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1094A - 그레이부호화 기호 디매핑 및 차분부호화 기호 디매핑을 모두지원하는 케이블모뎀의 16 qam 디매핑 장치 - Google Patents

그레이부호화 기호 디매핑 및 차분부호화 기호 디매핑을 모두지원하는 케이블모뎀의 16 qam 디매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1094A
KR19990071094A KR1019980006336A KR19980006336A KR19990071094A KR 19990071094 A KR19990071094 A KR 19990071094A KR 1019980006336 A KR1019980006336 A KR 1019980006336A KR 19980006336 A KR19980006336 A KR 19980006336A KR 19990071094 A KR19990071094 A KR 19990071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mapping
signal
differential
symbol
coded symb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6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갈헌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06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1094A/ko
Publication of KR19990071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1094A/ko

Links

Landscapes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레이부호화 기호 디매핑과 차분부호화 기호 디매핑을 지원하는 케이블모뎀의 16 QAM 디매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분부호화 기호 복호부, I-Q 값 조정 제어부, I-Q 값 조정부, 및 2개의 멀티플렉서로 구성된다.
케이블모뎀의 I-Q 디매핑기로부터 디매핑 되어 출력되는 기호(symbol)신호 중에서 차분부호화 신호에 관한 2 비트를 각각 M1과 M0이라 하고, 나머지 비트를 각각 L1과 L0이라고 정의할 때, 차분부호화 기호 복호부는 M1과 M0을 차분부호화 되기 전의 신호로 복원하며, I-Q 값 조정 제어부는 M1과 M0의 논리값이 서로 다르고, 또한 L1과 L0의 논리값도 서로 다른 경우, I-Q 값 조정을 지시하는 I-Q 값 조정신호를 출력시키고, I-Q 값 조정부는 I-Q 값 조정신호에 따라서, L1과 L0의 논리값을 서로 바꾸어 출력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하나의 멀티플렉서는 제어신호가 차분부호화 기호 디매핑 모드를 지시하는 경우, 차분부호화 기호 복호부의 출력신호를 통과시키고, 제어신호가 그레이부호화 기호 디매핑 모드를 지시하는 경우, M1과 M0을 통과시키며, 제 2 멀티플렉서는 제어신호가 차분부호화 기호 디매핑 모드를 지시하는 경우, L1과 L0을 통과시키고, 제어신호가 그레이부호화 기호 디매핑 모드를 지시하는 경우, I-Q 값 조정부의 출력신호를 통과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Description

그레이부호화 기호 디매핑 및 차분부호화 기호 디매핑을 모두 지원하는 케이블모뎀의 16 QAM 디매핑 장치(16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demapping unit of cablemodem supporting Gray-coded symbol demapping and Differential- coded symbol demapping)
본 발명은 그레이부호화 기호 디매핑(Gray-coded symbol demapping)과 차분부호화 기호 디매핑(Differential-coded symbol demapping)을 지원하는 케이블모뎀의 16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디매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드선택신호의 상태에 따라 그레이부호화 기호 디매핑모드에서 동작하거나, 차분부호화 기호 디매핑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짐으로서, 이 두 가지 디매핑 모드를 모두 지원할 수 있는 케이블모뎀의 16 QAM 디매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모뎀 네트워크는 원격지 접속 분야에서 종합정보통신망(ISDN), 멀티디지털가입자회선(xDSL) 등과 함께 관심을 끌고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인터넷이나 인트라넷에 접속하여 Mbps(Mega bits per second) 급의 고속 데이터 전송 속도로 가입자에게 재택근무, 영상회의, 웹검색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케이블모뎀 네트워크의 개념은 케이블 TV망을 데이터 통신분야에 끌어들인 것으로서 동축케이블을 이용한다는 측면에서는 서로 유사하지만, 케이블 TV는 외부의 동축케이블을 셋톱박스로 연결한 후 이 셋톱박스에 TV를 접속시키는 반면 케이블모뎀 네트워크는 케이블모뎀으로 동축케이블과 PC를 연결하는 방식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케이블모뎀을 이용하여 구축한 네트워크의 구성도로서, 케이블망에 다수개의 케이블모뎀(CM)이 연결되고, 케이블모뎀에는 각각 PC가 연결되어 있어 가입자가 백본망으로부터 인터넷 등의 서비스를 제공받으며, 케이블모뎀 단말시스템(CMTS:Cable Modem Termination System)은 헤드엔드에 위치하여 상향 채널 및 하향 채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CMTS는 하향 채널에서 500Kbps~30Mbps의 전송 속도로 광대역의 데이터를 방송하고, 각 CM은 상향 채널에서 96Kbps~10Mbps의 속도로 협대역 질의데이터를 점대점 방식으로 전송한다.
