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1882A - 가소된 열가소성 물질을 필터링하는 장치 및 이러한 장치용필터 요소 - Google Patents

가소된 열가소성 물질을 필터링하는 장치 및 이러한 장치용필터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1882A
KR19990081882A KR19980705593A KR19980705593A KR19990081882A KR 19990081882 A KR19990081882 A KR 19990081882A KR 19980705593 A KR19980705593 A KR 19980705593A KR 19980705593 A KR19980705593 A KR 19980705593A KR 19990081882 A KR19990081882 A KR 19990081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er
filter element
perforated region
groov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9980705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5697B1 (ko
Inventor
헬무트 바허
헬무트 슐츠
게오르크 벤델린
Original Assignee
헬무트 바허
게오르크 벤델린
헬무트 슐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헬무트 바허, 게오르크 벤델린, 헬무트 슐츠 filed Critical 헬무트 바허
Publication of KR19990081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1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5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56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29/88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with internal recirculation through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17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01D29/11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open-en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01D29/5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arranged concentrically or c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69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B01D29/647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76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 B01D29/80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for drying
    • B01D29/82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for drying by compression
    • B01D29/82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for drying by compression usin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01D33/073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7Cleaning; Purging; Avoiding contamination
    • B29C48/2725Cleaning; Purging; Avoiding contamination of filters
    • B29C48/2735Cleaning; Purging; Avoiding contamination of filters us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69Filters or screens for the moulding material
    • B29C48/691Arrangements for replacing filters, e.g. with two parallel filters for alternate use
    • B29C48/6914Arrangements for replacing filters, e.g. with two parallel filters for alternate use the filters being fitted on a rotatable or pivotable disc or on the circumference of a rotatable or pivotable cylinder
    • B29C48/6916Continuously rotating cylindrical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69Filters or screens for the moulding material
    • B29C48/694Cylindrical or conical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5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필터 요소(3)의 유입면으로 공급되는 필터링시키려는 물질을 통과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입 채널을 갖는 하우징(1)을 갖는 가소된 열경화성 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과물은 필터 요소(3)내의 미세한 필터링 홀(7)을 통해 통과하고 배출면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유출 채널(9)로 통과하여 하우징(1) 밖으로 빠져 나온다. 필터 요소의 유입면은 필터 요소(3)에대하여 이동된 스크레이퍼(11)의 에지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며, 상기 에지는 필터 요소(3)의 표면을 따라서 잔류물을 하나 이상의 배출 채널(12)로 안내한다. 잔류물 배출 방향에서, 천공 영역(20)에는 스크레이퍼(11)에 의해 또한 스크레이핑되는 비천공 영역(21)에 인접한 필터 요소의 필터링 홀(7)이 구비된다. 스크레이퍼(11)에 면하는 비천공 영역(21)의 표면에 그루브가 존재하며, 그루브의 방향은 상기 그루브(29)에 대하여 연장되는 스크레이퍼(11)의 에지의 방향과 교차한다. 비천공 영역(21)상의 두꺼운 화합물은 농축된 형태로 배출 채널(12)로 취해진다.

Description

가소된 열가소성 물질을 필터링하는 장치 및 이러한 장치용 필터 요소
기술 분야
하나 이상의 필터 요소의 유입면으로 공급되는 필터링시키려는 가소된 열가소성 합성 플라스틱 물질을 통과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입 채널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필터 요소가 여과물에 대한 미세 필터링 홀을 갖고, 필터 요소의 유출면으로부터 여과물에 대한 하나 이상의 유출 채널이 하우징 밖으로 빠져나오며, 필터 요소(3)의 유입면에 필터 요소에 대하여 이동된 스크레이퍼가 배치되고, 필터 요소를 브러싱시키는 이들의 스크레이핑 에지가 필터 요소의 표면을 따라서 폐잔류물을 하나 이상의 배출 채널로 밀어내며, 폐잔류물이 운반 제거되는 방향으로, 스크레이퍼에 의해 브러싱되는 비천공 영역이 필터링 홀이 구비된 필터 요소의 영역(20)에 인접해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장치용 필터 요소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이러한 종류의 장치는 WO 93/15819호에 공지되어 있다. 중공 실린더 천공 필터 영역에 인접하는 비천공 영역은 이의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필터 요소의 토션 응력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고형 실린더로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효 수명 및 필터링 효율을 더 증가시킴으로써 상기된 종류의 가소된 열가소성 합성 플라스틱 물질을 필터링하는 장치를 개선시키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스크레이퍼에 면하는 필터 요소의 비천공 영역의 표면에 존재하는 그루브를 가짐으로써 이러한 과제를 해소하는데, 상기 그루브는 비천공 영역상의 두꺼운 물질이 매우 큰 정도로 배출 채널로 수송되도록 이들 그루브를 스크레이핑하는 스크레이핑 에지의 방향을 교차시키는 방향으로 위치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발견을 기초로 한다: 대부분의 현재 공지된 필터 장치에서, 스크레이퍼는 필터의 천공 영역 전체에 걸쳐서 미끄러지며, 필터링되는 용융물로부터 외부로 분리된 불순물을 배출 채널로 안내한다. 이러한 잔류 물질은 배출 채널로 이동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두꺼워지며, 통상의 고체 불순물은 필터 영역에 마멸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필터 요소의 물질을 제거하는 배출 채널 영역내 필터 요소의 마멸이 심하여 배출 채널 영역내 필터 요소가 더 이상 가해지는 압력을 궁극적으로 견뎌낼 수 없어서 파손된다. 이러한 경우의 위험은 필터링시키려는 내부 공급된 합성 플라스틱 물질에 의해 가해진 압력으로 인해 증가되며, 상기 압력은 300bar에 도달될 수 있으며, 현대의 필터 장치에서는 그 이상이다. 필터 요소의 마멸은 약간의 스크레이퍼에 의해 수송되는 잔류 물질에 대한 접합부로서 작용하는 필터 영역내 홀에 의해 증가되는데, 이것은 잔류 물질내 알갱이 성분이 이들 홀내에 고정되고 접합부에 유입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스크레이퍼가 스크레이퍼 전면을 따라서 밀어내는 물질내 고형 성분의 농도는 스크레이퍼 바로 전방에서는 매우 높았다. 즉, 이러한 물질은 고수준으로 농밀화된다. 그러나, 스크레이퍼 바로 뒤에서는, 필터링되는 압축된 물질이 유동하는 영역내로 투명한 영역이 나타난다. 이와 같이 여전히 실질적으로 필터링되지 않은 용융물 성분이 배출 채널의 영역으로 유입되는 경우에, 비교적 순수한 물질이 거기에서 유출된다. 따라서, 보통 배출 스크루에 의해 배출 채널내에서 전달 제거된 물질은 조성에 있어 매우 비균일성을 갖는데, 이것은 스크레이퍼의 전방으로부터의 부분을 갖는 스크레이퍼 뒤의 영역으로부터의 부분들 사이에는 일정한 체인지업이 있기 때문이다. 스크레이퍼 전방으로부터의 이들 부분은 비교적 높은 비율의 불순도를 갖는 주로 두꺼운 물질을 함유하는 반면에 스크레이퍼 후방으로부터의 이들 부분은 비교적 높은 플라스틱을 가지며, 불순물의 공유가 매우 낮다.
