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5212A -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and other channel program display method - Google Patents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and other channel program display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5212A
KR19990075212A KR1019980009294A KR19980009294A KR19990075212A KR 19990075212 A KR19990075212 A KR 19990075212A KR 1019980009294 A KR1019980009294 A KR 1019980009294A KR 19980009294 A KR19980009294 A KR 19980009294A KR 19990075212 A KR19990075212 A KR 19990075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video
screen
signal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92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69370B1 (en
Inventor
김익환
박용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09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9370B1/en
Publication of KR19990075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52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9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9370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2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by placing content in organized collections, e.g. local EPG data reposit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43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satelli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현재 방송중인 타 채널 프로그램을 부화면을 통해 동영상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 및 타 채널 프로그램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별도의 튜너 없이도 타 채널의 프로그램을 작은 부화면으로 보여주는 하드웨어와 GUI 환경을 구성하여, '현재 방송' GUI가 선택되지 않으면 주화면에 선택 채널의 비디오 신호를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프로그램 정보를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현재 방송' GUI 메뉴가 선택되면 '현재 방송' 메뉴가 선택되기 전 채널의 비디오 신호는 주화면에 정지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텍스트 형태의 프로그램 정보에 대해 사용자가 각 OSD 상에 있는 채널을 선택하여 검색하게 되면, 상기 선택된 채널의 PID 정보를 변경하여, 화면 하단의 동영상으로 부화면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채널 탐색시 별도의 튜너 없이도 타 채널의 프로그램을 텍스트 정보(방송 사업자명, 프로그램 내용)와 동영상을 통해 검색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채널로의 절환을 빠르게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and another channel program display method that enables other channel programs currently viewed on a sub-screen to be viewed as a video. Especially, a hardware and GUI environment for showing programs of other channels in a small sub screen without a separate tuner is provided. If the 'Current Broadcast' GUI is not selected, the video signal of the selected channel is displayed as a video on the main screen and the program information is displayed in OSD form.If the 'Current Broadcast' GUI menu is selected, 'Current Broadcast' Before the menu is selected, the video signal of the channel is displayed as a still image on the main screen, and when the user selects and searches a channel on each OSD for program information in text form, the PI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hannel is changed. To display the subscreen as a video at the bottom of the screen. As, when separate navigation channels of the other channel program text information without tuner (broadcasting company name, program information) and you can browse through the videos, so you can quickly switch to the desired channel.

Description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 및 타 채널 프로그램 디스플레이 방법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and other channel program display method

본 발명은 위성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재 방송중인 타 채널 프로그램을 부화면을 통해 동영상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 및 타 채널 프로그램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tellite broadcast receiv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satellite broadcast receiver and another channel program display method for watching another channel program that is currently being broadcasted through a sub-screen.

현행 대부분의 디지털 위성 방송 방식은 엠펙(Moving Piture Experts Group ; MPEG) 규격을 따르고 있다. 방송용 MPEG 규격인 MPEG-2는 국제 표준인 ISO/IEC 13818-1∼3에 규정되어 있는데 이들은 각각 ISO/IEC 13818-1(시스템 규격), ISO/IEC(비디오 규격), ISO/IEC 13818-3(오디오 규격)이다. 여기서, 시스템 규격은 시간 다중화된(time_multiplexed) 신호열인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Transport Stream Packet)에 관한 규정이다.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188 바이트로 구성된 신호이고, 이 신호는 크게 헤더(Header) 부분과 페이로드(Payload)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이때, 헤더 부분에는 신호의 시작을 알려주는 정보와 페이로드 부분에 실려있는 신호가 어떤 신호인지를 나타내주는 PID(Packet Identifier) 번호가 들어있으며, 페이로드 부분에는 전송하고자 하는 영상 정보, 음성 정보, 또는 부가 정보가 실려있다. 상기 PID 번호는 시간 다중화된 신호를 역다중화(Demultiplexing)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 PID를 보고 현재의 패킷이 비디오 패킷인지 오디오 패킷인지, 부가 정보(Service Information ; SI) 패킷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Most current digital satellite broadcast methods follow the Moving Piture Experts Group (MPEG) standard. MPEG-2, the MPEG standard for broadcasting, is specified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s ISO / IEC 13818-1 to 3, which are ISO / IEC 13818-1 (system standard), ISO / IEC (video standard), and ISO / IEC 13818-3, respectively. (Audio standard). Here, the system standard is a regulation regarding a transport stream packet which is a time multiplexed signal sequence. The transport stream is a signal composed of 188 bytes, and this signal can be broadly divided into a header part and a payload part. In this case, the header portion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the start of a signal and a PID (Packet Identifier) number indicating which signal is contained in the payload portion. The payload portion includes image information, audio information, Or additional information. The PID number provides a means for demultiplexing a time multiplexed signal. The PID number is used to identify whether the current packet is a video packet, an audio packet, or a service information (SI) packet. Can be.

또한, 비디오, 오디오 규격은 압축된 영상, 음성 신호열에 관한 규정이다. 영상, 음성을 제외한 부가 정보는 시간 다중화되어 여러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에 실려서 전송된다. 이들 신호열도 역시 PID 번호로 구별된다.In addition, the video and audio standards are regulations concerning compressed video and audio signal sequences. Additional information, except for video and audio, is multiplexed in time and transmitted in several transport stream packets. These signal sequences are also distinguished by PID numbers.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MPEG 규격에 준한 수신기이다.1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general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is a receiver based on the MPEG standard.

도 1을 보면, 튜너(101)는 위성 안테나 신호를 선국하고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신호의 동위상 신호(I)와 직교 위상 신호(Q)를 출력한다.1, the tuner 101 tunes a satellite antenna signal and outputs a quadrature phase signal Q and an in-phase signal I of a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PSK) signal.

