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8698A - 신발창 - Google Patents

신발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8698A
KR19990068698A KR1019990021856A KR19990021856A KR19990068698A KR 19990068698 A KR19990068698 A KR 19990068698A KR 1019990021856 A KR1019990021856 A KR 1019990021856A KR 19990021856 A KR19990021856 A KR 19990021856A KR 19990068698 A KR19990068698 A KR 19990068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urface
surface portion
protrusions
sole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1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곤
Original Assignee
이홍인
주식회사 이인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인, 주식회사 이인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이홍인
Priority to KR1019990021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8698A/ko
Publication of KR19990068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69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5Convex portions, e.g. with a bump or projection, e.g. 'Masai' type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43B13/188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23Profiled soles
    • A43B13/226Profiled soles the profile being made in the foot fac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6Running shoes; Track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protection against heat or col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창에 관한 것으로 접지성, 논슬립성, 충격흡수성, 지열차단성 등이 종래의 신발창에 비해 탁월히 향상된 특징을 가진다.
이는, 전방접촉면부 A와 중앙아치부 B 및 후방접촉면부 C로 이루어진 신발창에 있어서; 종방향 중앙으로 "V"자 형의 돌출띠 30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띠 30의 중간 부분의 좌우 횡방향으로 배수홈 32가 형성되도록 한 상기 후방접촉면부에서, 주행시 가장 먼저 지면에 접촉되는 제 1파트 10과 연이어 접촉되는 제 2파트 12에는 안쪽에 홈 101이 형성된 관형돌기 100들을 돌출형성시키고, 상기 제 1 파트 및 제 2파트에 연이어 접촉되는 제 3파트에는 삼각기둥형돌기 120들을 돌출형성시킨 후, 종방향 중앙으로 역시 "V"자 형의 돌출띠 34, 36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띠 34, 36의 중간 부분을 횡으로 관통하도록 배수홈 38을 형성되도록 하되 이것에는 다수의 통기구멍 40들이 관통되도록 한 상기 전방접촉면부에서, 주행시 후방접촉면부에 이어 가장 먼저 지면에 접촉되는 제 4파트 16에는 안쪽에 홈 101이 형성된 관형돌기 140들을 돌출형성시키고, 상기 제 4파트에 연이어 접촉되는 제 5파트 18과 제 6파트 20에는 삼각기둥형돌기 160들을 돌출형성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발창{FOOTWEAR SOLE}
본 발명은 신발창에 관한 것으로 접지성, 논슬립성, 충격흡수성, 지열차단성등이 종래의 신발창에 비해 탁월히 향상된 특징을 가진다.
인류 문화와 과학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각종 스포츠에 대한 투자와 관심도 매우 상승되고 있는 실정인데, 특히 스포츠화의 개발에 많은 비용과 연구가 투입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능한 한 가볍고 질기며 땀의 배출이 원활하고 접지성과 논슬립성, 충격흡수성, 지열차단성 등이 탁월한 육상경기용화의 개발에 세계적으로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육상경기용화가 갖추어야 할 이상적인 조건에 최대한 부합되는 신발창을 제공코저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접지성과 논슬립성, 충격흡수성, 지열차단성 등이 탁월한 신발창을 제공키 위해 안출된 것이다.
현재까지 개발된 신발창은 그 종류가 헤아릴수 없을 정도로 다양한데 그 기능에 있어서, 접지성과 논슬립성, 충격흡수성, 지열차단성 등이 탁월하게 향상된 은 없었다. 다시말해서, 개발된 신발창에 있어서의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들은 거의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신발창에 있어서 현재까지 개발된 것 보다 접지성과 논슬립성, 충격흡수성, 지열차단성이 수치적으로 약간이라도 상승된다면 그것은 신발창의 분야에 있어서 큰 발전으로 취급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바꾸어 발하면, 접지성과 논슬립성, 충격흡수성, 지열차단성이 골고루 갖추어지면서 현재까지 개발된 신발창보다 우수한 작용이 발생된다면 신발창의 기술 발전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육상경기용화 중에서 마라톤화에 적용되는 신발창을 제공한다.
