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0276A -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호 전환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호 전환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0276A
KR19990070276A KR1019980005026A KR19980005026A KR19990070276A KR 19990070276 A KR19990070276 A KR 19990070276A KR 1019980005026 A KR1019980005026 A KR 1019980005026A KR 19980005026 A KR19980005026 A KR 19980005026A KR 19990070276 A KR19990070276 A KR 19990070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telepho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ll
mobile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5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0753B1 (ko
Inventor
한동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05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0753B1/ko
Publication of KR19990070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0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7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85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102Making use of the called party identif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29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 H04M3/42246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where the subscriber uses a multi-mode terminal which moves and accesses different networks with at least one network having a wireline access including cordless PB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14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872Non-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서 부재중인 내선가입자에게 착신된 호를 무선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무선송신기는 교환시스템의 이동이 잦은 내선가입자에 의해 휴대될 수 있으며, 각 송신기는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가입자 식별(ID)정보를 송출한다. 무선수신기는 미리 설정된 반경을 가지는 셀영역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한 전화기에 연결되며, 송신기로부터 송출되는 가입자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이 수신된 가입자 식별정보를 자신이 연결된 전화기를 통해 교환시스템의 주장치에 전송한다. 그러면 주장치의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전송된 가입자 식별정보와 상기 가입자 식별정보를 전송한 전화기에 대한 정보를 가입자 위치정보로서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가입자 식별정보가 저장된 가입자에게로 호가 착신된 후 호 전환요구가 발생하게 되면,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가입자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호가 착신된 가입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이 파악된 현재 위치의 전화기로 링을 송출함으로써 호를 전환시켜 준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입자가 이동중인 경우에도 중앙처리장치는 이 이동중인 가입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그 파악된 위치로 호가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통화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호 전환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의 호 전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신 호에 응답하여 가입자가 발신자와 통화하다가 상기 가입자가 통화중인 호를 다른 가입자에게 전환시켜 주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설교환기(PABX: Private Automatic Branch eXchange)나 키폰시스템(Key Phone System)과 같은 교환시스템은 가입자들이 통화중이거나 또는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에 보다 편리함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각종의 기능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교환시스템은 가입자에게 재다이얼(redial)기능, 단축다이얼(speed dial)기능, 보류(hold)기능, 호 전환(call transfer)기능, 방송(paging)기능 등과 같은 각종의 기능들을 제공한다.
상기 호 전환기능은 통상 제1내선가입자가 발신자(국선가입자 또는 내선가입자)와 통화하다가 상기 발신자가 제2내선가입자와 통화하기를 원하는 경우 상기 제1내선가입자가 자신의 전화기상의 특정한 키(예: 전환키+내선가입자 번호)를 누름으로써 수행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내선가입자는 발신자가 실제 통화하기를 원하는 가입자일 수도 있고, 상기 발신자가 통화하기를 원하는 가입자가 부재중(외출, 자리이석 등)임에 따라 이 부재중 가입자를 대신하여 전화를 받는 가입자일 수도 있다.
