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2291A - 무선 전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전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2291A
KR19990082291A KR1019980706020A KR19980706020A KR19990082291A KR 19990082291 A KR19990082291 A KR 19990082291A KR 1019980706020 A KR1019980706020 A KR 1019980706020A KR 19980706020 A KR19980706020 A KR 19980706020A KR 19990082291 A KR19990082291 A KR 19990082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channels
channel
signal
transmiss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알베르티
에리히 오이어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19990082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29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4WLL [Wireless Local Loop]; RLL [Radio Local Loop]

Abstract

무전 전송 시스템에서 기존의 무전 연결이 중단되거나 또는 교란됨이 없이 융통성 있는 전송 용량 배분을 실현하기 위해, 중앙국 및 관련 가입국에서 전송 채널을 변경할 때, 이용 가능한 무전 채널의 대역폭이 최대로 활용되는 동시에 무전 채널에서의 요구되는 교란 저항성이 달성되도록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송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어 장치(SE)가 배치된다. 이를 위해 중앙국 및 가입국에 있는 모뎀에는 L개의 송신 채널 및 K개의 수신 채널(ENC1 내지 ENCL, IF1 내지 IFL, DEM1 내지 DEMK, DF1 내지 DFK, DEC1 내지 DECK)이 설치되고, 그들 중에서 송신 방향으로 최대 L-1개 또한 수신 방향으로 최대 K-1개가 활성화된다. 반송파의 수 및/또는 각 반송파의 전송 파라미터의 변경시, 조절은 적어도 하나의 비 활성화 송신 또는 수신 채널에서 새 전송 파라미터로 행해지고 새 전송 파라미터의 획득 완결 후 그 송신 또는 수신 채널로 전환된다.

Description

무선 전송 시스템
최적 주파수 이용에 대한 요구는 지점간 무선 전송 시스템(지향성 무선전신, 인공 위성 무전)으로 실현될 수 있다. 지점간 지향성 무전 시스템은 "마이크로웨이브 지", 제 10권, 제 6호, 1984년, 페이지 629, 630에 설명되어있다. 그것에 의하면 처리 가능한 무전 채널의 활용이 요구되는 주파수 대역을 필요에 따라 할당함으로서 개선되고 있다. 중앙국과 각각의 가입국 사이의 통신은 주파수 분할 다중(FDMA), 시분할 다중(TDMA), 코드 분할 다중(CDMA), 공간 분할 다중(SDMA)이나 또는 이들 점유법의 혼합형으로의 다중 할당에 의해서 행해지는데, 주파수 채널, 시간 간극, 전개 코드 및 공간 안테나 봉은 가입국의 필요에 따라 배분될 수 있다.
독일 특허출원 DE 44 26 183 A1에 의한 지점간 지향성 무전 시스템에 있어서는 전송 용량이 개별적 전송 채널의 대역폭이 각 가입자에 의해 그때 그때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률에 따라 조절되게 함으로써 가입자의 수요에 탄력적으로 적합화된다. 또한 변조 유형 및 변조 등급(예컨대 N=2 .. 16을 갖는 N-PSK 또는 M=4 .. 256을 갖는 M-QAM)의 가변적 조절은 각각의 전송 채널 별로 예정된다.
채널 부호화는 교란 저항성을 개선하기 위한 첫 번째의 구조수단이 된다. 교란 저항성을 그 이상 증진시키는 것은 스펙트럼 분산 및/또는 주파수 도약에 의해 또한 미리 주어진 일정한 계획에 따른 수직 다 반송파-전송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중앙국과 가입국(회원국)들 사이의 전송 채널들이 필요에 따라 배분될 수 있는, 중앙국과 다수의 가입국으로 구성된 지점간 무선 전송 시스템(point-multipoint ratio transmission system)에 관한 것이다.
무선 전송 시스템은, 지상 지향성 무전 시스템이건 또는 인공 위성 시스템이건 간에, 대단히 신속히 새로운 무전 연결이 이루어지게 하거나 또는 존재하도록 보완하게 해준다. 그런 무선 전송 시스템에서는, 한편으로는 처리 가능한 주파수 스펙트럼이 가급적 최적하게 활용될 수 있어야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무전 전송이 교란 영향(기후 조건에 따른 페이딩, 주파수 특이적 페이딩, 반사에 의한 방해, 무전 전화통의 방해, 다른 무전 서비스국에 의한 방해, 진폭 및 위상 왜곡)에 대해 가급적 최대한 저항성이 있어야한다.
