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7990A - 색이미지용국소광택필름 - Google Patents

색이미지용국소광택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7990A
KR19990077990A KR1019990009096A KR19990009096A KR19990077990A KR 19990077990 A KR19990077990 A KR 19990077990A KR 1019990009096 A KR1019990009096 A KR 1019990009096A KR 19990009096 A KR19990009096 A KR 19990009096A KR 19990077990 A KR19990077990 A KR 19990077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loss
film
present
photoiniti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엔니그크라머러스티
윌자크우즈시에취
Original Assignee
아그파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그파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아그파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19990077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99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3/00Colour separation; Correction of tonal value
    • G03F3/10Checking the colour or tonal value of separation negatives or positives
    • G03F3/102Lamination or delamination method or apparatus for colour proof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G03F7/34Imagewise removal by selective transfer, e.g. peeling awa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hotosensitive Polymer And Photoresist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 복사선에 노출된 영역 내의 이미지 보유 수용체 시이트에 광택성 광휘를 제공하는 반면, 비노출 영역은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매트질인 색 시스템용 국소 광택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 필름 부재는 박리 가능한 투명 커버 시이트와, 가교된 페놀층과, 광택층(유기 바인더, 중합성 성분, 미립자 물질 및 임의의 광개시제를 포함함)과, 광접착층(중합성 성분, 바인더 및 임의의 광개시제를 포함함)과, 열가소성 접착제 층을 순서대로 포함한다. 이 국소 광택 필름을 이미지 보유 수용체 시이트에 적층한다. 광택층과 광접착층을 투명 커버 시이트와 가교된 페놀층을 통해 활성 복사선에 노출시킨다. 이미지 보유 수용체 시이트와 투명 커버 시이트를 박리한 후, 가교된 페놀층 및 광택층의 비노출 영역을 상기 커버 시이트에 부착된 상태로 남기는 한편, 광택층의 노출 영역 및 광접착층의 비노출 영역을 이미지 보유 수용체 시이트에 부착된 상태로 남긴다.

Description

색 이미지용 국소 광택 필름{Spot Gloss Film For Color Images}
본 발명은 색 교정쇄(校定刷) 필름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색 교정쇄 필름 시스템에 사용되는 신규한 국소 광택 층(spot gloss layer)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필름은 색 교정쇄 필름 이미지에 광택을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평판 인쇄 분야에서는, 한 세트의 색 분해용 필름을 사용하여 금속 성분의 평판인쇄판을 제조하기 전 상기 색 분해용 필름의 교정을 돕기 위해 다색 교정쇄(multicolor proof)를 제조하는 것이 좋다. 상기 교정체는 인쇄 공정 중 궁극적으로 얻어지는 색의 질을 재현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교정쇄는 목적하는 중간색조(halftone) 이미지의 일관된 복제물이어야 한다. 색 교정쇄를 육안으로 조사하여, 상기 색 분해용 물질을 사용하는 프레스 인쇄를 통한 연색성(演色性)을 예측할 수 있어야 하며, 인쇄판을 제조하기 전에 변경시킬 필요가 있는 상기 색 분해물 상의 어떠한 흠결도 알 수 있어야 한다. 두가지 일반적인 유형의 광이미지화 방법, 소위 중첩 유형과 단일 시이트 유형이 존재한다.
색 교정쇄 방법의 중첩 유형에서는, 대응하는 색의 감광 용액을 도포하므로써 각각의 색 분해용 필름의 한 이미지를 제조하기 위해 별개의 투명한 플라스틱 지지체를 사용한다. 그 후, 대응하는 색들의 이미지를 운반하는 지지체를 흰색 시이트 위에 서로 중첩시켜 색 교정쇄 복합체를 제조한다. 이러한 중첩 유형의 접근방식의 예로는 미국 특허 제3,136,637호, 제3,211,553호 및 제3,326,682호에 기재되어 있다. 단일 시이트의 유형의 색 교정쇄법에서는, 단일의 수용체 시이트상에 상이한 색 분해용 필름들로부터 상이한 색들의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형성시키므로써 하나의 색 교정쇄 시이트를 제조한다. 이것은 착색제 또는 유색 감광층을 하나의 불투명한 지지체에 연속하여 도포하므로써 완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일 시이트 유형의 접근법의 예는 미국 특허 제3,574.049호, 제3,671,236호, 제4,260,673호, 제4,366,223호, 제4,650,738호, 제 4,656,114호 및 제4,659,642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미지 구현 열 전달법과 광중합법을 사용하는 단일 시이트 색 교정쇄를 제조하는 다양한 공정들이 공지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3,060,023호, 제3,060,024호, 제3,060,025호, 제3,481,736호 및 제3,607,264호에 기재되어 있다. 색 교정 시스템을 박리하는 법 또한 공지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한 미국 특허 제4,963,462호, 제5,049,476호, 제4,910,120호 및 제5,108,868호에는 박리 현상 가능한, 단일 시이트 색 교정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4,489,154호에는 박리 현상 공정에 의해 단일층 색 교정쇄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한 미국 특허 제5,300,399호에는 네가티브(negative) 작용 색 교정쇄 필름을 제조하는 박리 색 교정쇄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색 교정쇄 필름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 선택된 이미지 부분에 광택성 마무리물을 도포하는 것이 좋다. 또한, 특정 이미지에 매트질의 마무리물을 도포하여 수용체 시이트의 일정 부분은 광택이 있게 하고, 다른 부분은 광택이 없게 하거나 또는 실제로 부분 또는 전체가 매트질이 되도록 하는 이중의 효과를 달성하도록 하는 것도 좋다. 최근에는, 일정한 이미지 보유 기재에 본 발명의 박리 사진 부재를 사용하여 광택층을 도포하므로써 하나의 광택층이 선택된 이미지 영역에 도포된다는 것이 예기치 않게 밝혀졌다. 즉, 상기 광택층이 활성 복사선에 노출되어 상기 이미지 위에 전달되면, 광택이 남는 반면, 상기 광택층의 노출되지 않고 제거된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 부분은 비광택성으로 남거나 또는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매트질이 된다. 본 발명의 광택층은, 내부에 미립자 물질이 매립된 반투명한 감광성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미지의 표면에 광택성 광휘(光輝)가 이미지화 방식으로 전달되면, 이미지의 소정 부분이 광택성 광휘를 나타낸다. 임의로, 매립된 입자들은 나머지 이미지들을 돋을 새김으로 하여 상기 광택층의 비이미지 영역을 요철로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나머지 이미지에 매트질의 표면을 형성시킨다.