위의 어떠한 경우든지 호 전환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상기 발신자가 통화하기를 원하는 제2내선가입자의 전화번호 또는 이 제2내선가입자가 위치한 지역의 전화번호를 상기 제1내선가입자가 알고 있어야 한다. 이때 상기 제1내선가입자가 상기 제2내선가입자의 전화번호 또는 이 제2내선가입자가 위치한 지역의 전화번호를 모르는 경우에 상기 제1내선가입자는 통상 구내 방송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제2내선가입자에게 전화가 걸여왔음을 알려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내선가입자가 상기 제2내선가입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지 못한다면 구역 방송기능을 행할 시 어느 한 구역 뿐만 아니라 여러 구역에 방송을 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움과 호 전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여러 구역의 방송이 사무실과 같이 많은 사람들이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행해진다면 그 방송은 다른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소음으로 작용하여 불쾌감을 줄 것이다. 게다가 이러한 번거로운 절차를 거친 경우에도 상기 제2내선가입자가 방송을 듣지 못한다거나 상기 제2내선가입자가 위치한 구역에 방송이 행해지지 않는다면, 발신자와 제2내선가입자간의 통화는 정상적으로 행해질 수 없게 된다. 특히 발신자의 입장에서는 많은 시간을 기다렸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원하는 가입자와의 통화를 할 수 없게 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은 상기 제2내선가입자가 이동이 작은 가입자라면 더욱 크게 작용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환시스템에서 호 전환 동작이 신속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환시스템에서 호 전환 동작에 따른 통화가 정상적으로 행해지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교환시스템에서 호 전환의 동작시 발생하는 소음을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교환시스템에서 쾌적한 환경하에서 호 전환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서 내선가입자를 호출할 시 무선송신기 및 무선수신기를 이용하여 호출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무선송신기는 교환시스템의 이동이 잦은 내선가입자에 의해 휴대될 수 있으며, 각 송신기는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가입자 식별(ID)정보를 송출한다. 상기 무선수신기는 미리 설정된 반경을 가지는 셀영역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한 전화기에 연결되며,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출되는 가입자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이 수신된 가입자 식별정보를 자신이 연결된 전화기를 통해 교환시스템의 주장치에 전송한다. 그러면 주장치의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전송된 가입자 식별정보와 상기 가입자 식별정보를 전송한 전화기에 대한 정보를 가입자 위치정보로서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가입자 식별정보가 저장된 가입자에게로 호가 착신된 후 호 전환요구가 발생하게 되면,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가입자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호가 착신된 가입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이 파악된 현재 위치의 전화기로 링을 송출함으로써 호를 전환시켜 준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입자가 이동중인 경우에도 중앙처리장치는 이 이동중인 가입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그 파악된 위치로 호가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통화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 전환 장치의 연결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수신기 및 무선송신기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 전환 동작의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부재중인 가입자의 식별(ID)정보를 위치등록하는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호 전환동작을 위해 한 건물이 다수의 셀영역으로 설계되는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칩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교환시스템에서 호 전환요구가 발생하는 경우 이 발생된 호를 전환시키는 동작에 관련된 것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환시스템의 주장치 10이 구성된다는 사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잘 알려진 사실이다. 즉, 도 1에서 주장치 10은 국선회로 11, 이중톤복합주파수(DTMF: Dual Tone Multi Frequency)수신기 12, 스위칭회로 13, 가입자회로 14, 링발생기 15,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16, 메모리 17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이외에도 주장치 10은 DTMF송신기, 톤발생기 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호 전환동작과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도시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에서 중앙처리장치 16은 통화 스위칭을 제어하고 가입자에게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의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 17은 기본 호(call)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 16의 프로그램 및 초기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중앙처리장치 16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 17은 프로그램 및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Read Only Memory)과,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램(RAM: Random Access Memory)으로 구성된다. 스위칭회로 13은 중앙처리장치 16의 제어하에 각종 톤(tone) 및 음성데이터를 스위칭한다.
가입자회로 14는 상기 중앙처리장치 16의 제어하에 가입자 전화기에 통화 전류를 공급하는 동시에 가입자 전화기와 스위칭회로 13간의 신호를 인터페이싱한다. 이 가입자회로 14는 일반전화기 가입자회로와, 디지털전화기 가입자회로로 나뉘어질 수 있는데, 상기 일반전화기 가입자회로에는 일반전화기가 가입자 전화기로서 연결되며, 상기 디지털전화기 가입자회로에는 키폰전화기나 종합정보통신망(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전화기와 같이 데이터전송을 가능하게 하며, 액정표시기(LCD: Liquid Crystal Display) 및 다수의 기능버튼들을 포함하는 디지털전화기가 가입자 전화기로서 연결된다. 도 1에서 가입자회로 14에는 디지털전화기 20이 가입자 전화기로서 연결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다.