본 발명에 따른 측정에 의해, 스크레이퍼는 현재로서는 전체에 걸쳐서 천공된 필터 요소의 영역을 가로질러 스크레이핑시키지 못하지만, 배출 채널에 인접한, 그루브를 갖는 비천공 영역은 순환하는 고형 물질에 대한 다소의 접합부를 생성시켜서 이러한 물질이 배출 채널 방향으로 더 많이 수송되게 한다. 말하자면, 그루브는 운반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킨다. 이에 의해, 유리한 방식으로, 불순물이 배출 채널에 인접한 영역에서 수거되고, 플라스틱 물질, 즉 용융물의 유용한 성분을 밀어내어 유용한 성분이 필터의 천공 영역에 다시 도달하고 그 곳의 홀을 통해 필터링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달성된다. 결과적으로, 배출 채널에서 발견된 물질은 처음에 기술된 공지된 설계에서의 물질- 및 필터 표면이 스크레이퍼에 의해 브러싱되는 그 밖의 보통 유형의 필터-보다 더 균일하며, 놀랍게도, 기대했던 것 보다도 배출 채널에 도달하는 플라스틱이 더 적게 손실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설계에서의 그루브가 홀 보다 잔류물의 고형 성분에 대한 보다 더 적은 부착 효과를 갖기 때문에, 필터의 천공 영역과 비교하여 스크레이퍼에 의해 수송된 두꺼운 물질의 불순 성분에 관한 파쇄 효과는 더 적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상기된 WO 93/15819호에 따른 필터 요소와 같은, 세로로 대칭인 필터 요소 둘 모두, 즉 약간의 중공 실린더 또는 원뿔의 엔빌로우프와 유사한 형태의 필터 요소, 및 특히 유리하게는, 오염물용 배출 채널이 중앙에 위치한, 디스크형 필터 요소, 특히 원형 디스크와 같은 형태의 필터 요소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후자의 특징에 대한 이유는 잔류 물질의 두께화가 그 곳에서 특히 더 크기 때문이다. 어떠한 경우든, 필터 요소는 필터링되는 물질에 의해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충돌될 수 있다. 즉, 물질은 내부로부터 외부로 또는 외부로부터 내부로 필터 요소를 통해 흐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WO와 같이) 이동되는 필터 요소 또는 스크레이퍼 또는 두 요소 모두에 마찬가지로 비의존적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필터 요소의 비천공 영역은 천공 영역 보다 더 큰 벽 두께를 갖는다. 이러한 접근법의 장점은 비천공 영역내의 그루브가 큰 정도로 이들의 바람직한 운반 기능을 수행하는데 충분할 수 있을 정도로 깊을 수 있다는 것이다. 처음에 언급된 문헌이 지시하는 바와 같이, 중공 원통형 필터 요소에서, 비천공 영역은 어떠한 수단에 의해서도 견고하게 수행될 필요가 없으며, 천공 영역과 마찬가지로, 사실상 중공 실린더의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중공 공간은 필요한 물질 및 중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장치의 그 밖의 부분을 수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잔류물이 제거되는 방향에서 측정된 비천공 영역의 길이 대 동일 방향에서 측정된 천공 영역의 길이의 비는 적합하게는 0.5 내지 1:1이며, 이러한 비는 우세한 환경 및 통상적으로 처리되는 합성 플라스틱 물질의 유형에 의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천공 존에서의 홀 축은 잔류물의 제거 방향, 바람직하게는 필터 요소의 표면에 대하여 60 내지 80°의 각도로 경사진다. 필터 요소가 디스크형인 경우, 에지로부터 내부로 공급되는 플라스틱 물질을 갖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안에서 적합하며, 이로써 배출 채널이 필터 요소의 중앙에 배치되며, 스크루가 배출 채널내에 위치하여 잔류물을 수송한다. 이러한 종류의 디스크형 필터 요소에서, 필터 요소의 반경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천공 영역 내 필터링 홀 축,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의 각도를 갖는 축을 갖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또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 홀 축은 필터 요소의 반경 방향 및 필터 요소의 평면 둘 모두에 대하여 이와 같이 경사진다. 그러나, 어떠한 경우에도, 홀은 스크레이퍼 에지의 운동 방향과 정반대로 경사지지 않는데, 그러한 이유는 오염물질에 함유된 알갱이가 곧바로 필터링 홀 내로 압축시키기 때문이다. 이것은 한편으로는 이들 필터링 홀을 차단할 것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스크레이퍼의 전단 에지에 극단의 응력을 가할 것이다.
그루브는, 스크레이퍼의 스크레이핑 에지와 같이, 일직선으로 설 필요가 없다. 실제로, 많은 경우에, 곡선, 예를 들어 나선과 같은 선을 따라서 작동되는 스크레이퍼 및/또는 그루브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스크레이퍼의 만곡부와 반대의 만곡된 그루브를 갖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적합하다.
적합하게는, 그루브는 보다 가파른 측면이 스크레이퍼의 후방에 배치되는 톱니 유사 횡단면을 갖는다. 여기에서, 그루브는 두꺼운 폐 잔류물과 스크레이퍼 에지 사이에 단단한 결합 효과를 생성시킨다. 이러한 가파른 측면은 두꺼운 잔류 물질을 차단하는 에지를 형성하여 배출 채널 방향으로 이러한 물질의 수송을 촉진시킨다.
