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2879A - 대역필터,듀플렉서,고주파모듈및통신장치 - Google Patents

대역필터,듀플렉서,고주파모듈및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2879A
KR19990072879A KR1019990006023A KR19990006023A KR19990072879A KR 19990072879 A KR19990072879 A KR 19990072879A KR 1019990006023 A KR1019990006023 A KR 1019990006023A KR 19990006023 A KR19990006023 A KR 19990006023A KR 19990072879 A KR19990072879 A KR 19990072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tors
band
filter
terminal
microstrip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6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8607B1 (ko
Inventor
사사키유타카
다나카히로아키
Original Assignee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무라타 야스타카
Publication of KR19990072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8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86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3Strip line filters
    • H01P1/20327Electromagnetic interstage coupling
    • H01P1/20336Comb or interdigital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3Strip lin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8Strip line reson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과대역의 양측에 감쇠극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대역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대역필터에서는, 한 단은 개방단자가 되고 다른 단은 접지전극에 접속되어 접지단자를 형성하는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를 복수개 일렬로 배치하며, 내측의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를 C자 형상으로 굴곡되게 형성하여, 외측의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의 개방단자가 내측의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들의 개방단자들 서로간에 바라보는 것이 개선되어, 공진기들의 개방단자들 사이에 정전용량이 형성됨으로써, 통과대역의 양측에 감쇠극이 형성될 수 있고, 감쇠 영역에서의 감쇠량이 증가될 수 있다.

Description

대역필터, 듀플렉서, 고주파 모듈 및 통신장치{Bandpass filter, Duplexer, High-frequency module and Communications device}
본 발명은 대역필터, 이 필터를 사용하는 듀플렉서, 이들을 사용하는 고주파 모듈 및 이 고주파 모듈을 사용하는 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하면 마이크로파대(microwave band)의 이동통신 장치의 RF단에서 사용되는 대역필터, 이 필터를 사용하는 듀플렉서, 이들을 사용하는 고주파 모듈 및 이 고주파 모듈을 사용하는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동통신 장치, 특히 휴대전화의 소형화 및 사용 주파수의 고주파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결과, 이러한 장치의 RF 단 등에서 사용되는 대역필터와 듀플렉서의 소형화와 협소대역(narrow-band)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도 10은 종래의 컴라인(comliine) 대역필터의 전극 패턴을 도시한다. 도 10에서, 대역필터 1은 접지전극 2; 목적하는 주파수의 파장의 약 4분의 1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한 단은 개방단자가 되고 다른 단은 상기 접지전극 2에 접속되어 접지단자를 형성하는 분포상수선로형 공진기(distributed constant line resonator)가 되는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 3, 4, 5, 6; 입력단자 7; 및 출력단자 8를 포함하고 있다. 입력단자 7 및 출력단자 8은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 3, 6 각각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한쪽 주면의 대략 전면에 접지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인쇄기판의 다른쪽 주면의 일부에는 상기 구성성분들이 형성되어서, 신호 프로세서(processor)를 형성한다.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주면의 대략 전면에 접지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소형의 유전체 기판 9의 다른쪽 주면에는 상기 구성성분들이 형성되어서, 단일칩 부품으로서 사용된다. 도 11에서, 도 1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상기 구성의 대역필터 1에 있어서, 입력단자 7로부터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 3에 입력된 신호는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 3, 4, 5, 6으로 구성된 필터회로에 입력된다.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 3, 4, 5, 6은 각각이 목적하는 주파수에서 공진하고, 또한 공진기 3, 4, 5, 6은 접지단자 근방에서 특히 강하게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상호 결합하며, 이에 의해 대역필터로서 작동하고, 공진기 3, 4, 5, 6의 목적하는 주파수 근방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며, 이외의 주파수에서의 신호는 반사된다. 따라서, 목적하는 주파수에서의 신호는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 6으로부터 출력단자 8에 출력된다.