링발생기 15는 링신호를 발생하여 가입자선로에 공급한다. 국선회로 11은 중앙처리장치 16의 제어하에 국선을 시저(seizure)하여 국선 통화루프를 형성하며, 국선과 스위칭회로 13간의 신호를 인터페이싱한다. 여기서 국선이라 함은 국선회로 11과 국설교환기(C.O.: Central Office)간을 연결하는 선로를 말한다. DTMF수신기 12는 스위칭회로 13에서 입력되는 DTMF신호를 분석하여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여 중앙처리장치 16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스위칭회로 13을 통해 DTMF수신기 12에 수신되는 DTMF신호는 국선을 통한 외부 가입자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화번호일 수도 있고 내선가입자가 발생한 전화번호일 수도 있다.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교환시스템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이다. 그러나 특징적으로 가입자회로 14에 연결된 디지털전화기 20에는 무선수신기 30이 유선으로 연결되고, 이 무선수신기 30에는 대응하는 무선송신기 40이 무선으로 연결된다. 상기 메모리 17의 램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정보 등록테이블이 구조되며, 롬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처리흐름에 따른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그리고 중앙처리장치 16은 무선수신기 30에 수신된 후 디지털전화기 20을 통해 전송된 가입자 식별(ID)정보와 이 가입자 식별정보를 전송한 디지털전화기 20의 전화번호를 대응시켜 이동가입자의 위치정보로서 상기 위치정보 등록테이블에 저장시킨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 1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처리흐름에 따른 프로그램을 상기 롬으로부터 읽어들여 수행하고 이때 상기 위치정보 등록테이블에 저장된 내용을 읽어들여 본 발명에 따른 호 전환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호 전환 동작은 후술될 도 3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전화기 30 및 무선송신기 4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송신기 40은 교환시스템의 내선가입자 모두 또는 바람직하기로는 이동중인 가입자에게 휴대될 수 있는 것으로, 이 무선송신기 40을 휴대하고 있는 가입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무선으로 무선수신기 30으로 송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한 무선송신기 40은 ID스위치 42, 코더 43, RF송출부 44, 타이머 45, 안테나 AT 및 배터리 41로 이루어진다. 배터리 41은 무선송신기 40의 각 구성요소들에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ID스위치 42는 가입자 식별(ID: Identification)정보의 세팅을 가능하도록 하는 식별정보 세팅 스위치이다. 이때 ID스위치 42에 의해 세팅되는 가입자 ID정보는 다수 가입자들중에서도 어느 한 가입자의 식별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8비트(bit)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가입자번호가 될 수 있다. 코더(Coder) 43은 ID스위치 42에 의해 세팅된 가입자 ID정보를 코딩하여 시리얼데이터(Serial Data)로 출력한다. 무선(RF: Radio Frequency)송출부 44는 코더 43로부터의 시리얼데이터를 RF신호로 변환한다. 안테나 AT는 RF송출부 44에 의한 변환출력을 공중으로 방사한다. 이때 RF송출부 44의 신호송출동작은 타이머 4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데, 이 타이머 45는 소정 시간의 설정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설정시간이 되었을 시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RF송출부 44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RF송출부 44가 코더 43으로부터의 시리얼데이터를 상기 설정시간마다 무선신호로 변환하도록 한다. 즉, RF송출부 44는 주기적으로 가입자 ID정보에 대응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데, 이때 무선신호의 송출주기는 배터리 41의 전원소모 및 이 무선송신기를 휴대하는 가입자의 업무 이동 빈도에 따라 5분∼1시간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무선송신기 40은 기존에 나와 있는 많은 무선송신기들중에서 선택될 수 있는데, 이동중인 가입자의 휴대의 간편성을 고려한다면 소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단추형의 초소형 송신기를 무선송신기 40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무선송신기 40의 소형화를 위해 RF송출부 44는 FM(Frequency Modulation)방식의 400메가헤르쯔(MHz)대역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안테나 AT로는 패턴안테나(pattern antennae)를 사용할 수 있고, 배터리 41로는 3볼트(V)의 건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선수신기 30은 안테나 ANT, RF수신부 31, 디지털전화기 인터페이스 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테나 ANT는 무선송신기 40으로부터 송출된 후 안테나 AT를 통해 공중으로 방사된 400MHz대역의 RF신호를 수신한다. RF수신부 31은 안테나 ANT에 수신된 RF신호를 수신한 후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시리얼데이터를 출력한다. 디지털전화기 인터페이스 32는 무선수신기 30과 디지털전화기 20을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것으로, RF수신부 31로부터 출력되는 시리얼데이터를 패러렐(Parallel)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털전화기 20으로 전송한다. 상기 무선수신기 30은 디지털전화기 20으로부터 동작전원(POWER)을 제공받는다.