CMTS와 CM은 상향스트림(Upstream) 및 하향스트림(Downstream)에서 기본 전송 단위인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레임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데, MAC 프레임의 구조는 MAC 프레임의 내용을 정의하는 MAC 헤더 및 MAC 헤더에 따라 그 길이와 존재 여부가 정해지는 데이터 PDU(Protocol data Unit)로 구성된다. MAC 프레임은 상향스트림의 경우 MAC 헤더 앞에 물리 매체 종속(PMD) 부계층 오버헤드가 붙고, 하향스트림의 경우 MPEG 전송 헤더가 붙어서 전송된다.
한편, 케이블모뎀을 이용한 통신방식에 있어서의 계층 구조가운데 전송(transport) 계층에서는 188바이트 MPEG-2 패킷의 연속으로 이루어지는 비트스트림을 하향스트림으로 전송한다. 188바이트는 동기를 위한 1바이트와, 서비스 정의, 스크램블링, 및 제어 정보를 위한 3바이트와, MPEG-2 데이터 또는 보조 데이터를 위한 184바이트로 구분된다.
도 2는 케이블모뎀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처리 단계에 관한 블록도로서, MPEG 프레임부, FEC 인코더, QAM 변조부로 이루어지는 송신부, MPEG 프레임부, FEC 디코더, QAM 복조부로 이루어지는 수신부, 및 채널로 구성된다.
송신부의 MPEG 프레임부는 연속적인 188바이트의 고정길이 패킷으로 이루어진 MPEG-2 데이터 스트림을 입력받아, MPEG 패킷의 동기를 수신부에 전달하고, FEC(Forward Error Correction) 인코더는 케이블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신뢰성 있게 전달하기 위하여 리드솔로몬 코딩, 인터리빙, 랜덤화, 및 트렐리스 코딩을 수행하며, QAM 변조부는 QAM 변조방식을 사용하여 전송하려는 신호를 채널로 전송한다. 그리고, 수신부의 MPEG 프레임부, FEC 디코더, QAM 복조부는 송신부의 역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FEC 인코더는 리드솔로몬 인코더, 인터리버, 랜덤화부, 트렐리스 인코더로 이루어지고, FEC 디코더는 트렐리스 디코더, 역랜덤화부, 디인터리버, 리드솔로몬 디코더로 이루어지는데, 리드솔로몬 인코더는 리드솔로몬 인코딩을 수행하여, 최대 3개의 심볼까지 에러 정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인터리버는 에러를 야기시키는 군집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한 처리과정을 수행하며, 랜덤화부는 QAM 복조부의 동기를 위하여 데이터를 랜덤화 시킨다.
또한 트렐리스 인코더는 연접 부호화(concatenated coding) 기법의 내부 부호(inner code)를 이용하여 이진 길쌈 부호화(convolutional encoding)를 수행하여 전송된 신호를 부호화하는데, 64 QAM의 경우, 랜덤화부로부터 4개의 7비트 심볼, 즉 28비트를 입력받아 6비트 심볼의 5개 그룹으로 만들고, 64레벨 심볼로 변환시켜 QAM 변조부로 출력한다.
도 3은 64 QAM에 대한 트렐리스 인코더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입력심볼 분배부, 비부호처리부, 부호처리부(300), 및 I-Q 매핑기(200)로 구성된다. 입력심볼 분배부(Parser)는 랜덤화부로부터 4개의 7비트 심볼로 이루어진 28비트스트림을 입력받아 QAM 규격에 맞도록 배분하는 것으로서, 입력심볼은 A 심볼과 B 심볼, 두 그룹으로 구분되며, 다시 다음의 표 1과 같이 A(1)심볼, A(2)심볼, B(1)심볼, B(2)심볼로 나누어진다.
