단이 칠판의 좌측을 향하여 주행하게 될좌진(左進)상태를 도시하고 있다.Fig. 5 (b) shows a close contact state, that is, a leftward state in which the cleaning means will travel toward the left side of the board.

도 5a와 비교해 볼 때 편심축(270R)은 시계반대방향으로 일정각도 만큼 회전하였음을 알 수 있다.As compared with FIG. 5A, it can be seen that the eccentric shaft 270R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그런데 여기서 매우 중요한 사실 하나는 좌.우 2개의 편심축(270L),(270R)이 똑같은 각도만큼 회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좌측에 있는 브러시(141L)와 와이퍼부재(142L)에 비하여 우측에 있는 브러시(141R)와 와이퍼부재(141R)가 훨씬많이 판서면(101)쪽으로 전진하여 깊숙이 밀착되어 있다는 점이다.However, one very important fact here is that the left and right two eccentric shafts 270L and 270R are rotated by the same angle, but the brush 141R on the right side compared to the brush 141L and the wiper member 142L on the left side. ) And the wiper member 141R are far more closely adhering toward the writing surface 101.

즉 t1>t2의 부등식이 성립하는데 왼쪽에 배치되어 있는 와이퍼부재는 중립상태시와 마찬가지로 판서면(101)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한다.In other words, the inequality of t 1 > t 2 holds, and the wiper member disposed on the left side maintains the non-contact state with respect to the writing surface 101 as in the neutral state.

그 이유를 편심축이 변위하기 전의 중립상태를 도시한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reason for this is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 5 (a) which shows the neutral state before the eccentric shaft is displaced.

도 5a의 좌측에 도시된 좌편심축(270L)의 변위개시점(A)은 축중심선(Y)의 우측에 있고, 도면의 우측에 있는 우편심축(270R)의 변위개시점(A)은 축중심선(Y)의 좌측에 있다.The displacement start point A of the left central shaft 270L shown on the left side of FIG. 5A is on the right side of the axis center line Y, and the displacement start point A of the post core shaft 270R on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is the axis center line. It is on the left side of (Y).

즉 좌편심축(270L)과 우편심축(270R)의 변위개시점(A)의 위치는 회전궤적의 서로 다른 좌표(座標)상에 위치하므로 양쪽의 전후 진퇴거리가 달라질 수밖에 없다.That is, since the position of the displacement start point A of the left axial axis 270L and the post axial axis 270R is located on different coordinates of the rotational trajectory, the front and rear retreat distances of both sides are inevitably different.

따라서 도 5b와 같은 우밀착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편심축(270L),(270R)이 시계반대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할 때 양자가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하였다 해도 우편심축(270R)은 좌편심축(270L)에 비하여 변위개시점(A)이 상대적으로 앞쪽에 위치하고있기 때문에 변위종료점이 보다 더 큰 쪽에서 끝나게 되므로 변위량이 더 많아지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eccentric shafts 270L and 270R rotate counterclockwise simultaneously to switch to the right close state as shown in FIG. 5B, the post core shaft 270R is connected to the left central shaft 270L even if both are rotated by the same angle. In comparison, since the displacement start point A is located relatively forward, the displacement end point ends at a larger side, resulting in more displacement.

이러한 원리에 의하여 블럭체(260)의 우측이 좌측보다 더 많이 판서면(101)에 대하여 전진하게 되어 이 블럭체의 선단에 고정 설치되는 우측의 와이퍼부재(142R)는 깊숙하게 완전밀착하게 되고 좌측의 와이퍼부재(142L)는 조금만 전진이동하는데 그쳐서 판서면(101)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로 되는 것이다.Due to this principle, the right side of the block body 260 is moved forward with respect to the writing surface 101 more tha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wiper member 142R fixedly installed at the tip of the block body is deeply intimately adhered to the left side. The wiper member 142L moves forward only a little to become in a non-contact state with respect to the writing surface 101.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브러시는 가변플레이트(190)에 의하여 축지지되어 블럭체(260)의 진퇴동작과 동일하게 움직이므로, 마찬가지로 우측의 브러시(141R)가 판서면(101)에 대하여 더 많이 전진하여 완전밀착하는 반면에 좌측의 브러시(141L)는 약간만 전진하여 판서면(101)과 가볍게 접촉하는데 그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rush is axially supported by the variable plate 190 and moves in the same manner as the movement of the block body 260, the brush 141R on the right side moves forward with respect to the writing surface 101. On the other hand, the brush 141L on the left side is only slightly advanced to lightly contact the writing surface 101.

이와 같은 크리닝수단(140)의 접촉-비접촉 관계에서 알 수 있듯이 브러시의 경우에는 소거작용을 실시하지 않는 쪽의 것도 칠판의 판서면에 접촉하여도 상관없지만 와이퍼부재의 경우에 있어서는 소거측(消去側)의 와이퍼부재만이 판서면(101)과 밀착접촉되어야 하며 비소거측(非消去側)의 와이퍼부재는 반드시 판서면(101)과 비접촉상태를 유지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contact-non-contact relationship of the cleaning means 140, in the case of the brush, the side that does not perform the erasing action may contact the writing surface of the board, but in the case of the wiper member, It can be seen that only the wiper member of c) must be in intimate contact with the writing surface 101, and the wiper member of the non-erasing side must remain in contact with the writing surface 101.

도 5c는 좌밀착상태, 즉 크리닝수단이 칠판의 우측을 향해서 주행하게 될 우진(右進)상태를 도시하고 있다.Fig. 5C shows a left-adherent state, that is, a dusty state in which the cleaning means will travel toward the right side of the board.

