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1263A -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deflection ratio of video sig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deflection ratio of video sig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1263A
KR19990081263A KR1019980015110A KR19980015110A KR19990081263A KR 19990081263 A KR19990081263 A KR 19990081263A KR 1019980015110 A KR1019980015110 A KR 1019980015110A KR 19980015110 A KR19980015110 A KR 19980015110A KR 19990081263 A KR19990081263 A KR 19990081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ion
horizontal
vertical
section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51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62651B1 (en
Inventor
강경진
백우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15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2651B1/en
Priority to US09/157,949 priority patent/US6191820B1/en
Publication of KR19990081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12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2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2651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23Controlling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의의 영상 사이즈를 갖는 입력 영상신호의 종횡비를 임의의 위치에서 임의의 값으로 가변할 수 있는 영상신호의 편향위치 및 비율 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것으로서, 입력 영상데이터를 화면의 특정부분에 블럭단위별로 다른 비율로 수평 및/내지 수직방향으로 증가 내지 감소 편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임의의 영상 사이즈를 갖는 입력영상을 미리 설정된 다수개의 수평구간 내지 수직구간으로 구분된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영상표시기기에서, 입력영상을 상기 수평구간과 수직구간이 서로 겹쳐져서 만들어지는 블럭단위별로 편향 변화량 정보를 발생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편향변화량 정보를 수신하고 디코딩하는 버스 디코더와, 상기 디코딩된 편향변화량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순서로 해당 블럭의 수평 및/내지 수직 편향 변화량을 결정하고, 이로부터 상기 수평 및/내지 수직 편향값을 증가 및/내지 감소시키는 편향신호를 발생하는 편향제어부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a deflection position and a ratio of a video signal that can vary an aspect ratio of an input video signal having an arbitrary image size from an arbitrary position to an arbitrary value. Increasing or decreasing deflections in the horizontal and / or vertical directions at different ratios per block.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input image having an arbitrary image size on a screen divided into a plurality of horizontal sections or vertical sections, which are set in advance, wherein the horizontal section and the vertical section overlap each other. A microprocessor for generating deflection change amount information on a block-by-block basis, a bus decoder for receiving and decoding the deflection change amount information, and the decoded deflection change amount information for a horizontal and / or vertical deflection change amount of the block in a predetermined order. And a deflection control section for generating a deflection signal for increasing and / or decreasing the horizontal and / or vertical deflection values therefrom.

Description

영상신호의 편향위치 및 비율 조절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deflection position and ratio of video signal

본 발명은 영상표시 장치에서 사용되는 영상신호의 편향위치 및 비율 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임의의 영상 사이즈를 갖는 입력 영상신호의 종횡비를 임의의 위치에서 임의의 값으로 가변할 수 있는 편향위치 및 비율 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a deflection position and a ratio of an image signal used in an image display device. More particularly, the aspect ratio of an input image signal having an arbitrary image size can be varied from an arbitrary position to an arbitrary value. A deflection position and ratio adjusting device and method are disclosed.

최근 들어 텔레비전이나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영상표시장치의 사용과 응용이 대중화되면서, 영상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화상의 품질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일례로서, 종래의 컬러 텔레비전에 비해 주사선수를 2배 이상 늘리고 화면비를 늘려서 화면의 고정밀화, 대형화를 실현시킨 고선명 텔레비전(high definition television : HD TV)의 개발이라 할 수 있다.Recently, as the use and application of a video display device such as a television or a video camera have become popular, effor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quality of images displayed on the video display device. As a representative example, it can be said to develop a high definition television (HD TV) which realizes high definition and large screen size by doubling the number of scanning players and increasing the aspect ratio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olor television.

또한, 각 국가간에 영상문화의 교류가 정보통신의 발전에 의해 활발해짐에 따라 각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쉽게 영상신호를 편집 할 수도 있으며, 외부에서 제공받는 영상프로그램의 종류도 매우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각 가정에서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찍은 영상을 재생할 수도 있고, 방송국에서는 자체적으로 제작한 여러 가지 방송 프로그램, 영화사에서 제작한 영화 그리고 각종 스포츠 중계방송 등을 시청자에게 다양하게 제공 할 수 있다. 그러나, 각 사용자가 갖고있는 영상표시장치의 화면비율은 대부분 4:3 내지 16:9와 같은 고정된 종횡비이기 때문에 입력 영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화면비의 변환이 요구될 경우, 편향파 발생기를 이용하여 입력영상을 수평 내지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켜 화면의 종횡비를 변환할 수 있었다.In addition, as the exchange of video culture between countries is active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ach home or office can easily edit video signals, and the number of externally provided video programs is also increasing. For example, you can play back images taken with a video camera in each home, and broadcasting stations can provide viewers with various broadcast programs, movies produced by film companies, and various sports broadcasts. . However, since the aspect ratio of each image display device owned by each user is a fixed aspect ratio such as 4: 3 to 16: 9, when the aspect ratio is requir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put image, a deflection wave generator is used. The aspect ratio of the screen could be converted by deflecting the input image in a horizontal to vertical direction.

도 1은 일반적인 아날로그 방식의 편향파 발생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general analog deflection wave generator.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아날로그 방식의 편향파 발생기는 입력되는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sync/Vsync)에 따라 수평 및 수직 톱니파(saw tooth wave)를 각각 발생시키는 수평 및 수직 톱니파 발생회로(11,21)와, 수평 및 수직 톱니파 발생회로(11,21)에서 출력되는 출력파형의 시작부분과 끝부분을 각각 S-자 형상으로 보정하는 수평 및 수직 S-자 보정회로(12,22)와, 수평 및 수직 S-자 보정회로(12,22)의 출력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씨알티(CRT)로 각각 출력하는 전류 증폭기(13,23)로 구성된다. 여기서, 수평 및 수직 톱니파는 한쪽 방향으로, 예를 들면 좌에서 우로, 위에서 아래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주사하도록 설정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a general analog type deflection wave generator generates horizontal and vertical sawtooth waves according to input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s (Hsync / Vsync), respectively. 21), horizontal and vertical S-shaped correction circuits 12 and 22 for correcting the start and end portions of the output waveforms output from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awtooth wave generating circuits 11 and 21 into S-shaped shapes, respectively; And current amplifiers 13 and 23 that amplify the output signals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shape correction circuits 12 and 22 to a predetermined level and output them to the CRT. Her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awtooth waves are set to scan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from left to right, at regular intervals from top to bottom.

