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6444A - 커 터 날 - Google Patents

커 터 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6444A
KR19990076444A KR1019980011548A KR19980011548A KR19990076444A KR 19990076444 A KR19990076444 A KR 19990076444A KR 1019980011548 A KR1019980011548 A KR 1019980011548A KR 19980011548 A KR19980011548 A KR 19980011548A KR 19990076444 A KR19990076444 A KR 19990076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cutter blade
cutting
cutter
cutting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1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명호
Original Assignee
조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명호 filed Critical 조명호
Priority to KR1019980011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6444A/ko
Publication of KR19990076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444A/ko

Links

Landscapes

  • Knives (AREA)

Abstract

스트립형 커터날(strip-type cutter blade) 31은 길이로 길게 연장된 평행사변형 형태의 칼날로서, 이 커터날 31상에는 다수 개의 절단선 33이 제공되어 다수 개의 평행사변형 형태의 작은 블레이드 섹션(blade section) 32를 형성한다.
각 블레이드 섹션 32의 하측변은 아래쪽으로 궁형으로 돌출하여 궁형으로 돌출한 절단날 34를 형성한다.
이 궁형으로 돌출한 절단날 34가 하측변 37의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커터날 31의 릿지형태의 날이 선 절단날 37을 구성한다.
부채꼴 짧은 커터날(fan-shaped short cutter blade) 61은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변(side)을 가지고 있으며, 수직의 축 X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하측변(bottom side) 63은 궁형으로 돌출된 절단날 64를 형성하게 된다.

Description

커터날
본 발명은 커터칼의 칼날(cutter blade)에 관한 것으로, 특히 궁형으로 돌출한 절단날(arcuately projeccting cutting edge(s))을 가진 칼날에 관한 것이다.
1] 기술적 분야 및 배경
일반적으로, 소위 "커터칼(cutter knife)"로 불리는 칼용구(knife apparatus)는 종이, 끈, 포장 테이프 등을 자르는데 사용되며, 이것은 길이로 길게 연장되는 홈 또는 통로(groove or channel)가 형성된 칼 손잡이 또는 칼 내장구(knife holder or grip)와 이 홈에 내장되어 이 홈의 밖으로 연장되어 나오거나 홈안으로 다시 넣어지는 커터날(cutter blade), 그리고 이 커터날에 연결된 이동구(slider member)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 5와 12는 선행기술의 기존 커터날(cutter blade)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 5의 스트립형 커터날(strip-type cutter blade) 41은 길이로 길게 연장되는 평행사변형 형태로 단날형(sing1e edged), 즉 하측변을 따라 날이 날카롭게 세워져 있다.
커터날 41의 날카롭게 날이 선 절단날(cutting edge) 44는 커터날 41의 전 길이에 따라 죽 곧은 일직선의 형태이다.
커터날 41은 다수 개의 평행사변형 형태인 작은 블레이드 섹션(parallelogram-shaped blade section) 42를 가지고 있는 바, 이것은 다수 개의 절단선(weakened lines) 43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개개의 블레이드 섹션 42의 절단날 44도 당연히 죽 곧은 일직선의 형태이다.
도면 5에 도시한 바처럼, 이 절단선 43은 커터날 41의 길이에 대하여 일정하게 기울어지도록 제공되는 바, 따라서 커터날 41상의 최외측 블레이드 섹션 42의 절단날 44의 최극단 뾰죽한 끝부분(extreme tip point) 48은, 커터날 41의 고정구멍 45의 반대쪽에, 커터날 41의 최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 최극단 뾰죽한 끝부분 48이 뭉툭하게 되면, 커터날 41의 끝에 위치한 블레이드 섹션(blade section) 42는 절단선 43을 따라 부러져 버려지며, 새로운 블레이드 섹션 42를 사용하게 된다.