A 그룹 B 그룹
A(1) 심볼 A(2) 심볼 B(1) 심볼 B(2) 심볼
A10,A8,A7,A5,A4,A2,A1 A9,A6,A3,A0,A13,A12,A11 B10,B8,B7,B5,B4,B2,B1 B9,B6,B3,B0,B13,B12,B11
입력심볼들은 입력심볼 분배부에 저장되었다가 매 시간마다 비부호처리부 및 부호처리부(300)로 출력되는데, 이 때 입력심볼들 가운데 A(2)심볼의 상위 비트(MSB)인 A9,A6,A3,A0과 B(2)심볼의 상위 비트(MSB)인 B9,B6,B3,A0은 각각 하위 비트부터 부호처리부(300)로 입력되고, A(2)심볼의 나머지 비트와 B(2)심볼의 나머지 비트, A(1)심볼 비트, 및 B(1)심볼 비트는 비부호처리부로 입력된다.
도 4는 매 주기당 입력심볼분배부로부터 출력되는 심볼들에 관한 개요도로서, T0 시간에는 A2,A1,B2,B1 비트들이 비부호처리부로 출력되고, A0,B0 비트들이 부호처리부(300)로 출력되며, T1 시간에는 A5,A4,B5,B4 비트들이 비부호처리부로 출력되고, A3,B3 비트들이 부호처리부(300)로 출력되며, T2 시간에는 A8,A7,B8,B7 비트들이 비부호처리부로 출력되고, A6,B6 비트들이 부호처리부(300)로 출력되며, T3 시간에는 A11,A10,B11,B10 비트들이 비부호처리부로 출력되고 A9,B9 비트들이 부호처리부(300)로 출력되며, T4 시간에는 A13,A12,B13,B12 비트들이 비부호처리부로 출력된다.
부호처리부(300)로 입력된 A0,A3,A6,A9 비트들과 B0,B3,B6,B9 비트들은 각각 부호처리부(300)의 2진 길쌈 부호화기에 의해 (U1,U2,U3,U4,U5)와 (V1,V2,V3,V4, V5)로 부호화 된다. 또한, 비부호처리부는 입력 심볼들을 그대로 I-Q 매핑기(200)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4개의 7비트 심볼, 즉 28비트 중에서 A0,A3,A6,A9와 B0,B3,B6,B9가 부호처리부(300)를 거쳐 10비트가 되어, 총 30비트의 심볼들이 상기 I-Q 매핑기(200)로 전달되게 된다.
이 때, 부호처리부(3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즉 (U1,U2,U3,U4,U5)와 (V1,V2,V3,V4,V5)를 부호화신호라고 정의하면, 이 부호화신호들은 I-Q 매핑기(200)로 입력되기 전에 수신측에서의 QAM 변조신호 위상판별을 용이하게 해주기 위하여, 차분부호화(Differential-coded) 신호로 변환될 수 있으며(차분부호화 기호 매핑모드), 혹은 부호화신호 그대로 I-Q 매핑기(200)로 입력될 수도 있다(그레이부호화 기호 매핑모드).
한편, 케이블모뎀의 수신단에서 채널을 통하여 전송된 변조신호는 도 2에 보인바와 같이 QAM 복조부를 통하여 수신되고, FEC 디코더로 입력되는데, FEC 디코더로 입력된 신호는 먼저 트렐리스 디코더를 거치게 된다.
트렐리스 디코더는 트렐리스 인코더의 역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I-Q 디매퍼와 비복호처리부, 복호처리부, 입력 심볼 결합부 등으로 구성되어, QAM 복조부로부터 각 QAM 모드에 따른 기호신호를 입력받고, I-Q 디매핑과 복호처리 및 비복호처리를 한 후, 해당 비트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역랜덤화부로 출력한다.