종래에는 이와 같은 아날로그 방식의 편향파 발생기를 이용하여 클럭 변환 또는 편향을 위한 삼각파형의 일부를 보정시켜 화면의 비율을 변화시켰다. 즉, 도 2a와 같이 비율변환을 하지 않은 정상적인 모양의 화면을 수평 S자 보정을 통하여 도 2b와 같이 모든 수직구간에 대해 일정비율로 수평변환을 실시하거나 또는 수직 S자 보정을 통하여 도 2c와 같이 모든 수평구간에 대해 일정비율로 수직 변환을 실시할 수 있었다. 따라서, 화면의 변형이 도 2b 내지 도 2c에서와 같이 어느 정도의 한도내에서 가능하였다.Conventionally, a portion of a screen is changed by correcting a part of a triangular waveform for clock conversion or deflection using an analog deflection wave generator. That is, as shown in FIG. 2A, the screen having a normal shape without ratio conversion as shown in FIG. 2A is horizontally transformed at a constant ratio for all vertical sections as shown in FIG. Vertical conversion was possible at a constant rate for all horizontal sections. Thus, deformation of the screen was possible within certain limits as in FIGS. 2B to 2C.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는 수직 내지 수평 편향을 실시할 경우, 화면전체에 대한 편향비율이 화면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일정한 비율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화면전체의 비율을 일정하게 바꿀 수만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영상신호의 특성상 화면의 특정 부분의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비율대로 화면의 종횡비를 바꾸기를 원할 경우, 현재의 기술로는 불가능하였다. 이렇게 전체화면 중 필요한 부분의 화면의 종횡비를 바꿀 수 있다면, 영상신호의 고유특성을 살려서 더욱 향상된 품질의 화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영상표시장치의 여러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n the prior art, when the vertical to horizontal deflection is performed, the ratio of the entire screen is fixed only because the deflection ratio is fixed at a constant ratio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of the screen. Therefore, if the user wants to change the aspect ratio of the screen to a desired ratio at a desired position of a specific part of the scree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deo signal, it is impossible with the current technology. If the aspect ratio of the screen of the necessary portion of the entire screen can be chang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urther improved quality of image by utilizing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he video signal, this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of the video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전체화면을 다수의 수평구간 및 수직구간으로 분할된 상태에서 화면의 원하는 위치 또는 원하는 구간 동안에 원하는 편향 비율값으로 편향을 실시함으로써 자유로이 화면의 종횡비를 바꿀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freely changing the aspect ratio of a screen by deflecting the screen to a desired deflection ratio value during a desired position or a desired section of the screen while being divided into a plurality of horizontal and vertical sections. will be.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의 기술에서 언급된 문제점들을 해소시키기 위해 제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 영상신호의 종횡비나 시청 영역의 범위에 상관없이 어떤 종류의 영상신호라도 주어진 스크린에 가장 적합한 형태의 화면 비율을 나타낼 수 있는 편향위치 및 비율 조절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18에 도시된 좌표들이 Tx1 : Tx2 = x : y ( x, y > 0 ) 라 할 때, A점의 공간적인 비율인 X1 : X2 = x : y 가 아닌 임의의 비율로 만들고자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mentioned in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rm suitable for a given screen regardless of the aspect ratio of the input video signal or the range of the viewing area. It is to provide a deflection position and ratio adjusting apparatus and method that can display the aspect ratio of the. That is, when the coordinates shown in FIG. 18 are Tx1: Tx2 = x: y (x, y> 0), the coordinates of FIG. 18 are not intended to be any ratio other than the spatial ratio X1: X2 = x: y. .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컴과 같은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임의의 수평 및 수직 위치에서 편향파의 기울기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그 해당 위치에서의 영상의 종횡비가 달라지도록 한다. 또한, 임의의 입력화소를 원하는 위치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ilt of the deflection wave can be easily adjusted at any horizontal and vertical position by using a control device such as a microcomputer, so that the aspect ratio of the image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is changed. In addition, any input pixel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at a desired position.

도 1은 일반적인 아날로그방식의 편향파 발생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analog deflection wave generator.

도 2a는 비율변환을 하지 않은 정상적인 경우의 화면 상태도이고,2A is a screen state diagram of a normal case without ratio conversion.

도 2b는 도 2a에 보인 정상적인 화면에 대해 모든 수직구간에 대해 일정비율로 수평변환을 실시한 화면 상태도이고,FIG. 2B is a screen state diagram in which horizontal conversion is performed at a constant rate for all vertical sections with respect to the normal screen shown in FIG.

도 2c는 도 2a에 보인 정상적인 화면에 대해 모든 수평구간에 대해 일정비율로 수직변환을 실시한 화면 상태도이다.FIG. 2C is a screen state diagram in which vertical conversion is performed at a constant rate for all horizontal sections with respect to the normal screen shown in FIG. 2A.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비율 변환을 실시하기 위한 편향파 발생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deflection wave generator for performing aspect ratio conv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보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제어 버스신호의 포맷을 보인 블럭 구성도이다.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ormat of a control bus signal output from the microprocessor shown in FIG.

도 5는 도 3에 보인 버스 디코더의 내부 구성을 보인 블럭 구성도이다.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bus decoder illustrated in FIG. 3.

도 6은 도 5에 보인 버스 디코더의 다른 실시예의 블럭 구성도이다.FIG. 6 is a block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bus decoder shown in FIG.

도 7a 내지 도 7b는 수평편향 및 수직편향의 실시를 위하여 화면의 블록구조를 보인 화면 상태도이다.7A to 7B are screen state diagrams showing a block structure of a screen for implementing horizontal deflection and vertical deflection.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수평 슬로프 제어부 및 수직 슬로프 제어부 블럭 구성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orizontal slope control unit and a vertical slope control unit shown in FIG. 3.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수평 및 수직 편향값 발생부의 내부 구성을 보인 블럭 구성도이다.FIG. 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eflection value generator shown in FIG. 3.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플립플롭 어레이의 내부 구성을 보인 블럭 구성도이다.FIG.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flip-flop array shown in FIG. 5.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버스 디코더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블럭 구성도이다.FIG.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us decoder illustrated in FIG. 5.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로프 제어출력 및 톱니파 출력에 대한 편향파형도이다.12A to 12C are deflection waveform diagrams for a slope control output and a sawtooth wave outpu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a는 비율변환을 하지 않은 정상적인 경우의 화면 상태도이고,13A is a screen state diagram in a normal case without ratio conversion.

도 13b는 도 15a에 보인 정상적인 화면에 대해 모든 수직구간에 대해 일정비율로 수평변환을 실시한 화면 상태도이고,FIG. 13B is a screen state diagram in which horizontal conversion is performed at a constant rate for all vertical sections with respect to the normal screen shown in FIG. 15A. FIG.

도 13c는 도 15a에 보인 정상적인 화면에 대해 모든 수직구간에 대해 일정비율로 수평변환을 실시한 화면 상태도이다.FIG. 13C is a screen state diagram in which horizontal conversion is performed at a constant rate for all vertical sections with respect to the normal screen shown in FIG. 15A.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수평구간별 수직편향이 가변적인 경우 수직편향파의 수평구간 진행에 따른 변화상태를 보인 그래프이다.14 is a graph illustrating a change state of a horizontal deflection wave of a vertical deflection wave when the vertical deflection for each horizontal section is variab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a 내지 도 15b는 도 6에 의한 수평 구간별 수직변환 비율이 가변적인 경우의 경우, 화면의 비율변환을 하지 않은 정상적인 화면과 화면의 수직 편향을 수평구간에 따라 변화시킨 경우를 각각 보인 화면 상태도이다.15A to 15B are screen state diagrams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normal screen without the screen ratio conversion and the vertical deflection of the screen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horizontal section when the vertical conversion ratio for each horizontal section according to FIG. 6 is variable. to be.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쌍방향 주사시 도3에 보인 수평 및 수직편향값 발생부의 내부구성을 보인 블럭 구성도이다.FIG. 1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horizontal and vertical deflection value generating unit shown in FIG. 3 during bidirectional scanning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a 내지 17c는 도 16에 보인 수평 및 수직편향값 발생부의 쌍방향 수평주사에 의한 편향파형도이다.17A to 17C are deflection waveform diagrams showing bidirectional horizontal scanning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eflection value generating units shown in FIG. 16.