본 발명은 위로부터 아래로, 하기 (i) 내지 (v)를 포함하는 국소 광택 필름을 제공한다:
(i) 박리 가능한 투명 커버 시이트,
(ii) 페놀기를 함유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가교층,
(iii) 유기 바인더와, 1개 이상의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중합성 성분과, 미립자 물질과, 임의의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광택층으로서, 상기 바인더는 광택층 성분들을 균일한 필름으로 결합시키는 데 충분한 분량으로 존재하며, 상기 임의의 광개시제는, 존재하는 경우, 상기 중합성 성분의 중합 반응을 개시하기에 충분한 분량으로 존재하며, 상기 중합성 성분은 상기 필름이 이미지화 방식으로 활성 복사선에 노출되는 경우 이미지 분화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분량으로 존재하고, 상기 미립자 물질은 광택층 내에서 미립자 물질의 균일한 현탁액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분량으로 존재하는 것인 광택층,
(iv) 1개 이상의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중합성 성분과, 바인더와, 임의의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광접착층으로서, 상기 임의의 광개시제는, 존재하는 경우, 상기 중합성 성분의 중합 반응을 개시하기에 충분한 분량으로 존재하며, 상기 광택층과 광접착층 중 하나 이상은 광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인 광접착층, 및
(v) 열가소성 접착제 층.
또한, 본 발명은 하기 (A) 내지 (D) 단계를 포함하여, 광택 피복된 유색 이미지를 형성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A) 위로부터 아래로,
(i) 박리 가능한 투명 커버 시이트,
(ii) 페놀기를 함유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가교층,
(iii) 유기 바인더와, 1개 이상의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중합성 성분과, 미립자 물질과, 임의의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광택층으로서, 상기 바인더는 광택층 성분들을 균일한 필름으로 결합시키는 데 충분한 분량으로 존재하며, 상기 임의의 광개시제는, 존재하는 경우, 상기 중합성 성분의 중합 반응을 개시하기에 충분한 분량으로 존재하고, 상기 중합성 성분은 상기 필름이 이미지화 방식으로 활성 복사선에 노출되는 경우 이미지 분화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분량으로 존재하며, 상기 미립자 물질은 광택층 내에서 미립자 물질의 균일한 현탁액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분량으로 존재하는 것인 광택층,
(iv) 1개 이상의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중합성 성분과, 바인더와, 임의의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광접착층으로서, 상기 임의의 광개시제는, 존재하는 경우, 상기 중합성 성분의 중합 반응을 개시하기에 충분한 분량으로 존재하며, 상기 광택층과 광접착층 중 하나 이상은 광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인 광접착층, 및
(v) 열가소성 접착제 층
포함하는 국소 광택 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국소 광택 필름을 이미지 보유 수용체 시이트에 적층시키는 단계,
(C) 광택층과 광접착층을 투명 커버 시이트 및 가교된 페놀층을 통해 이미지화 방식으로 활성 복사선에 노출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이미지 보유 수용체 시이트와 투명 커버 시이트를 박리시키므로써, 가교된 페놀층 및 광택층의 비노출 영역을 커버 시이트에 부착된 상태로 남기는 한편, 광택층의 노출 영역과 광접착층 및 접착제 층의 비노출 영역을 이미지 보유 수용체 시이트에 부착된 상태로 남기는 단계.
본 발명은 또한 하기 (i) 내지 (iv) 단계를 포함하여, 광택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i) 페놀기를 함유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가교된 층을 박리 가능한 투명 커버 시이트에 도포하는 단계,
(ii) 상기 가교된 층 위에 반투명한 광택층을 도포하는 단계로서, 상기 광택층은 유기 바인더와, 1개 이상의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중합성 성분과, 미립자 물질과, 임의의 광개시제를 포함하며, 상기 바인더는 광택층 성분들을 균일한 필름으로 결합시키기에 충분한 분량으로 존재하며, 상기 임의의 광개시제는, 존재하는 경우, 상기 중합성 성분의 중합 반응을 개시하기에 충분한 분량으로 존재하고, 상기 중합성 성분은 필름이 이미지화 방식으로 활성 복사선에 노출되는 경우 이미지 분화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분량으로 존재하며, 상기 미립자 물질은 광택층 내에 미립자 물질의 균일한 현탁액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분량으로 존재하는 것인 단계,
(iii) 1개 이상의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중합성 성분과, 바인더와, 상기 중합성 성분의 중합 반응을 개시하기에 충분한 분량으로 존재하는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광접착층을 상기 광택층 위에 도포하여 상기 중합성 성분과 광개시제를 광택층 내로 확산시키는 단계, 및
(iv) 상기 광접착층 위에 열가소성 접착제 층을 도포하는 단계.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국소 광택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국소 광택 필름은 이미지를 수용한 기재의 선택된 부분에 광택성 표면을 제공할 수 있는 필름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국소 광택 필름은 박리 가능한 투명 커버 시이트에 일련의 층들을 형성시키므로써 제조한다. 이들 층들은 가교된 페놀층, 광택층, 광접착층 및 열가소성 접착제 층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커버 시이트는 임의의 적당한 가요성 시이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단 광택층 및 광접착층 모두에 감응하는 활성 복사선을 투과시켜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커버 시이트는 치수적으로 안정한 표면을 지니며, 적층시 약 60℃ 내지 약 120℃의 범위로 가열하여도 치수가 거의 변화하지 않아야 한다. 바람직한 커버 시이트 물질의 일종으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커버 시이트는 두께가 약 1 mil 내지 약 10 mil인 것이 바람직하며, 약 2 mil 내지 약 5 mil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약 2 mil 내지 약 3 mil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적당한 필름으로는 ICI에서 시판하는 Melinex 054, 504, 505 및 582 필름과 훽스트 셀라니스 코포레이션에서 시판하는 Hostaphan 4400, 4500 및 4540 필름이 적당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지지체의 표면은 매끄러울 수 있거나 혹은 Melinex 475 필름에서와 같이 매트질의 텍스쳐가 제공될 수 있다. 매끄러운 표면이 바람직한데, 이는 거친 표면이 활성 복사선을 산란시키므로 감광성 부품의 분해능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커버 시이트 위에는 가교된 층이 존재하는데, 이 가교층은 페놀기를 함유하는 중합체로 이루어진다. 페놀성 중합체의 예로는 노볼락(크레졸-포름알데히드 수지), 폴리히드록시스티렌 단독중합체, 폴리히드록시스티렌 공중합체 또는 페놀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합체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 에폭시 수지, 아지리딘 수지, 아크릴계 단량체를 사용하여 적당한 열 및/또는 빛의 존재하에서 가교할 수 있다. 가교된 페놀층은 용매 피복 조성물로부터 커버 시이트상에 도포되는데, 가교된 페놀층은 후속층을 피복하는 데 사용된 용매 중에 용해되지 않아야 한다. 유용한 용매로는 물 뿐 아니라 유기 용매를 들 수 있다.