도면 12에 도시된 기존의 짧은 커터날 46은 대강(帶鋼)으로 된 사다리꼴 형태의 칼날(trapezoid-shaped blade of band steel)이다.
커터날 46의 절단날(cutting edge) 47의 최극단 뾰죽한 끝부분 48이 뭉툭하게 되면 이 커터날 46은 그대로 버려지고 새 커터날 46이 칼 손잡이에 갈아 넣어지게 된다.
2) 발명의 배경
도면 5와 12에 도시한 바처럼, 기존의 커터날 41과 46은 각각 죽 곧은 직선 형태의 절단날 44와 47을 가지고 있다.
도면 7은 기존의 커터를 사용한 일반적인 절단작업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절단작업을 처음 시작할 때, 커터손잡이 40의 커터날 41은 절단대상(예로 종이) 30에 대해 각도 A로 상당히 기울어진 상태로 접촉하게 된다. 절단작업을 거의 끝마칠 때쯤이면, 커터날 41은 절단대상 30에 대해 각도 B로 거의 세워진 상태로 접촉하게 된다.
그러나, 절단작업의 전과정동안 내내 커터날 41(또는 46)의 절단날(cutting edge) 44(또는 47)의 최극단 뾰죽한 끝부분 48 부분만 절단대상 30에 닿게 된다.
도면 6은 커터날 41에서 분리된 작은 평행사변형 형태의 낱 개의 블레이드 섹션(blade section) 42를 도시하고 있다. 점이 찍힌 부분은 커터날 41의 최극단 뾰죽한 끝부분 48이 뭉툭하게 된 것을 나타낸다.
도면 6에 도시한 바처럼, 블레이드 섹션 42의 절단날 44의 최극단 뾰죽한 끝부분(sharpened extreme tip point) 48만 절단작업에 사용된 다음 낱 개의 블레이드 섹션 42는 부러져 버려지게 된다.
3) 기존의 결점
따라서, 이처럼 절단날(cutting edge) 44의 최극단 뾰죽한 끝부분 48 부분만 반복적으로 절단작업에 사용되므로, 이 최극단 뾰죽한 끝부분 48이 너무나 쉽게 뭉툭하게 닳아 버리게 되어 절단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고, 사용자를 매우 짜증나게 만드는 점등은 기존 커터날의 최대의 결점이다.
나아가, 이 커터날은 대개 고가의 강(鋼) 합금으로 만들어지므로, 단지 최극단 뾰죽한 끝부분 48만 뭉툭하게 되면 낱 개의 블레이드 섹션 42 전체를 버리는 것은 돈과 자원의 낭비이다.
또, 커터로 접은 종이를 연속해서 자를 경우, 커터날 41의 절단날 44가 너무 날카로우므로 잘라진 종이의 가장자리가 죽 곧고 가지런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2] 발명의 목적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절단대상을 완벽하게 절단하며, 절단날을 오랫동안 사용하고, 돈과 자원을 절약하며, 접은 종이의 잘라진 종이 시트의 가장자리가 고르고 가지런하게 잘라지는, 궁형으로 돌출한 절단날을 가진 새로운 커터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3] 선행기술에 대한 기술 ;
선행기술에 있어, 궁형으로 구부러진 절단날을 가진 커터날은 존재하지 않았다.
4] 발명의 실시예 설명
본 발명 커터날의 첫째 실시예는 스트립형 커터날(strip-type cutter blade)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립형 커터날(strip-type cutter blade)"은 길이로 길게 연장되는 평행 사변형 형태의 칼날(longitudinally extending parallelogram- shaped blade)을 지칭하는바, 이 스트립형 커터날은 대개 대강(帶鋼 ; band steel)으로 만들어지며, 이 커터날에서 블레이드 섹션을 연속적으로 절단하여 새로운 절단날을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 스트립형 커터날(strip-type cutter blade) 31은, 도면 1에 도시한 바처럼, 길이로 길게 연장된 평행사변형 형태의 칼날(parallelogram-shaped blade)로서, 상측변, 하측변 37, 좌측변 36 및 우측변을 가지고 있다.