A/D 변환기(102)와 링크부(103)는 상기 튜너(101)에서 출력되는 QPSK 신호를 복조하고 오류를 정정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출력한다. 그리고, 마이콤(104),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107,108), 디램(DRAM)(109,110), 마이콤 인터페이스(112), 제한 수신 시스템(Coditional Access System ; CAS) 인터페이스(113)로 구성된 부분이 시스템 전체를 제어한다. 위성 방송에는 시청자 관리 및 요금 징수를 위해 CAS의 채택이 필수적이다.The A / D converter 102 and the link unit 103 demodulate the QPSK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101, correct the error, and output the transport stream. In addition, a part composed of a microcomputer 104, a flash memory 107, 108, a DRAM 109, 110, a microcomputer interface 112, a limited access system (CAD) interface 113 is a system. Take control of the whole. Satellite broadcasting requires the adoption of CAS for viewer management and toll collection.

상기 마이콤(104)은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 Unit ; CPU)와 I/O 장치로 이루어지며, 디멀티플렉서, 통신 포트등을 내장하고 있다. 이때, 마이콤(104)의 CPU는 플래시 메모리(107,108)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 GUI) 프로그램과 그래픽 데이터도 상기 플래시 메모리(107,108)에 저장되어 있다. 상기 마이콤(104)의 디멀티플렉서는 시간 다중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링크부(103)를 통해 입력으로 받아 역다중화를 수행한다. 여기서, 역다중화란 PID 번호를 확인하여 영상 신호열, 음성 신호열, 부가 정보 신호열로 분리하는 것을 말한다. 분리된 영상 신호열과 음성 신호열은 MPEG A/V 디코더(105)로 출력되고, 부가 정보 신호열은 또 한 번의 필터(Section Filter)를 거쳐서 GUI에 의해 표시될 정보로 데이터베이스화된다.The microcomputer 104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d an I / O device, and includes a demultiplexer, a communication port,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CPU of the microcomputer 104 executes the program stored in the flash memory (107, 108).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programs and graphic data are also stored in the flash memories 107 and 108. The demultiplexer of the microcomputer 104 receives a time multiplexed transport stream as an input through the link unit 103 and performs demultiplexing. Here, demultiplexing refers to identifying a PID number and separating the video signal sequence, the audio signal sequence,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 sequence. The separated video signal sequence and the audio signal sequence are output to the MPEG A / V decoder 105,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 sequence is databased with information to be displayed by the GUI through another filter.

상기 DRAM(109,110)은 프로그램 수행 과정에서 데이터 저장용으로 사용된다. MPEG A/V 디코더(105)는 압축된 영상 신호열과 음성 신호열을 디코딩에 의해 원래 신호로 복원하는 역할을 하며, 동기식 DRAM(SDRAM)(114)은 압축된 A/V 데이터를 디코딩하는데 필요한 버퍼 메모리이다.The DRAMs 109 and 110 are used for data storage in a program execution process. The MPEG A / V decoder 105 restores the compressed video signal sequence and the audio signal sequence to the original signal by decoding, and the synchronous DRAM (SDRAM) 114 buffer memory required for decoding the compressed A / V data. to be.

NTSC 엔코더(106)는 상기 MPEG A/V 디코더(105)에서 MPEG 알고리즘으로 디코딩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NTSC 신호로 엔코딩하여 일반 TV나 모니터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휘도 신호(Y)와 색신호(C)를 출력한다. D/A 변환기(111)는 디코딩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바꾸어 스피커등으로 출력한다.The NTSC encoder 106 encodes a digital video signal decoded by the MPEG algorithm in the MPEG A / V decoder 105 into an NTSC signal and displays a luminance signal (Y) and a color signal (C) for display on a general TV or monitor. Output The D / A converter 111 converts the decoded digital voice signal into an analog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same to a speaker.

도 2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구조를 보이고 있다. 즉,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요소 스트림(Elementary Stream)과 제한 수신 시스템 운용자(Resource and Subscriber Management System ; RSMS) 스트림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요소 스트림(Elementary Stream)은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에서 전송하는 영상 정보(Video Data Stream)와 음성 정보(Audio Data Stream)를 포함하고, 디지털 방송에서 추가되는 데이터 정보(Other Data Service Stream)를 포함한다.2 shows the structure of a transport stream. That is, the transport stream may be divided into an elementary stream and a resource and subscriber management system (RSMS) stream. The elementary stream includes video data stream and audio data stream transmitted through an existing analog broadcast and other data service stream added through digital broadcast.

방송을 하는 주 목적은 이러한 요소 스트림(Elementary Stream)을 보내기 위한 것이고, RSMS 스트림은 부가 정보이다. 이 중에서 RSMS 메시지는 향후 시행될 유료 방송을 위한 것이다.The main purpose of broadcasting is to send this elementary stream, and the RSMS stream is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se, the RSMS message is intended for pay broadcasting in the future.