도 18은 본 발명의 목적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상태도이다.18 is a screen state diagram for explain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main symbols in the drawings

300 : 마이크로 프로세서 301 : 버스 디코더300: microprocessor 301: bus decoder

302 : 수평편향용 화소 카운터부302: pixel counter for horizontal deflection

303 : 수직편향용 수직위치 카운터부303: vertical position counter for vertical deflection

304 : 수평 슬로프 제어부 305 : 수직 슬로프 제어부304: horizontal slope control unit 305: vertical slope control unit

306 : 수평편향값 발생부 307 : 수직편향값 발생부306: horizontal deflection value generating unit 307: vertical deflection value generating unit

308, 309 :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08, 309: Digital-to-Analog Converter

310 : 수평 로우 패스 필터 311 : 수직 로우 패스 필터310: horizontal low pass filter 311: vertical low pass filter

312, 313 : 전류 증폭기312, 313: current amplifier

321 : 수평/수직편향 표시구간 322 : 구간정의 표시구간321: horizontal / vertical deflection display section 322: section definition display section

323 : 구간번호 표시구간 324 : 기울기 표시구간323: section number display section 324: slope display section

325 : 증가/감소 표시구간 326 : 구간길이 표시구간325: increase / decrease display section 326: section length display sec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peration and effe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편향위치 및 비율 조절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deflection position and ratio adjus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편향위치 및 비율 조절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입력영상을 상기 수평구간과 수직구간이 서로 겹쳐져서 만들어지는 블럭단위별로 편향 변화량 정보를 발생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0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0)에서 출력되는 편향변화량 정보를 수신하고 디코딩하는 버스 디코더(301)와, 버스 디코더(301)에서 출력되는 디코딩된 편향변화량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순서로 해당 블럭의 수평 및/내지 수직 편향 변화량을 결정하고, 이로부터 상기 수평 및/내지 수직 편향값을 증가 및/내지 감소시키는 편향신호를 발생하는 편향제어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편향제어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 디코더(301)에서 제공되는 화소(pixel) 클럭으로 각 수평구간의 길이를 결정하는 수평편향용 화소카운터부(302)와, 버스 디코더(301)에서 출력되는 편향변화량 정보에 포함된 기울기(linear) 또는 증가/감소(up/down)정보를 수신하여 수평 편향파의 기울기를 제어하는 수평 슬로프 제어부(304)와, 수평 슬로프 제어부(304)의 출력신호와 입력 수평동기신호(Hsync)를 이용하여 수평편향값을 발생시키는 수평 편향값 발생부(306)와, 수평 편향값 발생부(306)에서 발생된 수평 편향값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시키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08)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08)의 출력신호를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시키는 수평 로우 패스 필터(310)와, 수평 로우 패스 필터(310)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증폭비로 증폭시키는 전류증폭기(312)와, 버스 디코더(301)에서 제공되는 수평동기신호(pixel) 클럭으로 각 수직구간의 길이를 결정하는 수직편향용 수직위치 카운터부(303)와, 버스 디코더(301)에서 출력되는 편향변화량 정보에 포함된 기울기(linear) 또는 증가/감소(up/down)정보를 수신하여 수직 편향파의 기울기를 제어하는 수직 슬로프 제어부(305)와, 수직 슬로프 제어부(305)의 출력신호와 입력 수직동기신호(Vsync)를 이용하여 수직편향값을 발생시키는 수직 편향값 발생부(307)와, 수직 편향값 발생부(307)에서 발생된 수직 편향값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시키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09)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09)의 출력신호를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시키는 수평 로우 패스 필터(311)와, 수평 로우 패스 필터(311)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증폭비로 증폭시키는 전류증폭기(313)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deflection position and ratio adju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croprocessor (300) for generating deflection change information for each block unit in whic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ections overlap the input image according to a user's input signal. ), A bus decoder 301 that receives and decodes the deflection change amount information output from the microprocessor 300, and the decoded deflection change amount information output from the bus decoder 301, and thus the corresponding block in a predetermined order. And a deflection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 horizontal and / or vertical deflection change amount and generating a deflection signal for increasing and / or decreasing the horizontal and / or vertical deflection value therefrom. Here, the deflection control unit includes a horizontal deflection pixel counter unit 302 and a bus decoder 301 which determine the length of each horizontal section using a pixel clock provided from the bus decoder 301 as shown in FIG. 3. A horizontal slope control unit 304 and a horizontal slope control unit 304 for controlling the slope of the horizontal deflection wave by receiving linear or increase / decrease (up / dow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eflection change amount information output from the output; A horizontal deflection value generator 306 for generating a horizontal deflection value using a signal and an input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and a digital / analog for digital / analog conversion of the horizontal deflection value generated in the horizontal deflection value generator 306. The output signal of the analog converter 308, the horizontal low pass filter 310 for filtering the output signal of the digital / analog converter 308 to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horizontal low pass filter 310 are increased to a predetermined amplification ratio. A vertical deflection vertical position counter section 303 for determining the length of each vertical section using a horizontal clock signal (pixel) clock provided from the bus decoder 301, and a bus decoder 301. Vertical slope control unit 305 for controlling the slope of the vertical deflection wave by receiving the linear or increase / decrease (up / dow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utput deflection change information,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vertical slope control unit 305 And a vertical deflection value generator 307 for generating a vertical deflection value using an input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and a digital / analog for digital / analog conversion of the vertical deflection value generated in the vertical deflection value generator 307. The output signal of the converter 309, the horizontal low pass filter 311 for filtering the output signal of the digital / analog converter 309 to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horizontal low pass filter 311 are amplified at a predetermined amplification ratio. It consists of a current amplifier (313).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편향위치 및 비율 조절 장치에서는 전 화면을 마이크로 프로세서(100)에 의해 수평과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구간으로 구분한 뒤 편향을 각 구간에 걸쳐서 실시한다.In the deflection position and ratio adju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entire scree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by the microprocessor 100, and the deflection is performed over each section.

물론, 변환제어 데이터 메모리가 충분하고 변화율의 기울기 변화가 심하여 화질 손실에 무리가 가더라도 상관이 없다면 각 화소 단위로도 처리가 가능하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시각적으로 구간 경계를 느끼지 못할 정도로만 세분하여 미리 설정된 다수개의 구간중 각 구간 단위별로 처리한다.Of course, if the conversion control data memory is sufficient and the change in the slope of the change rate is severe and there is no problem in the loss of the image quality, processing can be performed even for each pixel unit. Process each unit of a plurality of preset sections.

즉, 화면을 수평적으로 64 구간 수직적으로 64 구간으로 각각 나눈다. 각 구간은 또한 등간격이 아닌 구간길이를 갖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각 구간이 1 내지 64 화소 (또는 수직적으로는 라인)단위로 자유로이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시각적으로는 아무리 급격하게 편향 비율의 변화를 준다 하더라도 거의 경계를 느끼지 못하게 된다.That is, the screen is divided into 64 sections horizontally and 64 sections vertically. Each section also has a section length rather than an equal interval, 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section can be freely adjusted in units of 1 to 64 pixels (or vertically, a line). Therefore, no matter how rapidly the deflection ratio changes, the visual sense almost does not feel the boundary.

도 3의 버스 디코더(301)에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00)로 부터 직렬로 입력되는 버스를 받아 각 수평 수직 64 구간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러면 해당 블럭(각 수평 수직 구간으로 이루어진 사각형을 블럭이라고 하자.) 이 되면 수평 또는 수직 편향파의 기울기를 얼마나 조절할 것인지를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전달받게 된다.The bus decoder 301 of FIG. 3 receives a bus input from the microprocessor 300 in series and stores necessary data in each horizontal vertical 64 section. Then, when the corresponding block (a square consisting of horizontal and vertical sections is called a block), the stored data receives how much to adjust the slope of the horizontal or vertical deflection wave.

