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0198A -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유료 시청 내역 확인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유료 시청 내역 확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0198A
KR19990080198A KR1019980013266A KR19980013266A KR19990080198A KR 19990080198 A KR19990080198 A KR 19990080198A KR 1019980013266 A KR1019980013266 A KR 1019980013266A KR 19980013266 A KR19980013266 A KR 19980013266A KR 19990080198 A KR19990080198 A KR 19990080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satellite broadcasting
digital satellite
viewing
pa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3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일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3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0198A/ko
Publication of KR19990080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0198A/ko

Links

Landscapes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디지털 위성 방송용 프로그램을 유료로 제공하기 위해 기설정된 과금에 대응하는 요금 지급을 확인한 후, 상기 디지털 위성 방송용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한 형식으로 재구성한 유료 시청 프로그램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상기 유료 시청 프로그램에 대한 표제 정보를 메모리에 순차적으로 저장함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유료 시청 프로그램에 대한 표제 정보로 구성된 유료 시청 내역을 작성하고, 이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유료 시청 내역을 외부에 출력하는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유료 시청 내역 확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 시청한 프로그램에 대한 중복 시청을 피할 수 있도록 할뿐만 아니라 유료 시청 프로그램의 제목, 지불 내용, 시청 시간대 등과 같은 표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유료 시청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유료 시청 내역 확인 방법
본 발명은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유료 시청 내역 확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위성 방송을 실시하는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유료로 시청한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였다가 보여줌으로써 유료 시청 내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유료 시청 내역 확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시대의 도래로 인해 각종 디지털 기술이 방송 분야에 적극 도입되고 있는 데, 특히, 디지털 형식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오디오/비디오 압축 기술의 발달은 디지털 위성 방송을 실현할 수 있는 직접적인 배경이 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디지털 위성 방송은 통신 위성 및 방송 기술의 발전에 힘입은 바 크며, 기존의 통신 산업과 컴퓨터 산업, 그리고 방송과 영화 산업들 간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각 분야의 특징으로 인식되었던 요소들이 다른 분야로 확대되는 현상의 결과라 할 수 있다.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근간인 디지털 DBS(Direct Broadcasting Satellite) 방송 시스템 기술은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의 MPEG 위원회(ISO/IEC JTC/SC2/WG11)에 의한 MPEG-2(Moving Picture Experts Group-2) 시스템(ISO/IEC 13818-1)과 비디오(ISO/IEC 13818-2) 및 오디오(ISO/IEC 13818-3)에 대한 표준화가 완료되고, 유럽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과제 및 ETSI(Europe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에 의한 서비스 정보(service information), 스크램블링(scrambling) 방식,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및 변조 방식 등을 포함한 디지털 TV 시스템(위성, 지상, 케이블)에 대한 표준화가 성공적으로 완료됨에 따라 이에 대한 현실화 및 기술 공유가 국제적으로 널리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주요 디지털 위성 방송 관련 서비스들의 연혁을 간단히 살펴 보면, 1994년 중반, 미국의 프라임스타 파트너즈(PrimeStar Partners)가 MPEG과 유사한 디지치퍼(Digichipher) 기술을 종래의 DSB에 적용하여 프라임스타 DBS(PrimeStar DBS) 서비스를 시작함과 동시에, 디렉텔레비전/USSB(DirecTV/ United States Satellite Broadcasting Company)도 MPEG-1 비디오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DBS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디지털 위성 방송 서비스는 본격적인 궤도에 오르게 되었다.
이후, 1996년 초반부터는 MPEG-2 기술과 DVB 표준을 적용한 티콤(Tee-Comm)사의 알파스타(Alphastar)와 에코스타 콤(Echostar Comm)사의 디쉬 네트웨크(DISH Network)가 서비스되고 있으며, 그 뒤를 이어 일본과 유럽이 각각의 통신 위성과 고유한 디지털 위성 방송 방식을 이용하여 디지털 위성 방송 서비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의 한국통신(KT; Korea Telecommunication)도 1996년 7월부터 무궁화호 위성(Koreasat)을 통해 MPEG-2 기술과 DVB 표준을 적용한 디지털 위성 방송 서비스를 시작하고 있다.