이때, SI(Service Information)는 PSI(Program Service Information)와 PMM(Program Management Message)으로 나눌 수 있는데, PSI는 방송을 수신하는데 필요한 정보이고, PMM은 방송 일정, 방송 내용의 줄거리, 날짜, 시간 등의 정보를 말한다.In this case, SI (Service Information) can be divided into PSI (Program Service Information) and PMM (Program Management Message), PSI is the information required to receive the broadcast, PMM is the broadcast schedule, the plot of the broadcast content, date, time, etc. Says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PSI는 원하는 채널을 역다중화할 수 있는 정보와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테이블의 형태로 전달하는데,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CAT(Coditional Access Table), PMT(Program Map Table)로 나누어지고, PMM은 필요한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위한 EIT(Event Information Table), 방송망에 대한 SDT(Service Description Table), 시간 정보를 가진 TDT(Time and Date Table), NIT(Network Information Table)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EIT는 각 방송국의 프로그램 정보를 알려주고, SDT는 현재 방송되는 채널이 몇번 채널인지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고, TDT는 현재 시간이 몇시인지를 알려준다.The PSI transmits information and program guide information capable of demultiplexing a desired channel in the form of a table, which is divided into a program association table (PAT), a cultural access table (CAT), and a program map table (PMT). The PMM is divided into an event information table (EIT) for necessary program guide information, a service description table (SDT) for a broadcasting network, a time and date table (TDT) having time information, and a network information table (NIT). Here, the EIT informs the program information of each broadcasting station, the SDT informs the user how many times the channel is currently being broadcast, and the TDT indicates the current time.

그리고, RSMS 메시지는 코드워드(CW)를 얻기 위해 필요한데, 고객 계약 내용이나 등록번호등의 개별 정보를 포함하는 자격 관리 메시지(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 ; EMM)와 프로그램이나 제어신호등의 공통 정보를 포함하는 자격 통제 메시지(Entitlement Control Message ; ECM), 수신 명령 메시지(Receiver Command Message ; RCM) 등이 있다.The RSMS message is required to obtain a codeword (CW), and includes an 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 (EMM) including individual information such as a customer contract content or a registration number, and a common information such as a program or a control signal. Entitlement Control Message (ECM), Receiver Command Message (RCM), and the like.

따라서, 수신측에서 이들 SI 테이블 정보를 추출하여 해독함으로써, 각 채널별 영상, 음성 스트림에 할당된 PID 번호, 송신에 사용되는 위성 중계기의 반송파 주파수,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 날짜/시간 정보 및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등을 얻을 수 있다. 즉, PID는 채널별 오디오/비디오 PES 스트림 및 PSI 정보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값을 가짐으로써, 수신측에서는 이 값을 기준으로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필요한 PES 스트림 및 PSI 정보를 추출하는 트랜스포트 디멀티플렉싱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Therefore, by extracting and decoding these SI table information at the receiving side, the PID number assigned to each channel, the audio stream, the carrier frequency of the satellite repeater used for transmission, information about the service provided by the system, and date / time Information and program guide information can be obtained. That is, the PID has different values according to the type of audio / video PES stream and PSI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so that the receiving side extracts necessary PES stream and PSI information from the transport stream based on this value. Will be performed.

한편, 현행 무궁화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스트림은 각 채널에 대한 영상, 음성 정보와 더불어 각 채널에 대해 이들 정보가 어떻게 할당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부가 정보가 시간적으로 다중화된 스트림이다. 그러므로, 기존의 TV와는 다르게 위성 방송 수신기 내장 TV는 먼저 현재 방송되는 채널에 대한 정보를 해석해야만 영상과 음성의 서비스가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service stream received from the current Mugunghwa satellite is a stream multiplexed with video and audio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and additional information indicating how these information is allocated to each channel. Therefore, unlike conventional TVs, TVs with built-in satellite broadcast receivers must first interpret information on a currently broadcasted channel to provide video and audio services.

이러한 정보를 해석하는 과정을 테이블 파싱(Table Parsing)이라 한다. 무궁화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스트림중 부가정보 테이블을 파싱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서비스 스트림중 PID 값이 '0X00'인 PAT 패킷들을 분리하여 현재 방송하는 채널, 채널 번호, 그리고 각 채널의 영상 및 음성 서비스를 구성하는 패킷들의 PID를 가지고 있는 PMT의 PID를 추출한다. 추출된 PMT의 PID로 서비스 스트림에서 PMT를 수신하여 각 채널을 구성하는 영상 및 음성 정보를 전송하는 패킷의 PID를 추출한다. 여기까지 해석이 끝나면 사용자는 원하는 채널의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is information is called table parsing. The process of parsing the side information table in the service stream received from the Rose of Sharon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PAT packets having the PID value of '0X00' are separated from the service stream to extract the PID of the PMT having the PID of the current broadcasting channel, channel number, and packets constituting the video and audio service of each channel. The PID of the extracted PMT receives the PMT from the service stream and extracts the PID of a packet for transmitting video and audio information constituting each channel. After this analysis, the user can watch the program of the desired channel.

이 후 서비스 스트림의 송/수신 경로를 나타내는 NIT(Networking Information Table) 정보를 해석하면 각 프로그램의 제목, 줄거리, 방영 시간 등의 정보를 나타내는 EIT(Event Information Table) 내용을 구성하는 패킷의 PID를 알 수 있다. 그러면 수신기는 EIT를 수신하여 각 프로그램의 상세한 정보를 알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추출된 정보들은 수신기 내부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다.Subsequently, when the network information table (NIT) information indicat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ath of the service stream is interpreted, the PID of the packet constituting the contents of the event information table (EIT) indicating information such as title, plot, and broadcast time of each program is known. Can be. The receiver can then know the detailed information of each program by receiving the EIT. The information extracted through this process is stored in a database inside the receiver.

이를 위한 흐름도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A flowchart for this is shown in FIG. 3.

즉, 디지털 위성 방송에서 SI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해석하고 각 SI 정보를 DRAM(109,110)에 저장한 후(단계 301), 선택 채널에 대한 부가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현재 방송 키가 선택되면(단계 302) 각 채널별로 방송 사업자 명을 검출하게 된다(단계 303). 이때, 방송 사업자 명이 있으면 화면상에 사업자 명을 표시하고(단계 305), 사업자 명이 없으면 화면상에 단순히 채널 번호만 디스플레이한다(단계 306).That is, after receiving and interpreting SI information from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and storing each SI information in DRAMs 109 and 110 (step 301), if the current broadcast key is selected to confirm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selected channel (step 302). The broadcaster name is detected for each channel (step 303). At this time, if there is a broadcaster name, the service provider name is displayed on the screen (step 305). If there is no service provider name, only the channel numb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step 306).