상기 무선수신기 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셀영역내에 위치하는 전화기들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화기에 연결된다. 이때 무선수신기 30을 연결하고 있는 전화기는 무선수신기 30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키폰전화기나 ISDN전화기와 같은 디지털전화기이다. 이러한 디지털전화기는 LCD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셀영역은 미리 설정된 반경을 가지도록 설계되는데, 이때의 각 셀영역은 내선을 형성하는 가입자 전화기들의 위치 및 수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도 5는 한 층의 건물이 3개의 존(ZONE)영역 ZONE 1∼3과, 4개의 셀(CELL)영역 CELL 1∼4로 설계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존은 한 층이 3개의 사무실로 이루어진 경우에 각 사무실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고, 셀은 작은 크기의 사무실을 포함하는 반경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이때 각 셀에 포함된 다수의 전화기들중에서 적어도 한 전화기에는 무선수신기가 연결된다. 그리고 무선송신기를 휴대하는 가입자가 도 5에 도시된 사무실들을 이동하더라도 무선송신기는 어느 한 무선수신기로 이동가입자의 ID정보를 송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입자가 이동하더라도 이 이동가입자가 휴대하는 무선송신기로부터 송출되는 이동가입자의 ID정보는 어느 한 무선수신기에 수신된 후 전화기를 통해 주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가입자가 현재 CELL 1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이 가입자가 휴대하는 무선송신기에 세팅된 이동가입자의 ID정보(이동가입자의 내선전화번호) 2001이 무선수신기에 수신된 후 2011의 전화번호를 가지는 전화기를 거쳐 교환시스템의 주장치로 전송된다. 그러므로 교환시스템의 주장치,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중앙처리장치 16은 현재 이동가입자가 어느 셀영역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다수의 전화기들이 미리 설정된 반경을 가지는 셀영역내에 포함되고, 이 셀영역내의 적어도 한 전화기에는 무선수신기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동가입자가 CELL 1 영역에 위치한 경우에 이 이동가입자의 현재 위치정보가 메모리 17의 위치정보 등록테이블에 저장되는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때 이동가입자 ID정보는 ID스위치 42에 의해 2001로 세팅된 것으로 가정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송신기 40의 타이머 45에 의해 설정된 시간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41단계), RF송출부 44는 코더 43에 의해 코딩된 이동가입자 ID정보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한다(42,43단계). 그러면 이 이동가입자 ID정보에 대한 RF신호는 안테나 AT를 통해 방사되고, 무선수신기 30의 안테나 ANT로 수신될 것이다. 무선수신기 30의 RF수신부 31은 상기 안테나 ANT에 수신된 이동가입자 ID정보에 대한 RF신호를 수신하여 디코딩한 후 시리얼데이터로 출력한다(44단계). 디지털전화기 인터페이스 32는 상기 출력되는 시리얼데이터를 패러렐데이터로 변환한 후 디지털전화기 20으로 전송하고, 이 디지털전화기 20은 상기 전달된 이동가입자 ID정보를 주장치 10로 전송한다(45단계). 그러면 주장치 10의 중앙처리장치 16은 상기 전송된 이동가입자 ID정보를 수신한 후 메모리 17의 위치정보 등록테이블상에 저장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 16은 상기 이동가입자 ID정보가 어느 전화기로부터 전송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위치정보 등록테이블상의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전화기에 상기 이동가입자 ID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한다. 즉, 상기 중앙처리장치 16은 이동가입자 ID정보와 함께 이 이동가입자 ID정보를 전송한 전화기를 나타내는 전화번호를 함께 이동가입자의 위치정보로서 저장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중앙처리장치 16은 위치정보 등록테이블의 내용을 읽어들임으로써 현재 2001의 ID정보를 가지는 이동가입자가 어느 전화기가 포함된 셀영역내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도 3은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정보 등록테이블이 저장된 상태, 즉 가입자가 CELL 1 영역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이 가입자에게 국선 또는 다른 내선가입자로부터의 호가 착신되는 경우 이 착신된 호가 상기 이동가입자에게 전환되는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의 31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 16은 현재 국선 또는 다른 내선가입자로부터의 호가 착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호가 착신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중앙처리장치 16은 링발생기 15를 제어하여 상기 호가 착신될 가입자 전화기측에 링을 송출한다. 다음에 이러한 링 송출에 응답하여 중앙처리장치 16은 가입자가 전화를 받는지, 즉 전화기를 훅크오프(hook off)하는지 여부를 32단계에서 판단한다. 상기 링 송출에 응답하여 전화기가 훅크오프된 것으로 32단계에서 판단되는 경우, 중앙처리장치 16은 33단계에서 발신자와 착신자간의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스위칭회로 13을 제어한다. 이때 발신자가 통화하기를 원하는 착신자가 전화를 받았다면 호전환 요구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고, 이에 따라 통화동작은 35단계에서 통화종료 요구(발신자 또는 착신자중 어느 한 가입자가 훅크온(hook on)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될 때까지 수행될 것이다.