디지털 위성 방송 기술의 발달은 중계기 대역폭의 효율적인 이용, 비디오 및 오디오의 품질 개선, 수신 안테나의 소형화 등과 같은 텔레비젼 방송 측면에서의 이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와 더불어 데이터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며, 전송 신호가 디지털임에 기인하여 다른 통신 시스템이나 컴퓨터 시스템 및 서로 다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 용이하게 접속·융합할 수 있음에 따라 광범위한 기술 파급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즉, 디지털 위성 방송은 압축된 디지털 영상 및 음성을 사용하기 때문에 위성 방송 중계기 당 하나의 채널 만을 할당하던 기존의 아날로그 위성 방송과는 달리 단일 중계기에 다수의 채널을 배정할 수 있음에 따라 아날로그 위성 방송에 비해 주어진 대역을 더욱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통신 시스템과 대형 컴퓨터 시스템 등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 다양한 신종 정보 서비스의 등장을 재촉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위성 방송은 디지털 압축 영상과 음성을 제공하는 것외에도 부가적인 각종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보유하고 있으며,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함에 기인하여 아날로그 시스템에 비해 서비스 유연성, 채널 확장성 등과 같은 이점을 지니고 있음에 따라 새로운 부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잠재력을 선점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와 같은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에 양질의 프로그램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공급자가 선정하는 특정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무단으로 복제되어 불특정 다수에 의해 공유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야 하며, 특히, 디지털 위성 방송을 통해 공급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과금 체계가 적정하게 정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따라, 프로그램 공급자는 제작 비용이 많이 소요됐거나 부가가치가 높으며 재미있고 유익한 프로그램에 대해 그에 상응하는 시청료를 받고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의 내부 동작을 통해 디스크램블링하여 디지털 위성 방송의 수신자(즉, 시청자)에게 제공하게 되는 데, 이때, 수신자에 대한 과금의 인증을 수행하는 도구로써 흔히 스마트 카드(smart card)를 이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위성 방송의 수신자는 과금 체계에 따라 유료로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음에 따라 이미 시청한 프로그램에 대한 중복 시청을 피하고 싶거나 이미 시청한 프로그램에 대한 지불 내용, 시간대, 프로그램 제목 등을 확인하고 싶은 경우가 종종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디지털 위성 방송의 수신자가 기시청한 유료 시청 내역을 차후에 확인할 수 있는 대안이 제시되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별도의 규정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디지털 위성 방송을 실시하는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유료로 시청한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였다가 보여줌으로써 이미 시청한 프로그램에 대한 중복 시청을 피할 수 있도록 할뿐만 아니라 유료 시청 프로그램의 제목, 지불 내용, 시청 시간대 등과 같은 표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유료 시청 내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유료 시청 내역 확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 실시하기 위한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유료 시청 내역 확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파라볼라 안테나 20 : 동조부
30 :복조부 40 : 순방향 에러 정정부
50 : 역다중화부 60 : MPEG-2 비디오 디코더
70 : NTSC/PAL 인코더 80 : MPEG-2 오디오 디코더
90 : 오디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유료 시청 내역 확인 방법은, 디지털 위성 방송용 프로그램을 유료로 제공하기 위해 기설정된 과금에 대응하는 요금 지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과금에 대한 요금 지급이 확인됨에 따라 상기 디지털 위성 방송용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한 형식으로 재구성한 유료 시청 프로그램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유료 시청 프로그램에 대한 표제 정보를 메모리에 순차적으로 저장함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유료 시청 프로그램에 대한 표제 정보로 구성된 유료 시청 내역을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료 시청 내역을 확인하기 위한 명령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유료 시청 내역을 외부에 출력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유료 시청 프로그램에 대한 표제 정보는 상기 유료 시청 프로그램의 제목, 지불 내용, 시청 시간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 실시하기 위한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는 전파를 방사 및 흡수하는 도체인 파라볼라 안테나(parabola antenna; 10)와, 상기 파라볼라 안테나(10)에 수신된 전파에서 전송 패킷 반송파를 임피던스 정합에 의해 동조시키는 동조부(tuner; 20)와, 상기 전송 패킷 반송파로부터 QPSK 복조(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demodulation)를 통해 전송 패킷을 분리하는 복조부(30)와, 상기 전송 패킷 신호에 대해 순방향 에러 정정(FEC; Forward Error Correction)을 수행하는 순방향 에러 정정부(40)와, 순방향 에러 정정부(40)에 결합되어 순방향 에러 정정부(40)의 출력으로부터 MPEG-2 비디오 데이터와 MPEG-2 오디오 데이터를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부(DEMUX; 50)와, 상기 MPEG-2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MPEG-2 비디오 디코더(60)와, 상기 MPEG-2 비디오 디코더(60)의 출력을 텔레비젼 수상기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NTSC(National Television Standard Committee) 또는 PAL(Phase Alternation by Lines) 방식으로 인코딩하는 NTSC/PAL 인코더(70)와, 상기 역다중화부(50)에 결합되어 MPEG-2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MPEG-2 오디오 디코더(80)와, 상기 MPEG-2 오디오 디코더(80)의 출력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DAC; Digital-to-Analog Conversion)을 수행하는 오디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9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에 대한 작용을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 디지털 위성 방송용 안테나로는 개구면적과 초점 거리에 의해 지향성이 결정되는 파라볼라 안테나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데, 이는 포물면에서 전파가 반사되어 개구면의 방향으로 거의 평면파가 방사되는 바, 단방향성의 매우 날카로운 지향성과 고이득이 얻어짐에 따라 위성 방송과 같은 마이크로파용 안테나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우선, 상기 동조부(20)가 파라볼라 안테나(10)에 수신된 전파로부터 전송 패킷 반송파를 임피던스 정합에 의해 동조시키면, 상기 복조부(30)에서는 대표적인 디지털 변복조 방식인 QPSK 복조를 통해 상기 전송 패킷 반송파로부터 전송 패킷을 분리하며, 순방향 에러 정정부(40)를 통해 상기 전송 패킷에 대해 순방향 에러 정정을 수행하여 전송되어 온 데이터 내에서 자체적인 에러 정정 기법으로 에러를 정정한다.