스크레이퍼는 연속적인 스트립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스크레이퍼를 스트립형 통로를 따라서 배치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보다 바람직하지만, 스크레이퍼(11) 또는 필터 요소(3)의 회전 방향에서 보면, 각각의 통로는 공간화된 스크레이퍼 요소로 분할되며, 연속적인 스크레이퍼의 인접 스크레이퍼 요소 사이의 간극은 서로에 대하여 갈라져 나온다. 스크레이퍼 스트립을 개개의 요소로 세분화시키는 장점은 이들 스크레이퍼 요소에 의해 형성된 스크레이퍼 에지가 필터 요소가 필터링되는 물질에 의해 가해지는 고압(300bar 이상)으로부터 휘어지는 경우 조차도 필터 요소의 표면을 확실하게 맞물리게 한다는 것이다. 스크레이퍼 요소의 이러한 엇갈린 배치는 앞서의 스트레이퍼 스트립의 인접 스크레이퍼 요소들 사이의 간극을 통해 통과되는 물질중의 일부가 다음의 스트레이퍼 스트립의 요소에 의해 구속되는 것을 보장한다. 안전상, 매 경우마다 적합한 중첩이 제공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더 이상 제거될 수 없는 오염물의 링 형태의 영역이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간극없이 서로 인접하지만, 고형 입자, 예를 들어 유리 파편이 두 개의 인접 스크레이퍼 요소 사이의 전환점에 나중에 부착될 수 있는 요소로 스크레이퍼 스트립을 분할시키는 것은 물론 가능할 것이며, 상기 입자는 스크레이퍼가 회전하는 동안 전환점으로부터 스스로 자유롭게 될 수 없을 것이며, 하나의 원 안에서만 수송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필터 요소는 원형으로 마모될 것이다. 그러나, 주어진 통로에 속하는 개개의 스크레이퍼 요소가 서로로부터 멀리 이격되는 경우, 고형 입자는 필터 요소의 비천공 영역내 그루브 및 두 개의 스크레이퍼 요소 사이의 간극을 통해 통과한 후, 다음 스크레이퍼 요소에 의해 구속되고 배출 채널로 수송될 수 있다.
매우 높은 수준의 효율은 필터 요소 사이에 배치되고 두 개의 필터 요소 모두에 결합된 스크레이퍼 운반체(또한, 바람직하게는 디스크형임)에 부착된 스크레이퍼에 의해 브러싱되는 두 개의 평행한 디스크형 필터 요소 사이에 유입 채널이 위치하는 설계에 따라서 달성된다. 이러한 종류의 구조는 배출 채널내 단일 배출 스크루로 수행될 수 있지만, 이러한 배치의 단점은 잔류물이 두 개의 필터 디스크 중의 단지 하나의 필터 디스크로부터 스크루로 직접 흐를 수 있다는 것이다. 그 밖의 필터 디스크로부터, 잔류물은 개구가 스포크(spoke)형 웨브에 의해 서로로부터 분리되는 스크레이퍼 내 개구를 통해 전진해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주로 고형물로 구성되는 잔류물을 다른 통로로 수송하는 것은 어려우며, 그러한 설계에 의해 고도의 두께화를 달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두 개의 필터 요소 중 각각의 필터 요소를 스크루 단면에 할당시키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보다 바람직하며, 이로써 두 개의 스크루 단면은 반대 방향으로 물질을 운반한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앞서 언급된 잔류물의 다른 통로 수송이 기피된다. 온도 조절 유닛이 두 개의 스크루 단면 중의 하나 이상의 스크루 단면에 할당되는 경우에, 배출 물질의 상태는 배출 스크루 영역내 플라스틱 물질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된 폐기물이 스크루면에 10% 이상의 플라스틱 물질을 함유하는 지를 측정한다면, 배출된 폐기물내 플라스틱의 양이 감소되도록 제거되는 물질을 두께화하기 위해서는 온도 조절 유닛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중요한 면은 스크레이퍼에 의해 배출 채널로 수송된 고형물의 배치가 배출 채널에서 베어링으로 지지된 스크루에 의해 맞물려지도록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스크루 플라이트가 스크레이퍼 스트립의 연속에 불과한 경우라면 이상적인 상황일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은 다수이면서 및 동일한 수의 스크루 플라이트를 갖는 스크레이퍼 스트립이 제공된다는 것이 스크루 플라이트가 매우 근접해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실제로 달성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스크레이퍼 스트립에 의해 스크루의 말단에 수송된 물질이 두 개의 인접 스크루 플라이트 사이의 간극을 항상 공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스크루 플라이트의 수는 스크레이퍼 스트립의 수와 기껏해야 동일하며 보통은 보다 낮다.
천공 필터 영역에서, 스크레이퍼 요소가 탄성 지지체를 가져서 필터 실린더 또는 필터 디스크에 대하여 압축되는 것이 적합하다. 이러한 압력은 스프링 부재, 그러나 또한,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공급된 물질의 압력 또는 필터의 유입면과 유출면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압력차는 대략 100bar일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필터 실린더 또는 필터 디스크의 비천공 영역에서, 스크레이퍼는 스크레이퍼 운반체상에 배치된 강성 요소, 즉, 예를 들어 스크레이퍼 운반체 디스크에 단단하게 고정된 얇은 플라이트 스크루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기술된 유형의 장치용의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요소는 비천공 영역이 천공 영역과 인접하는 설계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필터 요소는 필터 요소의 유입면상에 비천공 영역내에 만들어진 그루브를 갖는다는 사실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비천공 영역 내의 벽은 천공 영역 내의 벽 보다 두껍다.
도면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체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제 1 구체예를 도시하는 축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II로 표지된 세부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제 2 구체예를 도시하는 축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IV로 표지된 세부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3 구체예를 도시하는 축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선 VI-VI를 따라서 스크레이퍼 운반체 디스크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선 VII-VII를 따라서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구체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6에서 IX로 표지된 세부를 도시하는 확대 입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선 X-X를 따라서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9의 구체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따른 구체예에서, 장치는 필터링시키려는 합성 플라스틱 물질에 의해 가해진 고압(약 300bar)을 견뎌내기에 충분한 두께의 벽을 갖는 중공 원통형 하우징(1)을 갖는다. 하우징(1)의 원통형의 중공 공간(2)에서, 본질적으로 중공 원통형 필터 요소(3)는 상기 요소가 종축(4)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베어링으로 지지된다. 이것은 공통 회전을 위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모터에 의해 종축(4)을 중심으로 한 회전용으로 가동되는 샤프트(5)에 연결된다. 필터링시키려는 가소된 열가소성 물질은 중공 공간(2)내에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유입 채널(6)을 통해 필터 요소(3)의 외부면에 공급된다. 필터 요소(3)의 미세한 필터링 홀(7)(도 2 참조)을 통해 통과될 수 있는 여과물은 필터 요소(3)의 내부 공간(8)에 도달하고 내부 공간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유출 채널(9)로 유동하는데, 상기 유출구(9)는 필터 요소(3)의 하나의 전방 말단(10)에 인접하고, 하우징(1)의 외측에서 측면으로 연장된다. 물론, 원한다면, 여과물은 또한 종축(4)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 필터 요소(3)에 의해 보유된 잔류물, 즉, 공급된 가소된 열가소성 물질의 불순물은 스크레이퍼(11)에 의해 필터 요소(3)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스크레이핑 제거된다. 스크레이퍼(11)는 필터 요소(3)가 종축(4)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잔류물이 샤프트(5)상에 배치된 스크루 플라이트(flight)로 구성되어 하우징(1)의 연장부(14)에서 측면으로 유도하는 배출 개구(15) 방향으로 잔류물을 운반하는 스크루(13)가 배치된 배출 채널(12)로 운반되도록 배치된다. 샤프트(5)는 스크루(13)의 피치와 대치되는 피치를 갖는 나사산(16)을 가지며, 상기 나사산은 밀봉재로서 이용된다.