도 12는 대역필터 1의 통과특성 및 반사특성을 도시한다. 도 12에서, 특성 a는 삽입손실을, 특성 b는 반사손실을 나타내며, 4㎓ 전후에 약 400㎒의 통과대역이 있다.
그러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역필터 1에 있어서, 삽입손실의 특성 a에는 통과대역의 고역측에서만 감쇠극 p1이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대역필터에서는 통과대역 이외의 영역에서 삽입손실의 감쇠량이 큰 것이 바람직하지만, 통상의 컴라인 필터에서는 이러한 감쇠극이 단지 1개, 또는 감쇠극이 전혀 형성되지 않는다. 그 결과, 통과대역의 양측의 주파수대역을 포함하고 있는 감쇠영역에서의 감쇠량을 충분하게 얻을 수 없다. 구체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역측에서는 3.4㎓에서 삽입손실이 -40㏈ 이하(목표치 AL)가 필요하고, 고역측에서는 4.6㎓에서 삽입손실이 -40㏈ 이하(목표치 AH)가 필요하지만, 사실상 각각의 경우에 삽입손실은 -22㏈과 -23㏈이 될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통과대역의 양측에 감쇠극을 형성할 수 있는 대역필터, 이 대역필터를 사용하는 듀플렉서, 이들을 사용하는 고주파 모듈 및 이 고주파 모듈을 사용하는 통신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역필터의 한 구현예의 전극 패턴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대역필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대역필터의 통과특성 및 반사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대역필터의 다른 구현예의 전극 패턴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대역필터의 또 다른 구현예의 전극 패턴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대역필터의 또 다른 구현예의 전극 패턴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듀플렉서의 한 구현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고주파 모듈의 한 구현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통신장치의 한 구현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종래 대역필터의 한 구현예의 전극 패턴을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의 대역필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종래 대역필터의 통과특성 및 반사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2, 15, 17 ... 접지전극 7 ... 입력단자
8 ... 출력단자 10. 25. 30. 35 ... 대역필터
11, 12, 13, 14, 26, 27, 28, 29...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
16, 18, 19, 20 ... 빗형상의 전극쌍 21 ... 유전체 기판
31, 32, 33, 34, 36, 37, 38, 39 ...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
40 ... 고주파 모듈 41 ... RF 증폭기
42 ... 국부 발진기 43 ... 믹서
44 ... IF 필터 45 ... IF 증폭기
46 ... 입력단자 47 ... 출력단자
50 ... 통신장치 51 ... 안테나
52 ... 신호 처리회로 60 ... 듀플렉서
61, 62 ... 대역필터 63 ... 안테나
64 ... 송신측 단자 65 ... 수신측 단자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대역필터는 한단은 개방단자가 되고 다른단은 접지단자가 되는 분포상수선로형 공진기를 복수개 일렬로 배치하여 구성한 컴라인 대역필터로서, 외측의 상기 분포상수선로형 공진기의 개방단자가 내측의 상기 분포상수선로형 공진기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역필터에 따르면, 상기 내측의 분포상수선로형 공진기들의 개방단자들이 상호 근접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역필터에 따르면, 상기 분포상수선로형 공진기의 개방단자에 근접하게 접지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포상수선로형 공진기의 개방단자와 상기 접지전극 사이에 정전용량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듀플렉서는 상술한 대역필터들 중의 2개를 접속시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고주파 모듈은 상기 대역필터 중의 하나 또는 상기 듀플렉서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상기 고주파 모듈을 사용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대역필터는 통과대역의 양측에 감쇠극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듀플렉서는, 소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주파 모듈에 있어서, 회로 구성을 소형이며 저가로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소형이며 저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역필터의 한 구현예의 전극 패턴을 도시한다. 도 1에서, 도 1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서, 대역필터 10은 접지전극 2; 목적하는 주파수의 파장의 약 4분의 1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한 단은 개방단자가 되고 다른 단은 상기 접지전극 2에 접속되어 접지단자를 형성하는 분포상수선로형 공진기가 되는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 11, 12, 13, 14; 입력단자 7; 출력단자 8; 접지전극 15, 17; 및 빗형상의 전극쌍 16, 18, 19, 20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외측의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 11, 14의 개방단자와 접지전극 15, 17 사이에는 각각 빗형상의 전극쌍 16, 18이 형성되어서, 정전용량을 형성한다. 