마라토너는 경기가 열리는 곳의 온도와 습도, 풍속, 지형의 상태, 지면의 고저, 기후 등에 따라 기록이 크게 좌우되는데, 따라서 마라토너가 착용하고 있는 신발의 기능에 따라서도 기록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은 당연한 이치이다. 마라토너가 착용하고 있는 신발은 접지성과 논슬립성, 충격흡수성 및 지열차단성이 우수하여야 산소 소비량이 적고 열량의 소모가 적어지며 쉽게 피로해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한 기능들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접지성과 논슬립성, 충격흡수성 및 지열차단성이 우수한 신발창을 제공코저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기성이 우수한 신발창을 제공코저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전방접촉면부 A와 중앙아치부 B 및 후방접촉면부 C로 이루어진 신발창에 있어서;
종방향 중앙으로 "V"자 형의 돌출띠 30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띠 30의 중간부분의 좌우 횡방향으로 배수홈 32가 형성되도록 한 상기 후방접촉면부에서, 주행시 가장 먼저 지면에 접촉되는 제 1파트 10과 연이어 접촉되는 제 2파트 12에는 안쪽에 홈 101이 형성된 관형돌기 100들을 돌출형성시키고, 상기 제 1 파트 및 제 2파트에 연이어 접촉되는 제 3파트에는 삼각기둥형돌기 120들을 돌출형성시킨 후,
종방향 중앙으로 역시 "V"자 형의 돌출띠 34, 36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띠 34, 36의 중간 부분을 횡으로 관통하도록 배수홈 38을 형성되도록 하되 이것에는 다수의 통기구멍 40들이 관통되도록 한 상기 전방접촉면부에서, 주행시 후방접촉면부에 이어 가장 먼저 지면에 접촉되는 제 4파트 16에는 안쪽에 홈 101이 형성된 관형돌기 140들을 돌출형성시키고, 상기 제 4파트에 연이어 접촉되는 제 5파트 18과 제 6파트 20에는 삼각기둥형돌기 160들을 돌출형성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전방접촉면부의 반대쪽 면에는 코르크판 200이 삽입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발창에서 돌기 부분을 생략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3,4,5도는 본 발명의 신발창에 각 돌기 부분들이 형성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의 신발창이 완성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신발창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도.
도 8은 도 7의 500-500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돌기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신발창이 완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제 1파트 12:제 2파트
14:제 3파트 16:제 4파트
18:제 5파트 20:제 6파트
30,34,36:돌기띠 32,38:배수홈
40:통기구멍 100,140:관형돌기
120,160:삼각기둥형돌기 200:코르크판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발창에서 관형돌기 및 삼각기둥형돌기를 생략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돌출띠 30,34,36의 구성과 배수홈 32,38의 구성 및 통기구멍 40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평면도이다. 마라토너가 주행을 할 때 가장 먼저 지면에 접촉되는 부분은 후방접촉면부 C에서 제 1파트 10 이고 이와 거의 동시에 접촉되는 부분은 제 2파트 12 이다. 따라서 이 부분에는 충격흡수성과 접지성이 우수하여야 하기 때문에 도 2와 같이 내부에 홈 101이 형성된 관형돌기 100들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였다. 상기의 관형돌기 100은 내부에 홈 101이 형성되어 있어서 신발창이 지면에 접촉될 때 마치 오징어나 문어의 빨판처럼 지면에 달라붙는 작용을 한다. 이때 홈 101 내부의 공기는 에어튜브와 같은 원리로 충격에 대한 완충작용을 하기 때문에, 관형돌기는 접지성과 충격흡수성을 탁월하게 한다. 이는 도 2의 상태와 같다. 상기 관형돌기들은 도 9에서와 같이 돌출띠들 보다 1∼2mm정도 더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것들의 직경은 최소 1mm에서 5mm 이내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홈 101의 직경은 관형돌기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은 당연하다.
다음, 제 1,2파트에 연이어 지면에 접촉되는 제 3파트 14에는 삼각기둥형돌기 120들을 일체로 형성시켰다. 후방접촉면부 C는 마라토너가 주행을 할 때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 뇌와 척추 등에 최소한으로 작용하도록 하는 기능과 함께 임팩트 기능도 겸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일단 제 1,2파트를 통해 초기충격이 거의 흡수되고 이어서 최상의 주행을 위한 임팩트 기능이 발휘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 3파트 14에는 삼각기둥형돌기 120들을 도 3과 같이 형성시켰다. 여기서 제 1파트 및 제 2파트 그리고 제 3파트는 중앙의 "V"자 형의 돌출띠 30을 기준하여 하부와 상부로 구분되는데, 제 3파트의 면적보다 제 1,2파트의 면적이 2배 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임팩트 기능이 가장 크게 발휘되어야 하는 부분은 전방접촉면부 A에서 제 5,6파트 18,20이기 때문에 후방접촉면부에서는 충격흡수성 및 접지성이 먼저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이며, 후방접촉면부에서도 어느 정도의 임팩트 기능은 갖추어져야 합리적인 주행성이 유지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3파트 14에 삼각기둥형돌기 120들을 돌출형성시키는 것이다. 삼각기둥형돌기는 타 형태의 돌기에 비해 논슬립성이 가장 우수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적용된 것이다. 여기서 삼각기둥형돌기들의 사이즈는 한 변의 길이가 2mm 정도에서 5mm정도의 범위 이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살펴보면, "V"자 형의 돌출띠 30의 하방에는 삼각기둥형돌기들이 형성되지 않고 비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여기에도 삼각기둥형돌기들을 형성시키는 것이 좋으나 제작사의 마크 혹은 상표 등이 형성되는 부분으로 남겨둔 것이다.