도면 1에서, 커터날 31의 짧은 우측변 근처에는 고정용 구멍 35가 제공되어 있으며, 하측변(bottom side) 37은 날카롭게 날이 세워져 절단날 37을 구성하고 있다.
이 커터날 31상에는 다수 개의 절단선(weakened lines or frangible recesses) 33이 커터날(cutter blade) 31의 길이를 따라 일정 거리를 두고, 그 커터날(cutter blade) 31상에 반복적으로 서로 평행되게 형성된다.
개개의 절단선 33은 커터날 31의 길이에 대하여 일정하게 기울어진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두 개의 절단선 33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평행사변형 형태의 작은 블레이드 섹션(blade section) 32가 다수 개 커터날 31 상에 형성된다.
각 블레이드 섹션 32의 하측변은 아래쪽으로 궁형으로 돌출하여 궁형으로 돌출한 절단날 34를 형성하며, 두 개의 절단날 34 사이에, 절단선 33의 끝부분에는 계곡부 39가 형성하게 된다.
다수 개의 블레이드 섹션 32가 커터날 31 상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궁형으로 돌출한 절단날 34와 계곡부 39는 이 커터날 31의 하측변 37의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커터날 31의 하측변 37은, 도면 1에 도시한 바처럼, 궁형으로 돌출한 날이 선 절단날 34와 계곡부 39 다수 개를 가지게 되며, 이것들이 커터날 31의 릿지형태(이랑형태 ; ridge-shaped)의 날이 선 절단날 37을 구성하게 된다.
달리 말한다면, 커터날 31의 릿지형태의 날이 선 절단날 37은, 궁형으로 돌출한 날이선 절단날 34와 계곡부 39 다수 개가 이 커터날 31의 하측변 37의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반복적으로 제공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낱 개의 블레이드 섹션 32가 이 절단선 33을 따라 절단될 경우 이 커터날 31은 궁형으로 돌출한 날이 선 절단날 34를 가진 평행사변형 형태의 블레이드 섹션 32 여러 개로 분할되게 된다.
도면 2는 커터날 31에서 부러져 분리된 블레이드 섹션 32를 확대도로서, 여기에서 블레이드 섹션 32는 궁형으로 돌출한 형태의 날이 선 절단날 34를 가지고 있다.
이 기울어진 절단선 33은 커터날 31의 길이에 대하여 일정하게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되, 도면 1에 도시한 바처럼, 커터날 31상의 최외측 블레이드 섹션 32의 절단날 34의 외측 끝부분(outer end part) 3이, 커터날 31의 고정구멍 35의 반대쪽에, 커터날 31의 최외측에 위치하도록 커터날 31의 길이에 대하여 일정하게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이 커터날 31은, 도면 3에 도시한 바처럼, 공지의 손잡이 40에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된다. 이 커터날 31을 공지의 이동구(slider member) 50에 연결할 경우, 이 커터날 31에 형성된 고정구멍(fixing hole) 35를 이동구 50에 형성된 공지의 고정용 돌출부(fixing column)에 끼워 고정시킨다.
이 커터날 31을 손잡이 40으로부터 밀어 내거나 밀어 넣을 때는 이 커터날에 연결되어 있는 공지의 이동구 50을 좌·우로 이동시키게 된다.
도면 5에 도시한 것과 같은 선행기술의 커터날(prior art cutter blade) 41은 하측변을 따라 죽 곧은 직선 형태의 절단날(straight cutting edge) 4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단날 44의 고정 구멍 45의 반대쪽에 있는 일측 끝에는 최극단 뾰죽한 끝부분 48이 형성된다. 커터날 41의 최극단 뾰죽한 끝부분 48은 마찬가지로 블레이드 섹션 42의 최극단 뾰죽한 끝부분 48이 되며, 커터날 41의 개개의 블레이드 섹션(blade section) 42의 절단날 44도 마찬가지로 죽 곧은 직선형태이다.