이렇게 사업자 명에 대한 확인이 끝나면 다음으로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을 검출하고(단계 307), 프로그램 정보가 있는지를 판별한다(단계 308). 이때, 프로그램 정보가 있으면 화면상에 채널별 프로그램 정보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 OSD) 형태의 텍스트로 디스플레이하고(단계 309), 프로그램 정보가 없으면 화면상에 '정보없슴'이란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아니면 다음 수행을 진행한다(단계 310).After checking the operator name, the program is detected next to each channel (step 307),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program information (step 308). At this time, if there is program information, program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is displayed on the screen as text in the form of an On Screen Display (OSD) (step 309). If there is no program information, a message 'No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Or proceed to the next execution (step 310).

이와같이, 종래의 경우에는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 부화면을 수신하기 위해 별도의 루틴을 추가하지 않고 현재 수신되는 주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면서 채널 탐색시 화면상에 단순히 타채널에 대한 SI 정보를 텍스트로만 디스플레이하였다. 따라서, 하나의 튜너에 의한 현재 영상에 대한 부화면 검색을 할 수 없게 된다.As such,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simply displays the SI information of the other channel on the screen as text only while displaying the main screen currently received without adding a separate routine to receive the sub-screen. . Therefore, it is not possible to perform sub-screen search for the current video by one tun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싱된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시청중인 채널 외 타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의 내용을 텍스트와 동영상으로 제공하는 GUI 환경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채널 절환없이 하나의 튜너에 의해 동영상으로 타채널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위성 방송 수신기 및 타 채널 프로그램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UI environment in which a user provides text and video contents of a broadcast program of another channel other than the channel currently being viewed using parsed service in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atellite broadcast receiver and another channel program display method that enable a user to search for another channel through a single video by a tuner without changing channels.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의 구성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digital satellite broadcast receiver

도 2는 일반적인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구조를 보인 도면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general transport stream

도 3은 종래의 현재 방송 키 입력에 따른 동작 과정을 보인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a conventional current broadcast key input.

도 4는 타 채널에서 방송중인 프로그램을 작은 부화면의 동영상으로 보여주기 위한 본 발명의 위성 방송 수신기의 구성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howing a video on a different channel as a small sub-video;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현재 방송' GUI 환경의 일예를 보인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urrent broadcast' GUI environment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현재 방송' GUI 선택에 따른 동작 과정을 보인 흐름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selection of a 'current broadcast' GU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5 : MPEG A/V 디코더 106,404 : NTSC 엔코더105: MPEG A / V decoder 106,404: NTSC encoder

401 : 스위칭부 402 : 버퍼401: switching unit 402: buffer

403 : 멀티플렉서403: Multiplex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는, 시간 다중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입력받아 역다중화를 수행하여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부가 정보 스트림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비디오/오디오 스트림은 엠펙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디코딩하고 부가 정보 스트림은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채널 탐색을 위한 '현재 방송' 메뉴 선택에 따라 디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주화면 또는 부화면 신호로 선택하는 스위칭부와, '현재 방송' 메뉴가 선택되면 '현재 방송' 메뉴가 선택되기 직전에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출력되는 주화면 신호를 저장하는 버퍼와, 상기 버퍼에 저장된 주화면 신호와 OSD 형태의 부가 정보를 다중화하는 멀티플렉서와, 상기 멀티플렉서에서 OSD 형태의 부가 정보와 다중화된 주화면 신호를 NTSC 신호로 엔코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화면에 정지영상으로 출력하는 제 1 NTSC 엔코더와,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출력되는 부화면 신호를 NTSC 신호로 엔코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화면에 동영상으로 출력하는 제 2 NTSC 엔코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time multiplexed transport stream, demultiplexes the video stream, an audio stream, and an additional information stream, and separates the separated video / audio. A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that decodes a stream using an MPEG algorithm and makes a database of additional information streams, and switching to select a decoded video signal as a main picture or a sub picture signal according to a 'current broadcast' menu selection for channel search. When the 'Current Broadcast' menu is selected, a buffer for storing the main screen signal output through the switching unit immediately before the 'Current Broadcast' menu is selected, the main screen signal stored in the buffer and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OSD type. A multiplexer for multiplexing, and additional information and multiplexes in the form of OSD in the multiplexer A first NTSC encoder that encodes the converted main picture signal into an NTSC signal and outputs the still picture to the main picture of the display device, and a sub picture signal output through the switching unit as an NTSC signal to produce a video on the sub picture of the display device. And a second NTSC encoder for outputting.

상기 채널 탐색을 위한 '현재 방송' 메뉴는 GUI 환경으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current broadcast' menu for channel searching is provided as a GUI environment.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의 타채널 프로그램 디스플레이 방법은 역다중화된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은 엠펙 알고리즘으로 디코딩하고 부가 정보 스트림은 데이터베이스화한 후 OSD 형태의 텍스트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의 타채널 프로그램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채널 탐색을 위한 '현재 방송' 메뉴가 선택되면 주화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정지화상으로 디스플레이시키는 주화면 표시단계와, 각 채널별 사업자 명, 프로그램 정보 등을 검출하여 검출되면 이를 OSD 형태의 텍스트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부화면 데이터 처리단계와, 사용자가 OSD 상에서 채널 탐색을 수행하면 선택된 채널의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화면에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부화면 표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other channel program display method of the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multiplexed video stream, an audio stream is decoded by the MPEG algorithm,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stream is converted into a database and displayed as text in OSD form. In the channel program display method, a main screen display step of displaying a main screen signal as a still image on a display device when a 'current broadcast' menu is selected for channel search, and detecting and detecting a company name and program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etc. And a sub-screen data processing step of displaying the same on the display device as text in OSD form, and displaying a video signal of the selected channel as a video on the sub-screen of the display device when the user searches for a channel on the OSD. It characterized by more than tru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타 채널에서 방송중인 프로그램을 OSD 없이 작은 부화면의 동영상으로 채널의 비디오 신호만을 보여주는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제안하는 본 발명의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의 구성 블록도로서, 점선으로 이루어진 부분이 본 발명에서 추가되는 부분이다.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proposes to configure a system that shows only a video signal of a channel as a video of a small sub-screen without an OSD on a program that is being broadcast on another channel. This is an additional part of the invention.

