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5936A - 지중 건축구조물을 이용한 냉난방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중 건축구조물을 이용한 냉난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5936A
KR19990075936A KR1019980010486A KR19980010486A KR19990075936A KR 19990075936 A KR19990075936 A KR 19990075936A KR 1019980010486 A KR1019980010486 A KR 1019980010486A KR 19980010486 A KR19980010486 A KR 19980010486A KR 19990075936 A KR19990075936 A KR 19990075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underground
cooling
pipe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0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8579B1 (ko
Inventor
황광일
이은택
하승운
김중헌
Original Assignee
김헌출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헌출,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헌출
Priority to KR1019980010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8579B1/ko
Publication of KR19990075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5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8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85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TGEOTHERMAL COLLECTORS; GEOTHERMAL SYSTEMS
    • F24T10/00Geothermal collectors
    • F24T10/10Geothermal collectors with circulation of working fluids through underground channels, the working fluids not coming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6Heat pumps characterised by the source of low potential hea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10Geothermal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파일, 지중연속벽, 건물기초 등 건물지하구조체에 유지되고 있는 반영구적인 지중의 온도를 냉난방시스템에 연계시켜 냉방 및 난방에너지로 이용되게 함으로써, 에너지절약에 따른 경제성확보와 함께 환경보존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지중 건축구조물을 이용한 냉난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지중 건축구조물을 이용한 냉난방시스템은, 건물지하구조체의 내부에 흡열파이프가 배관되고, 상기 흡열파이프의 일단이 순환펌프를 통해 냉방공조기 및 난방공조기에 연결되며, 지상의 냉방배관 및 난방배관을 통해 지상구조체를 냉난방된 뒤의 회수된 물이 상기 흡열파이프로 회수 및 재순환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여름에는 관내부에 흐르는 물이나 부동액이 함유하고 있는 열량을 지중에 방출하고, 겨울에는 지중이 함유하고 있는 열량을 관내부에 흐르는 유동액이 흡수하는 과정을 통하여 냉방 및 난방에너지로 이용되어지고, 냉난방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되며, 냉난방기기의 용량도 작아지게 되는 등으로 상당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시공이 기초공사시 철근의 배근작업과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어 공사비의 증가, 공사기간의 증가 등 초기투자비가 증가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지중 건축구조물을 이용한 냉난방시스템
본 발명은 콘크리트파일, 지중연속벽, 건물기초 등 건물지하구조체에 유지되고 있는 반영구적인 지중의 온도를 냉난방시스템에 연계시켜 냉방 및 난방에너지로 이용되게 함으로써, 에너지절약에 따른 경제성확보와 함께 환경보존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지중 건축구조물을 이용한 냉난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건물의 냉난방방식은 주로 중앙 냉난방시스템으로, 겨울철의 난방시에는 중앙난방식 혹은 중앙난방에 개별적인 콘트롤을 하게 되고, 여름철의 냉방시에는 중앙냉방식 혹은 개별 패키지 에어콘에 의하여 냉방을 하게 된다.
즉, 난방시에는 보일러를 가동시켜 그 온수를 공조기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게 하거나 개별 히터를 가동시켜 국부적인 난방이 되게 하였으며, 냉방시에는 냉각탑을 건물의 옥상에 설치하고 상기 냉각탑에 공급되는 물을 저온의 냉각수로 만들어 냉동기에 공급하고 이로 인해 열교환된 냉각수를 공조기를 통해 건물전체에 공급되게 하거나, 세대별로 패키지에어콘 등을 이용한 개별냉방이 되게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냉난방방식은 외기온도 변화를 감안하면서 유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까닭에 안정적이고도 지속적인 열관리가 불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가 많아 그 만큼 경제적인 부담과 함께 환경공해를 유발하는 등의 폐단이 있다.