필터 요소(3)(도 2 참조)는 얇은 중공 실린더(17), 바람직하게는 시이트 금속이 접합되어 형성된 중공 실린더로 구성되며, 그 안에 미세 개구(7)가 위치하는데,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드릴 보어로 수행된다. 필터링시키려는 이송 물질의 압력을 견뎌내기 위해, 중공 실린더(17)의 내부면은 수개의 필터링 홀(7)이 매 경우마다 하나의 보어(19)에 모이도록, 반드시 그러하지는 않지만,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미세한 필터링 홀(7)의 직경 보다 실질적으로 더 큰 지름을 갖는 보어(19)를 갖는 중공 실린더 지지체(18)에 의해 접해진다. 여과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위치한 필터링 홀(7) 또는 이의 후방에 있는 보어(19)는 영역이 각각 필터 요소(3) 또는 지지체(18)의 축방향 연장부에 의해 구성된 비천공 영역(21)과 인접하는 필터 요소(3)의 천공 영역(20)(도 1 참조)을 구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천공 영역(21)이 중공 실린더(17)가 삽입되고 용접물(23)에 의해 부착되는 외측 말단에 스톱(22)을 갖는 전적으로 지지체(18)로 구성되도록, 설계의 목적상 배치된다. 물론, 중공 실린더(17)는 나머지 접촉 표면상의 지지체(18)상에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공 실린더(17)는 충분히 지지될 뿐만 아니라 종축(4)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보장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18)는 샤프트(5)에 하나로 합체될 수 있으며, 본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작동되는 벽(61)과 함께, 폐쇄된 내부 공간(8)을 형성할 수 있다.
스크레이퍼(11)는 비천공된 영역(21)의 영역내에 또한 위치할 수 있다. 편의상, 스크레이퍼(11)는 매 경우마다 필터 요소(3)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불순물을 스크레이핑 제거하는 스크레이핑 에지(24)로 고정된다. 스크레이퍼(11) 또는 이들의 스크레이퍼 에지(24)는 일정한 피치의 나선을 따라서 배치되지만 개개의 스크레이퍼 요소(25)로 다시 분할되며, 이들의 각각은 여전히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우징(1)내에 탄성적으로 부착된다. 이러한 목적상, 각각의 스크레이퍼 요소(25)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외부 말단상에 두 개의 볼트(26)를 운반하고, 하우징의 상응하는 보어(27)내로 삽입되며, 거기에서 스크링(28)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각 스크레이퍼 요소(25)의 탄성 지지는 이송 플라스틱 물질의 압력에 의해 중공 실린더(17)에 대하여 압축되는 스크레이퍼 요소(25)에 의해 증대되거나 대체될 수 있으며, 상기 압력은 외부로부터 스크레이퍼 요소(25)상에 반경 방향으로 가해진다. 비천공 영역(21)의 영역에서, 이 영역에서 단지 중요한 점은 거기에서 이미 두꺼운 상태인 잔류물이 배출 채널(12) 방향으로 수송되므로 스크레이퍼 요소(25)의 탄성 지지는 모두 제거된다. 이러한 목적상, 비천공 영역(21), 또는 이를 구성하는 지지체(18) 각각은 외부 표면에 그루브(29)를 가지며, 그루브의 방향은 브러싱하는 스크레이퍼 요소(25)의 스크레이퍼 에지(24)의 방향과 교차하여, 스크레이퍼 요소(25)와 그루브(29)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 때문에 배출 채널(12) 방향으로 잔류물의 운반율이 증가된다. 이것은 스크레이퍼 요소(25)의 스크레이핑 에지(24)의 경각의 효과가 증대되도록 그루브(29)가 잔류 물질에 대한 접합부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달성된다. 각각의 그루브(29)의 횡단면은 다소 톱니와 같고, 이렇게 하여 가파른 측면(30)이 배출 채널(12)에 면한다. 스크레이퍼 요소(25)가 나선형 열에 배치된 것과 마찬가지로, 그루브(29)는 또한 비천공 영역(21)의 말단 주위에서 나선형으로 진행할 수 있다. 지지체(18)의 원주 방향에서 보여지는 경우에, 스크레이퍼 요소(25)의 수행과 유사한 방식으로 중단될 수 있다.
장치의 조작시에 바람직한 온도 조건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스크립 가열기 형태의 가열기(31)가 하우징(1)의 외부에 제공되고, 하우징(1)의 연장부(14)에 있는 스크루(13) 영역에서는, 냉각 리브(32) 및 냉각 장치(33)가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구체예에서, 축 방향으로 측정된 천공 영역(20)의 길이는 동일한 방향에서 측정된 비천공 영역(21)의 길이의 약 2배이다.
비천공 영역(21)의 배치는 배출 개구(15)를 통해 배출된 잔류 물질내 유용한 플라스틱 물질의 함량을 증가시키지 못한다. 실제로, 두꺼운 물질은 물질이 이미 본질적으로 플라스틱 성분이 없는 비천공 영역상에 모인다. 이러한 물질 중에 여전히 잔류하는 플라스틱 성분은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천공 영역(20)내로 다시 운반되고, 필터링 홀(7)에 의해 거기에서 유용하게 된다. 비천공 영역(21)의 영역내 두꺼운 물질의 증가된 마멸 효과는 마멸의 효과에 의한 그루브(29)의 변형이 이들의 기능에 관해 어떠한 본질적인 영향도 미치지 못하고, 비천공 영역(21)의 물질(지지체(18))의 증가된 반경 방향 두께가 마멸의 발생으로 인한 분해를 저지하므로 어떠한 불리한 효과도 갖지 않는다.