여기서, 수평편향용 화소 카운터부(302)는 화소(pixel)클럭으로 각 수평구간의 길이 만큼 세어서 캐리가 발생되면 그 구간의 끝을 알림과 동시에 다음 수평구간으로 넘어가서 카운트가 진행되도록 한다.Here, the horizontal deflection pixel counter unit 302 counts the length of each horizontal section with a pixel clock, and if the carry occurs, the end of the section is notified and the count is progressed to the next horizontal section.

마찬가지로, 수직편향용 수직위치 카운터부(303)는 수평동기신호로 각 수직구간의 길이 만큼 세어서 캐리가 발생되면 그 구간의 끝을 알림과 동시에 다음 수직구간으로 넘어가서 카운트를 진행되도록 제어한다.Similarly, the vertical deflection vertical position counter unit 303 counts the length of each vertical section by the horizontal synchronous signal, and when the carry is generated, the end of the section is notified and the count is moved to the next vertical section.

수평 스로프 제어부(304)에서는 버스 디코더(301)로 부터 기울기(linear) 또는 증가 내지 감소 정보를 받아 수평 편향파의 기울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수평 편향값 발생부(306)에서 발생된 수평 편향값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08)에 의해 아날로그 값으로 바뀌면 이것이 바로 수평 로우 패스 필터(310)를 거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원하는 비율로 수평 편향시키는 펄스가 된다.The horizontal slope control unit 304 receives linear or increase or decrease information from the bus decoder 301 to control the slope of the horizontal deflection wave. Then, when the horizontal deflection value generated by the horizontal deflection value generator 306 is changed into an analog value by the digital / analog converter 308, this is the horizontal deflection at the desired ratio of the image displayed via the horizontal low pass filter 310. It becomes a pulse to make.

또한, 수직 슬로프 제어부(305)에서는 버스 디코더(301)로 부터 기울기 또는 증가 내지 감소 정보를 받아 수직 편향파의 기울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수직 편향값 발생부(307)에서 발생된 수직 편향값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09)에 의해 아날로그 값으로 바뀌면 이것이 바로 수직 로우 패스 필터(311)를 거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원하는 비율로 수직 편향시키는 펄스가 된다.In addition, the vertical slope control unit 305 controls the slope of the vertical deflection wave by receiving the slope or the increase or decrease information from the bus decoder 301. Then, when the vertical deflection value generated by the vertical deflection value generator 307 is converted into an analog value by the digital / analog converter 309, this is the vertical deflection at the desired ratio for the image displayed via the vertical low pass filter 311. It becomes a pulse to make.

한편, 구간을 64 개로 했다는 것은 편향펄스의 기울기의 부호가 최대 64번까지 바뀔 수 있다는 것이므로 64차의 곡선을 이룰 수 있으며, 이는 사인파의 주기가 32번 까지 반복될 수 있다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having 64 intervals means that the sign of the slope of the deflection pulse can be changed up to 64 times, so that the curve of the 64th order can be formed, which means that the period of the sine wave can be repeated up to 32 times.

그러므로, 수평 로우 패스 필터(310)는 예를 들어 각 구간이 등간격이라고 가정하면 60Hz, 525 라인의 주사선을 갖는 경우 31.5kHz x 32 = 약 1MHz 이상 ( 등간격이 아닐 경우는 더 늘어나게 되므로 )의 대역을 갖게 될 것이다. 수직 로우 패스 필터(311)는 60 Hz x 32 = 약 2kHz 이상의 대역을 갖게 된다. 단, 도 6과 같이 수직편향이 수평구간에 따라 달라질 때(편향전류가 주사도중에 거꾸로 흐를 수 있는 경우)는 수직 편향도 약1MHz 이상이 된다.Therefore, the horizontal low pass filter 310, for example, assumes that each section is equally spaced, and has a scanning line of 60 Hz and 525 lines of 31.5 kHz x 32 = about 1 MHz or more (because it increases further when not equally spaced). You will have a band. The vertical low pass filter 311 has a band of 60 Hz x 32 = about 2 kHz or more. However, as shown in FIG. 6, when the vertical deflection varies depending on the horizontal section (when the deflection current can flow backward during scanning), the vertical deflection is about 1 MHz or more.

도 4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00)에서 출력되는 편향 변화량 정보를 갖는 버스의 포맷을 보인 블록 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ormat of a bus having the amount of deflection chang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microprocessor 300.

도 4를 참조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300)에서 출력되는 편향 변화량 정보를 갖는 버스는 이후의 값들이 수평편향에 적용될 값들인지, 수직편향에 적용될 값들인지를 구별하기 위한 수직/수평편향 표시구간(321)과, 수평편향 내지 수직편향의 수평구간에 속하는지 수직구간에 속하는지를 구별하기 위한 구간정의 표시구간(322)과,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선택 구간을 지시하기 위한 구간번호 표시구간(323)과, 편향의 실시여부를 구별하기 위한 기울기 표시구간(324)과, 기울기 표시구간(324)의 상태에 따라 편향파의 기울기를 증가 내지 감소시키기 위한 증가/감소 표시구간(325)과, 현재의 기울기로 몇 화소 (또는 수직일 땐 몇 라인만큼) 만큼 같은 기울기를 유지할 것인가를 결정하기 위한 구간길이 표시구간(326)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4, the bus having the deflection chang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microprocessor 300 may include a vertical / horizontal deflection display section 321 for distinguishing whether later values are values for horizontal deflection or vertical deflection. ), A section definition display section 322 for discriminating whether it belongs to a horizontal section of horizontal deflection or vertical deflection, or a vertical section, and a section number display section 323 for indicating a selection section within a preset range; , The slope display section 324 for distinguishing whether the deflection is implemented, the increase / decrease display section 325 for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slope of the deflection wav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slope display section 324, and the current slope It consists of a section length display section 326 for determining how many pixels (or as many lines as vertical) the same slope is to be maintained.

여기서, 수평/수직편향 표시구간(321)은 1 비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후의 값들이 수평편향에 적용될 값들인지, 수직편향에 적용될 값들인지를 구별하는 것이다. 또, 구간정의 표시구간(322)은 1 비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평편향에 있어서도 수직적으로 다른 위치에서는 비율이 다른 수평 편향을 하게 되므로 수평편향의 수평구간인지 수직구간인지를 구별하는 역할을 한다.Here, the horizontal / vertical deflection display section 321 is composed of 1 bit, and distinguishes whether subsequent values are values to be applied to horizontal deflection or values to be applied to vertical deflection. In addition, the interval definition display section 322 is composed of 1 bit, and even in the horizontal deflection, since the ratio is horizontally deflected at different positions vertically, it serves to distinguish between the horizontal section and the vertical section of the horizontal deflection.

구간번호 표시구간(323)은 6 비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0 ~ 63 ( 또는 1 ~ 64 로 명명하기 나름) 번의 구간을 지시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tion number display section 323 is composed of 6 bits, and serves to indicate a section of 0 to 63 (or 1 to 64).

기울기 표시구간(324)이 1 일 때는 기울기를 일정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증가 내지 감소 표시구간(325)은 무시된다. 그러나, 기울기 표시구간(324)이 0 일 때 한하여 증가 내지 감소 표시구간이 1이면 편향파의 기울기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고 0 이면 편향파의 기울기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When the slope display section 324 is 1 serves to keep the slope constant. At this time, the increase or decrease display section 325 is ignored. However, as long as the slope display section 324 is 0, when the increase or decrease display section is 1, the slope of the deflection wave is increased.