따라서, 도면 7에 도시한 바처럼, 선행기술의 커터날로 절단 작업을 할 경우, 절단작업 동안 내내 블레이드 섹션 42의 최극단 뾰죽한 끝부분 48만 절단대상을 자르는데 반복적으로 사용되므로, 이 뾰죽한 끝부분 48은 쉽게 닳아 뭉툭하게 되어 절단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 않으며, 사용자를 짜증나게 만들고, 몇 번 사용하지 않아 블레이드 섹션 42를 잘라내고 새로운 블레이드 섹션 42을 사용해야만 한다.
그 반면, 본 발명 커터날 31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면 4는 본 발명 커터날 31을 가진 커터 40을 사용한 일반적인 절단작업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절단작업을 처음 시작할 때는(도면 4의 좌측 그림 참조), 블레이드 섹션 32의 궁형으로 돌출한 형상의 절단날(arcuately projecting cutting edge) 34의 내측부분(inner part) 38'가 먼저 절단대상(예로 종이) 30에 대해 각도 A로 기울어진 상태로 접촉하게 된다. 절단작업을 거의 끝마칠 때(도면 4의 우측 그림 참조), 블레이드 섹션 32의 궁형으로 돌출한 형상의 절단날 34의 외측 끝부분(outer end part) 38이 절단대상 30에 대해 각도 B로 거의 세워진 상태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블레이드 섹션 32의 궁형으로 돌출한 형태인 절단날 34의 거의 대부분이 절단작업의 전과정동안 내내 사용되므로, 절단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되고, 블레이드섹션 32를 오래 동안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돈과 자원을 절약하게 된다.
본 발명 커터날 31의 또 다른 장점은 이것으로 접은 종이를 자르는데 매우 효율적이라는 점이다.
접은 종이를 기존의 커터날 41로 자를 경우, 절단날 44가 너무나 날카로우므로 둘로 분할된 종이 시트의 가장자리 모양이 가지런한 직선 형태가 되지 못할 경우가 많다.
그 반면, 접은 종이를 본 발명 커터날 31로 자를 경우, 절단날 37의 형태가 릿지 형태이고, 이 릿지 형태의 절단날 37을 구성하는 개개의 궁형으로 돌출한 절단날 34가 이 접은 종이에 연속적으로 닿아 절단하게 되므로, 분할된 종이 시트의 가장자리는 가지런한 직선 형태를 지니게 된다.
도면 8과 9는 본 발명 커터날 31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파쇄확대도들이다.
도면 1과 2의 개개의 블레이드 섹션 32의 궁형으로 돌출한 절단날 34의 형태는 부채꼴 형태(almost fan-shaped)에 가까우므로 돌출한 절단날 34의 정점이 매 블레이드 섹션 32의 중간 정도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서 더 나아가, 매 블레이드 섹션 32의 궁형으로 구부러지게 돌출한 절단날 34의 형태는 타원형이거나 불규칙한 형태(elliptical, oval, or irregular)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 8에서, 각 블레이드 섹션 32의 궁형으로 돌출한 절단날 34의 내측부분(inner part) 38'는 점진적으로 완만하게 테이퍼링(gradually tapered)되다가 절단날 34의 외측 끝부분(outer end part) 38에 이르러 급격히 크게 돌출(project rapidly)되어 있다. 따라서, 이 궁형으로 돌출한 절단날 34의 정점은 궁형으로 돌출한 절단날 34의 외측 끝부분38에 보다 더 가까이 위치하게 된다.
