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0256A - 가축용 주사기 - Google Patents

가축용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0256A
KR19990080256A KR1019980013349A KR19980013349A KR19990080256A KR 19990080256 A KR19990080256 A KR 19990080256A KR 1019980013349 A KR1019980013349 A KR 1019980013349A KR 19980013349 A KR19980013349 A KR 19980013349A KR 19990080256 A KR19990080256 A KR 19990080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livestock
reservoir
handl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3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0514B1 (ko
Inventor
박지훈
Original Assignee
박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훈 filed Critical 박지훈
Priority to KR1019980013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0514B1/ko
Publication of KR19990080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0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5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50/00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사기에 마킹장치를 장착하여 주사를 놓은 가축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가축용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 이 가축용 주사기는 손잡이(52)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색액이 들어 있는 저장통(100)과, 이 저장통(100)내의 유색액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막고 있는 캡(112)과, 저장통(100)에 들어 있는 유색액을 가축에게 공급하는 액배출수단으로 구성된 마킹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축용 주사기
본 발명은 주사기에 마킹장치를 장착하여 주사를 놓은 가축을 쉽게 식별함으로써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가축용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축의 질병치료 및 예방을 위해 약액을 투여하는 경우에는 주사기를 사용한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가축용 주사기로는 한번 약액을 투여한 후에 버리는 1회용 주사기와, 약액을 자동으로 연속주입하여 약액을 투여하는 것으로, 소독하여 다시 사용하는 연속 주사기가 있다.
도 1A는 1회용 주사기의 단면도이다. 이것의 구성을 보면, 주사바늘(4)과, 전방단에 주사바늘(4)이 끼워지는 바늘꽃이구(2a)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단에 플랜지(2b)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2)과, 전방단에 케이싱(2)의 내벽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피스톤(3a)이 결합되고 후방단에 압착부(3b)가 부착되는 로드(3)로 이루어져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서, 전방단이라 함은 주사바늘(4)쪽을 말하며 후방단이라 함은 피스톤(3a)쪽을 말한다. 이러한 구조를 지닌 1회용 주사기는 한번 사용한 후에 버리기 때문에 멸균할 필요가 없으며 구조가 단순하므로 고장이 거의 없는 장점이 있다. 다음에, 도 1B는 종래의 연속 주사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것의 구성을 보면, 전방단에는 호스(9)를 통해 연속으로 약액이 주입되는 약액주입부(6a)가 형성되고 후방단에는 손잡이부(6b)가 형성된 케이싱(6)과, 약액주입부(6a)에 꽂혀 있는 주사바늘(5)과, 케이싱(6)의 내벽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피스톤(7a)이 전방단에 결합되고 압착부(7b)가 후방단에 부착되는 로드(7)와, 케이싱(6)의 후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로드(7)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마개(8)와, 이 마개(8)와 압착부(7b)사이에 끼워져 있으며, 약액 주입후에 압착부(7b)를 밀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스프링(1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의 연속 주사기는 여러 마리의 가축에게 연속으로 주사할 수 있기 때문에 접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들 1회용 주사기나 연속 주사기는 모두 별도의 마킹장치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여러 마리의 가축을 한꺼번에 주사할 때에는 접종을 마친 가축과 아직 접종하지 않은 가축을 식별하기가 매우 힘들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인이 1997년 4월 25일자로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7-15519호에는 마킹장치가 구비된 가축용 주사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1회용 주사기를 케이싱에 수납한 다음, 호스를 통해서 연속으로 약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한 연속 주사기에 마킹장치를 설치하여 주사를 놓은 가축을 식별할 수 있는 구조를 지닌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가축용 주사기에서는 마킹장치의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고 다수의 밸브를 채용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를 지닌 마킹장치를 주사기의 몸체나 손잡이에 부착하여 주사를 놓은 가축을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저가의 가축용 주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및 1B는 종래의 1회용 주사기와 연속 주사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주사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마킹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 채용한 탄성 가압판의 구성을 보인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마킹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a 및 6b는 도 5에 도시한 마킹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7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제 5실시예에 따른 마킹장치의 장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주사바늘 4:1회용 주사기