이때, I-Q 디매핑기에서 출력되는 기호신호는 해당 디매핑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가지게 되는데, 종래에는 케이블모뎀의 16 QAM 디매핑장치가 그레이부호화 기호 디매핑 모드나 차분부호화 기호 디매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에서만 동작할 수 있었으므로,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에서만 동작하도록 되어있는 16 QAM 디매핑 장치를 가지는 케이블모뎀을 사용하는 경우, 동작 모드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16 QAM 디매핑 장치 자체를 바꾸어 주어야 하는 등, 동작모드의 변경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모드선택신호만을 변경하여 줌으로서, 그레이부호화 기호 디매핑모드나 차분부호화 기호 디매핑모드 중, 어느 하나의 디매핑모드로 동작시킬 수있는 케이블모뎀의 16 QAM 디매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부호화 기호 디매핑과 차분부호화 기호 디매핑을 지원하는 케이블모뎀의 16 QAM 디매핑 장치는 케이블모뎀의 I-Q 디매핑기(demapper)로부터 디매핑 되어 출력되는 기호(symbol)신호 중에서 차분부호화 신호에 관한 2 비트를 각각 M1과 M0이라 하고, 나머지 비트를 각각 L1과 L0이라고 정의할 때, M1과 M0을 차분부호화 되기 전의 신호로 복원하는 차분부호화 기호 복호부; M1과 M0의 논리값이 서로 다르고, 또한 L1과 L0의 논리값도 서로 다른 경우, I-Q 값 조정을 지시하는 I-Q 값 조정신호를 출력시키는 I-Q 값 조정 제어부; I-Q 값 조정신호에 따라서, L1과 L0의 논리값을 서로 바꾸어 출력시키는 I-Q 값 조정부; 제어신호가 차분부호화 기호 디매핑 모드를 지시하는 경우, 차분부호화 기호 복호부의 출력신호를 통과시키고, 제어신호가 그레이부호화 기호 디매핑 모드를 지시하는 경우, M1과 M0을 통과시키는 제 1 멀티플렉서; 및 제어신호가 차분부호화 기호 디매핑 모드를 지시하는 경우, L1과 L0을 통과시키고, 제어신호가 그레이부호화 기호 디매핑 모드를 지시하는 경우, I-Q 값 조정부의 출력신호를 통과시키는 제 2 멀티플렉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케이블모뎀을 이용하여 구축한 네트워크의 구성도,
도 2는 케이블모뎀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처리 단계에 관한 블록도,
도 3은 64 QAM에 대한 트렐리스 인코더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매 주기당 입력심볼분배부로부터 출력되는 심볼에 관한 개요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부호화 기호 매핑 및 차분부호화 기호 매핑을 모두 지원하는 케이블모뎀의 16 QAM 매핑 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 6은 그레이부호화 기호 매핑도,
도 7은 차분부호화 기호 매핑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모뎀의 16 QAM 디매핑 장치
110: 차분부호화 기호 복호부 111: 2 비트 디지털 기억소자
112: 부호화 신호 계산기 121,122: 멀티플렉서
130: I-Q 디매핑기 140: I-Q 값 조정부
150: I-Q 값 조정 제어부 200: I-Q 매핑기
300: 부호처리부 310: 비부호처리부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부호화 기호 디매핑과 차분부호화 기호 디매핑을 지원하는 케이블모뎀의 16 QAM 디매핑 장치(100:이하 16 QAM 디매핑 장치라 한다.)에 대한 구성도로서, I-Q 디매핑기(130), 차분부호화 기호 복호부(110), I-Q 값 조정 제어부(150), I-Q 값 조정부(140), 및 2개의 멀티플렉서(121,122)로 구성된다.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어 온 신호는 도 2와 같이 QAM 복조부를 통하여 수신되고, I-Q 디매핑기(130)는 QAM 복조부로부터 복조신호를 입력받아서 도 3에 보인바와 같이 차분부호화 기호 매핑을 수행한 후, 기호신호를 4 비트 병렬 데이터 단위로 출력시킨다.