또한, 내측의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 12, 13의 개방단자들은 서로를 향하여 C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형성되며, 그들 사이에 정전용량이 형성된다. 또한,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 12, 13의 개방단자와 접지전극 2 사이에는 각각 빗형상의 전극쌍 19, 20이 형성되어서, 정전용량을 형성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한쪽 주면의 대략 전면에 접지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인쇄기판의 다른쪽 주면의 일부에는 상기 구성성분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신호 프로세서를 형성하며;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주면의 대략 전면에 접지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소형의 유전체 기판 21의 다른쪽 주면에는 상기 구성성분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단일칩 부품으로서 사용된다. 도 2에서, 도 1에 도시된 부재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상술한 구성의 대역필터 10에 있어서,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 11, 12, 13, 14의 개방단자에 형성되어 있는 정전용량은 이들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를 낮추며, 이로 인해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 11, 12, 13, 14의 실질적인 길이를 이 공진기들의 목적하는 주파수의 파장의 4분의 1 보다 짧게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대역필터 10을 소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내측의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 12, 13을 C자 형상으로 굴곡되게 형성함으로써, 외측의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 11, 14 각각의 개방단자가 내측의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 12, 13보다 더 돌출되어 있다. 그 결과, 외측의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 11, 14의 개방단자들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는 장애물이 없으므로, 서로를 바라보는 것이 개선된다. 그 결과, 외측의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 11, 14의 개방단자들 사이에는 직접적인 정전용량이 형성된다.
도 3은 상술한 구성의 대역필터 10의 통과특성 및 반사특성을 도시한다. 도 3에서, 특성 c는 삽입손실을, 특성 d는 반사손실을 나타낸다. 삽입손실의 특성 c로부터,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4㎓ 전후에 약 400㎒의 통과대역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통과대역의 양측의 감쇠영역에서의 감쇠량이 종래에 비해 개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저역측에서는 3.4㎓에서 삽입손실이 -43㏈이고, 고역측에서는 4.6㎓에서 삽입손실이 -44㏈이 되므로, 이들 모두가 -40㏈ 보다 낮으므로, 목표치 AL 및 AH를 만족하게 된다.
따라서, 대역필터 10의 내측의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 12, 13을 C자 형상으로 굴곡시킬 때, 외측의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 11, 14의 개방단자가 내측의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 12, 13보다 더 돌출되어 있어서, 외측의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 11, 14의 개방단자들 사이에서 직접적인 정전용량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통과대역의 양측에서 감쇠극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감쇠량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C자 형상으로 굴곡시켜 형성한 내측의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 12, 13의 개방단자들을 상호 근접되게 형성하므로, 양측 사이에 정전용량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통과대역의 양측에서 감쇠극을 얻을 수 있으며, 감쇠량이 증가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대역필터의 각기 다른 구현예의 전극 패턴을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도 1과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서, 대역필터 25는 접지전극 2; 목적하는 주파수의 파장의 약 4분의 1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한 단은 개방단자가 되고 다른 단은 상기 접지전극 2에 접속되어 접지단자를 형성하는 분포상수선로형 공진기가 되는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 26, 27, 28, 29; 입력단자 7; 및 출력단자 8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대역필터 25는,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 26, 27, 28, 29의 개방단자와 접지전극 사이에 정전용량을 형성하기 위한 빗형상의 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다는 점만이 도 1의 대역필터 10과 다르다.