도 1 및 2에 따른 구체예와는 대조적으로, 도 3 및 4에 따른 구체예에서, 여과물은 내부로부터 필터 요소(3)를 통해 통과한다. 이러한 목적상, 유입 채널(6)은 적합하게는 환형 분배 채널(62)을 통해 중공 원통형 필터 요소(3)의 원통형 내부 공간(8)과 통해있으며, 상기 필터 요소내에는 스크레이퍼 요소(25)가 또한 배치되어 있다. 천공 영역(20)의 영역 및 이의 바로 다음 영역내에서, 이들 스크레이퍼 요소(25)는 필터 요소(3)의 내부 표면에 대하여 탄력성있게 압축된다. 이러한 목적상, 스크레이퍼 요소(25)는 내부면상에 레이디얼 볼트(34)를 가지며, 레이디얼 볼트의 말단은 피스톤(35)을 함유하며, 상기 피스톤은 중앙 샤프트 부재(37)의 레이디얼 보어(36)에서 타이트하게 안내된다. 이러한 샤프트 부재(37)는 샤프트(5)의 축 보어(38)내에 삽입되고, 이를 따라 회전시키기 위해 단단하게 연결된다. 피스톤(35)은 중앙에 고정된 수압 챔버(39)에 위치한 수압 매질에 의해 압축되며, 이로써 이러한 압력은 피스톤(41)을 통하여 상기 매질에 작용하는 스프링(40)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외부 압력 매질 공급원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따른 구체예에서, 필터 요소(3)는 회전하고 스크레이퍼(11)는 비회전하는 하우징(1)내에 고정되는 반면에, 도 3 및 도 4에 따른 구체예는 이와 상반되는 구조를 갖는다. 스크레이퍼(11) 또는 이를 구성하는 스크레이퍼 요소(25)는 샤프트(5)에 의해 회전하며 필터 요소(3)는 하우징(1)내로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다. 필터 요소(3)는 챔버가 유출 채널(9)과 연결되는 여과물용 원통형 수거 챔버(42)에 의해 둘러싸인다.
도 3을 보면, 영역(21)에 유도된 스크레이퍼 요소(25)가 탄성적으로 지지되지 않지만, 샤프트에 단단하게 고정되는 것은 분명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이유는 비천공 영역(21)에서 스크레이퍼 요소의 탄성 지지체가 그루브(29)와 연결하여 두꺼운 폐 잔류물을 멀리 운반하는데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는 점에 있다. 도 4에는 비천공 영역(21)의 내부 표면에서의 그루브(29) 배치가 더욱 더 분명하게 도시되어 있다.
더욱이, 도 3 및 도 4에 따른 구체예는 비천공 영역(21)을 포함하는 필터 요소(3)가 단일 부분으로서 수행된다는 점에서 도 1 및 도 2에 따른 구체예와는 다르다. 적합하게는 하나의 횡단면이 바깥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연장되는 횡단면으로 수행되는 개개의 개구(7) 사이에, 필터링시키려는 이송 물질의 압력을 견뎌내기 위해서 필터 요소에 필요한 접합부를 제공하는 보강 리브(43)가 제공된다. 보강 리브(43)는 비천공 영역을 형성하는 중공 원통형 단면(43)과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그루브(29)는 이러한 단면의 내부 표면상에 위치한다. 그루브 및 스크레이퍼 요소(25)의 수행 및 횡단면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구체예와 유사하게 선택될 수 있지만, 물질이 필터 요소(3)를 투과하는 방향이 상이하기 때문에, 배출 채널(12)내에 위치한 스크루는 회전 스크레이퍼 운반체(45)로 작용하는 샤프트(5)와 함께 회전하도록 단단하게 연결된다. 샤프트의 회전(화살표 65) 및 이로 인한 스크레이퍼 요소(25)의 회전 방향은 필터 요소(3)로부터 스크레이핑 제거된 불순물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루브(29)에 의해 선호되는 배출 채널(12) 방향으로 수송되도록 선택된다.
중공 공간(2)은 반경 방향으로 측정된 바와 같이 어떠한 모든 곳에서 동일한 두께를 가질 필요는 없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공간(2)의 외부에 인접하는 하우징(1)의 내벽(63)은 배출 채널(12) 방향으로 다소 원뿔 모양처럼 좁아질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영역(21)에서 제거되는 잔류물의 1시간에 대한 용적이 여과물이 필터 요소(3)의 개구(7)를 통해 유도되므로 유입 채널(6)을 통해 필터링하기 위해 공급된 물질의 1시간에 대한 용적 보다 작다는 사실을 고려한다.
도 5 내지 도 10에 따른 구체예에서, 하우징(1)은 서로에 평행하게 위치한 두 개의 평평한 디스크 필터 요소(3)를 갖는다. 필터 요소(3) 둘 모두는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우징(1)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유입 채널(6)은 하우징(1)을 교차하는 중앙 샤프트(5)에 단단하게 연결되어 함께 움직이는, 평평한 스크레이퍼 운반체(45)가 위치한 두 개의 필터 요소(3) 사이의 공간으로 유출된다. 스크레이퍼 운반체(45)는 만곡된 통로를 따라서 배치된 스크레이퍼(11)를 운반한다. 필터 요소(3)는 원형이며, 이의 외부 영역(천공 영역(20))에서, 이들 필터 요소는 미세하게 천공된 디스크로서 수행된다. 배치는 도 2에 도시된 배치와 유사할 수 있다. 즉 미세한 필터링 홀(7)을 갖는 얇은 벽의 필터 디스크는 실질적으로 보다 덜 미세한 보어(19)를 갖는 보다 두꺼운 지지 플레이트(18)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적인 필터 요소(3)를 구성하는 비교적 얇은 벽의 플레이트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의 필터링 홀(7)의 횡단면은 필터 플레이트(47)의 평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α), 도시된 구체예에서는 약 60°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의 각도록 경사진다. 홀 축(46)의 경사에 의해 필터링 홀(7)에 구속된 오염물 입자(입자 중 하나의 입자가 (48)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음)가 다시 자유롭게 되는데 용이해지며, 필터 개구(7)의 전단 에지(59)가 마모되지 않게 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 축(46)은 반경 방향(64)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β)로 경사질 수 있으며, 상기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이며, 모든 필터링 홀(7)에 대하여 동일할 필요는 없다. 극단적인 경우에, 이러한 각도(β)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0°일 수 있다. 중요한 점은 스크레이퍼(11)의 스크레이핑 에지(24)가 순환(화살표 66)하는 경우에, 필터링 홀(7)의 에지에 있는 오염 입자(48)(도 10 참조)가 압축되는 대신에 필터링 홀(7)로부터 유도되도록 하는 각도로 비스듬하게 홀 축에 부딪치게 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9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 방향(64)에 대한 필터링 홀(7)의 경사도(β)는 대부분의 경우에 한편만의 경사가 선택되겠지만, 바람직하게는 양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
천공 영역(20)의 영역에서, 단순화시키기 위해 도 9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단지 세 개의 홀은 서로로부터 떨어져 이격되어 있는 스크레이퍼 요소(25)로 분할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스크레이퍼 요소(25)는 필터 요소(3)의 원주 방향으로 보여진 바와 같이, 두 개의 스크레이퍼 요소(25) 사이의 간극(25)이 전술된 만곡된 스크레이퍼 스트립의 각각의 스크레이퍼 요소(25)를 연속되게 하도록 배치되는데, 안전상 특정의 중첩부가 제공된다. 이러한 배치는 고형 입자가 간극(49)을 통해 제거될 수 있지만 상기 입자가 항상 스크레이퍼 요소의 다음 열의 스크레이퍼 요소(25)에 의해 속박되지는 않음을 보장한다. 바꾸어 말하면, 이러한 사실은 고형 입자가 배출 채널(12) 방향으로 확실하게 수송된다는 것을 보장한다(도 6 참조).