10:케이싱 50:어댑터
52:손잡이 60:마개
74:그리퍼 76:파지편
100:저장통 106:탄성 가압판
108:가동판 110:스펀지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1회용 주사기가 수납되는 케이싱과, 약액이 유입되는 약액주입부 및 주사바늘이 끼워지는 바늘꽂이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1회용 주사기의 전방단과 밀봉적으로 결합되는 커넥터와, 이 커넥터의 후방에 결합되며 외주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어댑터와, 이 어댑터의 내측에 삽입되는 마개와, 어댑터의 내부에 설치되어 1회용 주사기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플런저로 구성된 가축용 주사기에 있어서, 손잡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색액이 들어 있는 저장통과, 이 저장통 내의 유색액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막고 있는 캡과, 저장통에 들어 있는 유색액을 가축에게 공급하는 액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주사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주사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주사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마킹장치을 분리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 채용한 탄성 가압판의 구성을 보인 저면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연속 주사기는 1회용 주사기를 케이싱(10)내부에 삽입하여 연속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으로서, 본 출원인이 1997년 3월 29일자로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5-11497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것의 구성을 살펴보면, 1회용 주사기(4)가 수납되는 케이싱(10)과, 1회용 주사기(4)의 전방단(4a)과 밀봉적으로 결합되는 커넥터(20)와, 이 커넥터(20)의 전방에 배치되는 클램프(40)와, 케이싱(10)의 후방단에 결합되는 어댑터(50) 및 마개(60)와, 전방단에 1회용 주사기(4)의 가압부(6b)가 삽입되는 그리퍼(74)가 부착되고 후방단에는 손으로 누르는 파지편(76)이 부착되는 플런저(70)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10)의 내부에는 1회용 주사기(41)의 플랜지(4b)가 안착되는 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20)의 내부에는 약액의 역류방지를 위한 2개의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1회용 주사기(4)를 가압하는 플런저(70)의 구성을 보면, 1회용 주사기(4)의 가압부(6b)가 안착되는 홈(74a)이 형성된 그리퍼(74)와, 사람이 직접 손으로 누르는 파지편(76)과, 이 그리퍼(74)와 파지편(76)을 연결하는 로드(72)로 구성된다. 로드(72)의 외주부에는 마개(60)의 암나사(62)와 치합되는 스톱퍼(80)가 장착되어 있다. 스톱퍼(80)와 파지편(76)사이에는 리턴 스프링(84)이 끼워져 있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연속 주사기에 주사를 놓은 가축을 식별하기 위해 유색액을 분출시키는 방안으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손잡이(52)의 후면에 마킹장치를 설치하였다. 이것의 구성을 보면, 손잡이(52)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색액이 들어 있는 저장통(100)과, 이 저장통(100)내의 유색액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막고 있는 캡(112)과, 저장통(100)에 들어 있는 유색액을 가축에게 공급하는 액배출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저장통(100)은 걸림고리(102)에 의해서 손잡이(52)의 후방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단 외주부에는 캡(112)이 결합되는 나사부(104)가 형성되어 있다. 저장통(100)의 내측 하부에는 저장통(100)내의 유색액을 선택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액배출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 액배출수단은 액체 구두약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하부에는 스펀지(110)가 장착되어 있으며, 스펀지(110)를 저장통(100)내부로 눌러 가압하면, 내부의 가동판(108)이 탄성 가압판(106)을 압축함으로써, 가동판(108)에 형성된 배출홀(108a)을 통해 유색액이 배출되는 구조를 지닌다.
이 액배출수단은 도 3에 보다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블레이드(106b) 및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06a)를 지닌 탄성 가압판(106)과, 일측면에 스펀지(110)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스펀지(110)의 가압시에 중앙의 배출홀(108a)을 막고 있던 연장부(106a)가 상승하면서 유색액의 배출을 가능케 하는 가동판(108)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동판(108)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연성재질로 제조되어 있으므로, 스펀지(110)를 누르게 되면 상방으로 밀려 올라가면서 탄성 가압판(106)을 누르게 된다.
이때, 탄성 가압판(106)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를 지니고 있으므로, 가동판(108)에 의해서 변형되면서 배출홀(108a)을 개방할 수 있다. 이것은 탄성 가압판(106)을 하방에서 올려다 본 저면도로, 중앙에는 가동판(108)의 배출홀(108a)을 개폐하는 연장부(106a)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블레이드(106b)가 형성되어 있어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마킹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6a 및 6b는 도 5에 도시한 마킹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상기한 제 1실시예의 경우에는 스펀지를 통해서 마킹할 수 있는 영역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주사를 놓은 가축을 쉽게 식별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이 제 2실시예에서는 스펀지를 롤러식으로 구성하여 보다 넓은 영역에 걸쳐서 마킹할 수 있도록 하였다. 손잡이(52)에 부착되는 외측면에는 걸림고리(20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암나사(218)를 지닌 캡(216)이 씌워지는 나사부(204)가 형성되어 있다.