도 1은 지점간 무선 전송 시스템의 블록 회로도를 나타내고,
도 2 및 도 3은 실시형이 상이한 모뎀의 블록 회로도를 나타내고,
도 4, 도 5, 도 6 및 도 7은 상이하게 다중화된 송신 및 수신 채널을 가진 모뎀의 블록 회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이제, 한편으로는 전송 용량을 연결된 가입국들에 융통적으로 할당 및 적합화시키는 것을 중단 없고 교란 없이 가능하게 하고, 그와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무전 전송을 교란 영향(기후조건에 따른 페이딩, 주파수 특이적 페이딩, 반사에 의한 방해, 무선 전화통의 방해, 다른 무전 서비스국에 의한 방해, 진폭 및 위상 왜곡)에 대해 최대한 저항성을 갖게 하는, 모두에 제시한 종류의 지점간 무선 전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설정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단지 중앙국 및 각 가입국이 설치되어 있는 소속 다반송파 모뎀 내에 있어 전송 채널 내의 높은 교란 저항성에 대한 필요가 있는 경우, 먼저 각 반송파에서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할 때,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전송 파라미터를, 대역폭을 가능한 최상으로 이용할 때 무전 채널이 가능한 최대 교란 저항성을 갖도록 조절하는 제어 장치가 존재하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그 때, 각 다반송파 모뎀은 적어도 두 개의 송신 채널 및 적어도 두 개의 수신 채널을 갖고 모뎀에서의 신호 전송은 먼저 단지 한 송신 채널 또는 한 수신 채널을 통해 행해진다. 전송 채널의 변경시 전송 파라미터의 변경시에는, 다른 송신 채널 및/또는 수신 채널에서 신호 전송이 계속되고 있는 동안, 제어 장치는 작동되고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송신 채널 및/또는 수신 채널에서 새로운 전송 파라미터를 조절하고, 새로운 전송 파라미터를 가진 무전 채널의 획득이 완결된 후에 그 전에는 작동되지 않고 있던 송신 채널 및 또는 수신 채널에 전환된다. 다시 필요한 경우, 단일 반송파로서의 전송시 교란 저항성이 충분하지 않으면, 청구항 1의 특징을 가진 설정 목적은, 존재하는 제어 장치에 의해, 중앙국 및 가입국의 존재하는 다반송파 모뎀에서 전송하려는 데이터 흐름이, (이 흐름이 이미 다수의 개별 데이터흐름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으면(예컨대 N×2Mbit/s 또는 M×1.5Mbit/s)) 개별적 데이터 흐름으로 디멀티플렉스(다중화 해제)되고 이것이 개별적 반송파로 전송되는 식으로, 단일 반송파 전송으로부터 다반송파 전송으로 이행되게 함으로써, 그리하여 개별 반송파의 전송 파라미터들이 제어 장치에 의해 요구되는 교란 저항성으로 최적화되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다반송파 전송을 위한 반송파의 수는 중앙국 및 가입국의 모뎀에서 실시된 수에 의해 한정되고 필요에 따라 대응적으로 적합화될 수 있다.
단일 반송파 전송으로부터 다반송파 전송으로의 이행은, 중앙국 및 가입국의 다반송파 모뎀이 둘 이상의 송신 채널 및 수신 채널을 갖게 하고, 그래서 전송 채널의 변경을 위해서는, 제어 장치에 의해 단일 반송파 전송의 경우에나 다반송파 전송의 경우에, 나머지 송신 및 수신 채널에서의 신호 전송은 계속되게 하면서, 적어도 한 송신 채널 및 수신 채널은 나머지 송신 및 수신 채널들 중의 하나를 위한 새로운 전송 파라미터의 조절을 위해 항상 이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전송의 중단이나 교란 없이 행해질 수 있다. 이때 새로운 전송 채널의 획득이 완결된 후에야 비로소 그 전에는 작동되지 않고 있던 송신 채널 및/또는 수신 채널에 전환된다.