환형 필터 요소(3)의 중앙 영역에, 보다 두꺼운 벽을 갖는 비천공 영역(21)이 제공된다. 천공 영역(20)은 도 9,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50)에 의해 비천공 영역(21)과 연결될 수 있고, 이로써 필터 플레이트(47)가 비천공 영역을 형성하는 환형 플레이트(52)의 단(51)에 위치되고, 그 부위에서 용접된다. 그루브(29)는 스크레이퍼(11)에 면하는 플레이트(52)의 표면(53)내로 생성되며, 상기 그루브의 방향은 스크레이핑 에지(24)의 방향과 교차한다. 그루브의 톱니 유사 횡단면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루브(29)의 방향은 각 경우에 반경 방향(49)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γ)(도 9 참조)로 경사져 있으며, 상기 각도는 그루브(29)의 만곡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내부로 감에 따라서 감소한다. 그러나, 그루브(29)는 또한 곧바로 설 수 있으며, 그루브(29)가 오염물을 필터 요소(3)의 중심 방향, 즉 배출 채널(12) 방향으로 수송하는데 기여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그루브(29)가 스크레이퍼 요소(25)의 통로와 교차하는 것은 중요하다.
비천공 영역(21)은 스크레이퍼(11)에 의해 또한 브러싱될 수 있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스크레이퍼(11)는 비천공 영역(21)의 영역내 개개의 스크레이퍼 요소로 세분될 필요가 업지만, 원한다면 세분될 수도 있다. 적합하게는, 원주 방향에서 센 비천공 영역(21)내 스크레이퍼의 수는 그루브(29)의 수와 동일해야 한다. 스크레이퍼 운반체 디스크(45)에 부착되고 비천공 영역(21)에 결합된 선반형 스크레이퍼(11)는 천공 영역(20)의 스크레이퍼 요소(25)에서 흔히 그러하듯이 보통 스크레이퍼 운반체(45)상에 탄력성있게 지지되지 않지만, 이들은 스크레이퍼 운반체(45)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그러나, 탄성 스크레이퍼 지지체는 비천공 영역(21)용으로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천공 영역(20)내 스크레이퍼 요소(25) 및 비천공 영역(21)내 스크레이퍼는 배출 채널(12) 방향으로 잔류물을 수송하며, 상기 배출 채널은 샤프트(5)에 의해 가동되는 두 개의 스크루(13)를 함유하는데, 각각의 이들 스크루는 두 개의 필터 요소(3) 중의 하나의 필터 요소에 배분되며 이들 필터 요소(3)로부터 스크레이핑 제거된 오염물질을 멀리 운반한다. 두 개의 스크루(13)의 운반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이며, 잔류물은 하우징(1) 외부에 위치한 배출 개구(15)를 통해 제거된다. 단일 배출 스크루(13)를 갖는 배치와 비교되는 이러한 배치의 장점은 스크레이핑 제거 및 두꺼운 오염물질이 스크레이퍼 운반체 디스크(45)내 중앙 개구를 통해 운반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오염물질이 운반되는 방향은 도 5에서 화살표(54)에 의해 지시된다. 두 개의 스크루(13) 중 적어도 하나의 스크루는 양쪽 모두에서 균일한 제거를 보장하기 위해 이에 할당된 온도 조절 유닛, 예를 들어 가열 및/또는 냉각 장치를 가질 수 있다.
적합하게는, 스크레이퍼 선반(11)이 두 개의 인접 플라이트(55) 사이의 공간과 항상 마주치도록 스크루(13)의 연속 플라이트(55)(도 6 참조) 사이에 공간 및 스크레이퍼 선반(11)의 내부 말단 사이에 하나의 좌표가 존재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상, 스크레이퍼 선반(11)의 영역내에 놓여있는 스크루 플라이트(55)의 수가 스크레이퍼 선반(11)의 수 보다 작거나, 동일한 것이 적합하다.
그루브(29)의 폭(b) 대 그루브의 깊이(t)의 비가 약 4:1임을 도 7을 통해 알 수 있다. 이러한 비는 2:1 내지 6:1이며,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5:1이 보통이다. 도 7은 천공 영역(20)을 비천공 영역(21)에 부착시키는 하나의 변형예, 즉 개구(7)가 구비된 필터 시이트 금속(56)용 플레이트형 지지체(18)상에 연장부(57)가 놓여있는 변형예를 추가로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연장 부분(57)은 그루브(29)가 기계화되는 플레이트가 필터 시이트 금속(56)에 리벳(58)의 수단에 의해 위치되고 부착되는 단을 형성한다.
