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4852A - 음각 말뚝 - Google Patents

음각 말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4852A
KR19990074852A KR1019980008733A KR19980008733A KR19990074852A KR 19990074852 A KR19990074852 A KR 19990074852A KR 1019980008733 A KR1019980008733 A KR 1019980008733A KR 19980008733 A KR19980008733 A KR 19980008733A KR 19990074852 A KR19990074852 A KR 19990074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intaglio
ground
present
pi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8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덕
Original Assignee
이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덕 filed Critical 이상덕
Priority to KR1019980008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4852A/ko
Publication of KR19990074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4852A/ko

Links

Landscapes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1.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음각 말뚝.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말뚝의 주변 마찰 저항을 향상시켜 말뚝의 지지력을 극대화 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항타용 말뚝에 있어서, 상기 말뚝의 외주면에 소정의 크기와 깊이를 갖는 홈이 다수개 음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항타용 말뚝에 이용됨.

Description

음각 말뚝
본 발명은 음각 말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항타용 말뚝에 있어서, 말뚝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음각을 형성하여 주변마찰력을 향상시킨 말뚝에 관한 것이다.
말뚝은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지반내의 지지층으로 전달하는 구조체로서,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주변마찰력과 선단지지력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므로, 시공된 말뚝이 제기능을 발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지력이 큰 지반까지 말뚝을 타입하여 확실한 선단지지력을 확보하거나, 지반과 말뚝간의 주변마찰력을 충분히 확보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설치된 말뚝의 안정성은 말뚝과 지반간의 주변 마찰력과 말뚝 선단이 놓여지는 지반의 선단지지력에 의하여 결정된다. 말뚝을 지반내에 타입할 때, 종래에는 주로 선단지지력에 의해 상부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시공하거나, 선단지지력이 충분히 큰 견고한 지반이나 암반이 깊게 위치한 경우에는 주변 마찰력으로 상부 하중을 지지하도록 시공한다.
도1은 종래의 일반적인 말뚝의 개략적인 외관도로서, 종래의 말뚝은 외주면이 매끄럽게 형성된 것이 대부분 이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말뚝은 표면이 매끄러워 지반과의 충분한 마찰력을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로 인해 상기와 같이 선단지지력이 충분히 큰 견고한 지반이나 암반이 깊게 위치한 경우에는 그 위치까지 타입하여 선단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 타입되는 말뚝의 길이가 증가될 수 밖에 없어 전체적으로 시공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말뚝의 본체 표면에 부분적으로 소정의 크기와 깊이를 갖는 홈을 음각하여 지반과 말뚝과의 마찰저항력을 증대시킨 개량된 말뚝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의 일박적인 말뚝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2a는 본 발명에 따른 말뚝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2b는 도2a의 A-A 단면도.
도2c는 도2a의 B-B 단면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항타용 말뚝에 있어서, 상기 말뚝의 외주면에 소정의 크기와 깊이를 갖는 홈이 다수개 음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2a 이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a는 본 발명에 따른 말뚝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외관도이고, 도2b는 도2a의 A-A 단면도, 도2c는 도2a의 B-B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일반적인 말뚝의 외주면에 음각이 형성된 것이다. 즉,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말뚝의 외주면에 소정의 크기와 소정의 깊이를 갖는 홈을 다수개 형성한다. 이와 같이 말뚝 표면을 부분적으로 음각 처리하면 지반과 말뚝간의 마찰계수가 증가하여 주변 마찰저항이 증가되고 결과적으로 말뚝의 지지력이 증가된다.
일반적으로 말뚝 표면과 지반사이의 마찰각은 지반의 내부마찰각의 약 정도이다. 그런데, 말뚝의 타입중에 말뚝의 외주면에 형성된 음각부분에 흙이 메워지면 이 부분에서의 마찰은 지반과 지반사이의 마찰이 되므로, 본 발명의 음각한 말뚝의 마찰 저항력은 매우 향상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어떠한 형태의 말뚝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말뚝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음각의 형태는 말뚝의 구조에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말뚝은 제작시 음각용 틀을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부분 음각을 갖는 말뚝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말뚝의 표면을 부분적으로 음각 처리하여 종래의 말뚝에 비해 말뚝의 주변 마찰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말뚝의 길이가 작더라도 소요 지지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말뚝의 단면 감소로 인하여 재료의 절감 효과가 있으며, 종래의 생산시스템을 그대로 이용하여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항타용 말뚝에 있어서, 상기 말뚝의 외주면에 소정의 크기와 깊이를 갖는 홈이 다수개 음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KR1019980008733A 1998-03-16 1998-03-16 음각 말뚝 KR19990074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733A KR19990074852A (ko) 1998-03-16 1998-03-16 음각 말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733A KR19990074852A (ko) 1998-03-16 1998-03-16 음각 말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4852A true KR19990074852A (ko) 1999-10-05

Family

ID=65909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8733A KR19990074852A (ko) 1998-03-16 1998-03-16 음각 말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48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739B1 (ko) * 2002-09-17 2005-12-23 길병옥 흙막이용 파일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739B1 (ko) * 2002-09-17 2005-12-23 길병옥 흙막이용 파일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828325U (ja) 自動車用変速装置のシフトレバ−
KR960011115A (ko) 연료분사밸브
KR19990074852A (ko) 음각 말뚝
JP2022064272A5 (ko)
CN108001364B (zh) 一种汽车及其汽车仪表台手套箱和开启限位结构
JP2003286711A5 (ko)
JPH01119477U (ko)
JPH0333784Y2 (ko)
JP3095705B2 (ja) プラスチック製の綴具
JPS5851234Y2 (ja) 大口径開端ぐい
JP3394185B2 (ja) ケーソン用目地材
JPS636250Y2 (ko)
JPS62125139U (ko)
JPH066951Y2 (ja) セラミック製ペン先
DE202017106801U1 (de) Schachtabdeckung
JPS5969255U (ja) 深層掘削用のバケツト転倒具
JPS5977545U (ja) レベルボア鋳造用鋳型
KR950001027A (ko) 공장 제조용 기어(gear)형 마찰말뚝
JPS60152797A (ja) 無発破硬岩破砕装置
KR960041556A (ko) 비탈면 보호장치 및 이의 연결블럭
JPH02137777U (ko)
JPH078433U (ja) ラジアルゲート基礎材の応力集中緩和構造
JPH01217810A (ja) キーボード
JPH04134541U (ja) 鋼管杭
JPS6067443U (ja) 油圧緩衝器のアツパ−キヤツプ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