그 후, 상기 가교된 페놀층에 광택층을 도포한다. 광택층은 미립자 물질, 바인더, 광개시제 및 중합성 성분을 포함하는데, 상기 중합성 성분은 적어도 1개, 바람직하게는 1개 이상의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일 수 있다. 광택층은 이들 성분을 모두 함유하는 조성물 형태로 제조될 수 있거나 또는 바인더와 미립자 물질의 혼합물을 페놀층 위에 피복하므로써 제조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광개시제 및 중합성 성분은 후속 도포되는 광접착층으로부터 광택층 내로 확산된다.
상기 광택층 및 광접착층 내의 중합성 성분은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말단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함유하며, 자유 라디칼 개시되는 연쇄 전파 첨가 중합 반응에 의해 고분자량 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는, 첨가 중합성, 비기체상태(표준 대기압에서 비점이 100℃ 이상임)의 에틸렌계 불포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로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를 들 수 있으며 이는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적당한 중합성 단량체로는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모노히드록시펜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에톡실레이트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에톡실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프로폭실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및 비스페놀 A 디에폭사이드 디메타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택층과 광접착층 내의 중합성 성분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광택층 및/또는 광접착층 내에 사용된 자유 라디칼 유리(遊離)용 광개시제는 활성 복사선에 의한 자극을 통해 자유 라디칼을 방출하는 임의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광개시제로는 미국 특허 제3,765,898호에 기재된 퀴녹살린 화합물; 미국 특허 제2,367,670호에 기재된 비시날(vic) 폴리케탈도닐 화합물; 미국 특허 제2,367,661호 및 제2,367,670호에 기재된 α-카르보닐; 미국 특허 제2,448,828호에 기재된 아실로인 에테르; 미국 특허 제3,479,185호에 기재된 트리아릴이미다졸릴 이량체; 미국 특허 제2,722,512호에 기재된 α-탄화수소 치환된 방향족 아실로인; 미국 특허 제2,951,758호 및 제3,046,127호에 기재된 다핵성 퀴논; 및 미국 특허 제3,987,037호 및 제4,189,323호에 기재된 s-트리아진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장 바람직한 광개시제로는 2,3-디(4-메톡시페닐)퀴녹살린, 9-페닐아크리딘, 2-비페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5-트리아진, 비스(2,4,5-트리페닐)이미다졸, 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티오크산톤, 아세토페논, 아실 포스핀 옥사이드 및 이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도체란 용어는 상기 화합물이 화합물의 광개시화를 방해하지 않는 현수기를 함유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광택층 및/또는 광접착층 내에 사용된 광개시제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또한, 광택층은 피복물의 경도 및/또는 가요성을 결정할 뿐 아니라 건식 현상 공정을 조절하는 데 사용되는 결합용 수지를 함유한다. 유색 층에 적합한 것으로 밝혀진 결합용 수지로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스티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및 이들의 반 에스테르(half ester), 아크릴계 중합체 및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폴리비닐 피롤리돈, 셀룰로오즈 및 이들의 유도체, 페놀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결합용 수지로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및 폴리비닐 아세탈(예, 유니온 카바이드에서 시판하는 UCAR 수지, 폴리비닐 포름알, 폴리비닐 부티랄 및 폴리비닐 프로피온알)이 있다.
광택층 내의 미립자 물질은 광택층을 반투명하게 만드는 플라스틱 비이드 및 중공 구와 같은 작은 입자 형태의 임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미립자 물질의 예로는 실리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 포름알과 스티렌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미국 특허 제4,855,225호에 기재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가 유용하다. 이들 입자의 평균 직경은 약 0.1 ㎛ 내지 약 1.0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약 0.2 ㎛ 내지 약 0.8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약 0.3 ㎛ 내지 약 0.6 ㎛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미립자 물질은 광택층 성분들로 이루어진 현탁액 중에 존재한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 있어서, 광개시제 성분은 광택층 내의 고형분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분량으로 광택층 내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택층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중량% 내지 약 15 중량%가 더욱 바람직한 범위이며, 약 1 중량% 내지 약 10 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결합제 성분은 기재에 피복될 때 전술한 성분들을 균일한 혼합물로, 그리고 균일한 필름으로 결합시키기에 충분한 분량으로 광택층 내에 존재한다. 광택층내의 고형분 중량을 기준으로 약 10 중량% 내지 약 90 중량%의 분량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약 20 중량% 내지 약 80 중량%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중합성 성분은 상기 광택층의 총 고형분 중량을 기준으로 광택층 내에 약 1 중량% 내지 약 60 중량%의 분량으로 존재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분량으로 존재한다. 미립자 물질 성분은 광택층 성분들로 이루어진 거의 균일한 현탁액을 형성하기에 충분하면서, 동시에 광택층을 반투명하게 만드는 분량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광택층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약 1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약 5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광택층내에 임의로 존재할 수 있는 기타의 성분으로는 열 중합 반응 억제제, 점착제, 올리고머, 잔류 용매, 계면활성제, 비활성 충전제, 할레이션 방지제(antihalation agents), 수소 원자 공여체, 광활성화제 및 광학 증백제를 포함한다. 또한 가소제는 본 발명의 광택층 및/또는 광접착층 내에 포함되어 피복물이 부서지는 것을 방지하고 조성물을 필요한 경우 유연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가소제로는 디부틸프탈레이트, 트리아릴포스페이트 및 이들의 치환된 동족체가 적당하며, 디옥틸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이 광택층을 용매 피복 조성물로부터 가교된 페놀 층에 도포하고 건조시킨다. 상기 광택층의 다양한 성분들은 다양한 용해도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광택층에 대해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형적인 용매로는 메틸 에틸 케톤, 2-메톡시에탄올, 1-메톡시-2-프로판올, 4-히드록시-4-메틸-2-펜타논,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아세톤 알코올 및 γ-부티로락톤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광택층의 피복 중량은 약 0.1 g/m2내지 약 5 g/m2이며, 약 0.2 g/m2내지 약 2 g/m2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교된 페놀층의 피복 중량은 약 0.1 g/m2내지 약 5 g/m2이며, 약 0.4 g/m2내지 약 2.0 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택층에는 광접착층이 부착된다. 광접착층은 바인더와, 임의의 광개시제와, 1개 이상의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중합성 성분과, 폴리비닐 아세탈 단편과 폴리비닐 알코올 단편을 포함하는 임의의 중합체(폴리비닐 알코올 함량이 약 1 중량% 내지 약 40 중량%임)를 포함한다.