차분부호화 기호 복호부(110)는 I-Q 디매핑기(130)에서 출력되는 기호신호 중에서, 차분부호화 신호에 관한 2 비트(M1,M0)에 대하여 차분부호화 되기 전의 신호로 복호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복호과정은 현재 I-Q 디매핑기(130)에서 출력되는 M1과 M0 및 한 주기 이전에 I-Q 디매핑기(130)에서 출력된 M1과 M0, 즉 P1과 P0의 상관관계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2 비트 디지털 기억소자(111)는 I-Q 디매핑기(130)의 출력신호 중 M1과 M0을 입력받은 후, 한 주기만큼 지연시켜서 출력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부호화신호 계산기(112)는 M1, M0, 및 2 비트 디지털 기억소자(111)의 출력신호(P1,P0)를 입력신호로 하여 다음의 표 2와 같은 출력신호(D1,D0)를 내어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M1, M0 P1, P0 D1,D0
00 11 11
00 01 01
00 00 00
00 10 10
01 11 01
01 01 00
01 00 10
01 10 11
11 11 00
11 01 10
11 00 11
11 10 01
10 11 10
10 01 11
10 00 01
10 10 00
I-Q 값 조정제어부(150)는 I-Q 디매핑기(130)의 출력신호 4 비트를 입력받아서 I-Q 값 변환이 필요한지를 판단한 후, I-Q 값 조정신호를 I-Q 값 조정부(140)로 보내주는 기능을 수행하며, I-Q 값 조정부(140)는 모드선택신호가 그레이부호화 기호 디매핑모드를 지시하는 경우, I-Q 값을 그레이부호화 기호 디매핑에 맞도록 변환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 1 멀티플렉서(121)는 차분부호화 기호 복호부(110)의 출력신호와 I-Q 디매핑기(130)의 출력신호 중 M1과 M0을 입력받고, 모드선택신호가 차분부호화 기호 디매핑 모드를 지시하는 경우, 차분부호화 기호 복호부(110)의 출력신호를 자신의 출력단으로 통과시키고, 모드선택신호가 그레이부호화 기호 디매핑 모드를 지시하고 있는 경우, M1과 M0 신호를 자신의 출력단으로 통과시킨다. 그러므로 16 QAM 디매핑 장치(100)의 출력단에 나타나는 상위 2 비트 신호(C1,C0)는 어느 모드에서나 이 멀티플렉서(121)의 동작에 의하여 올바르게 유지된다.
그러나 만일 모드선택신호가 그레이부호화 기호 디매핑 모드를 지시하고 있는 경우, I-Q 디매핑기(130)는 차분부호화 기호 디매핑 기능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16 QAM 디매핑 장치(100)의 출력단의 하위 2 비트에는 올바른 신호가 나타날 수 없다. 즉 도 6과 도 7에서 보는바와 같이 그레이부호화 기호 디매핑 신호와 차분부호화 기호 디매핑 신호는 서로 다르다.
도 6의 그레이부호화 기호 디매핑도와 도 7의 차분부호화 기호 디매핑도를 살펴보면, 점선으로 표시한 부분이 서로 다르다. 또한 각 디매핑에서 서로 다른 값을 가지는 부분은 공통적으로 4번째 비트와 3번째 비트, 그리고 2번째 비트와 1번째 비트가 서로 다른 논리값을 가진다. 그러므로 I-Q 디매핑기(130)의 출력신호 중 하위 2 비트(L1,L0)의 논리값을 조사하여, 이런 경우에 해당하는 경우라면, I-Q 값 조정신호를 I-Q 값 조정부(140)로 보내어 조정하도록 하는데, 이 기능을 I-Q 값 조정 제어부(150)가 담당한다.
I-Q 값 조정 제어부(150)는 I-Q 디매핑기(130)의 출력신호 4 비트(M1,M0,L1, L0)를 입력받으며, 2개의 배타적 OR 게이트 소자(151,152)와 하나의 AND 게이트 소자(153)로 구성된다.
제 1 배타적 OR 게이트 소자(151)는 M1과 M0을 입력신호로 받으며, 제 2 배타적 OR 게이트 소자(152)는 L1과 L0을 입력신호로 받는다. 즉 도 6과 도 7에 점선으로 표시한 부분의 상위 두 개 비트가 서로 다른 논리값을 가지는 경우, 제 1 배타적 OR 게이트 소자(151)의 출력신호가 논리값 '1'을 가지며, 하위 두 개 비트가 서로 다른 논리값을 가지는 경우에는 제 2 배타적 OR 게이트 소자(152)의 출력신호가 논리값 '1'을 가진다.
AND 게이트 소자(153)는 두 개의 배타적 OR 게이트 소자(151,152)의 출력신호를 각각 입력신호로 받으며, 두 개의 배타적 OR 게이트 소자(151,152)의 출력신호가 모두 논리값 '1'을 가지는 경우에만 논리값 '1'을 출력시킨다. 즉, 도 6과 도 7의 점선부분에서 상위 두 비트의 논리값이 서로 다르고, 하위 두비트의 논리값도 서로 다른 경우에만 AND 게이트 소자(153)의 출력신호, 즉 I-Q 값 조정신호의 논리값이 '1'이 된다.