이 좌밀착 상태는 앞서 기재한 우밀착상태와 같은 개념하에서 이루어지며 단지 편심축의 회전방향만이 반대가 될 뿐이다.This left close contact is made under the same concept as the right close contact described above, and only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eccentric shaft is reversed.

본 발명의 소거장치(크리닝수단)의 기초 기동단계는 중립상태이다.The basic starting step of the erasing apparatus (clean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utral state.

따라서 우밀착상태에서 세척 ·소거작용이 종료되는 즉시 모든 동작시퀀스(Moving Sequence) 는 중립위치로 복귀한다.Therefore, as soon as the washing and erasing action is completed in tight contact state, all moving sequences return to the neutral position.

이런 까닭에 우밀착상태의 종료시에는 중립상태를 거쳐서 좌밀착상태로 위치변환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For this reason, at the end of the close contact state, the position conversion is made to the left close state through the neutral state.

도 5c의 좌밀착 상태에서는 도 5b의 우밀착 상태 때와 정반대로 생각하면 될것이다.In the left close contact state of FIG. 5C, the opposite of the right close contact state of FIG. 5B may be considered.

즉 편심축(270L),(270R)은 시계진행방향으로 회전한다.That is, the eccentric shafts 270L and 270R rotate in the clockwise direction.

도 5a에서 보듯이 좌편심축(270L)의 변위개시점(A)이 우편심축(270R)의 변위개시점(A) 보다 앞에 위치하므로 그만큼 변위종료점(C)에 근접하게 되고 따라서 좌측의 변위량이 우측의 변위량 보다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As shown in FIG. 5A, since the displacement start point A of the left axial shaft 270L is positioned before the displacement start point A of the zip core 270R, the displacement end point C is closer to the displacement end point C. It becomes relatively larger than the displacement amount of.

결국 우밀착 상태와 똑같은 과정을 거쳐서 왼쪽의 브러시(141L) 와 와이퍼부재(142L)가 판서면(101)에 대하여 완전 밀착하게 된다.As a result, the brush 141L and the wiper member 142L on the left side are completely in contact with the writing surface 101 through the same process as in the right contact state.

우측의 브러시(141R)는 판서면(101)에 가벼운 접촉 상태로 되고, 우측의 와이퍼부재(142R)는 비접촉상태로 되어서 좌측의 소거장치가 우측으로 주행하는데 전혀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The brush 141R on the right side is in light contact with the writing surface 101, and the wiper member 142R on the right is in a non-contact state so that the eraser on the left side does not interfere with the driving to the right.

도면부호(264)는 편심축의 이동 편차를 보상해 주기 위한 안내장공이다.Reference numeral 264 denotes a guide hole for compensating for the deviation of the movement of the eccentric shaft.

이 안내장공(264)은 전기한 바와 같이 좌.우 편심축(270L),(270R)의 변위개시점(A)의 위치가 서로 상이한 까닭에 편심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생기는 편차를 보상해 주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guide hole 264 compensates for the deviation caused by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eccentric shaft because the positions of the displacement start points A of the left and right eccentric shafts 270L and 270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

상기 안내장공(264)은 도 5a 내지 도5c에서 보는바와 마찬가지로 좌편심축(270L)만을 구속하는 축구멍이다. 따라서 좌편심축(270L)은 도면에서 볼 때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고 전.후 방향으로 구속되어 있는 형태이다. 우편심축(270R)은 블럭체(260)의 축공(271)내에 베아링(251)을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다.The guide hole 264 is a shaft hole that restrains only the left eccentric shaft 270L as shown in FIGS. 5A to 5C. Accordingly, the left eccentric shaft 270L is free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constrain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hen viewed in the drawing. The post shaft 270R is provided in the shaft hole 271 of the block body 260 via the bearing 251. As shown in FIG.

여기까지 브러시와 와이퍼부재로 이루어지는 크리닝수단(소거장치)이 어떻게판서면(101)에 대하여 진퇴동작하면서 접촉-비접촉 하는가를 설명하였다.So far, the cleaning means (clearing device) consisting of the brush and the wiper member has been described how to make contact-non-contact while moving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writing surface 101.

다음으로 2개의 브러시(141L),(141R)가 판서면에 대하여 직접 슬라이드 접촉하면서 소거작용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제공.전달하는 브러시구동수단(180)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wo brushes 141L and 141R provide the power required to perform the erasing action while directly in sliding contact with the writing surface. The brush drive means 180 for transmitting will be described.

도 6에서 도면의 상측에 위치하는 기어배열군(群)이 브러시 구동수단(180)에 속하며 도면 아랫쪽의 기어배열군이 앞서 설명한 가변접촉수단(200)에 속한다.In FIG. 6, the gear arrangement group located at the upper side of the drawing belongs to the brush driving means 180, and the gear arrangement group at the bottom of the drawing belongs to the variable contact means 200 described above.

도 7을 중심으로 브러시구동수단(180)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brush driving means 18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소정의 감속장치를 구비한 브러시구동모터(181)의 동력은 대기어(182) → 피니언기어(183) → 상단피니언기어(184) → 하단피니언기어(185) →중간기어(186) →피니언기어(187)의 순서를 거쳐서 좌.우 브러시(141L),(141R)에 전달된다.The power of the brush drive motor 181 having a predetermined reduction gear is a standby gear 182 → pinion gear 183 → upper pinion gear 184 → lower pinion gear 185 → middle gear 186 → pinion gear. It passes to the left and right brushes 141L and 141R in the order of 187.