광접착층에 사용할 수 있는 바인더로는 광택층에 대해 유용한 것으로 전술한 어떠한 바인더도 포함한다. 광접착층 중에 사용할 수 있는 바인더의 분량은 광택층에 대해 유용한 것으로 수록한 분량과 같다.
광접착층에 사용하는 임의의 광개시제로는 광택층에 대해 유용한 것으로 전술한 광개시제 중 어떠한 것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광개시제 성분은 광접착층 내 고형분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분량으로 광접착층 중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 2 중량% 내지 약 15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며, 약 3 중량% 내지 약 10 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광개시제는 광택층과 광접착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존재해야 한다.
1개 이상의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중합성 성분은 광택층에 대해 유용한 것으로 수록한 것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합성 성분은 광접착층의 고형분 중량을 기준으로 광접착층 내에 약 5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분량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 10 중량% 내지 약 45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며, 약 15 중량% 내지 약 40 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임의의 폴리비닐 아세탈 성분은 사용하는 경우, 이것은 광접착층 내 총 고형분 중량을 기준으로 광접착층 중에 약 5 중량% 내지 약 85 중량%의 분량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약 20 중량% 내지 약 70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며, 약 30 중량% 내지 약 65 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비닐 아세탈 단편 및 비닐 알코올 단편을 포함하는 중합체의 비닐 알코올 함량은 약 1 중량% 내지 약 40 중량%이며, 약 3 중량% 내지 약 30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며, 약 5 중량% 내지 약 25 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적당한 중합체로는 폴리비닐 부티랄 및 폴리비닐 프로피오날을 들 수 있는데, 예컨대 몬산토에서 제조한 Butvars 79, 76, 90, 98, 72, 73 및 74, 훽스트 아게에서 시판하는 Mowitals B30HH, B60HH 및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한 미국 특허 제4,665,124호에 기재된 수지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광접착층은 임의로, 그러나 바람직하게 광중합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적당한 광중합성 중합체로는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 부티랄 또는 기타 아세탈 수지와 이소시아네이토 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우레탄 부가 반응 생성물 또는 히드록시 함유 아세탈 수지와 메타크릴 산 무수물, 아크릴산, 염화아크릴로일 등의 반응 생성물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중합체는 에틸렌계 불포화 광가교성 기를 함유하며 분자량이 약 3,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50,000 내지 약 200,000인 것이다. 바람직한 광중합성 중합체는 하기 (a) 내지 (d)의 랜덤 유닛을 포함한다:
(a)
(b)
(c)
(d)
상기 식 중,
a = 50 ∼ 99%
b = 1 = 30%
c = 0 ∼ 30%
d = 0 ∼ 50%, a+b+c+d = 100%
R1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 수가 1개 내지 약 6개인 치환 또는 비치환 알킬 라디칼이거나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아릴 라디칼이고,
R2또는이고,
(식 중, Z은 수소 또는 메틸이고, Y는 탄소 원자 수가 1개 내지 약 4개인 치환 또는 비치환 알킬기임)
R3은 탄소 원자수가 1개 내지 약 4개인 알킬 라디칼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치환된"이란 용어는 중합체의 감광성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현수기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광중합성 중합체는 폴리비닐 아세탈(예, 폴리비닐 부티랄)과 (메트)아크릴화 모노이소시아네이트(예, 아크릴로일 이소시아네이트, 메타크릴로일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소시아네토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반응 생성물이다. 이러한 반응은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지 않는 유기 용매(예, 테트라히드로푸란, 메틸 에틸 케톤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 중에서 일어날 수 있다. 반응은 이러한 공지의 촉매(예,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에 의해 임의로 촉매화될 수 있다.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중합체 또한, 폴리비닐 알코올 및 그 공중합체, 페놀성 수지 등에서와 같이, 전술한 모든 (메트)아크릴산기 함유 시약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화가 가능한 중합체상의 기타 반응기로는 아미노, 카르복실, 에폭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트)아크릴화 폴리비닐 아세탈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광중합성 중합체 성분은 광접착층 내 총 고형분 중량을 기준으로 광접착층 내에 약 3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분량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약 5 중량% 내지 약 40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며,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광접착층은 임의로 UV 흡수체(예, GAF에서 Uvinul D-50으로 시판함), 대전 방지용 조성물(예, GAF에서 Gafac 및 Gafstat으로 시판함), 광학 증백제, 비활성 충전제, 열 중합 반응 억제제, 잔류 용매, 계면활성제, 할레이션 방지제, 수소 원자 공여체, 점착제 및 가소제(예, 캠브리지 인더스트리즈에서 Resoflex R-296으로 시판함)과 같은 기타 소정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광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성분들을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 중에 용해하므로써 조성물이 기재에 잘 도포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용매로는 물, 테트라히드로푸란, n-부틸 아세테이트, 이소부틸 이소부티레이트, 글리콜 에테르(예,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및 메틸 셀로솔브), 알코올(예, 에탄올 및 n-프로판올) 및 케톤(예, 메틸 에틸 케톤)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일단 용매 조성물이 적당한 기재에 도포되면, 용매 조성물은 피복 조성물로부터 증발한다. 