구간길이 표시구간(326)은 현재의 기울기로 몇 화소 (또는 수직일 땐 몇 라인만큼) 만큼 같은 기울기를 유지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으로 이 값이 도 3에 도시된 수평편향용 화소카운터부(302)의 로드값, 또는 수직편향용 수직위치카운터부(303)의 로드값이 된다.The section length display section 326 determines how many pixels (or how many lines in the case of vertical) the same slope is used as the current slope, and this value is the pixel counter unit 302 for horizontal deflection shown in FIG. 3. Is a load value or a load value of the vertical position counter 303 for vertical deflection.

도 5를 보면서 수평편향을 위한 버스 디코더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5, the operation of the bus decoder for horizontal deflec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에서는 수평편향 내에서도 각 수직구간마다 수평편향을 달리하므로 6 비트 x 64 메모리(Flip-Flop)(336)를 별도로 구비시켰다. 64 x 1 먹스(339)에 의해 각 수직구간별로 선택되도록 하고, 이 값을 수평편향용 라인 카운터(341)에 로드하여 이 값만큼의 라인수가 지난 후 수평편향용 라인 카운터(341)의 캐리가 발생하면, 그 수직방향 구간이 끝난 것을 알림과 동시에 모듈로-64 카운터(MC32)의 클럭으로 작용하여 이 카운터(MC32)의 출력이 6 비트 64 x 1 먹스(339)와 수직구간 선택용 8 비트 64 x 1 먹스(338a-338n)의 다음 입력을 선택하게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orizontal deflection is different for each vertical section even within the horizontal deflection, a 6 bit x 64 memory (Flip-Flop) 336 is separately provided. A 64 x 1 mux 339 is selected for each vertical section, and this value is loaded into the horizontal deflection line counter 341 so that the carry of the horizontal deflection line counter 341 after When it occurs, the vertical section is finished and the clock of the modulo-64 counter (MC32) acts as a clock so that the output of this counter (MC32) is 6 bits 64 x 1 mux (339) and 8 bits for vertical section selection. Have the next input of the 64 x 1 mux (338a-338n) selected.

이렇게 선택된 임의의 수직구간에서의 8 비트 데이터는 각 수평구간마다 64가지의 변환 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므로 수평편향용 화소 카운터부(302)의 캐리가 들어오면 이것을 모듈로-64 카운터(MC31)를 거쳐 수평구간번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 값에 의해 수평구간 선택용 64 x 1 먹스(340)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블럭에 대한 증가 내지 감소, 기울기 값과 다음 블럭으로 가기 위해 현재의 6 비트값 (즉, 현재 블럭의 수평길이)이 수평편향용 화소 카운터부(302)의 로드값으로 출력된다.Since the 8-bit data in the selected vertical section has 64 kinds of conversion data in each horizontal section, when the carry of the horizontal deflection pixel counter section 302 enters, it is horizontally passed through the modulo-64 counter MC31. The section number will be output. With this value, the 64 x 1 mux 340 for horizontal section selection is selecte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slope, the slope value and the current 6-bit value (ie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current block) to go to the next block. It is output as a load value of the deflection pixel counter section 302.

수직편향에 대해서도 수평편향과 같은 방식으로 수직편향용 수직위치 카운터부(303)의 캐리가 입력되어 모듈로-64 카운터(MC33)에 의해 수직방향의 구간이 선택된다.In the same way as for the horizontal deflection, the carry of the vertical position counter part 303 for the vertical deflection is input in the same manner as the horizontal deflection, and the vertical section is selected by the modulo-64 counter MC33.

본 발명에서는 도 7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편향을 위한 수직 및 수평구간별 블록과 수직 편향을 위한 수직 및 수평블록을 별도로 두고 있으나, 도 5에서는 수평편향에서만 각 수직구간을 구분하였고, 수직편향에서는 모든 수평구간을 일정하게 비율 변환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를 더 확장하여, 도 6에 도시된 버스 디코더에서는 수직편향에서도 각 수평구간별 변환비율을 달리하도록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7a to 7b, the vertical and horizontal blocks for vertical deflection and the vertical and horizontal blocks for vertical deflection are separately provided, but in Fig. 5, each vertical section is divided only in the horizontal deflection. In the case of vertical deflection, all horizontal sections are represented as a constant ratio conversion. However, to further extend this, the bus decoder shown in FIG. 6 is configured to change the conversion ratio for each horizontal section even in the vertical deflection.

각 블록의 모양은 가로 및 세로를 구간길이 데이터에 의해 임의로 정할 수 있다. 여기서는, 편의상 모든 블록이 서로 중첩되지 않아야 하며, 비어있는 영역이 있어서도 안되므로 한 수직구간에 따른 수평구간들의 수직길이는 일정하도록 하였다. 이것은 CPT의 편향빔이 좌에서 우로, 위에서 아래로 순서적으로 진행하기 때문이며, 그렇다고 해서 수평직선을 상하로 구부리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도 6의 구성에 의해 도 14와 같이 수직편향의 수평적 기울기의 변화를 통해서 얼마든지 가능하다.The shape of each block can be arbitrarily determined by the section length data for the width and length. Here, for convenience, all blocks should not overlap each other and there should not be empty areas, so the vertical lengths of the horizontal sections along one vertical section are made constant. This is because the deflection beam of the CPT proceeds in order from left to right and from top to bottom, but this does not prevent the horizontal straight line from bending up and down. The configuration of FIG. 6 makes it possible to change the horizontal inclination of the vertical deflection as shown in FIG. 14.

도 8은 수평 또는 수직편향 슬로프 제어부(304,305)의 구성도인데, 여기서는 버스 디코더(301)으로 부터 기울기나 증가/감소 명령을 받아 증가/감소 카운터(368)를 구동시킨다.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horizontal or vertical deflection slope controllers 304 and 305. Here, the increase / decrease counter 368 is driven by receiving a tilt or an increase / decrease command from the bus decoder 301.

이 카운터(368)의 출력신호는 그 다음 카운터(369)의 스텝으로 작용한다. 그러므로 스텝은 +, - 가 모두 가능하며, 기울기가 주어졌을 때는 현재의 스텝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스텝 제어출력이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이 제어출력의 예는 도 12a에 도시되어있다.The output signal of this counter 368 then acts as a step of the counter 369. Therefore, the step can be both + and-, and given the slope, the step control output increases linearly while maintaining the current step. An example of this control output is shown in FIG. 12A.

참고로, 이 스텝은 도 9의 톱니파 데이터의 출력을 만드는 증가/감소 카운터(375)의 증가 스텝보다는 충분히 작은 값이므로 편향의 기울기는 비교적 느리게 변하게 되며, 디지털 편향신호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할 때도 적어도 한 수평주사선당 화소의 갯수(수직편향일 때는 화면의 라인수)보다는 많은 10 비트 이상이 되어야 한다.For reference, since the step is sufficiently smaller than the increase step of the increase / decrease counter 375 which produces the output of the sawtooth data of FIG. 9, the slope of the deflection changes relatively slowly, and at least when the digital deflection signal is digital / analog converted. It should be more than 10 bits, rather than the number of pixels per horizontal scan line (the number of lines on the screen for vertical deflection).

도 9의 증가/감소 카운터(375)에서 출력되는 톱니파 데이터 신호는 슬로프 제어입력신호와 덧셈기(377)에서 합해져서 도 12c와 같은 파형을 나타낸다.The sawtooth data signal output from the increase / decrease counter 375 of FIG. 9 is combined with the slope control input signal and the adder 377 to represent a waveform as shown in FIG. 12C.