액배출수단의 구성을 보면, 중앙에 배출홀(208a)이 형성된 가동판(208)과, 스프링(218)에 의해 가압되어 있으며, 배출홀(208a)을 관통하여 수직 하방으로 배치되는 연장부(206a)를 지닌 T형 가압판(206)과, 핀(214)에 의해 연장부(206a)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212) 및 이 롤러(212)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스펀지(21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가동판(208)은 상기한 바와 같은 연성재질로 제조되어 있어 소정의 범위 내에서 변형이 가능하다. 이것을 이용한 유색액 분출과정은 다음의 도 6a 및 6b에 도시되어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롤러(212)가 가압되지 않기 때문에 가동판(208)은 원형을 유지하고 있으며, 연장부(206a)에 의해 배출홀(208a)이 막힘으로써, 유색액의 누출이 방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롤러(212)를 가압하게 되면, 스펀지(210)를 통해서 가동판(208)이 상승되면서 T형 가압판(206)이 상승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배출홀(208a)에 틈새가 생겨 유색액이 배출되기 시작한다. 배출홀(208a)을 통해 배출되는 유색액은 스펀지(210)를 통해서 가축의 털에 묻는다.
다음에, 도 7과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제 3 및 제 4실시예에 따른 마킹장치 장착도이다. 먼저,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서는 손잡이(52)의 내부에 수납홈(52a)을 형성한 다음, 이 수납홈(52a)내에 저장통(100)을 삽입하는 구조를 예시하였다. 저장통(100)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120)를 형성하여 수납홈(52a)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다.
다음에 도 8은 별도의 손잡이를 형성하지 않고도 본 발명의 저장통(100')을 손잡이 대용으로 사용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손잡이(52')의 상단부에 해당되는 부분에 나사부(52a')를 형성함과 동시에, 저장통(100')의 상단에도 나사부(122)를 형성하여 이들을 서로 결합하는 구조를 채용하였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마킹장치의 장착도이고, 도 10과 도 11은 각각, 도 9에서 선 A-A 및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들에서는 마킹재로서 잉크를 사용하였으나, 잉크의 경우에는 저장통으로부터 흘러나올 우려가 있어 보관상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서는 잉크 대신에 화장용 립스틱이나 크레용 등을 마킹재로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52")의 후방에 립스틱재나 인주와 같은 마킹재가 들어 있는 저장통(300)을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였다. 평소에는 캡(도 11의 310)이 끼워져 있으며, 사용시에는 캡(310)을 열고 조절 손잡이(302)를 돌리게 되면, 내부의 크레용(304)이 하방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지닌다.
도 10에 보다 명확히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52")의 후방면에는 요홈(52a")을 형성하였으며, 저장통(300)의 전방면에는 이 요홈(52a")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결합돌기(300a)를 형성하였다. 도 11을 보면, 저장통(300)의 중앙에는 가이드 레일(30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 일(300a)의 상단에는 푸셔(306)가 끼워져 있다. 이 푸셔(306)의 내부에는 가이드 레일(300a)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가이드 홈(306b)이 형성되어 있으며, 푸셔(306)의 하단에는 크레용(304)이 장착되어 있다. 크레용(304)의 내부에는 중공홈(304a)이 끼워져 있어 가이드 레일(300b)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조절 손잡이(302)를 잡고 손으로 돌리게 되면, 나사결합(302a, 306a)에 의해 푸셔(306)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하부홈(306)에 끼워져 있는 크레용(304)을 하강시키게 되며, 작업자는 크레용(304)을 가축의 외피에 표시하면 된다. 이때, 조절 손잡이(302)는 저장통(300)의 하단부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마킹장치를 연속 주사기의 손잡이에 장착하는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그 밖의 다른 변형도 실시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손잡이의 후방측면 대신에 유색액 저장통을 케이싱의 하부면을 따라 수평으로 나란하게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1B에 도시한 연속 주사기의 손잡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유색액이 들어 있는 저장통 대신에, 통상의 매직펜을 손잡이 부분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마킹장치의 구조가 상당히 간단하므로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롤러방식의 스펀지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보다 넓은 영역에 걸쳐 표시를 할 수 있어 식별이 용이한 이점을 지닌다.