그러나, 미량의 용매가 잔류물로 남을 수 있다. 또한, 광접착층으로부터의 중합성 단량체는 상도 피복 공정 중 광택층 내로 확산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광택층에 광중합성 단량체를 제공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광택층의 피복 용액 중에 광중합성 단량체를 포함시키지 않으면서, 피복 및 건조 공정 또는 층들의 적층 공정 중에 광중합성 단량체가 광접착층으로부터 광택층으로 이동하게 하는 방법이 있다. 확산 현상을 통해 단량체가 이동하는 이러한 공정은 다중 이미지화 시스템을 제조하는 분야의 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합성 단량체는 상기 부재를 활성 복사선에 노출시켰을 때 그것이 어떻게 광택층의 일부가 되었는가에 관계 없이 광택층 내에 존재하는 것이 중요하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광접착층의 피복 중량은 약 2 g/m2내지 약 20 g/m2인 것이 바람직하고, 약 3 g/m2내지 약 10 g/m2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후의 부재로는 광접착층 상에 직접적으로 피복된 열가소성 접착제 층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접착제 층은 탈수 피복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다. 이들의 예로는 카보셋(Carboset) 아크릴 수지, 폴리비닐 아세테이트/크로톤산 공중합체, 폴리비닐 피롤리돈/폴리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션, 스티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우레탄 중합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접착제 층은 바로밑의 광접착층을 방해하지 않는 용매로 피복되어야 한다. 물이 용매로서 바람직하다. 이 접착제 층은 최대 약 10 중량%의 분량으로 존재할 수 있는 가소제와 최대 약 10 중량%의 분량의 uv 흡수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층의 피복 중량은 약 2 g/m2내지 약 20 g/m2이어야 하며, 약 5 g/m2내지 약 15 g/m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약 6 g/m2내지 약 10 g/m2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직접적인 상도 피복법 대신,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층들을 서로 고온 적층시키므로써 전술한 감광성 부재를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층은, 약 50℃ 내지 약 18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0℃ 내지 약 12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60℃ 내지 약 100℃의 온도 범위의 열과 압력을 사용하여 적층하는 경우 이미지 보유 수용체 시이트에 전달될 수 있어야 한다.
수용체 시이트는 적층 및 건식 현상 공정을 견딜 수 있는 실질적인 어떠한 물질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백색 플라스틱 시이트(예, ICI에서 시판하는 예비 접착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Melinex 3020 필름)가 이 목적에 유용하다. 플라스틱 피복 종이 시이트[예, 스코엘러(Schoeller)에서 시판하는 폴리에틸렌 피복 종이] 또한 사용할 수 있다. 기타의 기제로는 목재, 유리, 금속, 종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체 시이트상의 이미지는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그 예로는 전술한 미국 특허들에 기재된 임의의 색 교정 방법에 의해 수용체 시이트 상에 형성되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시, 접착제 층을 수용체 시이트상의 이미지와 접촉시킨 후, 그 물질을 적당한 압력하에서 한 쌍의 가열된 적층용 롤러의 닙 내로 도입시키므로써 이미지 보유 수용체 시이트에 본 발명의 국소 광택 필름을 적층한다. 적당한 적층 온도는 대개 약 60℃ 내지 약 120℃이며,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이다. 그 후, 국소 광택 필름 부재를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수단에 의해 노출시킨다. 이같은 노출은 진공 프레임 조건하에서 종래의 중간색조 네가티브 색 분해 공정을 통해 광원으로부터 나온 활성 복사선에 노출시키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수은 증발 방전 램프가 금속 할라이드 램프에 비해 바람직하다. 기타의 복사선 광원으로 탄소 아크, 펄스된 크세논 및 레이저도 사용할 수 있다. 광선 흡수용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물질의 광선 산란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노출 후, 정상의 연속적인 동작으로 실온에서 상기 수용체 시이트로부터 투명한 커버 시이트를 박리하므로써 광접착층 및 접착제 층을 통해 상기 이미지 보유 수용체 시이트 상에 네가티브 국소 광택 이미지를 정착시킨다. 박리 방향에 대해 바람직한 박리 각도는 90。 이상이다. 박리를 통해 광택층의 광노출된 영역을 광접착층에 부착된 상태로 남겨 두는데, 이들은 수용체 시이트 위의 접착제 층을 통해 수용체 시이트에 일체적으로 부착된다. 광택층의 비노출 영역은 커버 시이트 상의 페놀층 위에 남겨 두는데, 이는 수용체 시이트로부터 박리된다.
따라서, 국소 광택을 수용체 시이트 이미지 위에 남긴다. 즉, 박리 후 교정쇄의 이미지화 방식으로 노출된, 선택적 영역에 광택성 피복물이 전달된다. 따라서, 교정쇄의 일부는 광택성이며, 일부는 비광택성이다. 선택되는 광택층 성분 및 노출 조건에 따라, 광택층의 제거된 부분은 광접착층을 도드라지게 만들 수 있는데, 이는 전체적으로 교정쇄 이미지 상에 전달된다. 이 엠보싱 공정은 상기 나머지 교정쇄, 즉 광택층의 비노출 영역과 중첩하는 부분을 흐릿한 또는 매트질의 외관으로 만든다. 매트화 정도는 당업자에 의해 쉽게 설정되거나 조절될 수 있다. 광택층과 광접착층을 광경화시키기 위한 균일한 블랭킷 노출에 의해 최종적인 4점 교정쇄를 얻을 수 있다.
다음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수록한 것으로서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네가티브 작용 다중층 국소 광택 부재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PET로 된 2 mil 시이트상에, #12 메이어(Meyer) 막대를 사용하여 다음 용액을 피복하였다.