이러한 구성의 대역필터 25에 있어서는,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의 개방단자와 접지전극 사이에서 형성된 정전용량에 의해 가능한 대역필터의 소형화에 효과가 없다는 것 이외에는 상기 대역필터 10과 정확히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에서, 대역필터 30은 접지전극 2; 목적하는 주파수의 파장의 약 4분의 1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한 단은 개방단자가 되고 다른 단은 상기 접지전극 2에 접속되어 접지단자를 형성하는 분포상수선로형 공진기가 되는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 31, 32, 33, 34; 입력단자 7; 및 출력단자 8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대역필터 30은 내측의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 32, 33을 L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이 공진기들의 개방단자들이 서로 근접하게 형성되어서, 이들 사이에 정전용량이 형성된다는 점만이 도 4의 대역필터 25와 다르다.
이러한 구성의 대역필터 30에 있어서는, 외측의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 31, 34의 개방단자가 내측의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 32, 33의 개방단자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서, 그 결과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의 개방단자와 접지전극 사이에서 형성된 정전용량에 의해 가능한 대역필터의 소형화에 효과가 있다는 것 이외에는 상기 대역필터 10과 정확히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에서, 대역필터 35는 접지전극 2; 목적하는 주파수의 파장의 약 4분의 1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한 단은 개방단자가 되고 다른 단은 상기 접지전극 2에 접속되어 접지단자를 형성하는 분포상수선로형 공진기가 되는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 36, 37, 38, 39; 입력단자 7; 및 출력단자 8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대역필터 35는, 외측의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 36, 39도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 공진기들의 개방단자들도 상호 대향하여 형성된다는 점만이 도 5의 대역필터 30과 다르다.
이러한 구성의 대역필터 35에 있어서는, 외측의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 36, 39의 개방단자가 내측의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 37, 38보다 더 돌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외측의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 36, 39의 개방단자들 사이에도 매우 큰 정전용량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대역필터 30과 동일한 작용 및 효과에 부가하여, 통과대역의 양측에 감쇠극이 용이하게 형성된다.
상술한 각 구현예에 있어서는, 상기 대역필터에 분포상수선로형 공진기를 포함하고 있는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가 4개 사용되었지만,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의 수가 4개로만 한정되지는 않고, 3개 이상의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허용된다. 또한, 상술한 각 구현예에 있어서는, 분포상수선로형 공진기로서 마이크로스트립선로 공진기가 사용되었지만, 트리플레이트 (triplate) 구조의 스트립선로 공진기 등의 다른 분포상수선로형 공진기가 사용되어도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대역필터를 사용하여 구성된 듀플렉서의 한 구현예의 블록도이다. 도 7에서, 듀플렉서 60은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른 본 발명의 2개의 대역필터 61, 62; 상기 각 대역필터의 한쪽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안테나 63; 상기 대역필터 61의 다른쪽 단자가 되는 송신측 단자 64; 및 상기 대역필터 62의 다른쪽 단자가 되는 수신측 단자 65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듀플렉서를 사용하여, 송신측 단자 64를 송신기에, 수신측 단자 65를 수신기에 각각 접속시킬 때, 또한 공통의 외부 안테나를 사용하여 송신 및 수신이 행해질 때에, 통신장치가 구성되어, 송신신호가 수신회로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수신신호가 송신회로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본 발명의 대역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상대방의 대역필터의 통과대역에서의 감쇠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송신측 단자 64와 수신측 단자 65 사이에서 충분한 절연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듀플렉서를 사용하여 구성된 고주파 모듈의 한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8에서, 고주파 모듈 40은 RF필터로서 본 발명의 대역필터 10, RF 증폭기 41, 국부 발진기(station oscillator) 42, 믹서(mixer) 43, IF 필터 44, IF 증폭기 45, 입력단자 46 및 출력단자 47을 포함하고 있는 다운컨버터 (downconverter) 이다. 