이후, 역다중화부(50)가 순방향 에러 정정이 수행된 상기 전송 패킷의 헤더를 참조하여 전송 패킷으로부터 MPEG-2 비디오 데이터와 MPEG-2 오디오 데이터를 분리하여 역다중화하면, 상기 MPEG-2 비디오 디코더(60)가 상기 MPEG-2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NTSC/PAL 인코더(70)에 인가함에 따라 NTSC/PAL 인코더(70)는 상기 MPEG-2 비디오 디코더(60)의 출력을 텔레비젼 수상기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NTSC 또는 PAL 방식으로 인코딩하고, 상기 MPEG-2 오디오 디코더(80)는 MPEG-2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오디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90)에 인가하면, 오디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90)는 상기 MPEG-2 오디오 디코더(80)의 출력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한 후에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이와 같은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를 본 발명을 적용 실시하기 위한 수신기의 일 실시예로 채택하는 위성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유료 시청 내역 확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유료 방송은 미국의 케이블 TV(CATV), 일본의 BS/CS(Broadcasting Satellite/Communication Satellite)에 의한 상업 방송, 프랑스의 지상파에 의한 유료 케이블 TV(PAY CABLE TV) 방송 등이 이를 실용화한 이래로, 최근의 BS/CS에 의한 위성 통신 방송의 유료화는 일반화되고 있는 실정인 데, 계약 가입자에게는 프로그램의 시청을 가능하게 하고 비계약자에게는 시청이 불가능하도록 전기적으로 스크램블을 거는 방식이 가장 일반적 형태이다. 즉, 방송 사업자는 시청자와 계약 조건에 의해 일정 요금을 받고 계약자에게는 디코더를 사용해 정상적으로 프로그램을 디스크램블(즉, 복원)하여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비계약자, 디코더가 설치되어 있어도 요금을 납부하지 않은 요금 미납자 또는 계약 조건이 상이한 시청자는 스크램블을 걸어 프로그램의 시청을 불가능하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유료 시청 내역 확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유료 시청 내역 확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순차적인 과정을 단계적으로 수행한다.
우선, 단계 S10에서는 디지털 위성 방송용 프로그램을 유료로 제공하기 위해 기설정된 과금에 대응하는 요금 지급을 확인한다.
예컨대,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인 셋톱 박스(set-top box)에는 PPV(Pay Per View)라는 기능이 있어 채널별 또는 프로그램별로 스크램블(scramble)되어 있는 방송 프로그램을 유료로 디스크램블(descramble)한 후,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데, 이때, 요금 지급을 확인하기 위한 과금 방식으로는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으나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는 방식이 대표적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스마트 카드(smart card)는 컴퓨터나 전자기기에서 어떤 독립된 의사 결정 기능을 제공하는 내장 논리나 펌웨어(firmware)를 장비한 회로 기판으로, 소량의 지능과 기억 장치를 제공하는 집적회로를 내장하고 있는 인증 카드를 가리킨다.
단계 S20에서는 상기 과금에 대한 요금 지급이 확인됨에 따라 상기 디지털 위성 방송용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한 형식으로 재구성한 유료 시청 프로그램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즉, 요금 지급이 확인되면, 스크램블링된 프로그램을 디스크램블링한 유료 시청 프로그램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단계 S30에서는 상기 유료 시청 프로그램에 대한 표제 정보를 메모리에 순차적으로 저장함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유료 시청 프로그램에 대한 표제 정보로 구성된 유료 시청 내역을 작성한다.