1. 메틸 에틸 케톤 - 47 g
2. 메톡시 프로판올 - 47 g
3. 폴리-p-히드록시 스티렌(12,000 MW, Maruzen) - 10 g
4.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Cymel 303, Cytel) - 2 g
5. p-톨루엔설폰산 - 1 g
상기 층을 100℃의 오븐에서 2 분간 가교시켰다. 건조 중량은 1 g/m2였다.
이 가교된 층 위에, #12 메이어 막대를 사용하여 국소 광택 용액을 피복하였다.
1. 메톡시 프로판올 - 53 g
2. 메틸 에틸 케톤 - 13 g
3. 디아세톤 알코올 - 20 g
4. Formvar 12/85 폴리비닐 포름알 수지, Monsanto - 3.0 g
5. 실리카 입자(Syloid 7000, WR Grace) - 0.2 g
상기 광택층을 100℃의 오븐에서 1 분간 건조시켰다.
이 광택층 위에, #24 메이어 막대를 사용하여 광접착층 용액을 피복하였다.
1. n-부틸 아세테이트 - 50 g
2. 메타크릴레이트기 함유 중합체(미국 특허 제5,300,399호, 실시예 1) - 10 g
3.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Sartomer 399, Sartomer Co) - 4 g
4. 2-비페닐일-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 0.6 g
상기 층의 건조 두께는 4 g/m2이었다.
이 광접착층 위에, #20 메이어 막대를 사용하여 접착제 용액을 피복하였다.
1. 물 - 44 g
2. 아크릴 수지(Carboset 511, BF Goodrich) - 28 g
3. 폴리우레탄 수지(Sancure 2104, BF Goodrich) - 25 g
이 접착제 층을 건조시켰으며 그 건조 두께는 6 g/m2이었다.
이미지화 방식으로 노출하는 동안, 미국 특허 제5,300,399호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제조한 Agfa에서 시판하는 4색 프레스매치 건조 네가티브 교정쇄(four-color Pressmatch Dry Negative proof)에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상기 부재들을 적층하였다. Stouffer 단계쐐기(단계 마다 밀도를 0.15 씩 증가시켜 나감)를 통해 활성 광선에 30 초간 노출시키고 박리 현상한 후, 약간 매트질인 백그라운드에 대해 네가티브 광택성 이미지가 나타났다.
실시예 2
또 다른 네가티브 작용 다중층 국소 광택 부재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PET로 된 2 mil 시이트상에, #12 메이어 막대를 사용하여 다음 용액을 피복하였다.
1. 메틸 에틸 케톤 - 47 g
2. 메톡시 프로판올 - 47 g
3. 폴리-p-히드록시 스티렌(12,000 MW, Maruzen) - 10 g
4.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Cymel 303, Cytel) - 2 g
5. p-톨루엔설폰산 - 1 g
상기 층을 100℃의 오븐에서 2 분간 가교시켰다. 건조 중량은 1 g/m2였다.
이 가교된 층 위에, #12 메이어 막대를 사용하여 국소 광택 용액을 피복하였다.
1. 메톡시 프로판올 - 53 g
2. 메틸 에틸 케톤 - 13 g
3. 디아세톤 알코올 - 20 g
4. Formvar 12/85 폴리비닐 포름알 수지, Monsanto - 3.0 g
5. 실리카 입자(Aerosil OX-50, Degussa) - 0.2 g
상기 광택층을 100℃의 오븐에서 1 분간 건조시켰다.
이 광택층 위에, #24 메이어 막대를 사용하여 광접착층 용액을 피복하였다.
1. n-부틸 아세테이트 - 50 g
2. 메타크릴레이트기 함유 중합체(미국 특허 제5,300,399호, 실시예 1) - 10 g
3.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Sartomer 399, Sartomer Co) - 4 g
4. 2-비페닐일-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 0.6 g
상기 층의 건조 두께는 4 g/m2이었다.
이 광접착층 위에, #20 메이어 막대를 사용하여 접착제 용액을 피복하였다.
1. 물 - 44 g
2. 아크릴 수지(Carboset 511, BF Goodrich) - 28 g
3. 폴리우레탄 수지(Sancure 2104, BF Goodrich) - 25 g
이 접착제 층을 건조시켰으며 그 건조 두께는 6 g/m2이었다. 이미지화 방식으로 노출시키는 동안, 미국 특허 제5,300,399호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제조한 Agfa에서 시판하는 4색 프레스매치 건조 네가티브 교정쇄에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상기 부재들을 적층하였다. Stouffer 단계쐐기(단계 마다 밀도를 0.15 씩 증가시켜 나감)를 통해 활성 광선에 30 초간 노출시키고 박리 현상한 후, 약간 매트질인 백그라운드에 대해 네가티브 광택성 이미지가 나타났다.
실시예 3
네가티브 작용 다중층 국소 광택 부재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PET로 된 2 mil 시이트상에, #12 메이어 막대를 사용하여 다음 용액을 피복하였다.
1. 메틸 에틸 케톤 - 47 g
2. 메톡시 프로판올 - 47 g
3. 폴리-p-히드록시 스티렌(12,000 MW, Maruzen) - 10 g
4.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Cymel 303, Cytel) - 2 g
5. p-톨루엔설폰산 - 1 g
상기 층을 100℃의 오븐에서 2 분간 가교시켰다. 건조 중량은 1 g/m2였다.
이 가교된 층 위에, #12 메이어 막대를 사용하여 국소 광택 용액을 피복하였다.
1. 메톡시 프로판올 - 53 g
2. 메틸 에틸 케톤 - 13 g
3. 디아세톤 알코올 - 20 g
4. Formvar 12/85 폴리비닐 포름알 수지, Monsanto - 3.0 g
5. PMMA 비이드(미국 특허 제4,885,225호) - 0.2 g
상기 비이드를 용액 중에 넣고 즉시 피복하여 PMMA에 대한 용매 침식을 막았다. 광택층을 100℃의 오븐에서 1 분간 건조시켰다.
이 광택층 위에, #24 메이어 막대를 사용하여 광접착층 용액을 피복하였다.