도 8은 비천공 영역(21)이 도 10과 유사한 용접(50)에 의해 천공 영역(20)에 연결되는 이들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또한 그루브(29)의 횡단면이 거의 직사각형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Claims (21)

  1. 하나 이상의 필터 요소의 유입면으로 공급되는 필터링시키려는 가소된 열가소성 합성 플라스틱 물질을 통과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입 채널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여과물이 필터 요소내 미세한 필터링 홀을 통해 통과되고 이의 유출면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유출 채널로 통과되어 하우징 밖으로 빠져나오며, 필터 요소의 유입면이 필터 요소에 대하여 이동된 스크레이퍼의 에지를 스크레이핑함으로써 브러싱되며, 상기 에지는 필터 요소의 표면을 따라서 폐잔류물을 하나 이상의 배출 채널로 안내하며, 폐잔류물이 운반 제거되는 방향에서, 천공 영역에 스크레이퍼에 의해 또한 스크레이핑되는 비천공 영역(21)에 인접한 필터 요소의 필터링 홀이 구비되어 있는 장치로서,
    스크레이퍼(11)에 면하는 비천공 영역(21)의 표면에 그루브(29)가 존재하며, 그루브의 방향이 비천공 영역(21)상의 두꺼운 물질이 배출 채널(12) 방향으로 매우 큰 정도로 수송되도록 그루브(29)를 브러싱하는 스크레이핑 에지(24)의 통로를 교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필터 요소(3)의 비천공 영역(21)의 벽 두께가 필터링 홀(7)이 구비된 영역(20)의 벽 두께 보다 두꺼움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잔류물이 제거되는 방향에서 측정한, 비천공된 영역(21)의 길이 대 필터링 홀(7)을 갖는 영역(20)의 길이의 비가 0.5:1 내지 1:1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링 홀(7)의 축(46)이 잔류물이 제거되는 으로 필터 요소(3)의 표면(53)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의 각도(α)로 경사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크레이퍼(11) 및/또는 그루브(29)가 곡선, 예를 들어 나선과 유사한 곡선을 따라서 뻗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그루브(29)가 스크레이퍼(11)의 반대편에 만곡된 곡선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크레이퍼(11)가 배출 채널(12)에 배열된 스크루(13)를 향한 방향으로 운반하여, 스크루 플라이트의 수가 스크레이퍼(11)의 수와 같거나, 바람직하게는 더 적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루브(29)가 보다 가파른 측면(30)이 스크레이퍼(11)의 배면에 위치한 톱니형 횡단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그루브(29)의 폭 대 깊이의 비가 2:1 내지 6:1 및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5:1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루브(29)가 배출 채널(12)의 축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크레이퍼(11)가 바람직하게는 스프링(28) 및/또는 이송 플라스틱 물질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천공 영역(20)에서만 필터 요소(3) 쪽으로 압축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 요소(3)가 디스크형, 바람직하게는 원형 말단을 갖는 다스크형, 또는 원통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디스크형 필터 요소(3)를 사용하여, 플라스틱 물질이 에지로부터 공급되고, 배출 채널(12)이 필터 요소(3)의 중앙에 배열되어, 스크루(13)가 잔류물을 수송하도록 배출 채널(12)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천공 영역(20)내의 필터링 홀(7)의 축(46)이 필터 요소(3)의 반경 방향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5°의 각도(β)로 경사져서, 이들 축이 적합한 경우에는 양 방향으로 경사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유입 채널(6)이 필터 요소(3) 사이에 배열되고 두 개의 필터 요소(3) 모두에 결합된 스크레이퍼 운반체(45), 바람직하게는 디스크형 운반체에 의해 운반된 스크레이퍼(11)에 의해 브러싱되는 두 개의 평행하게 배치된 디스크형 필터 요소(3) 사이로 안내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두 개의 필터 요소 각각에, 스크루(13)의 고유 단면이 결합되어, 스크루(13)의 두 단면이 물질을 반대 방향으로 운반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스크루(13)의 두 단면 중 하나 이상의 단면이 스크루에 할당된 온도 조절 유닛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6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스크루(13)의 두 단면이 공통 회전을 위해 결합되고 동일 모터에 의해 가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크레이퍼(11)가 스트립형 통로를 따라서 배열되지만, 각각의 통로가 이격된 스크레이퍼 요소(25)로 분할되어, 스크레이퍼(11) 또는 필터 요소(3) 각각의 회전 방향에서 보면, 연속 스크레이퍼(11)의 인접 스크레이퍼 요소(25) 사이의 간극(49)이 서로에 대하여 갈라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그루브(29)가 필터 요소의 유입면의 비천공 영역(21)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여, 천공 영역(20)과 인접하는 비천공 영역을 갖는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용 필터 요소.
  21. 제 20항에 있어서, 비천공 영역(21)의 벽 두께가 천공 영역(20)의 벽 두께 보다 두꺼움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요소.
KR1019980705593A 1996-01-22 1996-12-02 가소된열가소성물질을필터링하는장치및이러한장치용필터요소 KR100295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102/96 1996-01-22
AT0010296A AT403779B (de) 1996-01-22 1996-01-22 Vorrichtung zur filterung plastifizierten thermoplastischen kunststoffgutes und filterelement für eine solche vorrichtung
PCT/AT1996/000240 WO1997026973A1 (de) 1996-01-22 1996-12-02 Vorrichtung zur filterung plastifizierten thermoplastischen kunststoffgutes und filterelement für eine solche 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1882A true KR19990081882A (ko) 1999-11-15
KR100295697B1 KR100295697B1 (ko) 2001-08-07

Family

ID=3481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5593A KR100295697B1 (ko) 1996-01-22 1996-12-02 가소된열가소성물질을필터링하는장치및이러한장치용필터요소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378705B1 (ko)
EP (1) EP0879077B1 (ko)
JP (1) JP3112953B2 (ko)
KR (1) KR100295697B1 (ko)
AT (2) AT403779B (ko)
AU (1) AU701446B2 (ko)
BR (1) BR9612481A (ko)
CA (1) CA2243564C (ko)
DE (1) DE59607104D1 (ko)
DK (1) DK0879077T3 (ko)
ES (1) ES2159766T3 (ko)
PT (1) PT879077E (ko)
TW (1) TW375564B (ko)
WO (1) WO1997026973A1 (ko)
ZA (1) ZA9730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564B1 (ko) * 2002-06-29 2008-09-22 에틀링어 쿤스트슈토프마쉬넨 게엠베하 혼합재의 연속적인 여과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2758A (ja) * 1995-02-17 1996-08-30 Nec Corp 反射型フォトセンサ
AT404562B (de) 1996-12-05 1998-12-28 Bacher Helmut Filtervorrichtung für verunreinigungen enthaltende flüssigkeiten
AT405488B (de) * 1997-12-23 1999-08-25 Bacher Helmu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iebwechsel an einer filtervorrichtung
WO2000016970A1 (fr) * 1998-09-17 2000-03-30 Ishigaki Company Limited Dispositif d'egouttage par serrage continu