도면 9에서, 매 절단선 33은 두 개의 궁형으로 돌출한 절단날 34 사이의 계곡(valley) 39에서 끝을 맺지 않고 그것에서 약간 벗어나게 커터날 31상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개개의 블레이드 섹션 32의 궁형으로 돌출한 절단날 34의 형태는 "" 형태의 불규칙한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이 궁형으로 돌출한 절단날 34의 정점은 궁형으로 돌출한 절단날 34의 외측 끝부분 38에 보다 더 가까이 위치하고 있다.
도면 10은 본 발명 스트립형 커터날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바, 여기에는 알맞은 폭과 길이로 길게 연장되는 길이를 가진 커터날 31이 그 길이를 따라 궁형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커터날 31상에는 다수 개의 절단선 33이 커터날 31상에 반복적으로 서로 평행되게 형성된다.
개개의 절단선 33은 커터날 31의 길이에 대하여 일정하게 기울어진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두 개의 절단선 33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평행사변형 형태의 블레이드 섹션(blade section) 32가 다수 개 커터날 31 상에 형성되며, 낱 개의 블레이드 섹션 32가 이 절단선 33을 따라 절단될 경우 이 커터날 31은 다수 개의 평행사변형 형태의 블레이드 섹션 32로 분할되게 된다.
커터날 31의 하측변 37은 그 길이를 따라 날카롭게 날이 세워지게 되며, 따라서 개개의 블레이드 섹션 32의 날이 선 절단날(sharpened cutting edge) 34는 궁형으로 구부러진 형태를 가지게 된다.
본 실시예의 구부러진 커터날 31을 수용할 손잡이는 비슷하게 구부러진 형태를 가지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 커터날 31은 기존의 커터날에 비해 위에서 기술한 커터날 31과 동일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도면 11,13, 및 14는 본 발명 커터날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있는 바, 이것은 대강(帶鋼)으로 만들어진 부채꼴 형태의 짧은 커터날(fan-shaped short cutter blade)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짧은 커터날(short cutter blade)"은 짧은 사다리꼴 형태의 칼날(short trapezoidal blade)을 지칭하는 바, 이것은 블레이드 섹션을 연속적으로 절단하여 새로운 절단날을 사용하는 스트립 형태의 칼날(strip-type blade)과는 다른 형태이다. 이 짧은 커터날은 대개 대강(帶鋼 ; band steel)으로 만들어지며, 날이 무디어지면 날을 다시 세우지 않고 그냥 버리고 새로운 것으로 교체해 사용하게 된다.
기존의 짧은 커터날 46은, 도면 12에 도시한 바처럼, 대강(帶鋼)으로 된 사다리꼴 형태의 칼날(trapezoid-shaped blade of band steel)이다.
이같은 기존의 짧은 커터날 46은 죽 곧은 직선 형태의 절단날 47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일정 대상을 절단할 경우 절단날 47의 중앙부 48' 부분은 거의 사용할 수 없으며, 단지 최극단 뾰죽한 끝부분(extreme tip point) 48만 반복해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커터날 46의 절단날(cutting edge) 47의 양쪽 최극단 뾰죽한 끝부분 48이 뭉툭하게 되면 이 커터날 46은 전체가 그대로 버려지고 새 커터날 46이 칼 손잡이(knife holder)에 갈아 넣어지게 된다.
이같은 유형의 커터날 46은 특히 강하고 질긴 포장지나 보드, 테이프, 끈 등을 절단하는데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커터날 46의 최극단 뾰죽한 끝부분 48은 몇 번 사용하지도 않아 쉽게 뭉툭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의도적으로 손을 낮추어 절단날 47의 중앙부 48' 부분을 사용하려하게 되고, 더욱 힘을 들여 최극단 뾰죽한 끝부분 48이 깊이 꽂혀지도록 애쓰게 되며, 이 꽂혀진 최극단 뾰죽한 끝부분 48 부위가 때로는 포장상자의 내용물에 손상을 입히기도 한다.
따라서 이같은 기존의 짧은 커터날의 결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궁형으로 돌출한 절단날을 가진 짧은 커터날 61을 제공하고 있다.