여기서, 상기 유료 시청 프로그램에 대한 표제 정보는 상기 유료 시청 프로그램의 제목, 지불 내용, 시청 시간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40에서는 상기 유료 시청 내역을 확인하기 위한 명령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유료 시청 내역을 외부에 출력한다. 이때, 출력 방식으로는 모니터, 스피커와 같은 시청각적인 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프린터와 같은 인쇄 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물론, 단계 S10의 확인 결과, 상기 과금에 대한 요금 지급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디지털 위성 방송용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을 불허한다.
이와 같이 자신이 유료로 시청한 프로그램에 대한 표제 정보를 저장하였다가 보여줌으로써 필요시에 이미 시청한 프로그램의 중복 시청을 피할 수가 있으며, 유료 시청 프로그램의 제목, 지불 내용, 시청 시간대 등과 같은 표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유료 시청 내역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원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인 난이도 측면을 고려할 때, 당분야에 통상적인 기술을 가진 사람이면 용이하게 본 발명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와 다른 변형을 가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설명에서 사상을 인용한 실시예와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모두 귀속됨은 명백하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디지털 위성 방송용 프로그램을 유료로 제공하기 위해 기설정된 과금에 대응하는 요금 지급을 확인한 후, 상기 디지털 위성 방송용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한 형식으로 재구성한 유료 시청 프로그램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상기 유료 시청 프로그램에 대한 표제 정보를 메모리에 순차적으로 저장함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유료 시청 프로그램에 대한 표제 정보로 구성된 유료 시청 내역을 작성하고, 이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유료 시청 내역을 외부에 출력하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유료 시청 내역 확인 방법에 따르면, 이미 시청한 프로그램에 대한 중복 시청을 피할 수 있도록 할뿐만 아니라 유료 시청 프로그램의 제목, 지불 내용, 시청 시간대 등과 같은 표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유료 시청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디지털 위성 방송용 프로그램을 유료로 제공하기 위해 기설정된 과금에 대응하는 요금 지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과금에 대한 요금 지급이 확인됨에 따라 상기 디지털 위성 방송용 프로그램을 시청 가능한 형식으로 재구성한 유료 시청 프로그램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유료 시청 프로그램에 대한 표제 정보를 메모리에 순차적으로 저장함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유료 시청 프로그램에 대한 표제 정보로 구성된 유료 시청 내역을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료 시청 내역을 확인하기 위한 명령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유료 시청 내역을 외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유료 시청 내역 확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금 지급은,
    스마트 카드(smart card)를 이용하여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유료 시청 내역 확인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료 시청 프로그램에 대한 표제 정보는,
    상기 유료 시청 프로그램의 제목과 지불 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유료 시청 내역 확인 방법.
KR1019980013266A 1998-04-14 1998-04-14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유료 시청 내역 확인 방법 KR199900801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266A KR19990080198A (ko) 1998-04-14 1998-04-14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유료 시청 내역 확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266A KR19990080198A (ko) 1998-04-14 1998-04-14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유료 시청 내역 확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198A true KR19990080198A (ko) 1999-11-05

Family

ID=65890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3266A KR19990080198A (ko) 1998-04-14 1998-04-14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유료 시청 내역 확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019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3713B2 (en) Television signal distributor apparatus, receiver apparatus, television signal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719146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ng program guides to meet subscriber criteria
US8769581B2 (en) Backwards compatible real-time program guide capacity increase
US6772434B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integrated presentation of a secondary service as a part of a primary service
US8584173B2 (en) Automatic selection of video programming channel based on scheduling information
US8990875B2 (en) Internet service provider callback for satellite systems
US8869212B2 (en) Separate addressing of a media content receiver and an installed removable circuit device
US200900468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ching access information for faster digital cable tuning
US5563892A (en) Method of upgrading the program transport capacity of an RF broadcast channel
MXPA04002163A (es) Sistemas, metodos y formatos de transmision para proveer una plataforma comun para redes de television por satelite de difusion directa.
US692284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program guides according to originating network
US6961956B2 (en) Simplified digital settop box
US8607297B2 (en) Remote setting of recording timers
US200600595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 video program for user instruction
US76611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n-resident program guide information to a media subscriber
US703613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fied program guide information to a media subscriber
KR100339659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부가서비스 데이터 처리 장치
KR100312713B1 (ko) 디지털위성방송시스템을이용한캡션방송장치
KR19990080198A (ko)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유료 시청 내역 확인 방법
KR100248232B1 (ko)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프로그램 복제 방지 방법
KR100240077B1 (ko)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 시스템의 에러 보정 방법
US20100005484A1 (en) Point of Deployment Module to Retrofit Upstream Transmission Capability to an Audiovisual Device
Sohn et al. Digital DBS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TV and data broadcasting using Koreasat
KR100720678B1 (ko) 수신기용 방송수신모듈
KR20060020784A (ko) 디지털위성방송수신기의 정보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