여기에서, 입력단자 46은 대역필터 10과 RF 증폭기 41을 순차적으로 거쳐서 믹서 43에 접속되어 있다. 국부 발진기 42도 믹서 43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믹서 43의 출력은 IF 필터 44와 IF 증폭기 45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출력단자 47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고주파 모듈 40은 본 발명의 대역필터 10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감쇠영역에서 감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불충분한 감쇠량을 보충하기 위해서 노치(notch) 필터 등의 부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후단(後段)에 접속되어 있는 RF 증폭기 등의 입력 조정회로를 간단화할 수 있다. 그 결과, 고주파 모듈 40을 소형이며 저가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8의 고주파 모듈 40에 대역필터 10을 사용하였지만,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대역필터 25, 30, 35 및 듀플렉서 60 중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고주파 모듈을 구성하여도, 동일한 효과가 얻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고주파 모듈을 사용하여 구성한 통신장치의 한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9에서, 통신장치 50은 고주파 모듈 40, 안테나 51 및 신호 처리회로 52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안테나 51은 고주파 모듈 40에 접속되어 있고, 고주파 모듈 40은 신호 처리회로 52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통신장치 50은 본 발명의 고주파 모듈 40을 사용함으로써, 소형이며 저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역필터에 따르면, 한 단은 개방단자가 되고, 다른 단은 접지단자가 되는 분포상수선로형 공진기를 복수개 일렬로 배치하며, 외측의 분포상수선로형 공진기의 개방단자가 내측의 분포상수선로형 공진기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통과대역의 양측에 감쇠극이 형성될 수 있고, 감쇠 영역에서의 감쇠량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내측의 분포상수선로형 공진기의 개방단자들 사이에 정전용량이 형성됨으로써, 통과대역의 양측에 감쇠극이 형성될 수 있고, 감쇠 영역에서의 감쇠량이 증가될 수 있다. 게다가, 분포상수선로형 공진기의 개방단자들과 접지전극 사이에 정전용량을 형성함으로써, 대역필터가 소형이며 저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듀플렉서는 본 발명의 대역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소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송신측 단자와 수신측 단자 사이에서 충분한 절연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주파 모듈은 본 발명의 대역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소형이며 저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본 발명의 고주파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소형이며 저가로 구성될 수 있다.

Claims (7)

  1. 한단은 개방단자가 되고 다른단은 접지단자가 되는 분포상수선로형 공진기 (distributed constant line resonator)의 복수개를 일렬로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는 컴라인(comline) 대역필터로서,
    상기 분포상수선로형 공진기들 중의 외측의 분포상수선로형 공진기들의 개방단자들이 상기 분포상수선로형 공진기들 중의 내측의 분포상수선로형 공진기들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라인 대역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의 분포상수선로형 공진기들의 상기 개방단자들이 상호 근접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필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포상수선로형 공진기들의 개방단자들에 근접하게 접지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포상수선로형 공진기의 개방단자들과 상기 접지전극 사이에 정전용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필터.
  4. 제 1항에 따른 대역필터를 2개 접속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5. 제 1항에 따른 대역필터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모듈.
  6. 제 5항에 따른 고주파 모듈을 사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7. 제 4항에 따른 듀플렉서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모듈.