예를 들어 특히 우리나라일 경우 외기온도의 변화는 계절에 따라 큰 폭으로 변하는 데(여름 35℃, 겨울 -12℃) 비하여, 지중(지하)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년중 12℃전후의 안정된 상태이므로, 두 온도차이(외기온도-지중온도)를 이용한다면 상당량의 에너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수도권 특정지역의 지하1.2m ~ 18m까지의 동절기 온도분포를 측정한 실제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하1 ~ 2m정도 이내에서는 7 ~ 9℃의 분포를 보이고 있으나, 지하6m이하에서는 계절에 관계없이 거의 14 ~ 16℃정도의 일정한 분포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반영구적인 지중온도를 냉난방에 이용한다면 냉난방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냉난방기기의 용량도 작아지게 되는 등으로 상당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에너지절약에 의한 에너지수입 대체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환경보전효과도 크게 기대할 수 있음은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다.
종래의 지중열 이용방식는 주로 건물과 별개로 지중에 파이프를 매설하여 지중에너지를 취득하는 방법으로 이는 공사비의 증가, 공사기간의 증가 등 초기투자비를 증가시키게 되는 폐단때문에 건물에 대한 실제 적용사례가 거의 없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영구적인 지중온도를 용이한 방법으로 냉난방에 이용함으로써 냉난방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냉난방기기의 용량도 작아지게 되는 등으로 상당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에너지절약에 의한 에너지수입 대체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환경보전효과도 크게 기대할 수 있도록 한 지중 건축구조물을 이용한 냉난방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중 건축구조물을 이용한 냉난방시스템은, 지열흡수 및 열 보전성이 뛰어난 콘크리트파일, 지중연속벽, 건물기초 등의 건물지하구조체의 콘크리트 내부에 흡열파이프를 배관하여 여름에는 관내부에 흐르는 물이나 부동액이 함유하고 있는 열량을 지중에 방출하고, 겨울에는 지중이 함유하고 있는 열량을 관내부에 흐르는 유동액이 흡수하는 과정을 통하여 냉방 및 난방에너지로 이용하거나, 또는 관내부에 흐르는 물이나 부동액이 난방수 및 냉각수로 이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흐름을 나타낸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지하구조체에 대한 배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배관고정구조를 나타낸 부분 사시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건물의 개략적인 사시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지하구조체 2: 흡열파이프
3: 순환펌프 4: 냉방공조기
5: 난방공조기 6: 냉방배관
7: 난방배관 8: 지상구조체
9: 철근 10: 고정수단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흐름을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지하구조체에 대한 배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배관고정구조를 나타낸 부분 사시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건물의 개략적인 사시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중 건축구조물을 이용한 냉난방시스템은, 지열흡수 및 열 보전성이 뛰어난 콘크리트파일, 지중연속벽, 건물기초 등의 건물지하구조체(1)의 내부에 흡열파이프(2)가 배관되고, 상기 흡열파이프(2)의 일단이 순환펌프(3)를 통해 냉방공조기(4) 및 난방공조기(5)에 연결되며, 지상의 냉방배관(6) 및 난방배관(7)을 통해 지상구조체(8)를 냉난방된 뒤의 회수된 물이 상기 흡열파이프(2)로 회수 및 재순환되도록 하였다.
상기 흡열파이프(2)는 소정의 직경을 지닌 PVC재질인 것이 바람직하고, 도 3에서와 같이 지하구조체(1)의 바닥이나 벽을 구성하는 철근(9)에 철사 등의 고정수단(10)을 사용하여 고정되며, 이 설치작업은 상기 철근(9)의 배근작업과 동시에 행해진다.
또한 상기 흡열파이프(2)내를 흐르는 유동액은 물이나 부동액으로 하며, 지상으로 부터 약 1.2M이하에서 부터 배관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여름에 있어서의 냉방시스템을 설명한다.