Claims (7)

1회용 주사기가 수납되는 케이싱(10)과, 약액이 유입되는 약액주입부(22) 및 주사바늘(2)이 끼워지는 바늘꽂이구(24)가 형성되어 있으며, 1회용 주사기의 전방단(4a)과 밀봉적으로 결합되는 커넥터(20)와, 커넥터(20)의 후방에 결합되며 외주부에는 손잡이(52)가 형성된 어댑터(60)와, 상기 어댑터(60)의 내측에 삽입되는 마개(60)와, 상기 어댑터(60)의 내부에 설치되어 1회용 주사기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플런저(70)로 구성된 가축용 주사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52)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색액이 들어 있는 저장통(100)과,
상기 저장통(100)내의 유색액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막고 있는 캡(112)과,
상기 저장통(100)에 들어 있는 유색액을 가축에게 공급하는 액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주사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100)은 걸림고리(102)에 의해서 상기 손잡이(52)의 후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주사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100)은 걸림돌기(120)에 의해서 상기 손잡이(52)에 형성된 수납홈(52a)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주사기.
제 1항에 있어서,
저장통(100')은 나사부(122)에 의해서 상기 손잡이(52')에 형성된 나사부(52a')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주사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배출수단은 다수의 블레이드(106b) 및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06a)를 지닌 탄성 가압판(106)과,
일측면에 스펀지(110)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스펀지(110)의 가압시에 중앙의 배출홀(108a)을 막고 있던 상기 연장부(106a)가 상승하면서 유색액을 배출을 가능케 하는 가동판(108)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주사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배출수단은 중앙에 배출홀(208a)이 형성된 가동판(208)과,
상기 배출홀(208a)을 관통하여 수직 하방으로 배치되는 연장부(206a)를 지닌 T형 가압판(206)과,
핀(214)에 의해 상기 연장부(206a)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212) 및 이 롤러(212)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스펀지(2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주사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배출수단은 결합돌기(300a)에 의해서 손잡이(26")에 형성된 요홈(26a")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저장통(300)과,
내부에는 나사(30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저장통(300)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조절 손잡이(302)와,
상기 조절 손잡이(302)에 형성된 나사(302a)와 결합되는 나사(306a)를 지니며 하부홈(308)에 크레용(304)이 끼워져 있는 푸셔(306)와,
상기 저장통(300)의 하단에 결합되는 캡(31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주사기.
KR1019980013349A 1998-04-14 1998-04-14 가축용 주사기 KR100270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349A KR100270514B1 (ko) 1998-04-14 1998-04-14 가축용 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349A KR100270514B1 (ko) 1998-04-14 1998-04-14 가축용 주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256A true KR19990080256A (ko) 1999-11-05
KR100270514B1 KR100270514B1 (ko) 2000-11-01

Family

ID=19536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3349A KR100270514B1 (ko) 1998-04-14 1998-04-14 가축용 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05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914B1 (ko) 2011-01-11 2013-05-13 이장희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액체 주입 장치
KR102597275B1 (ko) * 2021-10-08 2023-11-03 박시은 주사바늘캡이 부착되는 주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0514B1 (ko) 2000-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5193B1 (en) Continuous injecting apparatus
US8281824B2 (en) Instrument, a system and a container for provisioning a device for personal care treatment, and a device for personal care treatment with such a container
EP0695554B1 (en) Automatic injector
US6610036B2 (en) Eye drop dispensing system
JP3928248B2 (ja) 薬液自己注入用具
US6206857B1 (en) Syringe with needle retraction arrangement
US20030032930A1 (en) Eye drop dispensing system
KR101745445B1 (ko) 가압형 약물 주입 시스템
EP1009456A4 (en) INJECTION DEVICE WITH PRE-FILLED CARTRIDGE WITH RETRACTABLE NEEDLE
KR200338799Y1 (ko) 리퀴드 타입의 화장품 도포용기
WO2015156454A1 (ko) 마킹액 분사부가 구비된 동물용 주사기와 마킹액 분사 및 약액 주입 방법
CN113613695B (zh) 喷嘴组件、注射器主体及包括其的无针注射器
KR100270514B1 (ko) 가축용 주사기
KR20000023901A (ko) 공압식 가축 방역 주사장치
KR200488129Y1 (ko) 백신 표식기
KR20050067153A (ko) 유체-전달 장치
KR20230021523A (ko) 약액통과 니들이 내장된 자동 주사기 장치
KR20230021528A (ko) 약액통과 니들이 내장된 자동 주사기 장치
KR19980078094A (ko) 가축용 주사기
KR200144790Y1 (ko) 고점도 주사액용 주사기구
KR19980075314A (ko) 1회용주사기를 사용하는 연속주사장치
KR20030044400A (ko) 동물용 연속 주사기
JP3721777B2 (ja) 薬液自己注入セット
KR102325800B1 (ko) 치과용 주사기
RU1806762C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инъек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