I-Q 값 조정부(140)는 L1과 L0을 입력신호로 받고, 또한 제어신호로서 I-Q 값 조정 제어부(150)의 출력신호인 I-Q 값 조정신호를 입력받는데, I-Q 값 조정신호가 논리값 '1'을 가지는 경우에 L1과 L0의 값을 서로 바꾼다. 즉 L1이 논리값 '1'을 가지고, L0이 논리값 '0'을 가지면, L1을 논리값 '0'으로 바꾸고, L0을 논리값 '1'로 바꾸거나, 그 역의 동작을 수행한다.
제 2 멀티플렉서(122)는 I-Q 값 조정부(140)의 출력신호와 I-Q 디매핑기(130)의 출력신호 중 L1과 L0을 입력받고, 모드선택신호가 차분부호화 기호 디매핑 모드를 지시하는 경우, L1과 L0을 자신의 출력단으로 통과시키고, 모드선택신호가 그레이부호화 기호 디매핑 모드를 지시하고 있는 경우, I-Q 값 조정부(140)의 출력신호를 자신의 출력단으로 통과시킨다.
즉 모드선택신호가 차분부호화 부호 디매핑 모드를 지시하고 있는 경우, 16 QAM 디매핑 장치(100)의 출력단에 나타나는 출력신호는 차분부호화 기호 복호부(110)의 출력신호와 I-Q 디매핑기(130)의 출력신호 중 L1과 L0이고, 모드선택신호가 그레이부호화 부호 디매핑 모드를 지시하고 있는 경우, 16 QAM 디매핑 장치(100)의 출력단에는 I-Q 디매핑기(130)의 출력신호 중 M1과 M0 및 I-Q 값 조정부(140)의 출력신호가 나타난다.
그러므로 모드선택신호가 그레이부호화 기호 디매핑모드를 지시하는 경우, I-Q 디매핑기(130)가 차분부호화 기호 디매핑을 수행한다고 해도, 16 QAM 디매핑 장치(100)의 출력단에는 올바른 신호가 나타날 수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그레이부호화 기호 디매핑과 차분부호화 기호 디매핑을 지원하는 케이블모뎀의 16 QAM 디매핑 장치(100)를 사용하면, 모드선택신호만을 변경하여 줌으로서, 16 QAM 디매핑장치의 동작모드를 그레이부호화 기호 디매핑모드나 차분부호화 기호 디매핑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로 용이하게 설정할 수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케이블모뎀의 I-Q 디매핑기(demapper)로부터 디매핑 되어 출력되는 기호(symbol)신호 중에서 차분부호화 신호에 관한 2 비트(M1,M0)를 입력받아, 차분부호화 되기 전의 신호로 복원하는 차분부호화 기호 복호부(110);
    상기 M1과 M0의 논리값이 서로 다르고, 또한 상기 I-Q 디매핑기로부터 디매핑 되어 출력되는 기호신호 중에서 차분부호화되어 있지 않은 2 비트(L1,L0)의 논리값도 서로 다른 경우, I-Q 값 조정을 지시하는 I-Q 값 조정신호를 출력하는 I-Q 값 조정 제어부(150);
    상기 I-Q 값 조정신호에 따라서, 상기 L1과 L0의 논리값을 서로 바꾸어 출력시키는 I-Q 값 조정부(140);
    임의의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이 제어신호가 차분부호화 기호 디매핑 모드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차분부호화 기호 복호부(110)의 출력신호를 통과시키며, 그레이부호화 기호 디매핑 모드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M1과 M0을 통과시키는 제 1 멀티플렉서(121); 및
    상기 제어신호가 차분부호화 기호 디매핑 모드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L1과 L0을 통과시키고, 그레이부호화 기호 디매핑 모드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의 I-Q 값 조정부(140)의 출력신호를 통과시키는 제 2 멀티플렉서(1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부호화 기호 디매핑과 차분부호화 기호 디매핑을 지원하는 케이블모뎀의 16 QAM 디매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I-Q 값 조정 제어부(150)는 상기 M1과 M0을 각각 입력받는 제 1 배타적 OR 게이트 소자(151);
    상기 L1과 L0을 각각 입력받는 제 2 배타적 OR 게이트 소자(152); 및
    상기 제 1 배타적 OR 게이트 소자(151)와 제 2 배타적 OR 게이트 소자(152)의 출력신호를 각각 입력받는 AND 게이트 소자(15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부호화 기호 디매핑과 차분부호화 기호 디매핑을 지원하는 케이블모뎀의 16 QAM 디매핑 장치.