여기서, 슬로프의 제어입력신호가 (-)일 때 톱니파의 기울기보다 절대값이 작아야 하는 이유는 편향파의 진행방향이 화면중간에서 반대로 되면 이전의 영상과 현재의 영상, 그리고 다시 원래의 방향으로 편향이 진행하게 될 때의 영상들이 3중으로 겹쳐져서 보이는 결과를 가져오므로 모든 영상을 다 보기 위해서는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Here, when the slope control input signal is negative, the absolute value must be smaller than the inclination of the sawtooth wave. Whe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deflection wave is reversed in the middle of the screen, the previous image, the current image, and the original direction are deflected. Since the images of this progression are shown as three overlapping results, care must be taken not to see this phenomenon in order to see all the images.

도 9의 최대편향값 비교부(379)는 편향의 끝점에 해당하는 디지탈 값이 그 경계를 초과했을 시는 상하의 수평주사선이 서로 이가 맞지 않는 (수직편향일 경우는 시간적으로 매 필드마다 화면이 상하로 떨림)현상이 일어난다. 그러나 이것이 화면의 스크램블링(scrambling) 효과를 위해서라면 무시해도 상관없으나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경계 초과신호가 발생하면 2x1 먹스(378)의 하측입력을 선택하여 현재의 디지털 편향신호를 계속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In the maximum deflection value comparison unit 379 of FIG. 9, when the digital value corresponding to the end point of deflection exceeds the boundary,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scan lines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Tremors). However, this may be ignored for scrambling effects of the screen, but to prevent this phenomenon,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lower input of the 2x1 mux 378 to maintain the current digital deflection signal when the boundary exceeded signal occurs. have.

또, 최대편향값을 동기구간폭으로 나누면 이 감소 스텝이 귀선구간동안 편향값이 시작점으로 돌아올 수 있는 톱니파를 만든다. 이 때도 스크램블링 효과를 얻으려면 시작점 경계를 무시하고 고정된 감소 스텝값을 선택하면 된다.Also, dividing the maximum deflection value by the sync interval width, this reduction step produces a sawtooth wave that allows the deflection value to return to the starting point during the return period. Again, to achieve a scrambling effect, you can ignore the starting boundary and choose a fixed decrement step value.

본 발명에서는 카운터를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 최대 편향값이 편향이 끝나는 점의 편향값으로 간주하며, 편향이 시작되는 점의 값을 최소값으로 둔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onveniently use the counter, the maximum deflection value is regarded as the deflection value of the point where the deflection ends, and the value of the point where the deflection starts is set to the minimum value.

도 10은 도 5의 플립플롭 어레이(335a-335n)가 어떻게 수평구간 내지 수직구간을 구분하여 8 비트 데이터를 저장하는지를 보여 준다. 즉, 수직k번째 구간과 수평l번째 구간을 나타내는 디코더의 출력이 동시에 하이레벨이 될 때, 이에 해당하는 2 x 1 먹스(380)의 선택신호가 하이레벨이 되어 8 비트 데이터가 8 비트 플립플롭(388)에 입력되며, 그 외의 경우는 현재의 값이 계속 피드백되어 자신의 값을 유지한다.FIG. 10 shows how the flip-flop arrays 335a-335n of FIG. 5 store 8-bit data by dividing the horizontal section and the vertical section. That is, when the outputs of the decoders representing the vertical k-th section and the horizontal l-th section become high level at the same time, the corresponding selection signal of the 2x1 mux 380 becomes high level so that 8-bit data is 8-bit flip-flop. 388, otherwise, the current value is continuously fed back to maintain its value.

도 11은 도 5에 보인 64 x 64의 8 비트의 플립플롭 어레이(335a-335n) 대신에 플립플롭 메모리(388)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든 것이며, 이것은 각 블록 단위로 주어진 길이 만큼 증가/감소 내지 기울기 정보를 저장해 두고 있으므로 일종의 2 비트 필드 메모리이다.FIG. 11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flip-flop memory 388 is used instead of the 64 x 64 8-bit flip-flop arrays 335a-335n shown in FIG. 5, which is increased / decreased by a given length in units of blocks. It is a kind of 2-bit field memory because it stores slope information.

또한, 수직편향을 위해서는 수직방향으로만 2 비트 데이터를 저장해 놓고 있으므로 이 때의 플립플롭 메모리(390)는 수직방향으로 2 비트 라인 메모리를 써도 무방하다. 그러나 도 6과 같이 수직편향에서도 수평구간을 두어 변환비율을 달리할 때는 이것도 수평편향과 마찬가지로 2 비트 필드 메모리를 사용해야 한다.In addition, since 2-bit data is stored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vertical deflection, the flip-flop memory 390 may use a 2-bit line memory in the vertical direction. However, as shown in FIG. 6, when the conversion ratio is changed by placing a horizontal section even in the vertical deflection, a 2-bit field memory must be used as in the horizontal deflection.

여기서는, 수평편향을 위하여는 수평편향값 발생에 필요한 2 비트 데이터를 수평주사유효구간 동안만 플립플롭 메모리에 저장하면 되고, 수직편향을 위해서는 수직주사유효구간동안에만 수직편향에 필요한 2 비트 데이터를 저장하면 된다.In this case, two-bit data necessary for generating a horizontal deflection value is to be stored in the flip-flop memory only for the horizontal scanning valid period for horizontal deflection, and two bit data for vertical deflection is stored only for the vertical scanning valid period for vertical deflection. Just do it.

도 12c는 실제로 도 12a에 도시된 슬로프 제어출력과 도 12b에 도시된 톱니파 출력을 더하여 영상의 비율변환이 가능한 편향파형을 나타내고 있다.FIG. 12C actually shows a deflection waveform in which the ratio conversion of the image is possible by adding the slope control output shown in FIG. 12A and the sawtooth wave output shown in FIG. 12B.

도 13a 내지 13c는 도 12c에서 얻은 수평편향펄스 및 음의 기울기가 없이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수직편향펄스를 이용하여 화면 비율을 변환시의 영상을 보여준다.13A to 13C show images when the aspect ratio is converted by using a horizontal deflection pulse obtained in FIG. 12C and a vertical deflection pulse consta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out a negative slope.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디코더를 이용하여 수직편향에서도 수평구간에 따라 기울기를 달리하면 수직편향펄스가 음의 기울기도 가지게 되므로 도 14와 같이 한 수평주사선 동안에도 수직위치가 상하로 바뀌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렇게 하여 화면을 수직편향을 수평구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한 경우의 영상이 도 15b에 나타나 있다.However, if the inclinatio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horizontal section even in the vertical deflection using the decoder shown in FIG. 6, the vertical deflection pulse has a negative inclination, resulting in the vertical position being changed up and down even during a horizontal scan line as shown in FIG. 14. . In this way, the image when the screen is vertically shifted up and down along the horizontal section is shown in Figure 15b.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편향파 발생 원리를 이용하여 쌍방향 주사가 가능하도록 삼각파 편향펄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편향값 발생 카운터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FIG. 16 is a block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a deflection value generation counter for generating a triangular wave deflection pulse to enable bidirectional scanning using the digital deflection wave generation princi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에서는 정상적인 편향시 (좌에서 우로)의 슬로프 제어 입력을 라인 메모리에 저장하여 두고 역방향 주사시에는 이를 거꾸로 (어드레스를 감소시키면서) 읽어 내어 역방향 주사시의 편향파(삼각파) 슬로프 제어 입력으로 사용하면 된다. 즉,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칭된 모습의 삼각파의 기울기 제어 입력과, 도1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평동기 주기의 50% 씩 서로 반대방향으로 주사를 하는 삼각파 출력을 합하여 도 17c와 같은 영상비율 변환을 하면서 쌍방향 주사가 가능한 편향펄스가 발생된다.In Fig. 16, the slope control input during normal deflection (left to right) is stored in the line memory, and the reverse direction scan is read backwards (with decreasing address) and used as a deflection wave (triangle wave) slope control input during reverse scanning. Just do it. That is, the sum of the tilt control input of the symmetrical triangular wave as shown in FIG. 17A and the triangular wave output scanning in the opposite directions by 50% of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period as shown in FIG. During the ratio conversion, a deflection pulse capable of bidirectional scanning is generated.