즉, GUI 환경으로 제공되는 '현재 방송' 메뉴 선택에 따라 MPEG A/V 디코더(105)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주화면 또는 부화면 신호로 스위칭하는 스위칭부(401), '현재 방송' 메뉴 선택에 따라 스위칭부(401)를 통해 출력되는 주화면 신호를 그대로 바이패스하거나 저장하는 버퍼(402), 상기 버퍼(402)의 주화면 신호와 OSD 형태의 부가 정보(SI)를 다중화하여 제 1 NTSC 엔코더(106)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403), 및 상기 '현재 방송' 메뉴가 선택되면 스위칭부(401)를 통해 출력되는 부화면 신호를 NTSC 신호로 엔코딩하여 일반 TV나 모니터의 부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휘도 신호(Y)와 색신호(C)를 출력하는 제 2 NTSC 엔코더(404)로 구성된다.That is, the switching unit 401 for switching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MPEG A / V decoder 105 to the main screen or sub-screen signal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current broadcast' menu provided in the GUI environment, and selecting the 'current broadcast' menu. The first NTSC is configured by multiplexing the main screen signal output through the switching unit 401 as it is or bypassing and storing the main screen signal of the buffer 402 and additional information SI in OSD form. When the multiplexer 403 outputs to the encoder 106 and the 'current broadcast' menu is selected, a sub-screen signal output through the switching unit 401 is encoded as an NTSC signal to be displayed on a sub-screen of a general TV or a monitor. And a second NTSC encoder 404 for outputting the luminance signal Y and the color signal C.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마이콤(104)에서 역다중화된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이 이들을 MPEG 디코딩하여 원상태로 복원하는 MPEG A/V 디코더(105)로 입력된다. 이때, 상기 MPEG A/V 디코더(105)를 거쳐 복원된 스트림은 사용자가 본 발명에서 구현한 GUI 환경인 '현재 방송' 메뉴의 선택 유무에 따라 두 가지의 처리 과정으로 나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demultiplexed video streams and audio streams are input to the MPEG A / V decoder 105 which MPEG decodes them and restores them to their original state. In this case, the stream reconstructed through the MPEG A / V decoder 105 is divided into two processes according to whether a user selects a 'current broadcast' menu, which is a GUI environment implem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즉, 디지털 위성 방송에서 SI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해석하고 각 SI 정보를 DRAM(109,110)에 저장한 후(단계 601), 사용자가 선택 채널에 대한 부가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현재 방송' 메뉴를 선택하였는지를 판별한다(단계 602).That is, after receiving the SI information from the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interpreting it and storing each SI information in the DRAMs 109 and 110 (step 601), the user selects the 'current broadcasting' menu to check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selected channel. If yes, it is determined (step 602).

상기 단계 602에서 사용자가 '현재 방송' 메뉴를 선택하지 않은 일반적인 상태라면 스위칭부(401)는 버퍼(402)로 스위칭된다. 이때, MPEG A/V 디코더(105)를 거쳐 나온 비디오 스트림은 스위칭부(401)를 통해 버퍼(402)로 입력되지만 버퍼(402)는 입력된 비디오 스트림을 저장하지 않고 멀티플렉서(403)로 바로 바이패스시킨다.If the user does not select the 'current broadcast' menu in step 602, the switching unit 401 is switched to the buffer 402. At this time, the video stream that has passed through the MPEG A / V decoder 105 is input to the buffer 402 through the switching unit 401, but the buffer 402 is directly stored into the multiplexer 403 without storing the input video stream. Pass it.

상기 멀티플렉서(403)는 버퍼(402)에서 바이패스되는 선택된 채널의 비디오 스트림과 OSD 형태의 SI 신호를 다중화하여 제 1 NTSC 엔코더(106)로 출력한다. 상기 제 1 NTSC 엔코더(106)는 멀티플렉서(403)에서 다중화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NTSC 신호로 엔코딩하여 휘도 신호와 색 신호로 출력하고, 이는 주화면에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이상은 도 1의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일반적인 비트 스트림 처리 과정과 유사하다.The multiplexer 403 multiplexes the video signal of the selected channel bypassed by the buffer 402 and the SI signal in the OSD form to the first NTSC encoder 106. The first NTSC encoder 106 encodes the digital video signal multiplexed by the multiplexer 403 into an analog NTSC signal and outputs it as a luminance signal and a color signal, which are displayed as moving images on the main screen. The above is similar to the general bit stream processing described in the prior art of FIG.