상기 상단피니언기어(184)와 하단피니언기어(185)는 동축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중간기어(186)를 사이에 두고있는 까닭에 하단피니언기어(185)와 이와다른 피니언기어(187)의 회전방향은 동일하다.Since the upper pinion gear 184 and the lower pinion gear 185 are coaxially installed and have an intermediate gear 186 interposed therebetwee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lower pinion gear 185 and the other pinion gear 187 is different. Is the same.

따라서 하단피니언기어(185)와 동축상에 설치되어 있는 좌측브러시(141L)와, 상기 피니언기어(187)와 동축상에 설치되어 있는 우측브러시(141R)는 동일 방향으로 회전한다.Accordingly, the left brush 141L provided coaxially with the lower pinion gear 185 and the right brush 141R provided coaxially with the pinion gear 187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상기 브러시구동수단(180)은 가변플레이트(190)에 의하여 지지된다.The brush driving means 180 is supported by the variable plate 190.

상기 브러시(141L),(141R)와 또 이 브러시에 인접하는 판서면 사이로 소정의 세정액 공급수단(150)에 의하여 세정액을 공급하도록 하므로써 브러시는 판서면(101)에 기록되어 있는 분필층을 세척·소거시킬 수 있다.The brush washes and cleans the chalk layer recorded on the writing surface 101 by supplying the cleaning liquid between the brushes 141L and 141R and the writing surface adjacent to the brush by the predetermined cleaning liquid supplying means 150. Can be erased.

이 세정액공급수단(150)은 주행케이싱(130)의 하단쪽으로 주행케이싱(130)에 착탈자재하게 설치되어 주행케이싱(130)의 수평주행과 더불어 함께 좌우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The cleaning solution supply means 150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traveling casing 130 toward the lower end of the traveling casing 130 to move horizontally along with the horizontal traveling of the traveling casing 130.

이 세정액공급수단(150)은 물이나 계면활성수와 같은 세정액을 저장하는 세정액탱크(159)와,The cleaning liquid supply means 150 includes a cleaning liquid tank 159 for storing a cleaning liquid such as water or surfactant water,

이 세정액탱크(159)에 부착하도록 된 세정액 공급용 수중펌프(156)와,A submersible pump 156 for supplying a cleaning liquid to be attached to the cleaning liquid tank 159,

수중펌프(156)로부터 압송되는 세정액을 상부에 전달시키는 급송파이프(152)등을 포함한다.And a feeding pipe 152 for delivering the cleaning liquid pumped from the submersible pump 156 to the upper portion.

상기 세정액탱크(159)내에는 분필층을 세척·소거한 오염액을 여과시키는 휠터(151)가 착탈자재하게 내장되어 있다.In the cleaning liquid tank 159, a filter 151 for filtering the contaminant that has been washed out and removed from the chalk layer is detachably installed.

이러한 세정액공급수단(150)의 구성은 세정액을 순환시키면서 재사용 하도록 하는데 근본 목적이 있으며, 따라서 자연손실 분만을 보충해 주는 것만으로 세정액교체에 따른 불편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The configuration of the cleaning solution supply means 150 has a basic purpose to reuse while circulating the cleaning solution, and thus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caused by replacing the cleaning solution only by supplementing the natural loss.

본 발명의 세척·소거에 쓰이는 세정액은 물을 포함하여 세척 기능을 갖는 액체는 모두 포함되지만 특히 세척력이 상대적으로 뛰어나고 건조가 빠른 계면활성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washing liquid used for washing and era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liquids having a washing function including water, but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o use surfactant water having a relatively high washing power and fast drying.

본 발명의 브러시는 수많은 실험을 거치면서 가장 소거효과가 높으면서도 또한 브러시에 침입해 있는 오염세정액을 스스로 자정(自淨)할 수 있도록 개량되었다.The 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mproved so as to self-clean the contaminant cleaning liquid penetrating the brush while having the highest elimination effect through numerous experiments.

즉 브러시의 식모(植毛)길이는 대략 10mm 이하로 짧게하고 그 회전수는 대략80 내지 120r.p.m 정도로 빠르게 설계할 때 브러시에 의한 분필층의 소거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뿐만 아니라 브러시의 회전시에 생기는 원심력에 의하여 브러시가 함유하고 있는 오염세정액이 스스로 외부로 빠져나가는 정화기능을 갖는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알게 되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러시의 회전속도를 100r.p.m 정도로 정하는 것이 좋다.In other words, when the length of the brush is shortened to less than about 10mm and the number of rotations is about 80 to 120r.pm,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erase the chalk layer by the brush and to generate the brush. It has been found experimentally that the contaminant cleansing liquid contained in the brush has a purifying function by which it comes out by the centrifugal force. More preferably, the rotation speed of the brush is set to about 100 r.p.m.

한편 와이퍼부재(142L),(142R)는 선단(先端)을 가늘게 블레이드(Blade) 형상으로 만든 고무재를 블럭체(260)의 삽입홈(262)속에 밀착되게 끼워 넣으므로써 그 선단(先端)만이 칠판의 판서면(101)에 유연하게 젖혀지면서 잔류세정액을 확실하게 훑어서 쓸어내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wiper members 142L and 142R have only the front end of the rubber material made of the blade having a thin blade shap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ertion groove 262 of the block body 260. The board is flipped on the writing surface 101 of the board while sweeping over the residual cleaning liquid.

이와 같은 브러시(141L),(141R)와 와이퍼부재(142L),(142R)는 설치 수량을 단수로 하든지 아니면 이 실시예에 처럼 복수(復數)로 하던지 커다란 차이는 없으며 소정의 블럭체에 내재(內在)시켜 제어하도록 하면 어느 것이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 brushes 141L, 141R and the wiper members 142L, 142R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whether the number of installations is singular or plural as in this embodiment, and is inherent in a predetermined block body. If it is controlled by means of), anything will be sai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내지 도 8c는 브러시와 와이퍼의 설계변경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8A to 8C illustrate modified examples of the brush and the wiper.