이와 달리 발신자가 통화하기를 원하지 않는 착신자가 전화를 받았다면, 이 발신자는 자신이 통화하기를 원하는 가입자에게 전화를 전환시켜 달라는 요구, 즉 호전환 요구를 행하게 될 것이다. 이때 호전환 요구는 통상 특수키(#) + 내선가입자번호 또는 전환키(XFER) + # + 내선가입자번호의 형태로 입력되게 된다. 이때 입력되는 내선가입자번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가입자 ID정보와 동일할 것이다. 상기 호전환 요구가 발생하는 경우 중앙처리장치 16은 34단계에서 이를 확인한 후 36단계에서 호전환 요구에 따른 전화번호, 즉 내선가입자번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37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 16은 메모리 17상의 위치정보 등록테이블을 검색하여 상기 수신된 내선가입자번호가 검색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내선가입자번호를 검색한다는 것은 이동가입자 ID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입력된 내선가입자번호, 즉 이동가입자 ID정보가 검색된 것으로 38단계에서 판단되는 경우, 중앙처리장치 16은 이 이동가입자 ID정보와 관련되어 저장된 전화번호를 읽어들이고, 39단계에서 링발생기 15를 제어하여 이 읽어들인 전화번호를 가지는 전화기측에 링을 송출한다. 상기 39단계에서 링을 송출함과 동시에 중앙처리장치 16은 링이 송출되는, 즉 호가 전환되어 착신되는 전화기의 LCD상에 CALL FOR XXXX(이동가입자의 내선번호)와 같은 호출정보가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그러면 호가 전환되어 링이 발생하는 전화기상의 LCD상에 표시되는 호출정보로부터 이동가입자에게 전화가 걸려왔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링이 발생함에 따라 이동가입자가 32단계에서 전화기를 훅크오프하여 전화를 받게 되면, 33단계에서 발신자와 이 발신자가 원하는 가입자간의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일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정보 등록테이블이 저장된 상태, 즉 2001의 전화번호를 가지는 가입자가 2011의 전화번호를 가지는 전화기가 포함된 CELL 1 영역으로 이동해 있는 상태에서 상기 2001의 전화번호를 가지는 전화기로 호가 착신된 경우에 이 호 착신에 따른 링이 2001의 전화번호를 가지는 전화기로 울리게 될 것이다. 이때 다른 가입자 또는 교환원이 전화를 받은 후 # + 2001을 입력하여 호 전환요구를 행하면, 중앙처리장치 16은 위치정보 등록테이블을 검색하여 2001의 내선가입자번호를 가지는 가입자가 현재 CELL 1 영역에 위치하고 있음을 판단한다. 다음에 중앙처리장치 16은 이 판단된 CELL 1 영역내의 2011의 전화번호를 가지는 전화기로 호를 전환시켜 링을 발생시켜 줌으로써 이동가입자가 2011의 전화번호를 가지는 전화기를 통해 발신자와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입자가 이동중인 경우에도 중앙처리장치는 무선송수신기를 통해 전송된 상기 이동가입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이동가입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이동가입자로의 호 전환요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그 파악된 위치로 호가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통화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미리 설정된 반경을 가지는 각 셀영역내의 다수의 전화기들을 내선으로 수용하고 있으며, 상기 각 셀영역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화기에는 무선신호의 수신을 위한 무선수신기가 연결되며, 가입자 식별정보의 세팅이 가능하고 이 세팅된 가입자 식별정보를 무선신호로서 송출하는 무선송신기와, 정보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를 적어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교환시템의 호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환시스템의 