한편, 상기 단계 602에서 사용자가 본 발명에서 구현한 GUI 환경인 '현재 방송' 메뉴를 선택하였다고 판별되면 상기 버퍼(402)는 '현재 방송' 메뉴를 선택하기 전의 채널의 비디오 스트림 즉, 프레임을 저장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현재 방송' 메뉴를 선택하기 전에 버퍼(402)로 입력되던 비디오 스트림이 채널 11이었다면, 채널 11의 프레임이 버퍼(402)에 저장된다. 그리고, 채널 11에 대한 정지 영상을 제 1 NTSC 엔코더(106)를 통해 주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603).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602 that the user selects the 'current broadcast' menu, which is the GUI environment implem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ffer 402 stores the video stream, that is, the frame of the channel before selecting the 'current broadcast' menu. do. For example, if the video stream input to buffer 402 was channel 11 before the user selected the 'current broadcast' menu, the frames of channel 11 are stored in buffer 402. Then, the still image for the channel 11 is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through the first NTSC encoder 106 (step 603).

동시에, 각 채널별로 방송 사업자 명을 검출하게 된다(단계 604). 그리고, 방송 사업자 명이 있는지를 판별하여(단계605), 있다고 판별되면 OSD 형태의 텍스트로 방송 사업자 명을 멀티플렉서(403)에서 채널 11의 비디오 신호와 다중화하여 화면상에 OSD 형태로 사업자 명을 표시하고(단계 606), 사업자 명이 없다고 판별되면 화면상에 단순히 채널 번호만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단계 607).At the same time, the broadcaster name is detected for each channel (step 604). If there is a broadcaster name (step 605), the broadcaster name is multiplexed with the video signal of the channel 11 in the multiplexer 403 using OSD text to display the operator name in the OSD form on the scree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business name (step 606), only the channel number is simply displayed on the screen in OSD form (step 607).

이렇게 사업자 명에 대한 확인이 끝나면 다음으로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을 검출하고(단계 608), 프로그램 정보가 있는지를 판별한다(단계 609). 이때, 프로그램 정보가 있으면 화면상에 채널별 프로그램 정보를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단계 610), 프로그램 정보가 없으면 화면상에 '정보없슴'이란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아니면 다음 처리를 진행한다(단계 611).When the confirmation of the name of the service provider is completed, the next broadcast program for each channel is detected (step 608),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program information (step 609). In this case, if there is program information, program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an OSD form (step 610). If there is no program information, a message 'No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or the next process is performed (step 611). .

이렇게 처리된 OSD 형태의 부화면 정보에 대해 사용자가 각 OSD 상에 있는 채널을 검색하여 선택하게 되면(단계 612), 지금까지 제1 NTSC 엔코더(106)의 입력을 선택하고 있던 스위칭부(401)가 제 2 NTSC 엔코더(404)로 스위칭된다(단계 613). 그러면, 상기 선택된 채널의 PID 정보를 변경하여(단계 614), 화면 하단의 동영상으로 부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단계 615).When the user searches for and selects a channel on each OSD with respect to the sub-screen information in the OSD form (step 612), the switching unit 401 which has been selecting the input of the first NTSC encoder 106 so far. Switches to the second NTSC encoder 404 (step 613). Then, the PI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hannel is changed (step 614), and the sub-screen is displayed as a video at the bottom of the screen (step 615).

도 5의 '현재 방송' GUI 환경은 제목 그대로 현재 방송중인 모든 채널의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개념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각 채널별 방송 사업자명(예, KBS 위성 1, EBS 위성 1 등등)과 방영중인 프로그램의 제목(예, KBS 7시 저녁 뉴스, 위성 특집 청소년 음악회등등)을 텍스트로 나타냄과 동시에 화면 하단에 부화면으로 해당 프로그램의 동영상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단 사용자가 '현재 방송' 메뉴를 선택하면 도 5의 상단에 있는 예와 같은 '현재 방송' OSD 화면이 뜬다. 여기서, 리모콘등의 버튼 조작으로 다른 채널을 스크롤하면 파싱된 EIT, SDT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채널의 방송 사업자명과 프로그램 내용을 디스플레이해줌과 동시에 해당 채널의 동영상을 부화면에 보여준다.The 'current broadcast' GUI environment of FIG. 5 is made as a concept of providing information of all currently broadcast channels as the title, and each broadcaster's name (eg, KBS satellite 1, EBS satellite 1, etc.) and the program being broadcasted. The title (eg KBS 7:00 Evening News, Satellite Special Youth Concert, etc.) will be displayed in text and the video of the program will be displayed as a sub-screen at the bottom of the screen. Once the user selects the 'Current Broadcast' menu, the 'Current Broadcast' OSD screen as in the example at the top of FIG. 5 is displayed. In this case, when another channel is scrolled by a button operation such as a remote controller, the broadcaster name and program contents of the corresponding channel are displayed using the parsed EIT and SDT information, and the video of the corresponding channel is displayed on the sub screen.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재 채널 11번의 KBS 위성 1을 보다가 '현재 방송' 메뉴를 선택하면 MPEG A/V 디코더(105)에서 출력되는 채널 11의 비디오 스트림은 버퍼(402)에 저장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views the KBS satellite 1 of the current channel 11 and selects the 'current broadcast' menu, the video stream of the channel 11 output from the MPEG A / V decoder 105 is stored in the buffer 402.