도 1 또는 도 3에 표시된 도면부호(310L),(310R)는 팬히터를 나타낸다.Reference numerals 310L and 310R shown in FIG. 1 or FIG. 3 denote fan heaters.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와이퍼부재(142)는 블럭체(260)의 양옆으로단열구성해도 좋고 복렬구성하여도 무방하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wiper member 142 may be insulated from both sides of the block body 260 or may be arranged in a double row.

다만 브러시(141)를 중심으로하여 그 양옆에 대략 대칭적으로 와이퍼부재를설치하므로써 왕로(往路)와 귀로(歸路)가 번갈아가며 뒤바뀌는 주행변화에 따라서 와이퍼부재의 접촉부가 소거측이 되고 비접촉부가 비소거측이 되도록 구성하기만하면 될 것이다.However, by installing the wiper members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brush 141, the contact portion of the wiper member becomes the erased sid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running route which alternates the road and the return path. You just need to configure it to be non-erasing.

여기서 상기 브러시(141)는 도 8a에서 처럼 복수구성으로하여 접촉부와 비접촉부로 구분하여 동작시켜도 좋고 도 8b 내지 도 8c 처럼 접촉부와 비접촉부의 구분없이 항상 판서면과 접촉상태를 유지하면서 소거작업을 행하도록 형성하여도 무방하다.Here, the brush 141 may be operated in a plural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8A to be divided into contact parts and non-contact parts, or to perform an erase operation while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writing surface at all times without distinguishing the contact parts and non-contact parts as shown in FIGS. 8B to 8C. It may be formed.

우측의 팬히터(310R)는 주행케이싱(130)이 좌측으로 주행할 때 가동되며 좌측의 팬히터(310L)는 주행케이싱(130)이 우측으로 주행할 때 가동하면서 와이퍼부재(142L)가 훑어 낸 판서면(101)에 따뜻한 온풍을 보내서 건조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특히 혹한지역의 동절기나 습도가 높은 우기(雨期)에 높은 가동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fan heater 310R on the right side is operated when the travel casing 130 travels to the left side, and the fan heater 310L on the left side is operated when the travel casing 130 travels to the right side, while the writing surface cut out by the wiper member 142L. It is configured to send warm warm air to (101) and to dry it. In particular, high operating effects can be expected in cold winter seasons and in rainy weather with high humidity.

본 발명에서는 소거장치가 좌우로 왕복 주행하게 되어 스윗치박스(비도시)도주행케이싱(130)의 좌우 측면에 각각 1개씩 구비하도록 배려하고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elimination device is reciprocated to the left and right, and each switch box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aveling casing 130, respectively.

스윗치박스에는 전원스윗치와, 작동스윗치가 각각 배치되어 있는데 주행케이싱의 정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미트스윗치 등의 소정의 위치감지수단(160)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The switch box is provided with a power switch and an operating switch, respectively. The stop of the traveling casing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y a predetermined position detecting means 160 such as a limit switch as described above.

이후의 제 2실시예 부터는 다른 구성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가변접촉수단(200)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기재한다.From the second embodiment, the description of other components will be omitted, and only the variable contact means 200 will be described.

가변접촉수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제 1실시예의 구성과 별로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remaining portions except for the variable contact means do not differ much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또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기로 한다.In addi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bout the part same or similar to 1st Embodiment, and it demonstrates.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다.9 to 10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실시예는 스텝핑모터(Stepping Motor)나 오실레이션모터(Oscillation motor)(이하 O.S.C모터로 칭함) 등과 같은 다단분할식전동장치(多段分割式電動裝置)를 사용하고, 상.하 덱(Deck)에 브러시와 와이퍼부재를 지지시키고, 이 덱(Deck)을 일정한 각도로 정역회전 시킴에 따라 브러시와 와이퍼부재를 칠판의 판서면(101)에 접촉 또는 비접촉 시키는 방법이다.This embodiment uses a multi-stage split motor such as a stepping motor or an oscillation mo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OSC motor), and uses a top and bottom deck. By supporting the brush and the wiper member in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deck (deck) at a constant angle is a method of contacting or non-contact with the writing surface 101 of the board.

도 9a 내지 도 9b는 이 실시예의 가변접촉수단(200)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9A-9B are schematic plan views showing the variable contact means 200 of this embodiment.

도면에서 2점 쇄선으로 표시되는 부분은 주행케이싱(130)이다.In the drawing, the part indicated by the dashed-dotted line is the running casing 130.

도 9a는 좌측에 있는 브러시(141L)와 와이퍼부재(142L)가 칠판의 우측으로 향하여 주행하는 우진(右進)상태를 나타내며 도 9b는 좌진(左進)상태를 나타낸다.FIG. 9A shows a right-side state in which the brush 141L on the left side and the wiper member 142L run toward the right side of the board, and FIG. 9B shows a left-side state.

상기 브러시(141L),(141R)와 와이퍼부재(142L),(142R)는 모두 상부덱(Upper Deck)(264)과 하부덱(Lower Deck)(265)에 설치되는데 이중에서 브러시(141L), (141R)는 회전자재하게 축지지되게 된다.The brushes 141L, 141R and the wiper members 142L, 142R are all installed on the upper deck 264 and the lower deck 265, among which the brush 141L, 141R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shaft.

상기 상부덱(264)과 하부덱(265)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The upper deck 264 and the lower deck 265 are integrally connected.