이 때에는 흡열파이프(2)에 충진되는 유동액으로 물이 충진되고, 상기 흡열파이프(2)는 순환펌프(3)를 통해 냉방공조기(4) 및 냉방배관(6)에 연결되는 데, 상기 냉방공조기(4) 및 냉방배관(6)로의 전환은 미도시된 전환밸브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여름에 외기의 온도가 약 35℃인 것을 감안한다면, 흡열파이프(2)가 배관된 지중의 온도는 약 12℃전후의 안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흡열파이프(2)에 충진된 유동액(물)의 온도 역시 약 12℃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흡열파이프(2)내의 유동액을 순환펌프(3)를 통해 냉방공조기(4)의 냉각수로 이용하게 되면, 두 온도차이(외기온도-지중온도)에 의해 상기 냉방공조기(4)의 부하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되어 그 만큼의 에너지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지중에 매설되어 낮은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 흡열파이프(2)의 유동액이 순환펌프(3)를 통해 냉방공조기(4)의 냉각수로 사용되어지고, 이 유동액은 다시 냉방배관(6)을 통해 건물의 실내를 냉방시키는 과정에서 외기온도에 의해 올라가게 되며, 높아진 온도가 되어진 유동액은 다시 지중에 매설된 흡열파이프(2)로 인입되어져 지중온도와의 작용에 의해 내려가게 되고, 냉각된 유동액은 다시 순환펌프(3)를 통해 냉방공조기(4)의 냉각수로 재사용되는 흐름이 이어지게 된다.
다시 말해 반영구적인 지중온도를 냉방에 이용함으로써 냉방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냉방기기의 용량도 작아지게 되는 등으로 상당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그 시공이 기초공사시 철근의 배근작업과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어 공사비의 증가, 공사기간의 증가 등 초기투자비가 증가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흡열파이프(2)의 유동액을 겨울에의 난방수로 이용하는 난방시스템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에는 흡열파이프(2)에 충진되는 유동액으로 부동액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흡열파이프(2)는 순환펌프(3)를 통해 난방공조기(5) 및 난방배관(7)에 연결되는 데, 상기 난방공조기(5) 및 난방배관(7)로의 전환은 미도시된 전환밸브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겨울에 외기의 온도가 약 -12℃인 것을 감안한다면, 흡열파이프(2)가 배관된 지중의 온도는 약 12℃전후의 안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흡열파이프(2)에 충진된 유동액의 온도 역시 약 12℃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흡열파이프(2)내의 유동액을 순환펌프(3)를 통해 난방공조기(5)의 난방수로 이용하게 되면, 두 온도차이(외기온도-지중온도)에 의해 상기 난방공조기(5)의 부하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되어 그 만큼의 에너지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지중에 매설되어 높은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 흡열파이프(2)의 유동액이 순환펌프(3)를 통해 난방공조기(5)의 난방수로 사용되어지고, 이 유동액은 다시 난방배관(7)을 통해 건물의 실내를 난방시키는 과정에서 외기온도에 의해 내려가게 되며, 낮아진 온도의 유동액은 다시 지중에 매설된 흡열파이프(2)로 인입되어져 지중온도와의 작용에 의해 올라가게 되고, 높아진 온도의 유동액은 다시 순환펌프(3)를 통해 난방공조기(5)의 난방수로 재사용되는 흐름이 이어지게 된다.
다시 말해 반영구적인 지중온도를 난방에 이용함으로써 난방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난방기기의 용량도 작아지게 되는 등으로 상당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에너지절약에 의한 에너지수입 대체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환경보전효과도 크게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중 건축구조물을 이용한 냉난방시스템은, 지열흡수 및 열 보전성이 뛰어난 콘크리트파일, 지중연속벽, 건물기초 등의 건물지하구조체의 콘크리트 내부에 흡열파이프를 배관하여 여름에는 관내부에 흐르는 물이나 부동액이 함유하고 있는 열량을 지중에 방출하고, 겨울에는 지중이 함유하고 있는 열량을 관내부에 흐르는 유동액이 흡수하는 과정을 통하여 냉방 및 난방에너지로 이용되도록 한 구성에 의해, 냉난방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냉난방기기의 용량도 작아지게 되는 등으로 상당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시공이 기초공사시 철근의 배근작업과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어 공사비의 증가, 공사기간의 증가 등 초기투자비가 증가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에너지절약에 의한 에너지수입 대체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환경보전효과도 크게 기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건물지하구조체의 내부에 흡열파이프가 배관되고, 상기 흡열파이프의 일단이 순환펌프를 통해 냉방공조기 및 난방공조기에 연결되며, 지상의 냉방배관 및 난방배관을 통해 지상구조체를 냉난방된 뒤의 회수된 물이 상기 흡열파이프로 회수 및 재순환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건축구조물을 이용한 냉난방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파이프는 지하구조체의 배근작업과 동시에 상기 배근되는 철근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건축구조물을 이용한 냉난방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파이프 내에 충진되는 유동액은 물이나 부동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건축구조물을 이용한 냉난방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파이프는 지상으로 부터 약 1.2M이하에서 부터 배관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건축구조물을 이용한 냉난방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파이프가 설치되는 지하구조체는 지열흡수 및 열 보전성이 뛰어난 콘크리트파일, 지중연속벽, 건물기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건축구조물을 이용한 냉난방시스템.