가입자가 자기 자리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셀영역중의 어느 한 셀영역으로 이동할시 이 이동가입자가 휴대하는 상기 무선송신기에 세팅된 후 송출되는 가입자 식별정보를 상기 다수의 무선수신기중 상기 무선송신기에 근접하는 무선수신기 및 이 무선수신기가 연결된 전화기를 통해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된 가입자 식별정보와 이 가입자 식별정보를 전송한 전화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상기 이동가입자의 위치정보로서 저장하는 과정과,
    국선 또는 상기 교환시스템의 어느 한 내선으로부터의 호가 상기 이동가입자의 전화기로 착신된 후 이 착신된 호에 대한 전환요구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호에 대한 전환요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이동가입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상기 이동가입자가 어떤 전화기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이 판단된 전화기로 상기 발생된 호가 전환되어 착신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국선에 연결되고 다수의 전화기들을 내선으로 수용하고 있으며 정보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를 적어도 구비하는 교환시스템의 호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화기들중에서 미리 설정된 반경내에 위치하는 전화기들을 확인하고 이 확인된 전화기들중 적어도 하나의 전화기에 무선신호의 수신을 위한 무선수신기를 연결하는 제1과정과,
    상기 다수의 전화기들의 가입자들중 자기 자리로부터 이탈하여 이동하는 가입자가 휴대하게 되는 무선송신기에 상기 이동가입자의 식별정보를 세팅하는 제2과정과,
    상기 무선송신기상에 세팅된 상기 이동가입자의 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제3과정과,
    상기 송출된 상기 이동가입자의 식별정보가 상기 무선송신기가 근접하는 무선수신기 및 이 무선수신기가 연결된 전화기를 통해 전송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전송된 상기 이동가입자의 식별정보를 상기 이동가입자의 식별정보를 전송한 전화기의 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5과정과,
    상기 국선 또는 상기 다수의 전화기들중 어느 한 전화기로부터 상기 이동가입자의 전화기로 호가 착신되는 경우 상기 이동가입자의 전화기가 훅크오프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6과정과,
    상기 이동가입자의 전화기가 훅크오프된 후 상기 이동가입자의 전화기상에서 호 전환요구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7과정과,
    상기 호 전환요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시 이 호 전환요구와 함께 전화번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제8과정과,
    상기 제8과정에서 전화번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 입력된 전화번호와 동일한 이동가입자의 식별정보를 상기 메모리상에서 검색하는 제9과정과,
    상기 제9과정에서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와 동일한 이동가입자의 식별정보가 상기 메모리상에서 검색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 이동가입자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된 전화번호를 가지는 전화기로 링을 송출하는 제10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화기가 연결되는 전화기에는 액정표시기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0과정에서 링의 송출과 동시에 이 링이 송출되는 전화기의 액정표시기상에는 상기 링이 송출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방법.