이 실시예의 가변접촉수단(200)의 구동매카니즘을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driving mechanism of the variable contact means 200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모터축의 회전을 다단계로 분할하여 소정의 회전각으로 제어하도록 이루어진진퇴모터(214)에 대기어(215)가 고정 설치되고, 이 대기어(231)는 하부덱(265)의 저면에 부착되어 있는 피니언기어(232)와 맞물린다.The standby gear 215 is fixedly installed in the retraction motor 214 configured to divide the rotation of the motor shaft in multiple stages and control the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and the standby gear 231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lower deck 265. Meshes with the pinion gear 232.

이 피니언기어(232)와 축봉(217)을 통하여 동력은 상부덱(264)과 하부덱(265)에 전달되어 이 양자(264),(265)의 회전을 제어한다.Power is transmitted to the upper deck 264 and the lower deck 265 through the pinion gear 232 and the shaft 217 to control the rotation of both 264 and 265.

즉 상기 진퇴모터(214)가 도 9a에서와 같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피니언기어(216)와 이에 연결된 축봉(217)은 시계진행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부덱(264)과 하부덱(265)을 좌밀착 시킨다.That is, when the retraction motor 214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s shown in FIG. 9A, the pinion gear 216 and the shaft bar 217 connected thereto rotate in the 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upper deck 264 and the lower deck 265 are rotated. Close contact.

따라서 브러시(141L)와 와이퍼부재(142L)가 판서면(101)에 대하여 밀착되며 이에대한 반작용(反作用)으로 우측은 판서면(101)의 반대쪽으로 후퇴하면서 브러시(141R)와 와이퍼부재(142R)가 판서면(101)으로부터 충분하게 이간(離間)되게된다.Accordingly, the brush 141L and the wiper member 142L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writing surface 101, and the right side retreats to the opposite side of the writing surface 101 by counteracting the brush 141R and the wiper member 142R. Is sufficiently separated from the writing surface 101.

도 9b는 도 9a와는 반대로 우밀착 상태를 도시하며 진퇴모터(214)가 시계진행방향으로 회전하므로써 상부덱(264)과 하부덱(265)이 오른쪽으로 동작하여 브러시(141R)와 와이퍼부재(]42R)가 판서면에 밀착하게 되며 구동매카니즘은 앞서 설명한 도 9a의 경우와 동일하다.FIG. 9B shows a close contact with FIG. 9A, and the upper and lower decks 264 and the lower deck 265 move to the right as the forward and backward motors 214 rotate clockwise, so that the brush 141R and the wiper member (] 42R)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riting surface, and the driving mechanism is the same as in the case of FIG. 9A described above.

한편 기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져서 주행케이싱(130)을 좌우 수평으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동력을 전달하는 주행안내수단(170)과는 별도로 주행의 정숙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안내홈(173)속에 끼워져서 수평 운행하는 이동부재(172)를 설치하면 더욱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travel guide means 170 which transmits the power required to move the travel casing 130 to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ly made of a combination of gear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73 in order to promote the quietness of the movement, the horizontal movement It is more preferable to provide the member 172.

상기 이동부재(172)는 통상적으로 로울러 등의 구름부재를 선택한다.The moving member 172 typically selects a rolling member such as a roller.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는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ures 11-12.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의 무소거귀환행정(無消去歸還行程)을 구체화시킨 실시예이다.This embodiment is an embodiment incorporating the mute return administ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브러시 및 와이퍼부재로 이루어진 소거장치가 왕로(往路)에서만 세척·소거작업을 실시하고 귀로(歸路)에서는 판서면과 일정한 간격만큼 떨어져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되어 었다.That is, the erasing device composed of the brush and the wiper member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cleaning and erasing operation only on the road and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writing surface.

이 실시예에서는 제 1실시예처럼 브러시(141)와 와이퍼부재(142)를 1개의 블럭체(260) 내에 설치하고, 이 블럭체(260)를 가변플레이트(190)상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이 가변플레이트를 판서면(101)에 대하여 진퇴시키므로써, 브러시(141)와 와이퍼부재(142)를 판서면에 접촉-비접촉 시키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In this embodiment,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brush 141 and the wiper member 142 are installed in one block body 260, and the block body 260 is supported on the variable plate 190 in the state. By moving the variable plate with respect to the writing surface 101, the method of making the brush 141 and the wiper member 142 contact-non-contact with the writing surface is applied.

이 실시예에 있어서 가변접촉수단(200)을 상세하게 설명한다.In this embodiment, the variable contact means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진퇴모터(214)를 통해서 나온 동력은 제 1타이밍풀리(237) → 제 1타이밍벨트(139) → 제 2타이밍풀리(238)의 단계를 거쳐서 동력전달된다.Power generated through the retraction motor 214 is transmitted through the steps of the first timing pulley 237 → the first timing belt 139 → the second timing pulley 238.

상기 제 2타이밍풀리(238)는 2단 감기전동풀리로서 풀리의 1단측은 상기 진퇴모터(214)에서의 동력을 받는 입력측이고, 풀리의 2단측은 이렇게 받아들인 동력을 하부에 전달하는 출력측이다.The second timing pulley 238 is a two-stage winding electric pulley, wherein the first stage side of the pulley is an input side receiving power from the retraction motor 214, and the second stage side of the pulley is an output side transmitting the received power to the lower side. .

상기 상부플레이트(210)는 주행케이싱(130)에 고정되어 있다.The upper plate 210 is fixed to the running casing 130.