다음, 후방접촉면부에 이어서 전방접촉면부 A가 지면에 접촉되는데, 여기서 가장 먼저 지면에 접촉되는 부분은 제 4파트 16이다. 주행시 후방접촉면부의 제 1,2파트에서 초기충격이 흡수되지만 마라토너의 체중이 가장 많이 실리고 초기충격에 이은 최종충격이 작용하게 되는 제 4파트 16은 상기의 제 1,2파트 보다 약간 더 큰 면적 또는 거의 비슷한 면적을 가지며, 역시 제 1,2파트에 형성된 것과 같은 관형돌기 140들이 돌출형성된다. 이때 관형돌기들의 사이즈는 제 1,2파트의 경우와 동일하다. 그런데, 제 1,2파트에 형성된 관형돌기들은 사이즈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데 비해서 제 4파트에 형성된 관형돌기 140들의 사이즈는 최소부터 최대의 것(2∼5mm)이 형성되면서, 아울러 사이즈가 크고 작은 것이 횡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차이가 있다. 그 이유는, 제 4파트 16에 형성되는 관형돌기 140들은 충격흡수 및 접지성이 양호하도록 하면서 다소의 임팩트 기능도 요구되기 때문에 도시와 같이 관형돌기의 사이즈가 큰 것과 작은 것이 횡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도 4참조).
다음, 제 4파트에 이어서 가장 나중에 지면과 접촉되는 부분은 제 5,6파트 18,20이다. 여기서, 제 4,5,6파트를 구분하고 있는 것은 "V"자 형의 돌출띠 34,36인데 상기 돌출띠들을 기준으로 하여 각 파트들은 거의 3등분된 면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띠들을 횡으로 관통하도록 배수홈 38이 형성되며 여기에는 다수의 통기구멍 40들이 신발창과 직각으로 관통되어 있다. 한편, 후방접촉면부와 전방접촉면부에는 각각의 배수홈 32,38이 그 준앙부분을 횡으로 관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배수홈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배수작용을 가장 좋게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통기구멍 40들은 주행시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신발안으로 유입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신발안의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도 7참조). 이는 신발안의 온도를 저하시키면서 주행시 가장 많은 열이 발생되는 전방접촉면부분을 공냉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에 더하여 전방접촉면부의 반대쪽 면에는 두께 1∼3mm 정도의 코르크판 200이 삽입부착이 되는데, 지열을 차단시켜 마라토너의 발바닥에 과도한 지열이 전달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이다(도 8참조).
제 5,6파트에는, 도시와 같이 삼각기둥형돌기 160들이 돌출형성되어 있고 제 4파트의 경우와 같이 삼각기둥형돌기들의 크기가 큰 것과 작은 것이 횡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이 역시 임팩트 기능을 가장 양호케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의 삼각기둥형돌기들의 사이즈 역시 제 3파트의 경우와 같다. 제 5,6파트 18,20에 가장 많은 면적이 할당되고 여기에는 삼각기둥형돌기들만 빼곡하게 돌출형성되도록 한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지면에 논슬립 접촉되면서 다음의 스텝을 위한 임팩트 기능이 가장 강하게 요구되기 때문이다(도 5참조).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돌기들이 전부 형성되면 도 6의 상태와 같은데, 이것의 입체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도 10 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각 파트별로 각각 별도의 돌기들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마라토너가 주행할 때 접지성과 충격흡수성, 논슬립성이 양호하도록 하여 최상의 주행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써 발목부상을 예방할 수 있는 작용을 낳는다. 그리고 상기한 작용들 이외에도 지열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킴으로써 마라코너의 컨디션을 최상으로 유지시켜 최선의 기록을 유도할 수 있는 작용도 대두된다.