KR10-1999-0006023A 1998-02-24 1999-02-24 대역필터, 듀플렉서, 고주파 모듈 및 통신장치 KR1004186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41956 1998-02-24
JP4195698 1998-02-24
JP6145898 1998-03-12
JP10-61458 1998-03-12
JP10-373496 1998-12-28
JP37349698 1998-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879A true KR19990072879A (ko) 1999-09-27
KR100418607B1 KR100418607B1 (ko) 2004-02-11

Family

ID=27291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6023A KR100418607B1 (ko) 1998-02-24 1999-02-24 대역필터, 듀플렉서, 고주파 모듈 및 통신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326866B1 (ko)
EP (1) EP0938153B1 (ko)
KR (1) KR100418607B1 (ko)
DE (1) DE6992416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3512B2 (en) * 2001-06-21 2004-01-27 Kyocera Corporation High frequency module having a laminate board with a plurality of dielectric layers
US7071783B2 (en) * 2002-07-19 2006-07-04 Micro Mobio Corporation Temperature-compensated power sensing circuit for power amplifiers
US7493094B2 (en) * 2005-01-19 2009-02-17 Micro Mobio Corporation Multi-mode power amplifier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6774718B2 (en) * 2002-07-19 2004-08-10 Micro Mobio Inc. Power amplifier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20040232982A1 (en) * 2002-07-19 2004-11-25 Ikuroh Ichitsubo RF front-end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WO2004073099A2 (en) * 2003-02-05 2004-08-26 Mohammed Mahbubur Rahman Electronically tunable comb-ring type rf filter
DE10313868B4 (de) * 2003-03-21 2009-11-19 Siemens Ag Katheter zur magnetischen Navigation
US20050205986A1 (en) 2004-03-18 2005-09-22 Ikuroh Ichitsubo Module with integrated active substrate and passive substrate
US7254371B2 (en) 2004-08-16 2007-08-07 Micro-Mobio, Inc. Multi-port multi-band RF switch
US7369018B2 (en) * 2004-08-19 2008-05-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electric filter
US20060077020A1 (en) * 2004-10-13 2006-04-13 Cyntec Company Circuits and manufacturing configurations of compact band-pass filter
US7262677B2 (en) * 2004-10-25 2007-08-28 Micro-Mobio, Inc. Frequency filtering circuit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7769355B2 (en) 2005-01-19 2010-08-03 Micro Mobio Corporation System-in-packa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prepackaged power amplifier
US7580687B2 (en) * 2005-01-19 2009-08-25 Micro Mobio Corporation System-in-packa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prepackaged power amplifier
US7084702B1 (en) * 2005-01-19 2006-08-01 Micro Mobio Corp. Multi-band power amplifier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7548111B2 (en) * 2005-01-19 2009-06-16 Micro Mobio Corporation Miniature dual band power amplifier with reserved pins
KR20060113539A (ko) * 2005-04-28 2006-11-02 쿄세라 코포레이션 대역통과 필터 및 이것을 사용한 무선통신기기
TWI282214B (en) * 2005-10-21 2007-06-01 Hon Hai Prec Ind Co Ltd A band-pass filter
US7477108B2 (en) * 2006-07-14 2009-01-13 Micro Mobio, Inc. Thermally distributed integrated power amplifier module
US7940148B2 (en) * 2006-11-02 2011-05-10 Cts Corporation Ball grid array resonator
WO2009011167A1 (ja) * 2007-07-17 2009-01-22 Murata Manufacturing Co., Ltd. マイクロストリップラインフィルタ
WO2009090814A1 (ja) * 2008-01-17 2009-07-2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ストリップラインフィルタ
FR2938379A1 (fr) * 2008-11-07 2010-05-14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de filtrage differentiel a resonateurs couples coplanaires et antenne filtrante munie d'un tel dispositif
TW201212371A (en) * 2010-09-10 2012-03-16 Universal Scient Ind Shanghai Micro band-pass filter
RU2534957C1 (ru) * 2013-04-16 2014-12-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ЭИ" Полосно-пропускающий фильтр