이 부채꼴 짧은 커터날(fan-shaped short cutter blade) 61은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변(side)을 가지고 있으며, 수직의 축 X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커터날 61의 상측변(upper side) 62는 비교적 짧은 길이를, 좌·우측변은 동일한 길이를, 그리고 하측변(bottom side) 63은 비교적 큰 길이를 가지고 있다.
상측변(upper side) 62의 중앙부에는 고정 구멍 65가 형성된다. 하측변(bottom side)63은 아래쪽으로, 궁형으로 돌출되게 구성되며, 그 전 길이를 따라 일정 폭으로 날카롭게 날이 서게 구성되어 궁형으로 돌출된 절단날(arcuately projecting cutting edge) 64를 형성하게 된다.
이 커터날 61은 공지의 손잡이에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며, 상측변 62에 형성된 고정구멍(fixing hole) 65는 공지의 이동구(slider member)에 연결된다.
앞에서 기술한 바처럼, 도면 12에 도시한 것과 같은 기존의 짧은 커터날 46을 사용할경우, 절단날 47의 중앙부 48' 부분은 절단작업에 전혀 사용되지 않는다.
그 대신, 절단날 47의 최극단 뾰죽한 끝부분 48만 반복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이 뾰죽한 끝부분 48은 쉽게 닳아 뭉툭하게 되어 절단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 않으며, 사용자를 짜증나게 만들며, 몇 번 사용하지 않아 짧은 커터날 46을 버리고 새로운 것을 사용해야만 한다.
그 반면, 도면 11의 본 발명 짧은 커터날 61의 경우, 절단작업을 처음 시작할 때는, 궁형으로 돌출한 절단날 64의 중앙부(middle part) 68' 부분이 먼저 절단대상에 접촉하게 되며, 절단작업을 거의 끝마칠 때는, 절단날 64의 외측 끝부분(outer end part) 68이 절단대상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궁형으로 돌출한 형태인 절단날 64의 거의 대부분이 절단작업의 전과정동안 내내 사용되므로, 절단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되고, 짧은 커터날 61을 오래 동안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돈과 자원을 절약하게 된다.
도면 13의 짧은 커터날 61의 경우, 궁형으로 돌출한 절단날 64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너설(jag)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커터날 61은 톱니 형태의 들쭉날쭉하게, 궁형으로 돌출한 절단날 64를 가지게 된다.
도면 14의 짧은 커터날 61의 경우, 궁형으로 돌출한 하측변(bottom side) 63에 만곡부(灣曲部 ; curved parts) 66이 형성된 결과, 이 커터날 61에는 다수 개의 날개형태의 돌출부(wing-shaped projections) 67이 형성되게 된다. 이 날개형태의 만곡부 66과 돌출부 67의 구불구불한 가장자리(curved edge)를 따라 날이 선 절단날 64가 형성된다.
도면 11 및 14에 도시한 바처럼, 짧은 커터날 61의 상측변(upper side) 62는 통상적으로 죽 곧은 직선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것은 도면 13에 도시한 바처럼 만곡되게 구성될 수 있으며, 궁형으로 돌출한 하측변(bottom side) 63의 곡률과 같은 곡률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이 짧은 커터날 61을 수용하는 커터 손잡이의 커터날 내장홈(chan nel) 또한 만곡되게 구성되어 짧은 커터날 61이 손잡이로부터 자유롭게 밀어 내어지거나 밀어 넣어질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도시하고 설명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내용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하기 권리청구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실시될 수가 있다.
상기의 식별자가 없습니다.
여러 도면에서 사용된 같은 번호는 같거나 비슷한 요소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면 1은 본 발명 커터날의 정면도이다.
도면 2는 커터날에서 분리된 블레이드 섹션의 확대도이다.
도면 3은 본 발명 커터날이 삽입된 커터칼의 정면도이다.