KR1019980010486A 1998-03-26 1998-03-26 지중 건축구조물을 이용한 냉난방시스템 KR100248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486A KR100248579B1 (ko) 1998-03-26 1998-03-26 지중 건축구조물을 이용한 냉난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486A KR100248579B1 (ko) 1998-03-26 1998-03-26 지중 건축구조물을 이용한 냉난방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5936A true KR19990075936A (ko) 1999-10-15
KR100248579B1 KR100248579B1 (ko) 2000-03-15

Family

ID=19535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0486A KR100248579B1 (ko) 1998-03-26 1998-03-26 지중 건축구조물을 이용한 냉난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85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425A (ko) * 2001-03-28 2002-10-11 주식회사 더 디앤에스 디워터링 배관을 이용하여 지하열원을 활용하는 건축물의냉난방 시스템
CN108533044A (zh) * 2018-07-04 2018-09-14 肖昭然 一种能源平房仓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3444B (zh) * 2016-05-27 2018-03-27 龚卫兵 利用自然能的节能恒温电气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425A (ko) * 2001-03-28 2002-10-11 주식회사 더 디앤에스 디워터링 배관을 이용하여 지하열원을 활용하는 건축물의냉난방 시스템
CN108533044A (zh) * 2018-07-04 2018-09-14 肖昭然 一种能源平房仓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8579B1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82456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uildings
JP5280065B2 (ja) 地中熱利用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WO2008083612A1 (fr) Procédé de climatisation de type à stockage d&#39;énergie et variation de température à l&#39;aide d&#39;un réservoir enterré et d&#39;une pompe à chaleur sur boucle d&#39;eau, ainsi que son dispositif spécifique
CN101968328A (zh) 一种相变蓄能装置
CN106168417B (zh) 一种冷热电联产高压旋喷插芯组合桩系统及其施工方法
JP2011117171A (ja) トンネル工法とその熱交換路固定具
CN104358265A (zh) 主动制冷和自恢复寒区边坡支护结构及施工方法
CN103088741A (zh) 基于能源桩的公路桥梁路面融雪化冰系统及运行方式
KR100248579B1 (ko) 지중 건축구조물을 이용한 냉난방시스템
CN100513928C (zh) 地源热泵地下热换器的强化换热方法及其装置
KR100248580B1 (ko) 지중열을 이용한 건축물의 냉난방시스템
KR101126026B1 (ko) 지중열 복원이 가능한 지중열 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지중열 교환 시스템
CN103148636A (zh) 空气能太阳能蓄热式热泵系统
JP2007292445A (ja) 地中熱利用冷暖房システム
CN202671996U (zh) 采用山上自然温泉水消融路面或桥面积雪的融雪装置
CN211650816U (zh) 一种预制能量桩应用结构
JP2013190202A (ja) 地中熱利用装置
KR101815690B1 (ko) 축열재가 내재된 모듈형 저류조를 이용한 지열시스템
KR101457388B1 (ko) 지하구조물의 바닥공간을 이용한 지중 열교환 시스템의 시공방법
Brandl Energy piles concepts
JP6948711B2 (ja) 排湯熱再生装置、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排湯熱再生システム
KR200200971Y1 (ko) 흡열파이프배관용클립바
JP2002372315A (ja) 基礎杭利用の地熱活用工法及び装置
GB2490125A (en) Hydronic radiant heating and cooling system comprising a phase change material
KR102114105B1 (ko) 지중열교환용 터널 세그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