SE0201330D0 (sv) 2002-04-30 2002-04-30 Astra Tech Ab Catheter assembly
DE20319752U1 (de) * 2003-12-20 2005-05-12 Ettlinger Kunststoffmaschinen Gmbh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Filtern von Materialgemischen
UA74926C2 (en) * 2004-03-16 2006-02-15 Yevhenii Petrovych Barmashyn Extruder for processing of thermoplastic polymeric materials with area of filtration and degassing
AT413497B (de) * 2004-10-25 2006-03-15 Erema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filtern von fliessfähigen massen, die feststoffteilchen enthalten
JP4641042B2 (ja) * 2007-10-09 2011-03-02 塚田 徳郎 メルトフィルタ
DE102010055167A1 (de) * 2010-12-18 2012-06-21 Ettlinger Kunststoffmaschinen Gmbh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Filtern von Materialgemischen
JP5565706B2 (ja) * 2011-09-05 2014-08-06 株式会社石垣 連続加圧脱水機の目詰まり防止装置
DE102012006563B3 (de) * 2012-03-30 2013-05-16 Maag Pump Systems Gmbh Vorrichtung zum Filtrieren eines Fluids
AT514439B1 (de) * 2013-10-04 2015-01-15 Erema Filtervorrichtung
DE102014002209B4 (de) 2013-10-11 2016-11-24 Blach Verwaltungs Gmbh & Co. Kg Vorrichtung zur Seitenstrombeschickung eines Extruders
DE102014101776A1 (de) * 2014-02-12 2015-08-13 Nordson Pps Gmbh Grobpartikelabscheidevorrichtung
ES2885599T3 (es) * 2015-04-30 2021-12-14 Fimic S R L Filtro para material plástico
KR101681843B1 (ko) * 2015-09-21 2016-12-01 주식회사 동방이엔지 합성수지 불순물 제거장치
CN106956417A (zh) * 2016-01-09 2017-07-18 揣成智 滤片式过滤器
DE202016103608U1 (de) 2016-07-06 2016-08-22 Nordson Corporation Filtervorrichtung und Reinigungseinrichtung zum Entfernen von Schmutzpartikeln von einem Filterelement einer Filtervorrichtung Filtervorrichtung und Reinigungseinrichtung zum Entfernen von Schmutzpartikeln von einem Filterelement einer Filtervorrichtung
EP3501783A1 (en) * 2017-12-22 2019-06-26 Kun Sheng Machine Co., Ltd. Filtering plat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and filtering device having the same
US10596497B2 (en) * 2018-04-27 2020-03-24 Sune V. BACKMAN Filter scraper
AT521976B1 (de) * 2019-05-21 2020-07-15 Mag Katharina Schulz Schmelzefilter
CN110434070B (zh) * 2019-09-18 2020-06-26 秦皇岛市国阳钢铁有限公司 一种型材自动对齐堆积装置
JP2022550352A (ja) * 2019-09-25 2022-12-01 ギデオン ピント 高粘度流体の連続ろ過用自浄装置及び方法
CN111991862A (zh) * 2020-08-11 2020-11-27 高博 一种避免泡沫粘附在滤网上造成堵塞的废水处理辅助装置
TR202014862A2 (tr) * 2020-09-18 2021-03-22 Altek Plastik Makina Sanayi Ve Ticaret Ltd Sirketi Plasti̇k geri̇ dönüşümünde kullanilan mi̇kro fi̇ltre ci̇hazi
CN112892019B (zh) * 2021-01-21 2022-09-13 常熟市恒源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餐余固液分离机
WO2023012656A1 (en) * 2021-08-06 2023-02-09 Break Polymer Srl Filtering device for plastic materials with cleaning system
CN114984655B (zh) * 2022-06-14 2023-09-19 牡丹江市井田石油钻采配件有限公司 一种油气田注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3837A (en) * 1973-05-29 1977-01-18 Osborne Winston G Self-cleaning strainer
US4150932A (en) * 1977-04-18 1979-04-24 The B. F. Goodrich Company Extruder strainer plate
DE3122131C2 (de) * 1981-06-04 1986-09-25 Günther 7913 Senden Abel Vorrichtung zur Entnahme und Entwässerung von Feststoffen aus Flüssigkeiten, insbesondere aus Gerinnen von Kläranlagen
FI67588C (fi) * 1983-01-26 1985-04-10 Ahlstroem Oy Silplaot
US5062952A (en) * 1986-08-12 1991-11-05 A-1 Engineering, Inc. Injection molding filter
AT400128B (de) * 1992-02-14 1995-10-25 Erema Filtriervorrichtung für fliessfähiges material, insbesondere für verunreinigte kunststoffschmelzen
TW287981B (ko) * 1993-02-04 1996-10-11 Bacher Helmu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564B1 (ko) * 2002-06-29 2008-09-22 에틀링어 쿤스트슈토프마쉬넨 게엠베하 혼합재의 연속적인 여과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12953B2 (ja) 2000-11-27
TW375564B (en) 1999-12-01
ATE202002T1 (de) 2001-06-15
AU7685496A (en) 1997-08-20
ES2159766T3 (es) 2001-10-16
BR9612481A (pt) 1999-07-13
ZA97301B (en) 1997-07-30
US6378705B1 (en) 2002-04-30
DK0879077T3 (da) 2001-09-17
CA2243564C (en) 2002-02-19
ATA10296A (de) 1997-10-15
EP0879077B1 (de) 2001-06-13
AT403779B (de) 1998-05-25
PT879077E (pt) 2001-12-28
DE59607104D1 (de) 2001-07-19
AU701446B2 (en) 1999-01-28
WO1997026973A1 (de) 1997-07-31
KR100295697B1 (ko) 2001-08-07
CA2243564A1 (en) 1997-07-31
EP0879077A1 (de)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5697B1 (ko) 가소된열가소성물질을필터링하는장치및이러한장치용필터요소
JPH11514577A (ja) 可塑化した熱可塑性樹脂を濾過する装置及びこの装置用の濾過部材
KR100859564B1 (ko) 혼합재의 연속적인 여과를 위한 장치
CA2130104C (en) Filter for free-flowing materials, in particular plastic melts containing impurities
KR100321368B1 (ko) 불순물을 함유하는 유체용 여과 장치
US73347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anulating plastic
US6267250B1 (en) Centrifuge with partial wear resistant basket
JP5083675B2 (ja) 流動可能な物質から不純物を連続的に濾過する装置
EP0414341B1 (en) Screening device
US5643450A (en) Filter apparatus for fluids, in particular for thermoplastic synthetic plastics material fluid
US6607299B1 (en) Apparatus for removing debris from thermoplastic materials
US4280907A (en) Separating device
US20220331723A1 (en) Self clean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inuous filtration of high viscosity fluids
EP2108458A2 (en) Centrifugal separator
WO2022200830A1 (en) Self clean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inuous filtration of high viscosity flu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