상기한 조치에 의해, 일점 다점간 무선 전송 시스템의 경우 이용 가능한 무전 채널은 무전 연결이 중단되거나 또는 교란될 필요 없이 아주 융통성 있게 개별 가입국의 요구되는 전송 채널에 적합화될 수 있다. 모든 송신 및 수신 채널의 모든 전송 파라미터는, 단일 반송파 전송의 경우, 다반송파 전송의 경우, 단일 반송파 전송으로부터 다반송파 전송으로 이행의 경우, 다반송파 전송으로부터 단일 반송파 전송으로 이행의 경우, 및 무전 채널의 효율적 이용 및 필요한 교란 저항성의 달성이라는 목적을 가진 다반송파 전송시 반송파 수의 변경의 경우,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합목적적 추가 양태는 종속항들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도면에 표시된 실시예에 따라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원리적으로 표시된 지점간 무선 전송 시스템은 중앙국(ZS)과 다수의 가입국(TS1, TS2 ... TSn)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국(ZS)은, 최대 수의 가입국(TS1, TS2 ... TSn)이 중앙국(ZS)과의 무전 연결을 수용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수의 병렬 결선된 모뎀(MDM)을 갖고 있다. 중앙국(ZS)의 모든 모뎀(MDM)은 양쪽 출구에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MX1 및 MX2)를 통하여 함께 연결되어 있다. 제 1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MX1)는 다른 정보망과의 연결을 형성한다. 제 2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MX2)에는 회로 블록(ZF)이 연결되어 있는데, 이 블록은 송출된 또는 수신된 신호를 중간 주파수 평면으로 전위한다. 회로 블록에는 송신/수신유니트(전단부)(RF)가 연결되어 있다.
그런 구조는 각각의 가입국(TS1, TS2...TSn)을 갖는다. 송신/수신 유니트(RF)에는 중간 주파수 유니트(ZF)가 연결되고 이 중간 주파수 유니트는 다시 모뎀(MDM)과 연결되어 있다. 단말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TMX)는 모뎀(MDM)과 종점장치(예컨대 전화) 또는 공적 또는 사적 정보망(예컨대 ISDN, PABX) 사이의 연결을 형성한다.
도 2는 중앙국(ZS) 및 각 가입국(TS1, TS2...TSn)에 같은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는 모뎀(MDM)의 구조의 예를 보여준다. 모뎀은 L개의 송신 채널 및 K개의 수신 채널을 지니고, 거기서 L≥2 및 K≥2로 가정된다.
송신 방향으로 디멀티플렉서(DMUX)는 송출하려는 데이터 신호를 L개의 부호기(엔코더)(ENC1 내지 ENCL)중의 하나에 연결시킨다. L개의 부호기(ENC1 내지 ENCL) 각각은 L개의 송신 채널중의 하나에 속한다. 이중선으로 표시된 연결선은, 여기서 디지털 데이터 신호가 복소수, 즉 실수부와 허수부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L개의 부호기(ENC1 내지 ENCL) 각각에는 가변 보간 필터(IF1 내지 IFL)(채널 필터)가 각각 후속한다. 그 필터에는 각 신호 경로에서 변조기(MOD1 내지 MODL)가 연결되고 그 변조기들 각각은 그 소속 채널의 주파수에 동조된다. 변조기(MOD1 내지 MODL)의 출구에는 일정한 보간 인수(2; DE 36 21 737 C2에 의한)를 가진 인터폴레이터(IS1 내지 ISL)가 연결되고, 그 인터폴레이터는 변조기(MOD1 내지 MODL)의 복소수 디지털 출력 신호를 실수 디지털 데이터 신호로 변환한다. 분기부(VZS)를 통해 각 송신 채널의 실수 디지털 데이터 신호는 전체 공통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U)에 도달하고 그 변환기는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로 변환한다.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는 이어서 앤티얼라이징 필터(AAFS)를 통하여 안내된다.
반대 방향으로, 즉 수신 방향으로는, 수신된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가 앤티얼라이징 필터(AAFS)를 통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U)에 도달한다. 거기를 떠난 실수 디지털 데이터 신호는 분기부(VSE)를 거쳐 모든 수신 신호 경로 들에 공급되고 그들 각각은 K개의 수신 채널에 할당된다. 각 수신 신호 경로(1 내지 K)는 일정한 데시메이션 인수(2; 예컨대 DE 36 21 737 C2에 의한)를 가진 데시메이터(DE1 내지 DEK)를 갖고 있고, 그 데시메이터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실수 디지털 출력 신호를 복소수 디지털 데이터 신호로 변환한다. 각 수신 신호 경로(1 내지 K)의 데시메이터(DE1 내지 DEK)에 복소수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위한 복조기(DEM1 내지 DEMK)가 후속한다. 복조기 들은 소속된 수신 채널의 주파수에 동조된다. 각 수신경로에서 데시메이션 필터(DF1 내지 DFK)(부합된 필터)가 복조기(DEM1 내지 DEMK)에 후속한다.