이후 사용자가 '현재 방송' GUI 상에서 채널 12, 13등과 같은 다른 채널을 검색할 경우 스위칭부(401)의 스위칭에 의해 해당 채널의 비디오 신호만이 제 2 NTSC 엔코더(404)로 입력되어 화면 하단의 부화면에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버퍼(402)에 저장된 이전 채널 즉, 채널 11번은 제 1 NTSC 엔코더(106)를 통해 주화면에 정지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각 채널의 부화면 구성을 위해 해당 채널의 PID만을 변경해줌으로써, 해당 채널의 스트림을 제 2 NTSC 엔코더(404)로 출력한다.Then, when the user searches for other channels such as channels 12 and 13 on the 'current broadcast' GUI, only the video signal of the corresponding channel is inputted to the second NTSC encoder 404 by the switching of the switching unit 401. Display the video on the subscreen. In this case, the previous channel, that is, channel 11, stored in the buffer 402 is displayed as a still image on the main screen through the first NTSC encoder 106. Here, only the PID of the corresponding channel is changed to configure the sub-screen of each channel, thereby outputting the stream of the corresponding channel to the second NTSC encoder 404.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 및 타 채널 프로그램 디스플레이 방법에 의하면, 별도의 튜너 없이도 타 채널의 프로그램을 작은 부화면으로 보여주는 하드웨어와 GUI 환경을 구성하여, '현재 방송' 메뉴가 선택되지 않으면 주화면에 선택 채널의 비디오 신호를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프로그램 정보를 OSD 형태의 텍스트로 디스플레이하고, '현재 방송' 메뉴가 선택되면 '현재 방송' 메뉴가 선택되기 전 채널의 비디오 신호는 주화면에 정지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텍스트 형태의 부가 정보에 대해 사용자가 각 OSD 상에 있는 채널을 검색하여 선택하게 되면, 상기 선택된 채널의 PID 정보를 변경하여, 화면 하단의 동영상으로 부화면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채널 탐색시 별도의 튜너 없이도 타 채널의 프로그램을 텍스트 정보(방송 사업자명, 프로그램 내용)와 동영상을 통해 검색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채널로의 절환을 빠르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and the other channel program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urrent broadcast' menu is selected by configuring a hardware and GUI environment showing a program of another channel in a small sub-screen without a separate tuner. If not, the video signal of the selected channel is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as a video and the program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text of OSD. If the 'Current Broadcast' menu is selected, the video signal of the channel before the 'Current Broadcast' menu is selected When the user searches and selects channels on each OSD for additional information in text form while displaying still images on the main screen, the PI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hannel is changed to display the sub-screen as a video at the bottom of the screen. By displaying, you can program other channels without a separate tuner. Text information (broadcaster name, program information) and you can browse through the videos, so you can quickly switch to the desired channel.

Claims (7)

시간 다중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입력받아 역다중화를 수행하여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부가 정보 스트림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비디오/오디오 스트림은 엠펙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디코딩하고 부가 정보 스트림은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A digital satellite that receives time-multiplexed transport streams and demultiplexes them into video streams, audio streams, and additional information streams, decodes the separated video / audio streams using the MPEG algorithm, and database additional information streams. In a broadcast receiver, 채널 탐색을 위한 '현재 방송' 메뉴 선택에 따라 디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주화면 또는 부화면 신호로 선택하는 스위칭부와,A switching unit which selects a decoded video signal as a main screen or sub picture signal according to a selection of a 'current broadcast' menu for channel searching; '현재 방송' 메뉴가 선택되면 '현재 방송' 메뉴가 선택되기 직전에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출력되던 주화면 신호를 저장하는 버퍼와,A buffer for storing a main screen signal output through the switching unit just before the 'current broadcast' menu is selected when the 'current broadcast' menu is selected, 상기 버퍼에 저장된 주화면 신호와 온스크린 디스플레이(OSD) 형태의 부가 정보를 다중화하는 멀티플렉서와,A multiplexer for multiplexing the main picture signal stored in the buffer and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form of an on-screen display (OSD); 상기 멀티플렉서에서 OSD 형태의 부가 정보와 다중화된 주화면 신호를 NTSC 신호로 엔코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화면에 정지영상으로 출력하는 제 1 NTSC 엔코더와,A first NTSC encoder for encoding OSD-side additional information and the multiplexed main picture signal in the multiplexer as an NTSC signal and outputting a still picture on the main picture of the display device;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출력되는 부화면 신호를 NTSC 신호로 엔코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화면에 동영상으로 출력하는 제 2 NTSC 엔코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And a second NTSC encoder which encodes the sub picture signal outputted through the switching unit into an NTSC signal and outputs a video to the sub picture of the display device as a moving pi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uffer is '현재 방송' 메뉴가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출력되는 주화면 신호를 저장하지 않고 상기 멀티플렉서로 바이패스시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화면에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If the 'current broadcast' menu is not selected, the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for displaying a video on the main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by bypassing the main screen signal output through the switching unit to bypass the multiplex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탐색을 위한 '현재 방송' 메뉴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환경으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The digital satellite broadcast receiver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current broadcast' menu for channel searching is provided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environment. 역다중화된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은 엠펙 알고리즘으로 디코딩하고 부가 정보 스트림은 데이터베이스화한 후 OSD 형태의 텍스트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의 타채널 프로그램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In the demultiplexed video streams, audio streams are decoded by MPEG algorithm,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streams are databaseized and displayed as text in OSD form. 채널 탐색을 위한 '현재 방송' 메뉴가 선택되면 주화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정지화상으로 디스플레이시키는 주화면 표시단계와,A main screen display step of displaying a main screen signal as a still image on a display device when a 'current broadcast' menu is selected for channel searching; 각 채널별 사업자 명, 프로그램 정보 등을 검출하여 검출되면 이를 OSD 형태의 텍스트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부화면 데이터 처리단계와,A sub-screen data processing step of detecting a company name, program information, etc. for each channel and displaying the same on the display device in the form of OSD text when detected; 사용자가 OSD 상에서 채널 탐색을 수행하면 선택된 채널의 비디오 신호를 부화면에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부화면 표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의 타채널 프로그램 디스플레이 방법.The sub-channel program display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displaying a sub-screen displaying a video signal of a selected channel as a video on a sub-screen when the user searches for a channel on the OSD. 제 4 항에 있어서, 주화면 표시단계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ain screen display step 디지털 위성 방송에서 부가 정보(SI)를 수신하여 이를 해석하고 각 부가정보를 저장하는 제 1 과정과,A first process of receiving additional information (SI) in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interpret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SI), and storing each additional information; 채널 탐색을 위한 '현재 방송' 메뉴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별하는 제 2 과정과,A second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current broadcast' menu is selected for channel searching; 상기 제 2 과정에서 '현재 방송' 메뉴가 선택되었다고 판별되면 '현재 방송' 메뉴가 선택되기 전 채널의 비디오 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채널의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화면에 정지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 3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의 타채널 프로그램 디스플레이 방법.If it is determined in the second step that the 'current broadcast' menu is selected, a third method of storing a video signal of a channel before the 'current broadcast' menu is selected and displaying the stored video signal of the channel as a still image on the main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Another channel program display method of the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roces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면 데이터 처리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ub-screen data processing step 각 채널별로 방송 사업자 명을 검출하여 방송 사업자명이 있으면 이를 OSD 형태의 텍스트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1 과정과,A first step of detecting a broadcaster name for each channel and displaying the broadcaster name on the display device in the form of OSD text if there is a broadcaster name;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을 검출하여 프로그램 정보가 있으면 이를 OSD 형태로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2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의 타채널 프로그램 디스플레이 방법.And a second process of detecting a broadcast program for each channel and displaying the program information on the display device in the form of an OS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면 표시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ub-screen display step 사용자에 의해 화면상에 OSD 형태로 표시된 부가 정보로부터 채널 탐색이 수행되는 제 1 과정과,A first process of performing a channel search from the additional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OSD form by the user on the screen; 상기 제 1 과정에서 채널이 선택되면 선택된 채널의 비디오 신호를 스위칭에 의해 부화면 신호로 선택하는 제 2 과정과,A second process of selecting a video signal of the selected channel as a sub picture signal by switching when a channel is selected in the first process; 상기 제 2 과정에서 선택된 채널의 패킷 고유번호(PID)를 변경하는 제 3 과정과,A third step of changing a packet unique number (PID) of a channel selected in the second step; 상기 제 3 과정에서 PID가 변경된 채널의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화면에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 4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의 타채널 프로그램 디스플레이 방법.And a fourth process of displaying the video signal of the channel whose PID is changed in the third process as a video on the sub-screen of the display device.
KR1019980009294A 1998-03-18 1998-03-18 Digital satellite broadcsting receiver and method for display the other channel program KR1002693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9294A KR100269370B1 (en) 1998-03-18 1998-03-18 Digital satellite broadcsting receiver and method for display the other channel progr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9294A KR100269370B1 (en) 1998-03-18 1998-03-18 Digital satellite broadcsting receiver and method for display the other channel progr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5212A true KR19990075212A (en) 1999-10-15
KR100269370B1 KR100269370B1 (en) 2000-10-16