이때는 영상신호도 마찬가지로 라인 메모리에 저장했다가 라이트 클럭의 2배의 속도로 읽어내되 1H 기간의 50%는 정상방향으로 어드레스를 증가시키면서 읽고, 나머지 50%는 어드레스를 감소시키면서 읽어 내고 블랭크구간 동안에는 읽지 않고 쉬면 된다.In this case, the video signal is also stored in the line memory and read at twice the write clock speed. 50% of the 1H period is read while increasing the address in the normal direction, and the remaining 50% is read while the address is decreased, and not read during the blank period. You can rest without.

이러한 방법은 주사선을 2배로 늘리면서 라인플리커를 줄이면서도 수평주사 주파수는 원래의 주파수를 그대로 ( NTSC신호인 경우 15.7kHz ) 유지할 수 있으므로 2배 주사용 CPT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2배 주사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역방향 주사선이 정방향 주사선과 서로 겹치지 않으므로 움직임 검출에 의한 편향을 하지 않더라도 좋은 화질을 얻을 수 있다.This method doubles the scanning line, reduces the line flicker, and keeps the horizontal scan frequency at its original frequency (15.7 kHz for NTSC signals), so you can double scan without using the double scan CPT. Advantageously, since the reverse scanning line does not overlap with the forward scanning line, good image quality can be obtained without deflection by motion detection.

본 발명은 영상신호를 CPT와 같은 편향을 이용한 2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하는데 있어서 편향의 펄스를 임의의 형태로 발생시켜 원하는 위치에 영상을 임의의 시간비율로 주사하도록 함으로써 영상의 형태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change the shape of an image by generating a pulse of deflection in an arbitrary form and scanning the image at an arbitrary time rate at a desired position in displaying the image signal on a two-dimensional display device using a deflection such as CPT. Make sure

그러므로, 본 장치를 이용하면 디지털 신호처리를 이용하여 수평 및 수직 편향파(톱니파)를 자유롭게 발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스 제어를 이용하여 수시로 가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형태의 영상신호를 만들어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by using this apparatus, not only can freely generate horizontal and vertical deflection waves (sawtooth waves) using digital signal processing, but also can be changed at any time using bus control to create and provide a video signal of a desired shape. Can be.

Claims (14)