도면 4는 도면 3의 커터칼을 사용한 절단작업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 5는 기존의 커터날의 정면도이다.
도면 6은 기존의 선행기술 커터날에서 분리된 블레이드 섹션의 확대도이다.
도면 7은 기존의 커터날을 가진 커터칼을 사용한 절단작업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 8과 9는 본 발명 커터날의 부분파쇄확대도이다.
도면 10은 본 발명 커터날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면 11은 본 발명 짧은 커터날의 정면도이다.
도면 12는 선행기술의 기존 짧은 커터날의 정면도이다.
도면 13 및 14는 본 발명 짧은 커터날의 또 다른 실시예들의 정면도이다.
상기의 식별자가 없습니다.
상기의 식별자가 없습니다.

Claims (7)

  1. 스트립형 커터날(strip-type cutter blade)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 것 ;
    이 커터날은 길이로 길게 연장되는 평행사변형 형태(parallelogram-shap ed)에, 상측변, 하측변, 좌측변 및 우측변을 가지고 있으며,
    우측변 근처에는 고정용 구멍이 제공되고, 하측변은 날카롭게 날이 세워져 절단날을 구성하며,
    다수 개의 절단선(weakened lines)이 커터날의 길이를 따라 일정 거리를 두고, 커터날상에 반복적으로 서로 평행되게 형성되며,
    개개의 절단선은 커터날의 길이에 대하여 일정하게 기울어진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두 개의 절단선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게 구성된 결과, 평행사변형 형태의 작은 블레이드 섹션(blade section) 이 다수 개 커터날상에 형성되며,
    각 블레이드 섹션의 하측변은 아래쪽으로 궁형으로 돌출하여 궁형으로 돌출한 절단날 4를 형성하며, 두 개의 절단날 사이에, 절단선의 끝부분에는 계곡부가 형성되며, 이 궁형으로 돌출한 절단날과 계곡부가 이 커터날의 하측변의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반복적으로 형성된 결과, 이 커터날의 하측변이 다수 개의 궁형으로 돌출한 날이 선 절단날과 계곡부를 가진 릿지형태의 날이 선 절단날(ridge-shaped sharpened cutting edge)을 구성하며,
    이 기울어진 절단선은 커터날의 길이에 대하여 일정하게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되, 커터날상의 최외측 블레이드 섹션의 절단날의 외측 끝부분(outer end part)이 커터날의 최외측에 위치하도록 커터날의 길이에 대하여 일정하게 기울어지도록 형성되게 구성한 커터날
  2. 위 제 1항의 스트립형 커터날(straight-type cutter blade)에 있어서 ;
    각 블레이드 섹션의 궁형으로 돌출한 절단날의 내측부분(inner part)은 점진적으로 완만하게 테이퍼링(gradually tapered)되다가 절단날의 외측 끝부분(outer and part)에 이르러 급격히 크게 돌출(Project rapidly)되게 구성되어, 이 궁형으로 돌출한 절단날의 정점이 궁형으로 돌출한 절단날의 외측 끝부분에 보다 더 가까이 위치하게 된 것.
  3. 위 제 1항의 스트립형 커터날(strip-type cutter blade)에 있어서 ;
    매 절단선이 두 개의 궁형으로 돌출한 절단날 사이의 계곡(valley)에서 끝을 맺지 않고 그것에서 약간 벗어나게 커터날상에 형성된 결과, 개개의 블레이드 섹션의 궁형으로 돌출한 절단날의 형태가 "" 형태의 불규칙한 형태로 구성되어, 이 궁형으로 돌출한 절단날의 정점이 궁형으로 돌출한 절단날의 외측 끝부분에 보다 더 가까이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
  4. 스트립형 커터날(strip-type cutter blade)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 것 ;
    이 커터날은 알맞은 폭과 길이로 길게 연장되는 길이에, 그 길이를 따라 궁형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커터날에는 다수 개의 절단선이 커터날상에 반복적으로 서로 평행되게 형성되며, 개개의 절단선은 커터날의 길이에 대하여 일정하게 기울어진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두 개의 절단선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게 구성된 결과, 평행사변형 형태의 블레이드 섹션(blade section) 다수 개가 커터날상에 형성되며, 커터날의 하측변은 그 길이를 따라 날카롭게 날이 세워지게 되어, 개개의 블레이드섹션의 날이 선 절단날(sharpened cutting edge)이 궁형으로 구부러진 형태를 가지게 구성된 커터날.