도 24에서 알 수 있듯이 모든 브러시구동수단(180) 및 가변접촉수단(200)은 0지지블럭(286)(286)을 개재시켜 상부플레이트(210)에 지지되어 있다.As can be seen in FIG. 24, all the brush driving means 180 and the variable contact means 200 are supported by the upper plate 210 via the 0 support blocks 286 and 286.

상기 지지블럭(286)(286)에는 가변플레이트(190)상에 연결되는 지지축(289)이 끼워져서 진퇴한다.Support shafts 289 and 286 are inserted into the support blocks 286 and 286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상기 제 2타이밍풀리(238)는 상 ,하에 모두 2개가 설치되며 이 제 2타이밍풀리(238)의 일측에는 소정의 나사축(284)이 연장현성되어 나사블럭(285)에 끼워져 나사블럭(285)을 스크류 이송시켜서 진퇴되도록 한다.Two second timing pulleys 238 are installed at both upper and lower sides, and a predetermined screw shaft 284 is extended and developed at one side of the second timing pulley 238 to be fitted to the screw block 285 and to the screw block 285. ) To retreat by screw feed.

상기 나사블럭(285)은 가변플레이트(190)상에 고정된다.The screw block 285 is fixed on the variable plate 190.

따라서 상기 나사블럭(285)이 움직이면서 가변플레이트(190)를 판서면(101)에 대하여 직선운동상태로 진퇴시키는 것이다.Therefore, as the screw block 285 moves, the variable plate 190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a linear motion with respect to the writing surface 101.

상기 가변플레이트(190)에는 브러시와, 와이퍼부재 같은 소거장치를 구속하는 블럭체(260)가 고정되므로 가변플레이트(190)의 진퇴동작과 함께 응동하면서 소거장치가 판서면(101)에 접촉하거나 이간(離間)되는 것이다.The variable plate 190 has a brush and a block body 260 that restrains the erasing device such as a wiper member is fixed, so that the erasing device contacts or separates from the writing surface 101 while coordinating with the advancing / removing motion of the variable plate 190. (離 間) is to be.

상기 상부플레이트(210)상에는 복수개의 안내홈(288)이 형성되며 이 안내홈(288)에는 축봉(287)이 끼워져서 상기 가변플레이트(190)가 원활하게 진퇴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A plurality of guide grooves 288 are formed on the upper plate 210, and the guide rod 288 is fitted with a shaft bar 287 to guide the variable plate 190 to smoothly advance and retreat.

참고로 브러시구동수단(180)의 동력전달체계를 간략하게 설명한다.For reference, a power transmission system of the brush driving means 180 will be briefly described.

브러시구동모터(181)로부터 발생된 동력은 제 3타이밍풀리(251) → 제 3타이밍벨트(252) → 제 4타이밍풀리(253)를 통하여 브러시(141)에 전달된다.Power generated from the brush driving motor 181 is transmitted to the brush 141 through the third timing pulley 251 → the third timing belt 252 → the fourth timing pulley 253.

본 발명에서는 무소거귀환행정의 예로서 상기의 제 3실시예를 언급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embodiment is mentioned as an example of the mute-free feedback stro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예컨대 앞서 언급한 블럭체(260)의 상하 2개소나 또는 중앙의 1개소에 솔레노이드 밸브(이하 솔레노이드로 약칭함)를 설치하므로써 왕로(往路)의 소거작업이 종료된 다음에 상기 블럭체(260)를 칠판의 판서면(101)으로부터 떼어낼 수 도 있다.For example, by installing a solenoid valve (hereinafter abbreviated as solenoid) at two places above and below the block body 260 or at one center of the above-described block body 260, the block body 260 is finished. May be removed from the writing surface 101 of the board.

상기 솔레노이드는 작용특성상 ON 상태에서 직선방향으로 작용하여 상기 블럭체(260)를 판서면(101)으로부터 후퇴시킬 수 있는 까닭에 블럭체에 의하여 구속되는 브러시(141L),(141R)와 와이퍼부재(142L),(142R)를 용이하게 판서면에서 이간시켜서 원래위치로 격리귀환시킬 수 있게 된다.Since the solenoid acts in a linear direction in the ON state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operation, it is possible to retract the block body 260 from the writing surface 101. Therefore, the brushes 141L and 141R and the wiper member are restrained by the block body. 142L) and 142R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writing surface to be isolated and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그러나 상기 솔레노이드는 자동 복귀기능이 없기 때문에 브러시와 와이퍼부재를 판서면(101)에 다시 밀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블럭체(260)에 인장스프링이나, 가스스프링(Gas-spring) 등과 같은 별도의 복귀장치를 부가시켜 주어야 한다.However, since the solenoid does not have an automatic return function, a separate return device such as a tension spring, a gas spring, or the like is attached to the block body 260 to bring the brush and the wiper member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riting surface 101. Must be added.

이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자가 앞서 여러번 강조하였듯이, 소거작업을 실시하지 않는 브러시와 와이퍼부재를 다같이 판서면으로부터 이간(離間)시킨다는 점이 무소거귀환행정의 핵심요소가 되는 것이다.In this embodiment, as the inventors have emphasized many times, the key element of the silent return stroke is that the brush and the wiper member which do not perform the erase operation are separated from the writing surface together.

이와같은 본 발명의 제 1내지 제 3 실시예에서는 칠판의 판서면(101)이 평면인 경우에 한해서 언급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만일 판서면(101)이 곡면체인 경우에는 칠판보호후레임(105)상에 형성되는 주행안내수단(랙기어 등) 이나 이동부재(172)를 판서면의 곡률(曲率)에 맞추는 등의 통상적인 설계변경만으로 본 발명의 소거장치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writing board 101 of the blackboard is mentioned as long as it is flat, but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If the writing board 101 is a curved body, the board protection frame ( The era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only by a conventional design change such as driving guide means (rack gear, etc.) formed on the 105 or the moving member 172 to fit the curvature of the writing surface.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본 발명은 아래 각항 기재와 같은 작용효과를 보유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effects as described in the following paragraphs.