임의의 영상 사이즈를 갖는 입력영상을 미리 설정된 다수개의 수평구간 내지 수직구간으로 구분된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영상표시기기에서,In an imag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input image having an image size on a screen divided into a plurality of horizontal section or vertical section set in advance, 입력영상을 상기 수평구간과 수직구간이 서로 겹쳐져서 만들어지는 블럭단위별로 편향 변화량 정보를 발생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A microprocessor for generating deflection change information for each block unit in which an input image is formed by overlapping the horizontal section and the vertical section; 상기 편향변화량 정보를 수신하고 디코딩하는 버스 디코더와,A bus decoder for receiving and decoding the deflection change amount information; 상기 디코딩된 편향변화량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순서로 해당 블럭의 수평 및/내지 수직 편향 변화량을 결정하고, 이로부터 상기 수평 및/내지 수직 편향값을 증가 및/내지 감소시키는 편향신호를 발생하는 편향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위치 및 비율 조절 장치.A deflection for determining a horizontal and / or vertical deflection change amount of the corresponding block in a predetermined order using the decoded deflection change amount information, and generating a deflection signal for increasing and / or decreasing the horizontal and / or vertical deflection value therefrom. Deflection position and rate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ntrol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상기 편향 변환정보는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위치 및 비율 조절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deflection conversi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microprocessor is generated by a user input sig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상기 수평구간으로 1 내지 64 화소 단위와, 상기 수직구간으로 1 내지 64 라인 단위 내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위치 및 비율 조절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block is selected within 1 to 64 pixel units in the horizontal section and 1 to 64 line units in the vertical s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제어부는 상기 버스 디코더에서 제공되는 화소(pixel) 클럭으로 각 수평구간의 길이를 결정하는 수평편향용 화소카운터부와,The horizontal deflection pixel counter unit of claim 1, wherein the deflection control unit comprises: a horizontal deflection pixel counter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 length of each horizontal section using a pixel clock provided from the bus decoder; 상기 버스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편향변화량 정보에 포함된 기울기(linear) 또는 증가 내지 감소정보를 수신하여 수평 편향파의 기울기를 제어하는 수평 슬로프 제어부와,A horizontal slope controller for receiving a linear or increasing or decreas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eflection change amount information output from the bus decoder to control the slope of the horizontal deflection wave; 수평 슬로프 제어부의 출력신호와 입력 수평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수평편향값을 발생시키는 수평 편향값 발생부와,A horizontal deflection value generator for generating a horizontal deflection value using an output signal and an input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of the horizontal slope controller; 상기 버스 디코더에서 제공되는 화소클럭으로 각 수직구간의 길이를 결정하는 수직편향용 수직위치 카운터부와,A vertical deflection vertical position counter unit for determining a length of each vertical section with a pixel clock provided from the bus decoder; 상기 버스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편향변화량 정보에 포함된 기울기 또는 증가 내지 감소 정보를 수신하여 수직 편향파의 기울기를 제어하는 수직 슬로프 제어부와,A vertical slop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clination of the vertical deflection wave by receiving inclination or increase or decreas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eflection change amount information output from the bus decoder; 상기 수직 슬로프 제어부의 출력신호와 입력 수직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수직편향값을 발생시키는 수직 편향값 발생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위치 및 비율 조절 장치.And a vertical deflection value generator for generating a vertical deflection value by using an output signal and an input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of the vertical slope controll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데코더는 상기 편향변화량 정보를 저장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립플롭 어레이 내지 플립플롭 메모리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위치 및 비율 조절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bus decoder comprises at least one flip-flop array or a flip-flop memory to store the deflection change amount informatio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플롭 어레이 내지 플립플롭 메모리는 2 비트 필드 메모리 내지 2 비트 라인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위치 및 비율 조절 장치.6. 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flip-flop array or the flip-flop memory is a 2-bit field memory or a 2-bit line memor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편향 변화량 정보의 데이터 포맷은 이후의 값들이 수평편향에 적용될 값들인지, 수직편향에 적용될 값들인지를 구별하기 위한 수직/수평편향 표시구간과,The display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data format of the deflection chang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microprocessor comprises: a vertical / horizontal deflection display section for distinguishing whether subsequent values are values to be applied to horizontal deflection or values to be applied to vertical deflection; 수평편향 내지 수직편향의 수평구간에 속하는지 수직구간에 속하는지를 구별하기 위한 구간정의 표시구간과,A section definition display section for discriminating whether it belongs to a horizontal section or a vertical section of horizontal deflection to vertical deflection;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선택 구간을 지시하기 위한 구간번호 표시구간과,A section number display section for indicating a selected section within a preset range, 편향의 실시여부를 구별하기 위한 기울기 표시구간과,Slope display section for discriminating whether deflection is implemented, 상기 기울기 표시구간의 상태에 따라 편향파의 기울기를 증가 내지 감소시키기 위한 증가/감소 표시구간과,An increase / decrease display section for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slope of the deflection wav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slope display section; 현재의 기울기로 몇 화소 내지 몇 라인 만큼 같은 기울기를 유지할 것인가를 결정하기 위한 구간길이 표시구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위치 및 비율 조절 장치.And a section length display section for determining how many pixels and how many lines to maintain the same tilt with the current til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슬로프 제어부 내지 수평 슬로프 제어부에는 상기 버스 디코더에서 제공되는 기울기 내지 상기 기울기에 대한 증가/감소 정보에 따라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증가/감소 카운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위치 및 비율 조절 장치.The deflection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orizontal slope control unit or the horizontal slope control unit includes at least one increase / decrease counter driven according to the slope provided from the bus decoder to the increase / decrease information on the slope. Position and proportioning devic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편향값 발생부 내지 수직 편향값 발생부는 상기 상기 수평 슬로프 제어부 내지 수평 슬로프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슬로프 제어신호와 증가 내지 감소된 톱니파 데이터를 더하기 위한 덧셈기와,5.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horizontal deflection value generating unit and the vertical deflection value generating unit are an adder for adding the slope control signal and the increased or decreased sawtooth wave data output from the horizontal slope control unit or the horizontal slope control unit; 상기 덧셈기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편향의 끝점에 도달했는지를 비교하는 최대편향값 비교기로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위치 및 비율 조절 장치.And a maximum deflection value comparator configured to receive the output signal of the adder and compare whether the end point of deflection has been reached. 제 9항에 있어서, 최대편향값을 동기구간폭으로 나누면 증가 내지 감소단계가 구선구간동안 편향값이 시적점으로 돌아올 수 있는톱니파가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위치 및 비율 조절 장치.10. The deflection position and ratio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dividing the maximum deflection value by the synchronization section width provides a sawtooth wave in which the increase or decrease step can return the deflection value to the time point during the sphere sectio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편향값 발생부 내지 수직 편향값 발생부는 영상신호를 정상적인 편향시 상기 수평 내지 수직 슬로프 제어부의 출력신호의 제어에 의해 저장하고, 역방향 주사시에는 상기 저장된 영상신호를 역으로 읽어내기 위한 정도 하나 이상의 라인메모리와,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orizontal deflection value generating portion or the vertical deflection value generating portion stores the image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output signal of the horizontal to vertical slope control unit during normal deflection, and reversely stores the stored image signal during reverse scanning. One or more line memories, 상기 수평 슬로프 제어부 내지 수평 슬로프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슬로프 제어신호와 증가 내지 감소된 톱니파 데이터를 더하기 위한 덧셈기와,An adder for adding the slope control signal and the increased or decreased sawtooth wave data output from the horizontal slope control unit or the horizontal slope control unit; 상기 덧셈기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편향의 끝점에 도달했는지를 비교하는 최대편향값 비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위치 및 비율 조절 장치.And a maximum deflection value comparator configured to receive an output signal of the adder and compare whether the end point of deflection has been reached.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파 데이터는 수평동기 주기의 50%씩 서로 반대방향으로 주사되는 것을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위치 및 비율 조절 장치.12. The apparatus of claim 11, wherein the sawtooth wave data is scanned in opposite directions by 50% of a horizontal synchronous period. 임의의 영상 사이즈를 갖는 입력영상을 미리 설정된 다수개의 수평구간 내지 수직구간으로 구분된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영상표시방법에 있어서,An image display method for displaying an input image having an arbitrary image size on a screen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reset horizontal sections or vertical sections, 상기 화면에 대해 원하는 영역에대해 편향변화신호를 입력하는 단계와,Inputting a deflection change signal for a desired area of the screen;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입력영상을 미리 설정된 순서에 의해 상기 수평구간과 수직구간이 서로 겹쳐져서 만들어지는 블럭단위별로 편향변화량 정보를 발생하는 단계와,Generating deflection change amount information for each block unit formed by overlapping the horizontal section and the vertical section in a predetermined order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상기 편향변화량 정보를 수신하고 디코딩하는 단계와,Receiving and decoding the deflection change amount information; 상기 디코딩된 편향변화량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순서로 해당 블럭의 수평 및/내지 수직 편향 계수 변화량을 결정하고, 이로부터 상기 편향값을 증가 내지 감소시키는 수평 및/내지 수직 편향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위치 및 비율 조절방법.Determining horizontal and / or vertical deflection coefficient change amounts of the corresponding block in a predetermined order by using the decoded deflection change information, and generating horizontal and / or vertical deflection signals that increase or decrease the deflection value therefrom. Deflection position and ratio adjust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made.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및/내지 수직 편향신호의 발생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generating of the horizontal and / or vertical deflection signal is performed. 상기 편향 변화량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Storing the deflection change information; 상기 편향 변화량정보를 수신하여 수평구간 및/내지 수직구간의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와,Determining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section and / or the vertical section by receiving the deflection change amount information; 상기 편향 변화량정보에 포함된 기울기 내지 상기 기울기의 증가/감소정보에 따라 편향값을 제어하여 수평 및/내지 수직 편향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위치 및 비율 조절방법.And generating a horizontal and / or vertical deflection signal by controlling a deflection value according to the slope included in the deflection change information and the increase / decrease information of the inclination information.
KR1019980015110A 1998-04-28 1998-04-28 Arbitrary Variable Ratio Defl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2626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5110A KR100262651B1 (en) 1998-04-28 1998-04-28 Arbitrary Variable Ratio Defl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09/157,949 US6191820B1 (en) 1998-04-28 1998-09-22 Device and method for converting aspect ratio of video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5110A KR100262651B1 (en) 1998-04-28 1998-04-28 Arbitrary Variable Ratio Deflection Apparatus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1263A true KR19990081263A (en) 1999-11-15
KR100262651B1 KR100262651B1 (en) 2000-08-01

Family

ID=19536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5110A KR100262651B1 (en) 1998-04-28 1998-04-28 Arbitrary Variable Ratio Deflection Apparatus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2651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2651B1 (en) 2000-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5589B1 (en) Synchronizing side by side pictures
KR100367432B1 (e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video display method
EP0339675B1 (en)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of displaying video information
EP0539033B1 (en) Display device
JP2558236B2 (en) Image conversion memory device
US602858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scaling and convolution for displaying computer graphics on a conventional television monitor
KR920702163A (en) Convergence Control System for Multiple Vertical Formats
CN1655228A (en) Reducing burn-in associated with mismatched video image/display aspect ratios
US6191820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verting aspect ratio of video signal
JPH0984035A (en) Digital convergence device
JPH0715704A (en) Image receiver
KR1999008126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deflection ratio of video signal
KR1999008126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display ratio of video signal
US6927800B2 (en)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and method for converting number of scan lines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S61206380A (en) Image display device
JP2000221952A (en) Image display device
KR100263708B1 (en) Portionally interpolative ratio scaling apparatus and method of video signals
JP3745589B2 (en) Scan line conversion circuit
KR970019691A (en) Digital convergence devices
KR20050111741A (en) Slow video display trick mode
JP3500715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US6008782A (en) Mapping apparatus for use with a cathode-ray tube controller for generating special screen effects
JPH066700A (en) High-vision image receiver
JPH07255017A (en) Wide aspect ratio television equipment
JPH08107547A (en) Television signal conve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