  5. 짧은 커터날(short cutter blade)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 것 ;
    이 짧은 커터날은 부채꼴 형태에,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변(side)을 가지고 있으며, 수직의 축X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상측변(upper side)의 중앙부에는 고정 구멍이 형성되고, 하측변(bottom side)은 아래쪽으로, 궁형으로 돌출되게 구성되며, 그 전 길이를 따라 일정 폭으로 날카롭게 날이 서게 구성되어 궁형으로 돌출된 절단날(arcuatly projecting edge)을 형성한 것.
  6. 위 제 5항의 짧은 커터날(short cutter blade)에 있어서 ;
    궁형으로 돌출한 절단날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너설(jag)이 형성되어 커터날이 톱니 형태의 들쭉날쭉한, 궁형으로 돌출한 절단날을 가지게 구성한 것.
  7. 위 제 5항의 짧은 커터날(short cutter blade)에 있어서 ;
    궁형으로 돌출한 하측변(bottom side)에 만곡부(彎曲部 ; curved parts)가 형성된 결과, 이 커터날에 다수 개의 날개형태의 돌출부(wing-shaped projections)가 형성되고, 이 날개형태의 만곡부와 돌출부의 구불구불한 가장자리(curved edge)를 따라 날이 선 절단날이 형성되게 구성한 것.
KR1019980011548A 1998-03-26 1998-03-26 커 터 날 KR199900764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1548A KR19990076444A (ko) 1998-03-26 1998-03-26 커 터 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1548A KR19990076444A (ko) 1998-03-26 1998-03-26 커 터 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444A true KR19990076444A (ko) 1999-10-15

Family

ID=65860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1548A KR19990076444A (ko) 1998-03-26 1998-03-26 커 터 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64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939U (ko) * 2007-11-20 2009-05-25 유영주 다용도 커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939U (ko) * 2007-11-20 2009-05-25 유영주 다용도 커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3622A (en) Bi-directional razor device
US6249973B1 (en) Thinning razor
WO2001064404A3 (en) Shaving razor and blade unit with improved guard
JPS6099243A (ja) 外科用やすり
MX2007006097A (es) Acoplamiento de peine para cortadora de cabello.
US5107591A (en) Thinning scissors
US4021912A (en) Tire trimmer and blades therefor
US4870757A (en) Drywall Cutting tool
US6131223A (en) Decorating scissors
US5679068A (en) Sharpening and deburring tool with unitary blade guard and handle
US6385851B2 (en) Hairdressing scissors for cutting small amount of hair or special style
US4729168A (en) Two-edged multi-purpose artistic technical knife
RU2000109474A (ru) Флеботом
US5893212A (en) Cigar cutter
US5461785A (en) Knife handle with sharpening guide indentations
US5933968A (en) Pumpkin cutter
KR19990076444A (ko) 커 터 날
EP0302609A2 (en) Brush cutting blade
JPS5930657B2 (ja) 手持ガラス切り
JP2003236266A (ja) 刃 物
EP0989926B1 (en) Hair cutting method and device
GB2113137A (en) Knives
CN109965955B (zh) 带切削刃的老茧去除器
KR102544773B1 (ko) 마이크로 커터를 갖는 각질제거판 및 이를 채용한 각질제거기
US2918924A (en) Manicuring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