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0757A - 주변 감시용 안전 보호구 - Google Patents

주변 감시용 안전 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0757A
KR19990080757A KR1019980014224A KR19980014224A KR19990080757A KR 19990080757 A KR19990080757 A KR 19990080757A KR 1019980014224 A KR1019980014224 A KR 1019980014224A KR 19980014224 A KR19980014224 A KR 19980014224A KR 19990080757 A KR19990080757 A KR 19990080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power supply
protective device
powe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4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경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4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0757A/ko
Publication of KR19990080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0757A/ko

Links

Landscapes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 보호구에 각종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과, 설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근접센서와, 근접센서의 작동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아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안전보호구에 활선(活線)이나 전원장치에 근접하면 근접센서가 작동하여 자동적으로 경보신호를 발생하여 감전이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는 주변 감시용 안전 보호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주변 감시용 안전 보호구
본 발명은 안전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자에 근접하는 물체를 감지하여 경보음을 발생하는 안전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 배전반 설비나 각종 전력설비 작업시에 작업자의 부주의나 착오에 의하여 작업자가 전원부에 접촉하거나 감전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보호구(안전모, 작업복, 절연 장갑 등)를 착용하여 작업에 임한다.
종래에는 작업시 도 1과 같은 안전모(1)를 착용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였으나 작업자의 시야각이 한정되어 있어, 그 이외의 영역에서 발생되는 상황에 대해서는 작업자가 사전에 대처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종래에는 전원, 전기설비의 점검이나 수리시에 활선(活線) 작업이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고, 작업자는 활선으로부터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안전보호구를 착용하지만 한정된 시야각과 부주의로 인하여 항상 감전사고의 위험이 내재되어 있었고, 작업 공간의 협소함으로 인해 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전보호구에 주변 물체를 감지하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를 설치하고, 작업자가 활선(活線)이나 전원장치에 근접하면 근접센서가 작동하여 자동적으로 경보음을 발생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위험을 알리는 주변 감시용 안전 보호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안전 보호구; 상기 안전보호구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고 각종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 상기 안전 보호구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고 설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수단; 상기 안전보호구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을 공급받아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수단을 구비한다.
도 1은 종래의 안전모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안전 보호회로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의 실시예를 나타낸 안전모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지 교환구 11 : 전원공급수단(건전지)
13∼19 : 복수의 감지수단(근접스위치) 20 : 경보수단(부저)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안전 보호회로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전원공급수단(11), 근접센서(13∼19) 및 경보수단(20)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수단(11)은 각종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근접센서(13∼19)는 물체의 접근 여부를 검출하여 그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검출부(13∼19)와 그 검출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는 스위치(13′∼19′)로 구성되어 있고, 경보수단(20)은 상기 근접센서(13∼19)의 스위치(13′∼19′)의 동작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고 경보음을 발생하는 부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원공급수단(11)은 교환과 그 설치가 용이하도록 건전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휴대의 간편함을 위하여 'AA'사이즈나 'AAA'사이즈의 건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근접센서(13∼19)는 유지보수와 응답성이 좋은 자기식 근접스위치나 도체 전극을 가진 검출부에 피검지 물체가 접근하면 센서 부분의 정전용량이 크게 변화하는 현상을 이용하는 정전용량식 근접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동도면과 같이 근접센서(13∼19)를 병렬 연결로 복수개 설치하고, 복수의 근접센서(13∼19)의 출력신호에 각각 응답하는 동수의 스위치(13′∼19′)를 병렬로 설치하고 복수의 근접센서 중 하나라도 주변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물체(활선, 전원장치 등)를 감지하면, 근접센서(13∼19) 내의 해당 스위치가 비접촉으로 작동하여 턴-온 되고, 상기 근접 스위치(13′∼19′)의 작동에 따라 부저(20)는 건전지(11)로부터 소정의 전원을 공급받아 경보음(20)을 발생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도 2의 안전 보호회로의 설치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안전모(1)와, 상기 안전모(1)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고 건전지(11)를 착탈할 수 있는 전지 교환구(10)와, 상기 안전모(1)의 일정 위치에 설치되고 경보음을 발생하는 부저(20)와, 상기 안전모(1)의 일정 위치에 복수개 설치되고 근접 물체를 감지하는 복수의 근접센서(13∼19)를 나타낸다.
즉, 기존의 안전모(1)에 건전지(11)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전지 교환구(10)를 설치하고, 센서의 시야각을 넓히기 위해 안전모의 여러곳에 근접센서(13∼19)를 각각 설치한다.
상기 복수의 근접센서(13∼19)는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있어 하나의 센서라도 근접물체를 감지하면 경보음을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에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안전복이나 안전장갑 등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기설비 작업시 작업자의 부주의나 착오로 인해 전원장치나 활선에 접근할 경우 자동으로 경보음을 발생함으로써, 사고 위험을 작업자에게 전달하여 감전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동굴이나 위험한 공간에서 착용하면 보다 확실한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안전 보호구;
    상기 안전보호구에 설치되고 각종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
    상기 안전 보호구에 설치되고 설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수단;
    상기 안전보호구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을 공급받아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감시용 안전보호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보호구는,
    안전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감시용 안전보호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착탈과 교환이 용이한 건전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감시용 안전보호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안전모의 소정의 위치에 복수개 설치되고, 전기적으로 병렬로 연결되는 근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감시용 안전보호구.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는,
    소정의 위치에 건전지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전지 교환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감시용 안전보호구.
KR1019980014224A 1998-04-21 1998-04-21 주변 감시용 안전 보호구 KR199900807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4224A KR19990080757A (ko) 1998-04-21 1998-04-21 주변 감시용 안전 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4224A KR19990080757A (ko) 1998-04-21 1998-04-21 주변 감시용 안전 보호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757A true KR19990080757A (ko) 1999-11-15