1. n-부틸 아세테이트 - 50 g
2. 메타크릴레이트기 함유 중합체(미국 특허 제5,300,399호, 실시예 1) - 10 g
3.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Sartomer 399, Sartomer Co) - 4 g
4. 2-비페닐일-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 0.6 g
상기 층의 건조 두께는 4 g/m2이었다.
이 광접착층 위에, #20 메이어 막대를 사용하여 접착제 용액을 피복하였다.
1. 물 - 44 g
2. 아크릴 수지(Carboset 511, BF Goodrich) - 28 g
3. 폴리우레탄 수지(Sancure 2104, BF Goodrich) - 25 g
이 접착제 층을 건조시켰으며 그 건조 두께는 6 g/m2이었다. 이미지화 방식으로 노출시키는 동안, 미국 특허 제5,300,399호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제조한 Agfa에서 시판하는 4색 프레스매치 건조 네가티브 교정쇄에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상기 부재들을 적층하였다. Stouffer 단계쐐기(단계 마다 밀도를 0.15 씩 증가시켜 나감)를 통해 활성 광선에 30 초간 노출시키고 박리 현상한 후, 약간 매트질인 백그라운드에 대해 네가티브 광택성 이미지가 나타났다.
본 발명은 색 교정쇄 필름 시스템용 국소 광택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색 교정쇄 필름 이미지에 광택을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Claims (26)

  1. 위로부터 아래로, 하기 (i) 내지 (v)를 포함하는 국소 광택 필름:
    (i) 박리 가능한 투명 커버 시이트,
    (ii) 페놀기를 함유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가교층,
    (iii) 유기 바인더와, 1개 이상의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중합성 성분과, 미립자 물질과, 임의의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광택층으로서, 상기 바인더는 광택층 성분들을 균일한 필름으로 결합시키는 데 충분한 분량으로 존재하며, 상기 임의의 광개시제는, 존재하는 경우, 상기 중합성 성분의 중합 반응을 개시하기에 충분한 분량으로 존재하고, 상기 중합성 성분은 상기 필름이 이미지화 방식으로 활성 복사선에 노출되는 경우 이미지 분화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분량으로 존재하며, 상기 미립자 물질은 광택층 내에서 미립자 물질의 균일한 현탁액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분량으로 존재하는 것인 광택층,
    (iv) 1개 이상의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중합성 성분과, 바인더와, 임의의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광접착층으로서, 상기 임의의 광개시제는, 존재하는 경우, 상기 중합성 성분의 중합 반응을 개시하기에 충분한 분량으로 존재하며, 상기 광택층과 광접착층 중 하나 이상은 광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인 광접착층, 및
    (v) 열가소성 접착제 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물질은 평균 직경이 약 0.1 ㎛ 내지 약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물질은 평균 직경이 약 0.2 ㎛ 내지 약 0.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물질은 평균 직경이 약 0.3 ㎛ 내지 약 0.6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물질은 실리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접착층은 폴리비닐 아세탈 단편과 폴리비닐 알코올 단편을 포함하는 중합체를 더 포함하며, 폴리비닐 알코올 함량은 약 1 중량% 내지 약 4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택층과 광접착층 모두 광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계 불포화 중합성 성분은 필름 적층시 층간 확산을 통해 광택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성분은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에톡실레이트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에톡실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프로폭실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디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에폭사이드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비스페놀 A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개 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2,3-디(4-메톡시페닐)퀴녹살린, 9-페닐아크리딘, 2-비페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5-트리아진, 비스(2,4,5-트리페닐)이미다졸, 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아세토페논, 티오크산톤, 아실 포스핀 옥사이드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종이상의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택층은 스티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및 이들의 반 에스테르, 아크릴계 중합체 및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폴리비닐 피롤리돈, 셀룰로오즈 수지, 페놀 수지, 폴리비닐 아세탈,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결합용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12. 하기 (A) 내지 (D) 단계를 포함하여, 광택 피복된 유색 이미지를 형성시키는 방법:
    (A) 위로부터 아래로,
    (i) 박리 가능한 투명 커버 시이트,
    (ii) 페놀기를 함유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가교층,
    (iii) 유기 바인더와, 1개 이상의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중합성 성분과, 미립자 물질과, 임의의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광택층으로서, 상기 바인더는 광택층 성분들을 균일한 필름으로 결합시키는 데 충분한 분량으로 존재하며, 상기 임의의 광개시제는, 존재하는 경우, 상기 중합성 성분의 중합 반응을 개시하기에 충분한 분량으로 존재하고, 상기 중합성 성분은 상기 필름이 이미지화 방식으로 활성 복사선에 노출되는 경우 이미지 분화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분량으로 존재하며, 상기 미립자 물질은 광택층 내에서 미립자 물질의 균일한 현탁액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분량으로 존재하는 것인 광택층,
    (iv) 1개 이상의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중합성 성분과, 바인더와, 임의의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광접착층으로서, 상기 임의의 광개시제는, 존재하는 경우, 상기 중합성 성분의 중합 반응을 개시하기에 충분한 분량으로 존재하며, 상기 광택층과 광접착층 중 하나 이상은 광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인 광접착층, 및
    (v) 열가소성 접착제 층
    을 포함하는 국소 광택 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국소 광택 필름을 이미지 보유 수용체 시이트에 적층시키는 단계,
    (C) 광택층과 광접착층을 투명 커버 시이트 및 가교된 페놀층을 통해 이미지화 방식으로 활성 복사선에 노출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이미지 보유 수용체 시이트와 투명 커버 시이트를 박리시키므로써, 가교된 페놀층 및 광택층의 비노출 영역을 커버 시이트에 부착된 상태로 남기는 한편, 광택층의 노출 영역과 광접착층 및 접착제 층의 비노출 영역을 이미지 보유 수용체 시이트에 부착된 상태로 남기는 단계.