데시메이션 필터(내지)는 보간 필터(내지)도 마찬가지지만 루트-나이퀴스트-조건을 만족한다. 그러한 가변성 데시메이션 필터 및 보간 필터의 구조 및 작동 방법은 "위성 통신을 위한 제 이차 유럽 회의 회보", 리이게/벨지움, 1991년 10월, ESA P-332, 페이지 457-464에 기재되어 있다.
K개의 수신 신호 경로에는 역시 위에서 인용한 "위성 통신을 위한 제 이차 유럽 회의 회보"로부터 알려져 있는 동기 회로(SYNC1 내지 SYNCK)가 있다. 이 동기회로는 각 신호 경로에 있어 수신된 데이터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 반송파 위상 및 주사율 상에서 회로 들을 동기화 한다. 그래서 모뎀은, 그렇지 않았으면 수신 신호와 함께 전송될 필요가 있었을 동기 신호와는 상관이 없다.
각 수신 신호 경로(1 내지 K)의 끝에는 해독기(DEC1 내지 DECK)가 있다. 송신 신호 경로(1 내지 L)에서의 부호화 및 수신 신호 경로(1 내지 K)에서의 해독은 바람직하게는 비터비 부호화/해독으로 행해진다. 해독기(DEC1 내지 DECK)의 출력은 멀티플렉서(MUX)에 이른다.
각 송신 신호 경로(1 내지 L)에 대해 자체 인터폴레이터(IS1 내지 ISL)를, 또한 각 수신 신호 경로(1 내지 K)에 대해 자체의 데시메이터(DE1 내지 DEK)를 배치하는 대신에,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L개 송신 신호 경로 및 K개 수신 신호 경로에 대해 한 인터폴레이터(IS) 및 데시메이터(DE)가 설치될 수 도 있다. 그 때에는 인터폴레이터(IS) 전의 분기부(VZSK) 및 데시메이터(DE) 후의 분기부(VZEK)는 복소수 디지털 신호를 분배하고 요약해야 한다.
실수 디지털 신호를 위한 분기부(VZS, VZE) (도 2) 및 복소수 디지털 신호를 위한 분기부(VZSK,VZEK; 도 3)는 주파수 멀티플렉서(송신방향으로는 VZS,VZSK)와 주파수 멀티플렉서(수신 방향으로는 VZE1,VZEK)로 실시될 수 있다.
인터폴레이터(IS, IS1 내지 ISL) 및 데시메이터(DE, DE1 내지 DEK)는 복소수 반 대역 필터로 실현될 수 있다(EP 0 250 926 B1을 참고하라).
복소수 디지털 변조기(MOD1 내지 MODL) 및 복조기(DEM1 내지 DEMK)를 위한 복소수 반송파 진동은 직접 디지털 합성법(DDS)("위상 누산기 절단의 존재 하에 직접 디지털 주파수 합성기의 출력 스펙트럼의 해석", TEEE 1987년, 41차 연례 주파수 관리 심포지움, 페이지 495이하를 참고)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 합목적적이다.
지점간 무선 전송 시스템은 모두에 언급한 바와 같이 중앙국과 가입국들 사이에 전송 채널을 매우 융통성 있게 할당할 수 있어야 하며, 이용 가능한 무전 채널은 최대한 활용된다. 하나 또는 수개의 가입국이 중앙국과 데이터 교환을 새로 수용하거나 또는 데이터 전송을 단절하는 이유 때문에, 필요한 전송 채널의 수가 변하면, 중앙국(ZS)에 있는 제어 장치(SE)에 의해 중앙국 및 가입국에 있어 전송 채널의 변화에 의해 영향받은 모뎀내의 전송 파라미터는, 전송 채널 들이 무전 채널을 효율적으로 커버하도록 변화 된다. 예정된 데이터 전송 품질(예컨대, 비트 오차율≤10-7)을 보장하고 무전장 영향(페이딩, 반사)을 감소하기 위해, 변화 가능한 전송 파라미터에 속하는 것에는, 먼저 각각의 반송파의 경우 예컨대 데이터율, 변조 종류 또는 변조 등급(예컨대 N=2 ...16인 N-PSK, 또는 M=4 ... 256인 M-QAM), 부호화, 채널 주파수 또는 송신 기준 및 신호 품질 판단을 위한 변수가 있다. 그 위에 변화 가능한 전송 파라미터에 속하는 것에는, 전송에 사용된 반송파의 수도 포함되는데, 이 반송파는, 각각의 반송파가 다 반송파 전송의 경우 상술한 모든 전송 파라미터에 있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형성된, 단일 전송 및 다 전송을 포함한다. 이들 특징은 이하에서 동적 수직 주파수 분할 다중화(DOFDM)의 개념 하에 요약된다.