① 평면칠판본체의 판서면에 대하여 소거장치가 수평으로 왕복운동하는 기술구성으로 되어 있는 까닭에 소거장치가 칠판본체의 주변구성에 의하여 간섭되는 일이 없다.(1) Since the erasing device reciprocates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writing surface of the planar board body, the erasing device is not interfered by the peripheral structure of the board body.

② 소거장치가 소거방향이 바뀌는 것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고 편도주행이나 또는 왕복주행의 어떤 경우에도 동일한 소거환경을 조성하므로 칠판에 대한 세척·소거상태가 항상 균일하게 유지하며 칠판면의 2차오염의 우려가 전혀 없다.② Since the erasing device is not affected by the change of the erasing direction and creates the same erasing environment in any one-way or round-trip operation, the cleaning and erasing state on the board is always maintained uniformly. There is no concern at all.

③ 소거장치를 가변접촉수단으로 제어하도록 하므로써 소거방향쪽을 향하여항상 선(先)-브러시 후(後)-와이퍼부재의 배치순서를 불변으로 유지시킨다.(3) The arrangement of the pre-brush post-wiper member is always kept unchanged toward the erasing direction by controlling the erasing device by the variable contact means.

④ 브러시와 와이퍼부재를 통일된 동력전달수단 하에서 함께 응동시키도록 배려하므로써 병합제어(倂合制御)에 따른 세척·소거효과가 크고 기술구성집약에 의한 공간이용률이 크다.④ The brush and the wiper member are considered to be co-rotated together under the unified power transmission means, so the cleaning and erasing effect due to the merge control is large and the space utilization rate is high due to the technology composition.

⑤ 왕복소거 또는 편도소거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동일한 소거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5) The same erasing effect can be obtained in either round trip or one way erasure.

Claims (7)