  13. 제12항에 있어서, 광택층의 노출 영역과 광접착층의 비노출 영역을 이미지 수용 시이트에 부착된 상태로 남기는 노출 후의 후속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물질은 평균 직경이 약 0.1 ㎛ 내지 약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물질은 평균 직경이 약 0.2 ㎛ 내지 약 0.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물질은 평균 직경이 약 0.3 ㎛ 내지 약 0.6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물질은 실리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접착층은 폴리비닐 아세탈 단편과 폴리비닐 알코올 단편을 포함하는 중합체를 더 포함하며, 폴리비닐 알코올 함량이 약 1 중량% 내지 약 4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택층과 광접착층 모두 광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계 불포화 중합성 성분은 필름 적층시 층간 확산을 통해 광택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성분은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에톡실레이트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에톡실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프로폭실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디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에폭사이드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비스페놀 A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개 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2,3-디(4-메톡시페닐)퀴녹살린, 9-페닐아크리딘, 2-비페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5-트리아진, 비스(2,4,5-트리페닐)이미다졸, 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아세토페논, 티오크산톤, 아실 포스핀 옥사이드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종이상의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택층은 스티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및 이들의 반 에스테르, 아크릴계 중합체 및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폴리비닐 피롤리돈, 셀룰로오즈 수지, 페놀 수지, 폴리비닐 아세탈,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결합용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 시이트는 종이, 피복된 종이 또는 중합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하기 (i) 내지 (iv) 단계를 포함하여, 광택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i) 페놀기를 함유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가교된 층을 박리 가능한 투명 커버 시이트에 도포하는 단계,
    (ii) 그 가교된 층 위에 반투명한 광택층을 도포하는 단계로서, 상기 광택층은 유기 바인더와, 1개 이상의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중합성 성분과, 미립자 물질과, 임의의 광개시제를 포함하며, 상기 바인더는 광택층 성분들을 균일한 필름으로 결합시키기에 충분한 분량으로 존재하며, 상기 임의의 광개시제는, 존재하는 경우, 상기 중합성 성분의 중합 반응을 개시하기에 충분한 분량으로 존재하고, 상기 중합성 성분은 필름이 이미지화 방식으로 활성 복사선에 노출되는 경우 이미지 분화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분량으로 존재하며, 상기 미립자 물질은 광택층 내에 미립자 물질의 균일한 현탁액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분량으로 존재하는 것인 단계,
    (iii) 1개 이상의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중합성 성분과, 바인더와, 상기 중합성 성분의 중합 반응을 개시하기에 충분한 분량으로 존재하는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광접착층을 상기 광택층 위에 도포하여 상기 중합성 성분과 광개시제를 광택층 내로 확산시키는 단계, 및
    (iv) 상기 광접착층 위에 열가소성 접착제 층을 도포하는 단계.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광접착층은 폴리비닐 아세탈 단편과 폴리비닐 알코올 단편을 포함하는 중합체를 더 포함하며, 폴리비닐 알코올 함량이 약 1 중량% 내지 약 4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90009096A 1998-03-19 1999-03-18 색이미지용국소광택필름 KR199900779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44,732 US5928834A (en) 1998-03-19 1998-03-19 Spot gloss film for color images
US9/044,732 1998-03-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990A true KR19990077990A (ko) 1999-10-25

Family

ID=21934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096A KR19990077990A (ko) 1998-03-19 1999-03-18 색이미지용국소광택필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28834A (ko)
EP (1) EP0943966A1 (ko)
JP (1) JPH11311857A (ko)
KR (1) KR19990077990A (ko)
AU (1) AU2127099A (ko)
BR (1) BR9904632A (ko)
CA (1) CA22661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7684B2 (en) * 2004-12-16 2008-05-06 D Souza Ian C Jewelry with battery powered illumination
CN104972724B (zh) * 2015-05-27 2017-05-03 江苏斯迪克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亚光pet离型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04950A1 (de) * 1992-02-19 1993-09-09 Hoechs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hrfarbenbilds und lichtempfindliches material zur durchfuehrung dieses verfahrens
DE4216359A1 (de) * 1992-05-18 1993-12-02 Hoechs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hrfarbenbilds und lichtempfindliches Material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US5300399A (en) * 1993-01-21 1994-04-05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Negative working, peel developable, single sheet color proofing system having a crosslinked layer containing a polymer with phenolic moieties
US5437959A (en) * 1994-01-25 1995-08-0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tective coating for imaging elements
US5660968A (en) * 1995-05-05 1997-08-26 Bayer Corporation Negative working, peel developeable, single sheet color proofing system with improved background color
US5738970A (en) * 1997-03-24 1998-04-14 Bayer Corporation Negative working, peel developable, single sheet color proofing system with polyvinyl acetal photoadhering 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127099A (en) 1999-09-30
US5928834A (en) 1999-07-27
BR9904632A (pt) 2001-03-20
CA2266150A1 (en) 1999-09-19
JPH11311857A (ja) 1999-11-09
EP0943966A1 (en) 1999-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36947C (en) Photopolymerizable, positive working, peel developable, single sheet color proofing system
US5049476A (en) Photopolymerizable, positive working, peel developable, single sheet color proofing system
EP0680625B1 (en) Negative working, peel developable, single sheet color proofin system having a crosslinked layer containing a polymer with phenolic moieties
US5545506A (en) Method of producing an image using a negative working, peel developable, single sheet color proofing system
EP0365358B1 (en) Preparation of receiver sheet materials for peel developable, single sheet color proofing system
EP0437015B1 (en) Positive working, peel developable, colour proofing system having two photosensitive layers
EP0514186A1 (en) Photopolymerizable, negative working, peel developable, single sheet color proofing system
EP0867768B1 (en) Negative working, peel developable, single sheet color proofing system with polyvinyl acetal photoadhering layer
US5660968A (en) Negative working, peel developeable, single sheet color proofing system with improved background color
US6261734B1 (en) Peel-developable single sheet color proofing system with laminated adhesive layers
EP0782046B1 (en) Negative working peel apart color proofing process
EP0365357A2 (en) Negative-working, photo-polymerizable color proofing film without triplet oxygen quenching
KR19990077990A (ko) 색이미지용국소광택필름
US5236806A (en) Photopolymerizable, positive working, peel developable, single sheet color proofing system
US6143461A (en) Process for obtaining a color image with improved resolution
JPH11242328A (ja) ポジ型の剥離現像可能な色校正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