KR1019980006336A 1998-02-27 1998-02-27 그레이부호화 기호 디매핑 및 차분부호화 기호 디매핑을 모두지원하는 케이블모뎀의 16 qam 디매핑 장치 KR199900710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336A KR19990071094A (ko) 1998-02-27 1998-02-27 그레이부호화 기호 디매핑 및 차분부호화 기호 디매핑을 모두지원하는 케이블모뎀의 16 qam 디매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336A KR19990071094A (ko) 1998-02-27 1998-02-27 그레이부호화 기호 디매핑 및 차분부호화 기호 디매핑을 모두지원하는 케이블모뎀의 16 qam 디매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1094A true KR19990071094A (ko) 1999-09-15

Family

ID=65894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6336A KR19990071094A (ko) 1998-02-27 1998-02-27 그레이부호화 기호 디매핑 및 차분부호화 기호 디매핑을 모두지원하는 케이블모뎀의 16 qam 디매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10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1741A (en) Rate-adapte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buffer utilization thereof
JP3119290B2 (ja) 連接符号化を使って多重レベル変調データを通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7149223B2 (en) Enhanced fiber nodes with CMTS capability
US623371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ing information bits from a 64/256-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treliss coded modulation decoder
Horvath et al. A novel, high-speed, reconfigurable demapper-symbol deinterleaver architecture for DVB-T
US20010031017A1 (en) Discrete multitone interleaver
US8239738B2 (en) Transparent in-band forward error correction for signal conditioning-encoded signals
US7356087B2 (en) Bit mapping for variable-size higher-order digital modulations
KR19990071095A (ko) 그레이부호화 기호 매핑과 차분부호화 기호 매핑을 지원하는 케이블모뎀의 16 qam 매핑장치
KR19990071094A (ko) 그레이부호화 기호 디매핑 및 차분부호화 기호 디매핑을 모두지원하는 케이블모뎀의 16 qam 디매핑 장치
KR19990071096A (ko) 케이블모뎀에 있어서의 차분부호화 기호 복호장치
KR100266310B1 (ko) 케이블모뎀 다운스트림 시스템 tcm 인코더의 이진 길쌈 부호기
KR19990075331A (ko) 케이블모뎀에 있어서의 차분부호화 장치
KR19990053518A (ko) 케이블모뎀 다운스트림 시스템 tcm 디코더의 미분 포스트코더
KR19990061591A (ko) 케이블모뎀 다운스트림 시스템 tcm 디코더의 미분 포스트코더
KR19990053517A (ko) 케이블모뎀 다운스트림 시스템 tcm 디코더의 미분 포스트코더
KR19990053523A (ko) 케이블모뎀 다운스트림 시스템 tcm 인코더의 펑처링 장치
KR19990053506A (ko) 케이블모뎀 다운스트림 시스템에서의 tcm 디코더의 입력 심볼 결합 장치
KR19990043419A (ko) 케이블모뎀 다운스트림 시스템 tcm 디코더의 입력 심볼 결합장치
KR19990043417A (ko) 케이블모뎀 다운스트림 시스템에서의 tcm 인코더의 입력 심볼 분배 장치
KR19990043418A (ko) 케이블모뎀 다운스트림 시스템 tcm 인코더의 입력 심볼 분배장치
KR19990061592A (ko) 케이블모뎀 다운스트림 시스템 tcm 디코더의 미분 포스트코더
KR19990061590A (ko) 케이블모뎀 다운스트림 시스템 tcm 인코더의 미분 프리코더
KR19990066558A (ko) 케이블모뎀 다운스트림 시스템 tcm 인코더의 부호처리장치
KR19990043416A (ko) 케이블모뎀 다운스트림 시스템에서의 tcm 디코더의 입력 심볼 결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