따라서, 요구되는 전송 채널의 수가 변하거나 또는 요구되는 교란 저항성이 변하면, 제어 장치(SE)는, 무전 채널의 전체 주파수 폭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상기 착안점 및 전송을 위한 요구되는 교란 저항성에 따라 전송 파라미터를 평가한다. 이 변한 전송 파라미터를 제어 장치(SE)는 제어 신호로서(도면에 점 이중 화살선으로 표시됨)모뎀 내의 관련 회로 블록에 공급한다. 가입국의 모뎀을 위한 제어 신호는 예컨대 신호화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데, 이 채널은 하나 또는 수개의 망 신호 채널에 연결되거나 또는 자체의 방송 채널로서 방사된다.
전송 파라미터들 중에서, 수(l; 부차조건: 1≤l≤L-1)는 먼저 활성화시키려는 송신 반송파의 실제수 또한 수(k; 부차조건: 1≤k≤K-1)는 활성화시키려는 수신 반송파의 실제수에 의해 확정된다.
모든 송신 반송파(1 내지 L)의 데이터율은 가변성 보간 필터(IF1 내지 IFL)에서 또한 모든 수신 반송파(1 내지 K)는 데시메이션 필터(DF1 내지 DFK)에서 조절된다. 송신 반송파(1 내지 L)의 반송 주파수의 변경은 변조기(MOD1 내지 MODL)에서 또한 수신 반송파(1 내지 K)의 반송 주파수 변경은 복조기(DEM1 내지 DEMK)에서 행해진다. 변조와 부호화의 변경은 송신 반송파(1 내지 L)에 대해서는 부호기(인코더; ENC1 내지 ENCL)에서 또한 수신 반송파(1 내지 K)에 대해서는 해독기(DEC1 내지 DECK)에서 행해진다.
상기와 같이, 각 모뎀에는 L개의 송신 채널 및 K개의 수신 채널이 있다. 활성화된 송신 채널의 수(l)는 최대 수(L-1)에 달할 수 있기 때문에 송신 파라미터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적어도 활성화되지 않은 한 송신 채널이 아직 이용가능하다. 마찬가지로 활성화된 수신 채널의 수(k)는 최대 수(K-1)에 달할 수 있기 때문에 송신 파라미터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적어도 활성화되지 않은 한 수신 채널이 아직 이용 가능하다.
제어 장치(SE)가 전송 채널 변경에 대한 요구를 받았거나 또는 교란 저항성의 상승을 위한 필요성을 결정했을 때, 또한 거기에 따라 전송 파라미터를 대응하여 새로이 평가할 때에는, 제어 장치는 그의 새로운 전송 파라미터를 제어 신호로서 활성화되지 않은 송신 및/또는 수신 채널의 관련 회로 블록에 교부한다. 새로운 전송 파라미터 들이 중앙국 및 소속된 가입국의 모뎀의 관련 송신 및/또는 수신 채널에서 조절 완료된 즉시, 새로이 활성화된 모든 송신 및/또는 수신 채널의 필요한 획득 확인이 신호화 경로를 통해 제어 장치(SE)에서 행해지고, 그런 후 신호 전송은 새로이 활성화 된 송신 및/또는 수신 채널로 이행되며, 이에 의해 대치된 송신 및/또는 수신 채널은 비 활성화된다. 따라서, 신호 전송시 교란 중단이 회피될 수 있다.