본 발명은, 40∼60°정도의 범위에서 경사각이 조절되도록 한 유리판 위에서 논슬립 및 접지성 테스트를 행한 결과 현재까지 개발된 세계 각국의 신발창보다 2°정도 더 심한 경사에서도 논슬립 기능이 작용됨을 알 수 있었으며, 쇠구슬을 소정의 높이에서 신발창의 표면으로 추락시켜 반동되는 거리를 체킹하여 산술하는 충격흡수성 실험에서도 본 발명은 종래의 신발창 대비 약 3∼5% 정도가 상승됨을 알수 있었다. 또한 지열차단 실험을 위해 본 발명과 종래의 신발창(3종류)을 대비하였다. 실험은, 히팅팬 위에 신발창을 올려놓고 신발창 안쪽면의 표면 온도를 체킹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실험결과 본 발명의 코르크판 200은 신발창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매우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종래의 신발창 대비 약 5∼10℃의 온도차이가 발생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신발창이 지열차단 효과가 탁월함을 입증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구획별로 각기 별도의 돌기들을 과학적으로 형성시키고, 코르크판을 접목시킴으로써 일률적인 돌기 패턴 혹은 다양한 형태의 비대칭적인 돌기 패턴 등을 가지는 종래의 신발창 대비, 논슬립 효과와 접지성 효과, 충격흡수 효과 등이 뛰어나고, 지열을 차단시키는 효과 역시 탁월한 다수의 유용한 특징이 있다. 따라서 마라토너는 최상의 신발 조건에서 경주를 하게 됨으로써 기록단축을 꾀할 수 있음은 물론 발목부상을 당할 우려가 극히 낮아지고 에너지 소모가 가장 적은 상태에서 주행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방접촉면부 A와 중앙아치부 B 및 후방접촉면부 C로 이루어진 신발창에 있어서;
    종방향 중앙으로 "V"자 형의 돌출띠 30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띠 30의 중간부분의 좌우 횡방향으로 배수홈 32가 형성되도록 한 상기 후방접촉면부에서, 주행시 가장 먼저 지면에 접촉되는 제 1파트 10과 연이어 접촉되는 제 2파트 12에는 안쪽에 홈 101이 형성된 관형돌기 100들을 돌출형성시키고, 상기 제 1 파트 및 제 2파트에 연이어 접촉되는 제 3파트에는 삼각기둥형돌기 120들을 돌출형성시킨 후,
    종방향 중앙으로 역시 "V"자 형의 돌출띠 34, 36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띠 34, 36의 중간 부분을 횡으로 관통하도록 배수홈 38을 형성되도록 하되 이것에는 다수의 통기구멍 40들이 관통되도록 한 상기 전방접촉면부에서, 주행시 후방접촉면부에 이어 가장 먼저 지면에 접촉되는 제 4파트 16에는 안쪽에 홈 101이 형성된 관형돌기 140들을 돌출형성시키고, 상기 제 4파트에 연이어 접촉되는 제 5파트 18과 제 6파트 20에는 삼각기둥형돌기 160들을 돌출형성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접촉면부의 반대쪽 면에는 코르크판 200이 삽입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KR1019990021856A 1999-06-08 1999-06-08 신발창 KR199900686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856A KR19990068698A (ko) 1999-06-08 1999-06-08 신발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856A KR19990068698A (ko) 1999-06-08 1999-06-08 신발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698A true KR19990068698A (ko) 1999-09-06

Family

ID=54753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1856A KR19990068698A (ko) 1999-06-08 1999-06-08 신발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86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951B1 (ko) * 2007-02-23 2007-05-18 주식회사 보스인터내셔널 복합기능을 가지는 신발 아웃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951B1 (ko) * 2007-02-23 2007-05-18 주식회사 보스인터내셔널 복합기능을 가지는 신발 아웃솔
WO2008102986A1 (en) * 2007-02-23 2008-08-28 Boss International Co., Ltd Shoe outsole with multi-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8203A (en) Athletic shoe with an enhanced mechanical advantage
ES2251349T3 (es) Diseño y construccion de suela intermedia para calzado deportivo.
US5233767A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improved midsole
ES2303087T3 (es) Suela permeable al vapor e impermeable para calzado, particular pero no exclusivamente para calzado abierto tal como sandalias, zuecos y similares, y calzado provisto de dicha suela.
US20110209295A1 (en) Midsole Element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9386821B2 (en) Sole
JPH08173207A (ja) 靴用外底
KR890001486A (ko) 충격을 흡수하는 신발 바닥과 신발 바닥을 결합한 신발
KR19990013314A (ko) 신발류 완충 시스템
WO1997003583A1 (en) Insole
US20130019499A1 (en) Two-part shoe insert
US8191283B2 (en) Insole
KR19990068698A (ko) 신발창
EP1721536B1 (de) Massagesohle für einen Schuh
KR100788409B1 (ko) 통기구조를 가진 신발의 아웃솔
JP2686035B2 (ja) 靴用衝撃吸収部材および衝撃緩衝機能付き靴
KR200259679Y1 (ko) 신발의 구조
CN211354079U (zh) 一种抗菌鞋底
EP0096819A1 (de) Sportschuh
KR900002196Y1 (ko) 구두 중창
CN220571653U (zh) 一种具有缓震防滑的鞋底及运动鞋
ES2942295T3 (es) Mejoras en o relacionadas con el calzado
CN209862465U (zh) 一种体育训练用方便透气的运动鞋
CN216453631U (zh) 一种复合纤维制成的鞋垫
CN213756884U (zh) 一种高弹性气垫运动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