CN103779638A (zh) * 2014-01-15 2014-05-07 中国计量学院 对称c型微带结构的磁电双可调超宽带带通滤波器及方法
CN104253291A (zh) * 2014-09-30 2014-12-31 南京理工大学 新型带状线结构的微波毫米波宽带滤波器
KR20170004235A (ko) * 2015-07-01 2017-01-11 주식회사 이너트론 멀티 채널 멀티플렉서
CN108808186B (zh) * 2018-08-13 2020-02-14 电子科技大学 一种可重构微波四工器
CN109167136B (zh) * 2018-08-23 2021-04-06 成都信息工程大学 一种微带结构
US11223094B2 (en) 2018-12-14 2022-01-11 Commscope Italy S.R.L. Filters having resonators with negative coupling
US11424525B2 (en) * 2020-10-19 2022-08-23 Wi-LAN Research Inc. Duplexers and related devices for 5G/6G and subsequent protocols and for mm-wave and terahertz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9750A (en) 1976-02-18 1977-08-22 Toshiba Corp Zone filter
US4168479A (en) 1977-10-25 1979-09-1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Millimeter wave MIC diplexer
JPS585001A (ja) 1981-06-30 1983-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イクロ波フィルタ
JPS5885601A (ja) 1981-11-17 1983-05-23 Nec Corp マイクロストリツプ型帯域通過ろ波器
JPS62140501A (ja) 1985-12-16 1987-06-24 Nec Corp Micフイルタ
JPH03218102A (ja) 1990-01-23 1991-09-25 Fujitsu General Ltd インターデジタルフィルタ
US5004992A (en) * 1990-05-25 1991-04-02 Motorola, Inc. Multi-resonator ceramic filter and method for tuning and adjusting the resonators thereof
JP3356312B2 (ja) * 1992-10-08 2002-12-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ストリップラインフィルタ
JP3186607B2 (ja) * 1996-11-08 2001-07-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分布定数線路型フィルタ
JPH10215102A (ja) * 1997-01-30 1998-08-11 Nec Corp マイクロストリップ帯域阻止フィル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38153A1 (en) 1999-08-25
US6326866B1 (en) 2001-12-04
DE69924168T2 (de) 2006-05-11
EP0938153B1 (en) 2005-03-16
DE69924168D1 (de) 2005-04-21
KR100418607B1 (ko)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8607B1 (ko) 대역필터, 듀플렉서, 고주파 모듈 및 통신장치
US5023866A (en) Duplexer filter having harmonic rejection to control flyback
US6150898A (en) Low-pass filter with directional coupler and cellular phone
US5812036A (en) Dielectric filter having intrinsic inter-resonator coupling
US20020030556A1 (en) Frequency variable filter, antenna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KR100313717B1 (ko) 대칭적인 감쇄극 특성을 갖는 유전체 공진기형 대역 통과 필터
JP3473489B2 (ja)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及び通信機装置
JPH11186819A (ja) 帯域阻止フィルタ及びデュプレクサ
KR100397732B1 (ko) 유전체 필터, 듀플렉서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기 장치
US5291160A (en) Filter arrangement including a non-reversible circuit element, a band-pass filter, and an active circuit
US6995635B2 (en) Microstrip line parallel-coupled-resonator filter with open-and-short end
US6747527B2 (en)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6867663B2 (en) Dielectric duplexer
US6603369B2 (en) Nonreciprocal circuit device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US6784767B2 (en)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101258034B1 (ko) 계단형 임피던스 공진기를 이용한 마이크로스트립 이중대역 대역통과 필터
JP2000252705A (ja) 帯域通過フィル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デュプレクサ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高周波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通信装置
KR100456004B1 (ko) 듀플렉서의 송신대역 통과필터
CN114824702B (zh) 一种小型化超宽带超宽阻带平面带通滤波器
JP2000357902A (ja) 平面フィル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デュプレクサ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高周波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通信装置
KR100363787B1 (ko) 일체형 유전체 듀플렉서 필터
KR0153454B1 (ko) 마이크로 스트립 대역통과여파기
JP2004297369A (ja) フィルタ回路、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KR200252765Y1 (ko) 신호잡음비 특성이 향상된 동축형 여파기
KR100323544B1 (ko) 유전체 필터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20402

Effective date: 2004011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