중앙국 및 가입국의 관련 모뎀에서 송신 및/또는 수신 채널을 선택하는 것은, 채널 중 어느 것이 활성적이고 어느 것이 비 활성적인가의 상태 정보에 따라 제어 장치(SE)가 맞추어 행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각 송신 및 수신 채널에 자체의 신호 경로가 할당된다. 즉 송신 방향 및 수신 방향에 대해 대부분의 회로 블록 들은 L개 및 K개 존재한다. 회로에 있어 이런 낭비는 L개 송신 신호 경로 및 K개 수신 신호 경로에 대해 부재 들이 시분할 다중으로 작동되게 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도 4에는 L개 송신 채널을 위한 신호 경로 및 K개 수신 채널을 위한 신호 경로가 표시되어 있다. 송신 신호 경로는 L개 송신 채널을 위해 부호기(ENC), 갸변성 보간 필터(IF), 및 변조기(MOD)를 갖고 있다. 그 위에 가변 보간 필터(IF)와 변조기(MOD)사이에는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것 처럼 일정한 보간 인수를 가진 또하나의 추가 인터폴레이터(ISS)가 삽설되어 있다. 이들 추가의 인터폴레이터(ISS)로 인해 가변 보간 필터(IF)는 단지 작은 보간 인수를 가져도 된다. 각 회로 블록(ENC, IF, ISS, MOD) 및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서(FMX)에 연결된 회로 블록 들(인터폴레이터(IS),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U), 앤티얼리아징 필터(AAFS))의 기능에 관해서는 여기서는 더 이상 들어가지 않을 것인데, 그 이유는 그것 들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미 상세히 설명되었기 때문이다. 동일한 것이 도 4에 표시된 수신 신호 경로의 각 회로 블록에도 성립한다. 마찬가지로 이것은 모든 회로 블록들이 단지 간단히 되어 있고 K개의 수신 채널의 전송이 일어나는 수신 신호 경로이다. 복조기(DEM)와 가변 데시메이션 필터(DF) 사이에 선택적으로 삽설되어 있고 일정한 데시메이션 인수를 가진 데시메이터(DEE)에 의해, 가변 데시메이션 필터(DF)에는 작은 데시메이션 인수를 부여할 수 있다.
각 회로 유니트에 부가되어 있는 점선표시 블록 들은, L개의 송신 채널(KS1 내지 KSL)은 시분할 멀티플렉서에서 한 송신 신호 경로 처리부를 통하여 그리고 K개의 수신 채널(KE1 내지 KEK)은 시분할 멀티플렉서에서 한 수신 신호 경로 처리부를 통하여 처리될 수 있다.
L개의 송신 채널은 변조기(MOD) 이후 주파수 분할 변조기(FMX)에 의해 한 송신 신호로 집합되고 수신 신호를 K개의 수신 채널에 배분하는 것은 복조기(DEM) 전단에 배치된 주파수분할 멀티플렉서(FDMX)에 의해 행해진다.
회로 유니트 들을 더욱 집중시키는 것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변 데시메이션과 가변 보간에 관해 L개의 송신 채널 및 K개의 수신 채널이 단일 유니트를 통해 다중화되게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변 데시메이션 필터(DF) 및 가변 보간 필터(IF)를 포함하는 기능 유니트(DI)가 배치되어 있다.
기능 유니트(D1)의 두 출입구에 있는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DMX1 및 DMX2)는 L개의 송신 채널 및 K개의 수신 채널이 시분할 멀티플렉서에서 기능 유니트(D1)를 통하여 처리되도록 작용한다. 도 4에서와 같은 부재 번호를 가진 모든 다른 회로 유니트는 거기에 표시된 모뎀 실시예에서와 같은 기능을 갖는다.
도 6에 표시된 모뎀에서는 복조기(DEM)와 변조기(MOD)도 공동의 기능유니트(DM)에 집결되어 있는데, 이 유니트는 L개의 송신 채널과 K개의 수신 채널을 시분할 멀티플렉서에서 처리한다. 이 모뎀의 변형된 회로는 회로 비용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물론 인터폴레이터(ISS)와 데시메이터(DEE)는 복소수 계수를 가져야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하여 더욱 비용 유리한 회로를 표시한다. 변조기(MOD)와 인터폴레이터(ISS)를 교환하고 복조기(DEM)와 데시메이터(DEE)를 교환함으로써 인터폴레이터(ISS)와 데이메이터(DEE)는 실수 계수로 실현될 수 있는데 그 양자는 공동의 기능 유니트(ISDE)에 집결되어있다. 송신- 및 수신-신호경로의 시분할 다중화 처리의 이점은 그대로 유지된다.
아직 활성화되지 않은 송신 및 수신 채널로 전환하는 대신에, 개별적 송신 및 수신 채널의 각각에서도 전송 파라미터의 연속적 변경이 행해질 수 있다. 전송은 역시 단시간적으로 중단될 수 있기 때문에 이 전송 중단 기간에 전송 파라미터가 변경될 수 있다. 전송 중단 기간에 수신된 또는 송신하려는 데이터는 손실되지 않도록 임시 저장된다.