소정의 회전브러시와, 와이퍼부재를 포함하는 소거장치가 칠판의 판서면(101)과 접촉하면서 칠판의 한쪽끝에서 다른쪽 끝까지 슬라이딩 상태로 주행하면서 판서면(101)에 필기된 분필기록층에 대하여 왕로(往路)에서 세척·소거작용을 실시하고 귀로(歸路)에서도 왕로때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세척·소거작용이 실시가능한 선(先)브러시-후(後)와이퍼부재의 세척소거조건을 항상 만족시킬 수 있도록, 소거방향이 왕로(往路)에서 귀로(歸路)로 바뀜에 따라 좌.우 양측에 대략 대칭적으로 배치된 1쌍씩의 브러시-와이퍼부재의 조합이 판서면(101)에 대하여 전후로 진퇴하면서 접촉부는 비접촉부로, 또 비접촉부는 접촉부로 각각 변환되도록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크리닝칠판의 소거방법.With respect to the chalk recording layer written on the writing surface 101 while the predetermined rotating brush and the erasing device including the wiper member travel in sliding state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blackboard while contacting the writing surface 101 of the blackboard. Always satisfies the cleaning and cleaning conditions of the pre-brush wiper member, which can be cleaned and erased in the roadway, and can be cleaned and removed in the same way as in the roadway. As the erasing direction changes from the back road to the back road, the combination of the pair of brush-wiper members arranged approximately symmetrically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writing surface 101. A method of erasing a water cleaning blackboard, wherein the contact portion is controlled to be converted into a non-contact portion and a non-contact portion, respectively, while advancing. 소정의 회전브러시와, 와이퍼부재를 포함하는 소거장치가 칠판의 판서면(101)과 접촉하면서 칠판의 한쪽끝에서 다른쪽 끝까지 슬라이딩 상태로 주행하면서 판서면(101)에 필기된 분필기록층에 대하여 왕로(往路)에서 세척·소거작용을 실시하고 복로(復路)에서도 왕로때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세척·소거작용이 실시가능한 선(先)브러시-후(後)와이퍼부재의 세척소거조건을 항상 만족시킬 수 있도록, 브러시는 항상 판서면(101)에 대하여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단수배치되고,With respect to the chalk recording layer written on the writing surface 101 while the predetermined rotating brush and the erasing device including the wiper member travel in sliding state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blackboard while contacting the writing surface 101 of the blackboard. The washing and erasing action of the pre-brush wiper member, which can be cleaned and erased in the roadway and can be perform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the roadway, will always be satisfied. So that the brush is always arranged singularly to remain in contact with the writing surface 101, 와이퍼부재는 상기 브러시의 좌.우 양측에 대칭적으로 복수배치되어, 소거방향이 왕로(往路)에서 귀로(歸路)로 바뀜에 따라 브러시는 위치변동없이 상기 와이퍼부재만 판서면에 대하여 전후로 진퇴하면서 접촉부는 비접촉부로 또 비접촉부는 접촉부로 각각 변환되도록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크리닝칠판의 소거방법.The wiper member is symmetrically arrang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rush, and the brush moves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writing surface without changing the position as the erase direction changes from the road to the home. While the contact portion is controlled to be converted to the non-contact portion and the non-contact portion, respectively, the water cleaning blackboard erasing method. 소정의 회전브러시와, 와이퍼부재를 포함하는 소거장치가 칠판의 판서면(101)과 접촉하면서 칠판의 한쪽끝에서 다른쪽 끝까지 슬라이딩 상태로 주행하면서 판서면(101)에 필기된 분필기록층에 대하여 왕로(往路)에서 세척·소거작용을 실시하고 귀로(歸路)에서는 브러시와 와이퍼부재 둘다 모두 판서면(101)으로부터 소정간격만큼 후퇴하여 격리된 상태에서 원래위치로 무소거귀환하도록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크리닝칠판의 소거방법.With respect to the chalk recording layer written on the writing surface 101 while the predetermined rotating brush and the erasing device including the wiper member travel in sliding state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blackboard while contacting the writing surface 101 of the blackboard. Washing and erasing is carried out in the back road, and in the return road, both the brush and the wiper member are retracted from the writing surface 101 by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y are controlled to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s in an isolated state. Method of erasing the water cleaning blackboard. 판서면의 외곽을 감싸도록 지지하는 칠판보호후레임(105)상에 소거방향(消去方向)을 따라서 소정의 주행안내수단(170)이 형성되어 있는 칠판본체(100)와,A blackboard main body 100 in which a predetermined driving guide means 170 is formed along the erasing direction on a blackboard protection frame 105 suppor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writing surface; 이 부동(不動)의 칠판본체(100)의 판서면(101)에 대하여 외접 상태로 슬라이딩 회전하면서 소정의 세정액 공급수단(150)으로부터 세정액을 공급받아 판서면(101)에 부착되어 있는 분필층을 세척·소거하는 브러시(141L),(141R)와,The chalk layer adhered to the writing surface 101 is supplied with the cleaning liquid from the predetermined cleaning liquid supply means 150 while slidingly rotating in a circumferential state with respect to the writing surface 101 of the floating blackboard body 100. Brush (141L), (141R) to wash and erase, 상기 브러시의 뒤를 항상 추종(追從)하면서 판서면(101)에 묻어있는 잔류세정액을 아래로 훑어서 떨어뜨리는 와이퍼부재((142L),(142R)와,Wiper members (142L) and (142R) for sweeping down and dropping the residual cleaning liquid buried on the writing surface 101 while always following the back of the brush, 액을 아래로 훑어서 떨어뜨리는 와이퍼부재((142L),(142R)와,A wiper member (142L), (142R) for sweeping down the liquid, 상기 브러시(141L),(141R)와 와이퍼부재((142L),(142R)를 응동하도록 제어하여 칠판본체(100)의 판서면에 대하여 번갈아가면서 접촉 그리고 비접촉 부분을 결정하도록 브러시와 와이퍼부재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가변접촉수단(2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크리닝칠판의 소거장치.Positions of the brush and the wiper member to control the brushes 141L, 141R and the wiper members 142L, 142R to alternately contact and non-contact parts with respect to the writing surface of the blackboard main body 100. Water cleaning blackboard era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variable contact means for varying.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변접촉수단(200)은 스텝핑모터를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워터크리닝칠판의 소거장치.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variable contact means comprises a stepping moto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변접촉수단(200)은 0.S.C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크리닝칠판의 소거장치.5.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variable contact means comprises a 0. S. C moto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변접촉수단(200)은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크리닝칠판의 소거장치.5.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variable contact means comprises a solenoid.
KR1019990001847A 1998-04-10 1999-01-21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erasing letters on an water cleaning board KR19990082692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288,141 US6370720B1 (en) 1998-04-10 1999-04-08 Apparatus and a method for automatically erasing a blackboard
AU31725/99A AU3172599A (en) 1998-04-10 1999-04-09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utomatically erasing a blackboard
PCT/KR1999/000171 WO1999053466A2 (en) 1998-04-10 1999-04-09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utomatically erasing a black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841 1998-04-10
KR19980012841 1998-04-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692A true KR19990082692A (en) 1999-11-25

Family

ID=54781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1847A KR19990082692A (en) 1998-04-10 1999-01-21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erasing letters on an water cleaning 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269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68025A1 (en) * 1999-05-07 2000-11-16 Jang Chang H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utomatically erasing a blackboar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68025A1 (en) * 1999-05-07 2000-11-16 Jang Chang H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utomatically erasing a blackbo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0720B1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utomatically erasing a blackboard
KR101003486B1 (en) Window cleaning robot
ATE447066T1 (en) WASHING MACHINE WITH MEANS FOR DETECTING FLOATING LAUNDRY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JP2010005865A (en) Blackboard eraser and blackboard with automatic erasing capability
US4698712A (en) Cleaning device
US3887955A (en) Headlight wiper
KR19990082692A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erasing letters on an water cleaning board
KR20000056775A (en) Water cleaning chalk board.
JP5300663B2 (en) Aquarium wall cleaning equipment
CN202860867U (en) Self-cleaning underwater detection device
KR1003247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erasing a blackboard
CN109577697B (en) Water absorption purification swimming pool washing machine
KR20000060259A (en) Method and devise for automatically erasing letters on water cleaning board
CN204820778U (en) Belt rotation type is from blacking board
CN109484366A (en) A kind of self-service wisdom carwash platform of portable
KR200163257Y1 (en) Water cleaning chalk board
CN205871574U (en) Electric blackboard brush
JP2009202343A (en) Blackboard with blackboard eraser and automatic erasing capability
KR200163260Y1 (en) Fan dry apparatus for water cleaning chalk board
KR200163258Y1 (en) Water cleaning chalk board
JP2001010292A (en) Device for wiping blackboard
CN212604195U (en) Erasing-free dustless white board capable of repeatedly writing
CN210614443U (en) Continuous cleaning equipment for stainless steel coil surface
KR940007684Y1 (en) Blackboard eraser
CN213606089U (en) Scraping device and double-sided era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