Family

ID=65890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4224A KR19990080757A (ko) 1998-04-21 1998-04-21 주변 감시용 안전 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07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306B1 (ko) * 2009-12-09 2012-04-20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복합 안전모
KR101500868B1 (ko) * 2013-10-27 2015-03-12 최희정 청각장애인 작업자를 위한 안전장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306B1 (ko) * 2009-12-09 2012-04-20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복합 안전모
KR101500868B1 (ko) * 2013-10-27 2015-03-12 최희정 청각장애인 작업자를 위한 안전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53770A (en) Safety equipment for machinery used in processing plates, etc.
US5200736A (en) Assembly for monitoring helmet thermal conditions
DE69915060D1 (de) Persönliche schutzvorrichtung gegen mechanische, elektrische oder thermische gefahren
WO2016122184A1 (ko) 감전을 경보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와 연동된 수배전반이 포함된 감전 경보 수배전반 시스템
EP3309440B1 (en) A safety system
US8941494B2 (en) Safety system for flaying machine
US8710999B2 (en) Emergency power-off button with proximity alarm
KR20170096518A (ko) 전류 및 전압 측정 기능을 포함하는 절연 장갑
AU2018100719A4 (en) Voltage detection device
PT2572137E (pt) Instalações para trabalhar produtos
KR19990080757A (ko) 주변 감시용 안전 보호구
KR101528833B1 (ko) 버스바의 실시간 감시장치가 적용된 배전반 및 이의 감시방법
JP2020083483A (ja) 作業者保護具
CN211150996U (zh) 自动控制插座
KR20140006663A (ko) 안전모의 충돌 방지 장치
KR101471650B1 (ko) 송전선 접근경보장치
PL219908B1 (pl) Układ sygnalizacji przeciwpożarowej maszyn podstawowych górnictwa odkrywkowego
KR19990004877U (ko) 검전기능이 구비된 플라이어 및 드라이버
CN206097360U (zh) 一种空气开关预警控制系统
CN109079793A (zh) 工业机器人安全保护装置及其工作方法、工业机器人及其工作方法
CN105286140B (zh) 一种电力用绝缘手套及使用方法
CN105411051B (zh) 一种电力手套绝缘方法
KR101475000B1 (ko) 무전원 온도 센서 기반 부스바 온도 및 화재예지감시 기능을 가진 분전반
KR20190068248A (ko) 전기안전 시각화 장치
WO2019134054A1 (es) Dispositivo detector de tensión eléctrica aplicado a guante de seguridad para detectar la presencia de tensión eléctrica en cables, máquinas o equipos, para disminuir riesgos de accidentes por electrocució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