Claims (16)

  1. 한 중앙국과 다수의 가입국으로 구성된 지점간 무선 전송 시스템으로서, 전송 채널이 중앙국과 가입국 사이에 필요에 따라 배분될 수 있는 지점간 무선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 중앙국(ZS)은 이용 가능한 최대수의 전송 시스템의 각각에 대해 한 모뎀(MDM)을 갖고 있고, 마찬가지로 각 가입국(TS1, TS2 ... TSn)도 한 모뎀(MDM)으로 장비되어 있고,
    - 각 모뎀(MDM)은 2 보다 크거나 같은 L개의 송신 채널 및 2 보다 크거나 같은 K개의 수신 채널을 갖고 있고, 모뎀에서의 신호 전송은 최대 L-1개의 송신 채널을 통해 또한 최대 K-1개의 수신 채널을 통해 행해지고,
    - 각 관련 모뎀(MDM)에 있어 전송 채널의 변경시 및/또는 전송 채널의 필요한 교란 저항성의 변경시, 활성 송신 채널의 수(l; 1≤l≤L-1) 및/또는 활성 수신 채널의 수(k; 1≤k≤K-1), 및 채널 반송 주파수, 데이터율, 변조, 코드화, 송신 규격, 신호 품질 판정을 위한 파라미터와 같은 하나 또는 수개의 전송 파라미터를, l개의 활성 송신 채널 및/또는 k개의 활성 수신 채널 중의 하나 또는 수개 내에서, 이용 가능한 무전 채널의 대역폭이 최적하게 활용될 뿐 아니라 요구되는 전송 채널 내 교란 저항성이 달성되도록 조절하는 제어 장치(SE)가 존재하고,
    - 전송 파라미터의 변경시에는, 다른 최대 L-1개의 송신 채널 및/또는 최대 K-1개의 수신 채널에서 신호 전송이 계속되고 있는 동안, 제어 장치(SE)는 작동되고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송신 채널 및/또는 수신 채널에서 새로운 전송 파라미터를 조절하고, 새로운 전송 채널의 획득이 완결된 후에야 비로소 그 전에는 작동되지 않고 있던 송신 채널(들) 및/또는 수신 채널(들)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송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L개의 송신 채널의 각각에 대해 한 부호기(ENC1 내지 ENCL) 및 한 변조기(MOD1 내지 MODL)가 존재하며, 부호기(ENC1 내지 ENCL)와 변조기(MOD1 내지 MODL) 사이에는 각각 하나의 가변 보간 필터(IF1 내지 IFL)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송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각 변조기(MOD1 내지 MODL)에는 각각 하나의 인터폴레이터(IS1 내지 ISL)가 후단 연결되어 있고, 그 인터폴레이터는 각 변조기(MOD1 내지 MODL)의 복소수 디지털 출력 신호를 실수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송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L개 송신 채널의 L개 변조기(MOD1 내지 MODL)의 출력 신호는 분기부(VZSK)를 통하여 인터폴레이터(IS)에 공급되고, 그 인터폴레이터는 각 변조기(MOD1 내지 MODL)의 복소수 디지털 출력 신호를 실수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송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L개의 송신 채널에 대해 부호기(ENC), 변조기(MOD), 및 그 양자 사이에 삽설된 가변 보간 필터(IF)가 배치되어있으며, 부호기(ENC), 변조기(MOD), 및 그 양자 사이에 삽설된 가변 보간 필터(IF)는 모든 송신 채널을 시분할 멀티플렉서에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송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멀티플렉서(FMX)는 변조기(MOD)의 복소수 디지털 출력 신호를 인터폴레이터(IS)에 공급하고, 그 인터폴레이터는 복소수 디지털 출력 신호를 실수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송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K개의 수신 채널의 각각에 대해 복조기(DEM1 내지 DEMK)와 해독기(DEC1 내지 DECK)가 배치되어 있으며, 복조기(DEM1 내지 DEMK)와 해독기(DEC1 내지 DECK) 사이에는 각각 가변 데시메이션 필터(DF1 내지 DFK)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송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각 복조기(DEM1 내지 DEMK)에는 각각 하나의 데시메이터(DEM1 내지 DEMK)가 배치되어 있고, 그 데시메이터는 실수 디지털 수신 신호를 복소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송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K개 수신 채널에 대해 한 데시메이터(DE)가 배치되어 있고, 이 데시메이터는 실수 디지털 수신 신호를 복소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그 디지털신호는 분기부(VZEK)를 통해 K개 수신 신호의 복조기(DEM1 내지 DEMK)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송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K개 수신 채널에 대해 복조기(DEM), 해독기(DEC) 및 그 양자 사이에 삽설된 가변 데시메이션 필터(DF)가 배치되어 있으며 모든 K개의 수신 채널은 시분할 멀티플렉서에서 복조기(DEM), 데시메이션 필터(DF) 및 해독기(DEC)를 통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송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데시메이터(DE)는 실수 디지털 수신 신호를 복소수 디지털 수신 신호로 변환하며, 복소수 디지털 수신 신호를 변조기(DEM)에 공급하는 디멀티플렉서(DEM)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송 시스템.