  4. 교환시스템의 호 전환 장치에 있어서:
    각각은 미리 설정된 반경을 가지도록 구조된 다수의 셀영역내에 위치하며, 상기 교환시스템에 내선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전화기들과;
    이동중인 가입자에 의해 휴대될 수 있으며, 상기 가입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무선송신기와;
    상기 각 셀영역내에 위치하는 전화기들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화기에 연결되며, 자신의 셀영역내에 위치하는 상기 무선송신기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가입자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대응하는 전화기로 전송하는 다수의 무선수신기와;
    상기 각 무선수신기가 연결된 전화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다수의 무선수신기중 어느 한 무선수신기로부터 상기 가입자 식별정보가 이 무선수신기에 대응하는 전화기를 통해 전송될 시 소정 제어하에 이 가입자 식별정보를 해당하는 전화기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가입자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이동가입자로의 호 전환 요구가 발생할 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가입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가 위치하고 있는 셀영역의 전화기중 무선수신기를 연결하고 있는 전화기로 호를 전환하여 착신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송신기는,
    이동중인 가입자가 이 가입자 식별정보를 세팅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정보 세팅 스위치와,
    상기 식별정보 세팅 스위치에 의해 세팅된 가입자 식별정보를 코딩하여 시리얼데이터로 출력하는 코더와,
    상기 코더로부터의 시리얼데이터를 무선신호로 변환하는 송출부와,
    상기 송출부에 의한 변환출력을 공중으로 방사하는 안테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패턴안테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부는 상기 코더로부터의 시리얼데이터를 400메가헤르쯔대역의 무선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소정 시간의 설정이 가능하며 상기 설정시간이 되었을 시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송출부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송출부가 상기 코더로부터의 시리얼데이터를 상기 설정시간마다 무선신호로 변환하도록 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무선수신기는,
    상기 무선송신기로부터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며 이 수신된 무선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시리얼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수신부와,
    상기 각 셀영역내에 위치하는 전화기들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화기에 연결되며, 상기 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시리얼데이터를 패러렐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연결된 전화기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셀영역내에 위치하는 전화기들중에서 상기 각 무선수신기에 연결되는 전화기는 상기 각 무선수신기로부터 전송되는 패러렐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전화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80005026A 1998-02-18 1998-02-18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호 전환 방법 및장치 KR100260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026A KR100260753B1 (ko) 1998-02-18 1998-02-18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호 전환 방법 및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026A KR100260753B1 (ko) 1998-02-18 1998-02-18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호 전환 방법 및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276A true KR19990070276A (ko) 1999-09-15
KR100260753B1 KR100260753B1 (ko) 2000-07-01

Family

ID=19533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5026A KR100260753B1 (ko) 1998-02-18 1998-02-18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호 전환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07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581A (ko) * 2001-03-07 2002-09-13 한성텔리안 주식회사 구내용 통신제어장치
KR20030026445A (ko) * 2001-09-25 2003-04-03 (주) 엘지텔레콤 무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착신전환하는 장치 및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674B1 (ko) * 1998-10-13 2006-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호자동전환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581A (ko) * 2001-03-07 2002-09-13 한성텔리안 주식회사 구내용 통신제어장치
KR20030026445A (ko) * 2001-09-25 2003-04-03 (주) 엘지텔레콤 무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착신전환하는 장치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0753B1 (ko) 200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28001B2 (ja) セルラ―・コ―ドレス電話機で呼を送受信する方法
US5243641A (en) Extended range cordless telephone system
US5367558A (en) Cellular cordless telephone
RU2140723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избирательного приема телефонных вызовов без установления речевого обмена
US5090051A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n incoming call to a wireless telephone
US5127042A (en) Cellular cordless telephone
AU715958B2 (en) Method, device and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a consistent set of services to a roaming user
EP06044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elepoint to telepoint calling between pager equipped handsets
EP0921668B1 (en) TDMA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AU633444B2 (en) Extended range cordless telephone system
KR100260753B1 (ko)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호 전환 방법 및장치
KR100378405B1 (ko) 무선전화기에서베이스절환방법
KR920009152B1 (ko)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KR100277620B1 (ko) 무선 전화기의 구내 송, 수신 방법
EP0513695B1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KR100574656B1 (ko) 그룹 착신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233167B1 (ko) 하나의 전화번호에 둘 이상의 핸드폰을 등록하여 사용하는방법
CA2046254C (en) Extended range cordless telephone system
KR20030071242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투 넘버 서비스 방법
JPH08331649A (ja) 携帯通信システム
KR0164362B1 (ko) 양방향 무선호출시스템
JPS58181342A (ja) 移動体電話機の付加呼出方式
KR20030046032A (ko) 일반 전화기를 이용한 휴대전화 통화 시스템 및 이시스템에 사용되는 베이스 스테이션 셋
JPS6242540B2 (ko)
KR970008774A (ko)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