Family

ID=19535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9294A KR100269370B1 (en) 1998-03-18 1998-03-18 Digital satellite broadcsting receiver and method for display the other channel progra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9370B1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402B1 (en) * 2001-05-03 200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 audio/video of digital TV
KR100393090B1 (en) * 2000-02-10 2003-07-31 주식회사 한단정보통신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management of a set-top box
KR20030067953A (en) * 2002-02-09 2003-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of broadcasting information on a television unit
KR100435162B1 (en) * 2001-02-16 2004-06-09 히다찌 플랜트 겐세쓰 가부시키가이샤 Membrane disc
KR100657106B1 (en) * 2005-07-18 2006-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setting auto channel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100690130B1 (en) * 2004-12-02 200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multi format video
KR100700248B1 (en) * 2006-03-08 2007-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other broadcasting program information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100717691B1 (en) * 2005-10-08 2007-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Channel Navigation Method Thereof
KR100740018B1 (en) * 1999-05-19 2007-07-18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Recording apparatus,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0912557B1 (en) * 2006-06-23 2009-08-19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Apparatus for multi-displaying broadcasting image,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ulti-displaying broadcasting ima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288B1 (en) * 1998-09-25 2006-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program guide information expressing of digital tv
KR101295301B1 (en) 2006-11-10 2013-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Receiver and Method for processing a broadcasting singal of the reciver thereof
KR100941647B1 (en) 2008-10-15 2010-02-1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Av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018B1 (en) * 1999-05-19 2007-07-18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Recording apparatus,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0393090B1 (en) * 2000-02-10 2003-07-31 주식회사 한단정보통신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management of a set-top box
KR100435162B1 (en) * 2001-02-16 2004-06-09 히다찌 플랜트 겐세쓰 가부시키가이샤 Membrane disc
KR100379402B1 (en) * 2001-05-03 200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 audio/video of digital TV
KR20030067953A (en) * 2002-02-09 2003-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of broadcasting information on a television unit
KR100690130B1 (en) * 2004-12-02 200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multi format video
KR100657106B1 (en) * 2005-07-18 2006-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setting auto channel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100717691B1 (en) * 2005-10-08 2007-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Channel Navigation Method Thereof
KR100700248B1 (en) * 2006-03-08 2007-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other broadcasting program information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100912557B1 (en) * 2006-06-23 2009-08-19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Apparatus for multi-displaying broadcasting image,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ulti-displaying broadcasting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9370B1 (en)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6331B2 (en) Virtual channel table for a broadcast protocol and method of broadcasting and receiving broadcast signals using the same
KR100664012B1 (en) Output language display method for digital television
KR100269370B1 (en) Digital satellite broadcsting receiver and method for display the other channel program
US889870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broadcasting thereof
KR101025212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Pop-up Window of Favorite Channel in Providing of Electronic Program Guide
EP2312836A2 (en) Broadcast receiver and multi-screen processing method using same
JP3600170B2 (e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KR20000031422A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satellite broadcast re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