  12. 제 3항, 제 4항, 제 6항,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터폴레이터(IS1 내지 ISL, IS) 및 또는 데시메이터(DE1 내지 DEK, DE)는 복소수 반대역필터로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송 시스템.
  13. 제 4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송신 신호경로의 분기부(VZS, VZSK)는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서로 실시되어 있으며 수신 신호 경로의 분기부(VZE, VZEK)는 주파수 분할 디멀티플렉서로 실시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송 시스템.
  14. 제 5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DMX1, DMX2)의 도움으로, L개의 송신 채널 및 K개의 수신 채널이 시분할 다중화로 가변 데시메이션 필터 및 가변 보간 필터를 가진 공동의 기능유니트(D1)를 통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송 시스템.
  15. 제 5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DMX1, DMX2)의 도움으로, L개의 송신 채널 및 K개의 수신 채널이 시분할 다중화로 가변 데시메이션 필터 및 가변 보간 필터를 가진 제 1 기능 유니트(DI)를 통해 또한 변조기와 복조기를 가진 제 2 기능 유니트(DM)를 통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송 시스템.
  16. 제 5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DMX1, DMX2)의 도움으로, L개의 송신 채널 및 K개의 수신 채널이 시분할 다중화로 가변 데시메이션 필터 및 가변 보간 필터를 가진 제 1 기능 유니트(DI)를 통해 또한 일정한 보간인자 및 또는 데시메이션 인자를 가진 인터폴레이터 및 데시메이터를 구비한 제 2 기능 유니트(ISDE)를 통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송 시스템.
KR1019980706020A 1996-03-27 1996-11-07 무선 전송 시스템 KR199900822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12107 1996-03-27
DE19635533.8 1996-09-02
DE19635533A DE19635533A1 (de) 1996-03-27 1996-09-02 Punkt-zu-Mehrpunkt Fünkübertragungssystem
DE19612107.8 1996-09-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291A true KR19990082291A (ko) 1999-11-25

Family

ID=7789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020A KR19990082291A (ko) 1996-03-27 1996-11-07 무선 전송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9990082291A (ko)
DE (2) DE196355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02028A1 (de) 1997-01-23 1998-08-06 Bosch Gmbh Robert Einrichtung für ein Funksystem, insbesondere für Punkt-zu-Mehrpunkt-Verbindungen
DE19737758A1 (de) 1997-08-29 1999-03-04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Einstellen der Sendeträgerfrequenz in einer Teilnehmerstation eines Punkt-zu-Mehrpunkt Funkübertragungssystem
DE19805546C2 (de) 1998-02-11 2000-02-17 Siemens Ag Verfahren und Funkstation zur Datenübertragung
DE19939811A1 (de) * 1999-08-21 2001-02-22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Ausregeln eines Frequenzoffsets im Empfänger einer Basisstation eines Nachrichtenübertragungs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604632D1 (de) 2000-04-13
DE19635533A1 (de) 1997-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6426A (en) Method and system for cellular communication with centralized control and signal processing
US6178330B1 (en) Point-multipoint radio transmission system
US5585850A (en) Adaptive distribution system for transmitting wideband video data over narrowband multichanne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865390B2 (en)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featuring a central radio pool/traffic router
FI96733C (fi) Tilaajaverkkojärjestely tilaajien liittämiseksi yleiseen puhelinverkkoon
US5680388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dynamic allocation of multiple carrier-wave channels for multiple access by frequency division of multiplexing
US8165615B2 (en) Cellular network system
WO1996013917A9 (en) Adaptive video signal distribution system
US6167237A (en) Univers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 transmission protocol, a wireless communication station, and a radio base station
CN1265243A (zh) 具有在逐个时隙基础上分集接收的无线电通信系统
US6185202B1 (en) Point-to-multipoint radio transmission system
US6512755B1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access system
US6094444A (en) Point-to-points signal transmission system
KR19990082291A (ko) 무선 전송 시스템
US5533030A (en) Radiotelephone system with the character of a local or auxiliary communications apparatus
WO1998038821A1 (en) A univers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 transmission protocol, a wireless communication station, and a radio base station
EP0908068A1 (en) A univers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 transmission protocol, a wireless communication station, and a radio base station
JP3235043B2 (ja) 無線通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